KR102599173B1 -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 - Google Patents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173B1
KR102599173B1 KR1020210105024A KR20210105024A KR102599173B1 KR 102599173 B1 KR102599173 B1 KR 102599173B1 KR 1020210105024 A KR1020210105024 A KR 1020210105024A KR 20210105024 A KR20210105024 A KR 20210105024A KR 102599173 B1 KR102599173 B1 KR 10259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abric
coated
roll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3170A (ko
Inventor
송범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씰
Priority to KR102021010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1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1Compressive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6Roll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8Rollers for therm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직조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액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상기 직조원단의 상하면을 일차 코팅한 후 코팅시트를 합판한 다중코팅방식으로 코팅력이 향상된 코팅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는, 직조원단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코팅액 분사기와,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제1 코팅시트 합판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와,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는 하측 코팅액 분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ATING FABRIC,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ATING FABRIC USING THE SAME, AND THE COATING FABRIC MANUFACTURED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매트리스 등에 사용되는 코팅원단의 생산을 자동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침대 프레임과, 상기 침대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설치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하중을 쿠션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내부에 복수개의 스프링이 설치되거나, 라텍스 폼과 같은 자체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매트리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내부에 물 또는 공기가 주입된 매트리스도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 매트리스는,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강도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단 직조 단계(S1)와, 직조원단 코팅 단계(S2)와, 코팅원단 재단 단계(S3)와, 재단원단 가장자리 접합 단계(S4)와, 검사 단계(S5)로 구성된다.
원단 직조 단계(S1)에서는 저수축사를 이용하여 에어 매트리스로 사용될 원단을 직조하여 직조원단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직조원단은 상판부 및 하판부가 겹쳐진 형태인 2겹으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직조원단은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 사이가 탄성사에 의해 연결되어 3D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조원단을 후술하는 단계에서와 같이 상하면을 코팅하여 코팅원단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원단을 에어 매트리스의 사이즈(킹, 퀸, 슈퍼 싱글 등)로 재단하고, 재단된 원단의 가장자리를 접합함으로서, 에어 매트리스가 제조된다.
직조원단 코팅 단계(S2)에서는 상기 직조원단의 상하면을 공기차단재로 코팅하여 코팅원단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차단재는 에어 매트리스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상기 에어 매트리스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코팅원단 재단 단계(S3)에서는 상기 코팅원단을 에어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맞게 사각형상으로 재단하여 재단원단을 형성한다.
재단원단 가장자리 접합 단계(S4)에서는 상기 재단원단의 가장자리에 테이프를 붙인 후 고주파 프레스를 통해 접합한 후, 접합된 재단원단의 네 모서리 측면에 형상유지부재를 접착하여, 에어 매트리스를 완성한다.
검사 단계(S5)에서는 완성된 에어 매트리스의 표면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상기 완성된 에어 매트리스의 불량이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한다.
이후에, 상기 완성된 에어 매트리스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곳이 없는지 검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에어 매트리스는 상기 직조원단의 상하면을 코팅하여 상기 코팅원단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원단을 상기 에어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맞게 재단한 후, 재단된 상기 코팅원단의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제조되는 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6805호(2018.01.18. 공고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직조원단의 상하면을 코팅하여 상기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기술의 일례인 '내후성 및 접합력과 사행도가 우수한 이중공간지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이중공간지인 기재와, 상기 이중공간지인 기재의 직조부 외부에 접합된 제 1,2 기능성시트와, 상기 기재 및 상기 기능성시트의 접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접착층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기재의 상하면에 상기 접착층을 도포한 후, 상기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기재의 상하면에 상기 제 1,2 기능성시트를 접착하여 상기 코팅원단(이중공간지)을 제조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는 상기 기재의 상하면에 도포되는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 1,2 기능성시트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실질적인 코팅의 기능은 상기 제 1,2 기능성시트가 하게 되는데, 상기 제1,2 기능성시트에 열을 가하면 상기 제1,2 기능성시트가 녹으면서 상기 기재에 함침되는 방식으로 상기 기재의 상하면을 코팅하였으므로, 상기 기재의 코팅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제 1,2 기능성시트를 접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접착층이 도포된 상기 기재의 상하면에 상기 제 1,2 기능성시트를 접착하여 상기 코팅원단(이중공간지)을 제조한 후, 상기 코팅원단을 냉각수 방식으로 냉각하여야 하였으므로, 설비가 복잡하고 거대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코팅원단(이중공간지)을 제조한 후, 불량검사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해야 하였으므로,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제품불량을 가려내지 못하는 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6805호(2018.01.18. 공고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직조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액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상기 직조원단의 상하면을 일차 코팅한 후 코팅시트를 합판한 다중코팅방식으로 코팅력이 향상된 코팅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냉각팬을 이용한 공랭식의 냉각설비를 통하여 설비가 간단하고 콤팩트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비젼 검사기를 이용하여 코팅원단의 표면검사를 자동화하여서 출하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는, 코팅액 분사기 및 제1 코팅시트 합판기로 구성된다. 상기 코팅액 분사기는 직조원단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한다. 상기 코팅액 분사기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 및 하측 코팅액 분사기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한다.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한다.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코팅액을 위에서 아래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 분사기에는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는,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에 의해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와,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에 의해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직조원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직조원단을 뒤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한 쌍의 엠보싱 롤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엠보싱 롤러는 상기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엠보싱 롤러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으로 눌러서 상기 코팅액을 상기 일차 코팅원단에 스며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제1 냉각팬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팬은 상기 한 쌍의 엠보싱 롤러 및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팬은 상기 일차 코팅원단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제1 정렬 롤러 및 제1 비젼 검사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롤러는 상기 제1 냉각팬 및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롤러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젼 검사기는 상기 제1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 및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에서 예열된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합판될 상기 코팅시트가 감길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에서 풀리는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에 의해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된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제2 냉각팬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냉각팬은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냉각팬은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제2 정렬 롤러 및 제2 비젼 검사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렬 롤러는 상기 제2 냉각팬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렬 롤러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젼 검사기는 상기 제2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제2 코팅시트 합판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시트 합판기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삼차 코팅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시트 합판기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 및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에서 예열된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합판될 상기 코팅시트가 감길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에서 풀리는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에 의해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된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제3 냉각팬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냉각팬은 상기 제2 코팅시트 합판기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냉각팬은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제3 정렬 롤러 및 제3 비젼 검사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정렬 롤러는 상기 제3 냉각팬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정렬 롤러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3 비젼 검사기는 상기 제3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는 직조원단 롤러 및 코팅원단 롤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직조원단 롤러에는 상기 코팅액 분사기로 공급될 상기 직조원단이 감길 수 있다. 상기 코팅원단 롤러에는 상기 제3 비젼 검사기를 통과한 상기 삼차 코팅원단이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은, 제1 코팅 단계 및 제2 코팅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코팅 단계에서는 코팅액 분사기로 직조원단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코팅 단계에서는 제1 코팅시트 합판기로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코팅 단계에서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로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고, 하측 코팅액 분사기로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한다.
상기 제1 코팅 단계에서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코팅액을 위에서 아래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 단계에서는,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에 의해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와,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에 의해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직조원단을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가 이동시켜서 상기 직조원단을 뒤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는 엠보싱 형성 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형성 단계는 상기 제1 코팅 단계 및 상기 제2 코팅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엠보싱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으로 눌러서 상기 코팅액을 상기 일차 코팅원단에 스며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는 제1 건조냉각 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건조냉각 단계는 상기 엠보싱 형성 단계 및 상기 제2 코팅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건조냉각 단계에서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을 제1 냉각팬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는 제1 정렬 단계 및 제1 표면검사 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단계 및 상기 제1 표면검사 단계는 상기 제1 건조냉각 단계 및 상기 제2 코팅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단계에서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을 제1 정렬 롤러로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검사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제1 비젼 검사기로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 단계에서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가 소정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에서 풀리는 상기 코팅시트를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가 예열된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한 후,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가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한 후, 상기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가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는 제2 건조냉각 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건조냉각 단계는 상기 제2 코팅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건조냉각 단계에서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제2 냉각팬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는 제2 정렬 단계 및 제2 표면검사 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렬 단계 및 상기 제2 표면검사 단계는 상기 제2 건조냉각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렬 단계에서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제2 정렬 롤러로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면검사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제2 비젼 검사기로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는 제3 코팅 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 단계는 상기 제2 코팅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 단계에서는 제2 코팅시트 합판기로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삼차 코팅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코팅 단계에서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가 소정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에서 풀리는 상기 코팅시트를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가 예열된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한 후,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가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형성한 후, 상기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가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는 제3 건조냉각 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건조냉각 단계는 상기 제3 코팅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 건조냉각 단계에서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제3 냉각팬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는 제3 정렬 단계 및 제3 표면검사 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정렬 단계 및 상기 제3 표면검사 단계는 상기 제3 건조냉각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 정렬 단계에서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제3 정렬 롤러로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3 표면검사 단계에서는 상기 제3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제3 비젼 검사기로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 단계 이전에는 직조원단 롤러에 감긴 상기 직조원단이 상기 코팅액 분사기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 표면검사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이 코팅원단 롤러에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은 상기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은,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측 코팅액 분사기로 코팅액을 분사하고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하측 코팅액 분사기로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을 만든 후,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제1 코팅시트 합판기로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하여서, 다중코팅방식으로 코팅력이 향상된 코팅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은, 냉각설비가 냉각팬을 이용한 공랭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비가 간단하고 콤팩트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은, 비젼 검사기를 이용하여 코팅원단의 표면검사를 자동화하여서 출하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은,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제1 코팅시트 합판기로 상기 코팅시트를 합판하는 회수에 따라서 완성된 코팅원단의 용도가 달라질 수 있는 데,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상기 코팅시트를 1회 합판하는 경우 상기 완성된 코팅원단은 천막류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상기 코팅시트를 2회 합판하는 경우 상기 완성된 코팅원단은 에어 매트리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상기 코팅시트를 3회 합판하는 경우 상기 완성된 코팅원단은 수상 보트 또는 운동기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팅원단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이차 코팅원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삼차 코팅원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팅원단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는, 에어 매트리스에 사용되는 코팅원단(20, 도 5 참조)을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매트리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를 이용하여 코팅원단(20)을 제조한 후, 다음 공정의 설비로 이동하여 코팅원단(20)을 상기 에어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맞게 재단한 후, 재단된 코팅원단(20)의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내부에 공기를 충전할 수 있는 에어 매트리스의 기본적인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에 의해 제조된 코팅원단(20)은 반드시 상기 에어 매트리스에 사용될 필요는 없다. 즉, 코팅원단의 용도는 후술할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합판되는 코팅시트(13, 14)의 합판 횟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1회 합판하여 제조된 이차 코팅원단(10, 도 4 참조)은 천막류에 사용될 수 있고,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2회 합판하여 제조된 삼차 코팅원단(20, 도 5 참조)은 에어 매트리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3회 합판하여 제조된 사차 코팅원단(미도시)은 수상 보트 또는 운동기구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2회 합판하여 에어 매트리스로 사용하기 위해, 코팅시트 합판기(300, 500)가 2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코팅시트 합판기(300, 500)는 최종 코팅원단의 용도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 모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세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는, 코팅액 분사기(100), 제1 건조기(200),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제2 건조기(400),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 및 제3 건조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액 분사기(100)의 전방에는 직조원단 롤러(710)가 배치될 수 있고, 제3 건조기(600)의 후방에는 코팅원단 롤러(720)가 배치될 수 있다. 코팅원단 롤러(720)의 회전에 의해 직조원단 롤러(710)가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직조원단 롤러(710)에 감긴 직조원단(5)이 직조원단 롤러(710)에서 풀리면서 코팅원단 롤러(720)까지 이송될 수 있다. 직조원단 롤러(710)에서 풀리면서 후방으로 이송되는 직조원단(5)는 이송 중에 코팅액 분사기(100),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에 의해 상하면에 코팅될 수 있고, 완성된 코팅원단(20)은 코팅원단 롤러(720)에 감길 수 있다.
코팅액 분사기(100), 제1 건조기(200),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제2 건조기(400),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 및 제3 건조기(600)는 직조원단(5)의 진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직조원단(5)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코팅액 분사기(100), 제1 건조기(200),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제2 건조기(400),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 및 제3 건조기(600)는 전후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직조원단 롤러(710)에서부터 코팅원단 롤러(720)까지 이송되는 상기 원단은, 직조원단 롤러(710)에서부터 코팅원단 롤러(720)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롤러'라는 명칭의 구성은 회전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코팅액 분사기(100)는 직조원단(5)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6)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건조기(200)는 일차 코팅원단(6)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건조기(400)는 이차 코팅원단(10)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는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삼차 코팅원단(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건조기(600)는 삼차 코팅원단(20)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건조기(200)는 제1 냉각팬(210), 제1 정렬 롤러(850) 및 제1 비젼 검사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건조기(400)는 제2 냉각팬(410), 제2 정렬 롤러(860) 및 제2 비젼 검사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건조기(600)는 제3 냉각팬(610), 제3 정렬 롤러(870) 및 제3 비젼 검사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젼 검사기(220), 제2 비젼 검사기(420) 및 제3 비젼 검사기(620)는, 상기 원단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는 비젼 센서 및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젼 검사기(220), 제2 비젼 검사기(420) 및 제3 비젼 검사기(620)는 상기 원단의 표면을 검사하여 상기 원단의 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
코팅액 분사기(100)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 및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는 직조원단(5)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는 직조원단(5)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 및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는 상기 코팅액을 위에서 아래로 분사할 수 있다.
코팅액 분사기(100)는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130, 140, 150,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130, 140, 150, 160)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에 의해 직조원단(5)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와,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에 의해 직조원단(5)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조원단(5)을 이동시켜서 직조원단(5)을 뒤집을 수 있다.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는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130, 140, 150, 160)는, 제1 롤러(130), 제2 롤러(140), 제3 롤러(150) 및 제4 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130)는 제2 롤러(1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롤러(140)는 제1 롤러(1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130) 및 제2 롤러(140)는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130) 및 제2 롤러(140)는 직조원단(5)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직조원단(5)은, 제1 롤러(130)에서부터 제2 롤러(140)까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면이 위를 향하고 하면이 아래를 향할 수 있다.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는, 제1 롤러(130)에서부터 제2 롤러(140)까지 수평으로 이동되는 직조원단(5)의 상측에 배치되어, 직조원단(5)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제3 롤러(150)는 제2 롤러(1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롤러(150)는 직조원단(5)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직조원단(5)은 제2 롤러(140)에서부터 제3 롤러(150)까지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4 롤러(160)는 제3 롤러(1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롤러(150)는 제4 롤러(16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롤러(160)는 제3 롤러(15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롤러(160)는 직조원단(5)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다. 직조원단(5)은, 제3 롤러(150)에서부터 제4 롤러(160)까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하면이 위를 향하고 상면이 아래를 향할 수 있다.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는, 제3 롤러(150)에서부터 제4 롤러(160)까지 수평으로 이동되는 직조원단(5)의 상측에 배치되어, 직조원단(5)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직조원단 롤러(710) 및 제1 롤러(130) 사이에는 제1 텐션 롤러(8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텐션 롤러(810)의 하측은 직조원단 롤러(710)의 하측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텐션 롤러(810)는 제1 롤러(13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텐션 롤러(810)는 직조원단(5)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하여 제1 롤러(130)로 이송되는 직조원단(5)이 팽팽한 상태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코팅액 분사기(100) 및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사이에는 한 쌍의 엠보싱 롤러(820, 84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엠보싱 롤러(820, 830)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을 한 쌍의 엠보싱 롤러(820, 8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으로 눌러서 상기 코팅액을 일차 코팅원단(6)에 스며들게 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엠보싱 롤러(820, 830)를 통과한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는 한 쌍의 엠보싱 롤러(820, 8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엠보싱 패턴에 의해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엠보싱 롤러(820, 830)는 제1 엠보싱 롤러(820) 및 제2 엠보싱 롤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820)는 제2 엠보싱 롤러(83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엠보싱 롤러(830)는 제1 엠보싱 롤러(82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820)는 제4 롤러(16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820)는 제4 롤러(160) 및 제2 엠보싱 롤러(8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820)는 제4 롤러(16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엠보싱 롤러(830)는 제4 롤러(16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엠보싱 롤러(820)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면을 제1 엠보싱 롤러(8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으로 누를 수 있고, 제2 엠보싱 롤러(830)는 일차 코팅원단(6)의 하면을 제2 엠보싱 롤러(8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으로 누를 수 있다.
제4 롤러(160) 및 제1 엠보싱 롤러(820) 사이에서 이송되는 직조원단(5)은, 제3 롤러(150) 및 제4 롤러(160) 사이에서 이송되는 직조원단(5)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면이 위를 향하고 하면이 아래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롤러(160) 및 코팅원단 롤러(720) 사이에서 이송되는 상기 원단은 일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면이 위를 향하고 하면이 아래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엠보싱 롤러(830)의 후방에는 제2 텐션 롤러(8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텐션 롤러(840)는 제2 엠보싱 롤러(83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텐션 롤러(840)는 제1 엠보싱 롤러(82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텐션 롤러(840)는 제2 엠보싱 롤러(830) 및 제1 건조기(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텐션 롤러(840)는 제1 건조기(20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텐션 롤러(840)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하여 제1 건조기(200)로 이송되는 일차 코팅원단(6)이 팽팽한 상태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제1 건조기(200)는 제2 엠보싱 롤러(830) 및 제2 텐션 롤러(84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팬(210)은 한 쌍의 엠보싱 롤러(820, 830) 및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팬(210)은 제2 텐션 롤러(840) 및 제1 정렬 롤러(8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팬(210)은 일차 코팅원단(6)에 송풍하여 일차 코팅원단(6)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정렬 롤러(850)는 제1 냉각팬(210) 및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정렬 롤러(850)는 제1 냉각팬(210) 및 상측 제1 예열 롤러(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정렬 롤러(850)는 제2 텐션 롤러(840) 및 상측 제1 예열 롤러(3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정렬 롤러(850)는 일차 코팅원단(6)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제1 정렬 롤러(850)는 일차 코팅원단(6)의 하면을 위로 가압하여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제1 비젼 검사기(220)는 제1 정렬 롤러(85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젼 검사기(220)는 제1 정렬 롤러(850)를 통과하는 일차 코팅원단(6)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다.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330, 340),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371, 372),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 및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373, 37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의 예열 온도는 40 내지 60도씨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을 예열하여서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합판될 코팅시트(13, 14)가 잘 녹아서 합판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는 전기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전열히터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는 상측 제1 예열 롤러(310) 및 하측 제1 예열 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1 예열 롤러(310)는 하측 제1 예열 롤러(32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1 예열 롤러(320)는 상측 제1 예열 롤러(31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예열 롤러(310)는 제1 정렬 롤러(850) 및 하측 제1 예열 롤러(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예열 롤러(310)는 제1 정렬 롤러(850) 및 하측 제1 예열 롤러(3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1 예열 롤러(320)는, 상측 제1 예열 롤러(3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정렬 롤러(85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예열 롤러(310)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하여 일차 코팅원단(6)의 상면을 예열할 수 있다. 하측 제1 예열 롤러(320)는 일차 코팅원단(6)의 하면을 위로 가압하여 일차 코팅원단(6)의 하면을 예열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330, 340)에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합판될 코팅시트(13, 14)가 감길 수 있다. 여기서, 코팅시트(13, 14)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코팅시트(13, 14)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330, 340)는 상측 제1 코팅시트 롤러(330) 및 하측 제1 코팅시트 롤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1 코팅시트 롤러(330)는 하측 제1 코팅시트 롤러(34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1 코팅시트 롤러(340)는 상측 제1 코팅시트 롤러(33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코팅시트 롤러(330)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코팅시트 롤러(330)에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상면에 합판될 코팅시트(13)가 감길 수 있다. 하측 제1 코팅시트 롤러(340)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1 코팅시트 롤러(340)에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하면에 합판될 코팅시트(14)가 감길 수 있다.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371, 372)는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330, 340)에서 풀리는 코팅시트(13, 14)를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배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371, 372)는 상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1) 및 하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1)는 하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2)는 상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1)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1)는 상측 제1 코팅시트 롤러(330)에서 풀리는 코팅시트(13)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하여,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상면에 코팅시트(13)를 배치할 수 있다. 하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2)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1 전방 가압 롤러(372)는 하측 제1 코팅시트 롤러(340)에서 풀리는 코팅시트(14)의 하면을 위로 가압하여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에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하면에 코팅시트(14)를 배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는,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371, 372)에 의해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된 코팅시트(13, 14)를,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배치된 코팅시트(13, 14)는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의 열에 의해 녹아서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압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의 열은 150 내지 210도씨 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는 상측 제1 가열 롤러(350) 및 하측 제1 가열 롤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1 가열 롤러(350)는 하측 제1 가열 롤러(36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1 가열 롤러(360)는 상측 제1 가열 롤러(35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가열 롤러(350)는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371, 372)에 의해 코팅시트(13, 14)가 배치된 일차 코팅원단(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가열 롤러(350)는 상측 제1 코팅시트 롤러(330)에서 풀려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상면에 배치된 코팅시트(13)를 일차 코팅원단(6)의 상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할 수 있다. 상측 제1 가열 롤러(350)의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제1 전열히터(H1)가 상측 제1 가열 롤러(350)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1 가열 롤러(360)는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371, 372)에 의해 코팅시트(13, 14)가 배치된 일차 코팅원단(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1 가열 롤러(360)는 하측 제1 코팅시트 롤러(340)에서 풀려서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하면에 배치된 코팅시트(14)를 일차 코팅원단(6)의 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할 수 있다. 하측 제1 가열 롤러(360)의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제2 전열히터(H2)가 하측 제1 가열 롤러(360)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373, 374)는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를 통과하는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373, 374)는 상측 제1 후방 가압 롤러(373) 및 하측 제1 후방 가압 롤러(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1 후방 가압 롤러(373)는 하측 제1 후방 가압 롤러(374)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1 후방 가압 롤러(374)는 상측 제1 후방 가압 롤러(373)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1 후방 가압 롤러(373)는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를 통과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이차 코팅원단(10)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할 수 있다. 하측 제1 후방 가압 롤러(374)는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를 통과한 이차 코팅원단(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차 코팅원단(10)의 하면을 위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건조기(400)는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373, 374)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각팬(410)은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각팬(410)은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 및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각팬(410)은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373, 374) 및 제2 정렬 롤러(8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각팬(410)은 이차 코팅원단(10)에 송풍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정렬 롤러(860)는 제2 냉각팬(410)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정렬 롤러(860)는 제2 냉각팬(410) 및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정렬 롤러(860)는 제2 냉각팬(410) 및 상측 제2 예열 롤러(5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정렬 롤러(860)는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373, 374) 및 상측 제2 예열 롤러(5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정렬 롤러(860)는 이차 코팅원단(10)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제2 정렬 롤러(860)는 이차 코팅원단(10)의 하면을 위로 가압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제2 비젼 검사기(420)는 제2 정렬 롤러(86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비젼 검사기(420)는 제2 정렬 롤러(860)를 통과하는 이차 코팅원단(10)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다.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는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530, 540),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571, 572),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 및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573, 57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는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의 예열 온도는 40 내지 60도씨일 수 있다.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는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을 예열하여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합판될 코팅시트(13, 14)가 잘 녹아서 합판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는 전기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전열히터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는 상측 제2 예열 롤러(510) 및 하측 제2 예열 롤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2 예열 롤러(510)는 하측 제2 예열 롤러(52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2 예열 롤러(520)는 상측 제2 예열 롤러(51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예열 롤러(510)는 제2 정렬 롤러(860) 및 하측 제2 예열 롤러(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예열 롤러(510)는 제2 정렬 롤러(860) 및 하측 제2 예열 롤러(5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2 예열 롤러(520)는, 상측 제2 예열 롤러(5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정렬 롤러(86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예열 롤러(510)는 이차 코팅원단(10)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의 상면을 예열할 수 있다. 하측 제2 예열 롤러(520)는 이차 코팅원단(10)의 하면을 위로 가압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의 하면을 예열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530, 540)에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합판될 코팅시트(13, 14)가 감길 수 있다. 여기서, 코팅시트(13, 14)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코팅시트(13, 14)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530, 540)는 상측 제2 코팅시트 롤러(530) 및 하측 제2 코팅시트 롤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2 코팅시트 롤러(530)는 하측 제2 코팅시트 롤러(54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2 코팅시트 롤러(540)는 상측 제2 코팅시트 롤러(53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코팅시트 롤러(530)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코팅시트 롤러(530)에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면에 합판될 코팅시트(13)가 감길 수 있다. 하측 제2 코팅시트 롤러(540)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2 코팅시트 롤러(540)에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하면에 합판될 코팅시트(14)가 감길 수 있다.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571, 572)는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530, 540)에서 풀리는 코팅시트(13, 14)를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배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571, 572)는 상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1) 및 하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1)는 하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2)는 상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1)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1)는 상측 제2 코팅시트 롤러(530)에서 풀리는 코팅시트(13)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하여,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면에 코팅시트(13)를 배치할 수 있다. 하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2)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2 전방 가압 롤러(572)는 하측 제2 코팅시트 롤러(540)에서 풀리는 코팅시트(14)의 하면을 위로 가압하여,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에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하면에 코팅시트(14)를 배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는,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571, 572)에 의해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배치된 코팅시트(13, 14)를,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삼차 코팅원단(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배치된 코팅시트(13, 14)는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의 열에 의해 녹아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압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의 열은 150 내지 210 도씨일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는 상측 제2 가열 롤러(550) 및 하측 제2 가열 롤러(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2 가열 롤러(550)는 하측 제2 가열 롤러(56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2 가열 롤러(560)는 상측 제2 가열 롤러(55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가열 롤러(550)는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571, 572)에 의해 코팅시트(13, 14)가 배치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가열 롤러(550)는 상측 제2 코팅시트 롤러(530)에서 풀려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면에 배치된 코팅시트(13)를 이차 코팅원단(10)의 상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할 수 있다. 상측 제2 가열 롤러(550)의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제3 전열히터(H3)가 상측 제2 가열 롤러(550)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2 가열 롤러(560)는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571, 572)에 의해 코팅시트(13, 14)가 배치된 이차 코팅원단(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2 가열 롤러(560)는 하측 제2 코팅시트 롤러(540)에서 풀려서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하면에 배치된 코팅시트(14)를 이차 코팅원단(10)의 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할 수 있다. 하측 제2 가열 롤러(560)의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제4 전열히터(H4)가 하측 제2 가열 롤러(560)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573, 574)는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를 통과하는 삼차 코팅원단(20)의 상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573, 574)는 상측 제2 후방 가압 롤러(573) 및 하측 제2 후방 가압 롤러(5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2 후방 가압 롤러(573)는 하측 제2 후방 가압 롤러(574)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2 후방 가압 롤러(574)는 상측 제2 후방 가압 롤러(573)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2 후방 가압 롤러(573)는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를 통과한 삼차 코팅원단(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삼차 코팅원단(20)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할 수 있다. 하측 제2 후방 가압 롤러(574)는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를 통과한 삼차 코팅원단(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삼차 코팅원단(20)의 하면을 위로 가압할 수 있다.
제3 건조기(600)는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573, 574)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냉각팬(610)은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냉각팬(610)은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 및 코팅원단 롤러(7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각팬(410)은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573, 574) 및 제3 정렬 롤러(8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냉각팬(610)은 삼차 코팅원단(20)에 송풍하여 삼차 코팅원단(20)을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3 정렬 롤러(870)는 제3 냉각팬(610)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정렬 롤러(870)는 제3 냉각팬(610) 및 코팅원단 롤러(7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정렬 롤러(870)는 제3 냉각팬(610) 및 제3 텐션 롤러(8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정렬 롤러(870)는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573, 574) 및 제3 텐션 롤러(88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정렬 롤러(870)는 삼차 코팅원단(20)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제3 정렬 롤러(870)는 삼차 코팅원단(20)의 하면을 위로 가압하여 삼차 코팅원단(20)의 상하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제3 비젼 검사기(620)는 제3 정렬 롤러(87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비젼 검사기(620)는 제3 정렬 롤러(870)를 통과하는 삼차 코팅원단(20)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다.
직조원단 롤러(710)에는 코팅액 분사기(100)로 공급될 직조원단(5)이 감길 수 있다. 코팅원단 롤러(720)에는 제3 비젼 검사기(620)를 통과한 삼차 코팅원단(20)이 감길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코팅시트 합판기(300, 500)가 두 개로 구비되어 삼차 코팅원단(20)이 완성된 코팅원단이기 때문에, 코팅원단 롤러(720)에는 삼차 코팅원단(20)이 감기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텐션 롤러(880) 및 코팅원단 롤러(720)는 제2 정렬 롤러(860)의 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팅원단 롤러(720)에는 이차 코팅원단(10)이 감길 수 있다. 즉, 제3 텐션 롤러(880) 및 코팅원단 롤러(720)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1)의 가장 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직조원단 롤러(710) 및 코팅원단 롤러(720)의 회전에 의해, 직조원단 롤러(710)에 감긴 직조원단(5)이 직조원단 롤러(710)에서 풀리면서 코팅원단 롤러(720)까지 이송된 후 코팅원단 롤러(720)에 감길 수 있다. 직조원단 롤러(710) 및 코팅원단 롤러(720)는 회전 가능하게 설비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고, 코팅원단 롤러(720)에는 코팅원단 롤러(720)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감속기와 같은 회전구동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정렬 롤러(870)의 후방에는 제3 텐션 롤러(8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텐션 롤러(880)는 제3 정렬 롤러(87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텐션 롤러(880)의 하측은 코팅원단 롤러(720)의 하측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텐션 롤러(880)는 제3 정렬 롤러(870) 및 코팅원단 롤러(7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텐션 롤러(880)는 삼차 코팅원단(20)의 상면을 아래로 가압하여 코팅원단 롤러(720)로 이송되는 삼차 코팅원단(20)이 팽팽한 상태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이차 코팅원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삼차 코팅원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코팅액 분사기(100)를 통과한 일차 코팅원단(6)은 직조원단(5)의 상하면에 분사된 상기 코팅액에 의한 코팅층(11, 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를 통과한 이차 코팅원단(10)은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가 합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를 통과한 삼차 코팅원단(20)은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가 한 번 더 합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을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은, 제1 코팅 단계(S10), 제2 코팅 단계(S20) 및 제3 코팅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팅 단계(S10)에서는 코팅액 분사기(100)로 직조원단(5)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6)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코팅 단계(S20)는 제1 코팅 단계(S1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코팅 단계(S20)에서는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로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코팅 단계(S30)는 제2 코팅 단계(S2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3 코팅 단계(S30)에서는 제2 코팅시트 합판기(500)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삼차 코팅원단(20)을 형성할 수 있다.
최종 코팅원단의 용도에 따라서, 제1 코팅 단계(S10) 이후에 제2 코팅 단계(S20)만 수행되고 제3 코팅 단계(S30)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처럼 제1 코팅 단계(S10) 이후에 제2 코팅 단계(S20) 및 제3 코팅 단계(S30)를 수행한 후, 삼차 코팅원단(20)의 상하면 코팅시트(13, 14)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사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제4 코팅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종 코팅원단의 용도에 따라서,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합판되는 코팅시트(13, 1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코팅 단계(S10)에서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로 직조원단(5)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고,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로 직조원단(5)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제1 코팅 단계(S10)에서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 및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는 상기 코팅액을 위에서 아래로 분사할 수 있다. 제1 코팅 단계(S10)에서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에 의해 직조원단(5)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와,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에 의해 직조원단(5)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조원단(5)을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130, 140, 150, 160)가 이동시켜서 직조원단(5)을 뒤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코팅 단계(S10)에서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 및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에 의해, 직조원단(5)의 상하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되어서, 일차 코팅원단(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팅 단계(S10) 및 제2 코팅 단계(S20) 사이에는 엠보싱 형성 단계(S11)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엠보싱 형성 단계(S11)는 제1 코팅 단계(S1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엠보싱 형성 단계(S11)에서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을 한 쌍의 엠보싱 롤러(820, 8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으로 눌러서 상기 코팅액을 일차 코팅원단에 스며들게 할 수 있다.
엠보싱 형성 단계(S11) 및 제2 코팅 단계(S20) 사이에는 제1 건조냉각 단계(S12)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제1 건조냉각 단계(S12)는 엠보싱 형성 단계(S11)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1 건조냉각 단계(S12)에서는 일차 코팅원단(6)을 제1 냉각팬(210)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건조냉각 단계(S12) 및 제2 코팅 단계(S20) 사이에는 제1 정렬 단계(S13) 및 제1 표면검사 단계(S14)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제1 정렬 단계(S13)는 제1 건조냉각 단계(S12) 이후에 수행될 수 있고, 제1 표면검사 단계(S14)는 제1 정렬 단계(S13)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1 정렬 단계(S13)에서는 일차 코팅원단(6)을 제1 정렬 롤러(850)로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제1 표면검사 단계(S14)에서는 제1 정렬 롤러(850)를 통과하는 일차 코팅원단(6)의 표면을 제1 비젼 검사기(220)로 검사할 수 있다.
제2 코팅 단계(S20)는 제1 표면검사 단계(S14)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코팅 단계(S20)에서는,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310, 320)가 소정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330, 340)에서 풀리는 코팅시트(13, 14)를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371, 372)가 예열된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배치한 후,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가 코팅시트(13, 14)를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을 형성한 후,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350, 360)를 통과하는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373, 374)가 가압할 수 있다.
제2 코팅 단계(S20) 이후에는 제2 건조냉각 단계(S21)가 더 수행될 수 있다.제2 건조냉각 단계(S21)에서는 이차 코팅원단(10)을 제2 냉각팬(410)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건조냉각 단계(S21) 이후에는 제2 정렬 단계(S22) 및 제2 표면검사 단계(S23)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제2 정렬 단계(S22)는 제2 건조냉각 단계(S21) 이후에 수행될 수 있고, 제2 표면검사 단계(S23)는 제2 정렬 단계(S22)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정렬 단계(S22)에서는 이차 코팅원단(10)을 제2 정렬 롤러(860)로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제2 표면검사 단계(S23)에서는 제2 정렬 롤러(860)를 통과하는 이차 코팅원단(10)의 표면을 제2 비젼 검사기(420)로 검사할 수 있다.
제3 코팅 단계(S30)는 제2 표면검사 단계(S23)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3 코팅 단계(S30)에서는,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510, 520)가 소정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530, 540)에서 풀리는 코팅시트(13, 14)를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571, 572)가 예열된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배치한 후,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가 코팅시트(13, 14)를 이차 코팅원단(10)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삼차 코팅원단(20)을 형성한 후,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550, 560)를 통과하는 삼차 코팅원단(20)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573, 574)가 가압할 수 있다.
제3 코팅 단계(S30) 이후에는 제3 건조냉각 단계(S31)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제3 건조냉각 단계(S31)에서는 삼차 코팅원단(20)을 제3 냉각팬(610)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3 건조냉각 단계(S31) 이후에는 제3 정렬 단계(S32) 및 제3 표면검사 단계(S33)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제3 정렬 단계(S32)는 제3 건조냉각 단계(S31) 이후에 수행될 수 있고, 제3 표면검사 단계(S33)는 제3 정렬 단계(S32)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3 정렬 단계(S32)에서는 삼차 코팅원단(20)을 제3 정렬 롤러(870)로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제3 표면검사 단계(S33)에서는 제3 정렬 롤러(870)를 통과하는 삼차 코팅원단(20)의 표면을 제3 비젼 검사기(620)로 검사할 수 있다.
한편, 제1 코팅 단계(S10) 이전에는 직조원단 롤러(710)에 감긴 직조원단(5)이 코팅액 분사기(1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3 표면검사 단계(S33) 이후에는 삼차 코팅원단(20)이 코팅원단 롤러(720)에 감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 의해 코팅원단(10, 20)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완성된 코팅원단(10, 2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합판하는 횟수에 따라 사용용도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10, 20)은, 직조원단(5)의 상면에 상측 코팅액 분사기(110)로 코팅액을 분사하고 직조원단(5)의 하면에 하측 코팅액 분사기(120)로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6)을 만든 후,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로 코팅시트(13, 14)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10)을 형성하여서, 다중코팅방식으로 코팅력이 향상된 코팅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10, 20)은, 냉각설비가 냉각팬(210, 410, 610)을 이용한 공랭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비가 간단하고 콤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팅원단 제조 장치(1)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10, 20)은, 비젼 검사기(220, 420, 620)를 이용하여 코팅원단(6, 10, 20)의 표면검사를 자동화하여서 출하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팅원단 제조 장치(1)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10, 20)은,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제1 코팅시트 합판기(300)로 코팅시트(13, 14)를 합판하는 회수에 따라서 완성된 코팅원단의 용도가 달라질 수 있는 데,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1회 합판하는 경우 상기 완성된 코팅원단은 천막류에 사용될 수 있고,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2회 합판하는 경우 상기 완성된 코팅원단은 에어 매트리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일차 코팅원단(6)의 상하면에 코팅시트(13, 14)를 3회 합판하는 경우 상기 완성된 코팅원단은 수상 보트 또는 운동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코팅원단 제조 장치 5 : 직조원단
6 : 일차 코팅원단 10 : 이차 코팅원단
20 : 삼차 코팅원단 100 : 코팅액 분사기
110 : 상측 코팅액 분사기 120 : 하측 코팅액 분사기
130, 140, 150, 160 : 방향전환 롤러 210 : 제1 냉각팬
220 : 제1 비젼 검사기 300 : 제1 코팅시트 합판기
310, 320 : 제1 예열 롤러 330, 340 : 제1 코팅시트 롤러
350, 360 : 제1 가열 롤러 371, 372 : 제1 전방 가압 롤러
373, 374 : 제1 후방 가압 롤러 410 : 제2 냉각팬
420 : 제2 비젼 검사기 500 : 제2 코팅시트 합판기
510, 520 : 제2 예열 롤러 530, 540 : 제2 코팅시트 롤러
550, 560 : 제2 가열 롤러 571, 572 : 제2 전방 가압 롤러
573, 574 : 제2 후방 가압 롤러 610 : 제3 냉각팬
620 : 제3 비젼 검사기 710 : 직조원단 롤러
720 : 코팅원단 롤러 820, 830 : 엠보싱 롤러
850 : 제1 정렬 롤러 860 : 제2 정렬 롤러
870 : 제3 정렬 롤러 S10 : 제1 코팅 단계
S11 : 엠보싱 형성 단계 S12 : 제1 건조냉각 단계
S13 : 제1 정렬 단계 S14 : 제1 표면검사 단계
S20 : 제2 코팅 단계 S21 : 제2 건조냉각 단계
S22 : 제2 정렬 단계 S23 : 제2 표면검사 단계
S30 : 제3 코팅 단계 S31 : 제3 건조냉각 단계
S32 : 제3 정렬 단계 S33 : 제3 표면검사 단계

Claims (27)

  1. 직조원단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제1 코팅시트 합판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는 하측 코팅액 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차 코팅원단을 건조 또는 냉각시키는 제1 냉각팬; 및
    상기 제1 냉각팬 및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차 코팅원단을 평활하게 하는 제1 정렬 롤러;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코팅액을 위에서 아래로 분사하고,
    상기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에 의해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와,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에 의해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직조원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직조원단을 뒤집는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제1 냉각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으로 눌러서 상기 코팅액을 상기 일차 코팅원단에 스며들게 하는 한 쌍의 엠보싱 롤러;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검사하는 제1 비젼 검사기;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하는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에서 예열된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합판될 상기 코팅시트가 감긴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에서 풀리는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하는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에 의해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된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시트 합판기 이후에 배치되고,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건조 또는 냉각시키는 제2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팬 이후에 배치되고,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평활하게 하는 제2 정렬 롤러; 및
    상기 제2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검사하는 제2 비젼 검사기;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삼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제2 코팅시트 합판기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시트 합판기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하는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
    상기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에서 예열된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합판될 상기 코팅시트가 감긴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
    상기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에서 풀리는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하는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
    상기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에 의해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된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시트 합판기 이후에 배치되고,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건조 또는 냉각시키는 제3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 냉각팬 이후에 배치되고,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평활하게 하는 제3 정렬 롤러; 및
    상기 제3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검사하는 제3 비젼 검사기;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분사기로 공급될 상기 직조원단이 감긴 직조원단 롤러; 및
    상기 제3 비젼 검사기를 통과한 상기 삼차 코팅원단이 감기는 코팅원단 롤러;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장치.
  14. 코팅액 분사기로 직조원단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일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제1 코팅 단계; 및
    제1 코팅시트 합판기로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제2 코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팅 단계에서는, 상측 코팅액 분사기로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고, 하측 코팅액 분사기로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며,
    상기 제1 코팅 단계 및 상기 제2 코팅 단계 사이에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을 제1 냉각팬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키는 제1 건조냉각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건조냉각 단계 및 상기 제2 코팅 단계 사이에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을 제1 정렬 롤러로 평활하게 하는 제1 정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 단계에서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 및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는 상기 코팅액을 위에서 아래로 분사하고,
    상기 제1 코팅 단계에서는, 상기 상측 코팅액 분사기에 의해 상기 직조원단의 상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와, 상기 하측 코팅액 분사기에 의해 상기 직조원단의 하면에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직조원단을 복수개의 방향전환 롤러가 이동시켜서 상기 직조원단을 뒤집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 단계 및 상기 제1 건조냉각 단계 사이에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엠보싱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으로 눌러서 상기 코팅액을 상기 일차 코팅원단에 스며들게 하는 엠보싱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냉각 단계 및 상기 제2 코팅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제1 비젼 검사기로 검사하는 제1 표면검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 단계에서는,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1 예열 롤러가 소정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한 쌍의 제1 코팅시트 롤러에서 풀리는 상기 코팅시트를 한 쌍의 제1 전방 가압 롤러가 예열된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한 후,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가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형성한 후, 상기 한 쌍의 제1 가열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1 후방 가압 롤러가 가압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 단계 이후에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제2 냉각팬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키는 제2 건조냉각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냉각 단계 이후에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을 제2 정렬 롤러로 평활하게 하는 제2 정렬 단계; 및
    상기 제2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제2 비젼 검사기로 검사하는 제2 표면검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 단계 이후에는,
    제2 코팅시트 합판기로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코팅시트를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삼차 코팅원단을 형성하는 제3 코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3 코팅 단계에서는,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2 예열 롤러가 소정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한 쌍의 제2 코팅시트 롤러에서 풀리는 상기 코팅시트를 한 쌍의 제2 전방 가압 롤러가 예열된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배치한 후,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가 상기 코팅시트를 상기 이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에 소정의 온도로 가압 합판하여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형성한 후, 상기 한 쌍의 제2 가열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의 상하면을 한 쌍의 제2 후방 가압 롤러가 가압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3 코팅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제3 냉각팬으로 건조 또는 냉각시키는 제3 건조냉각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3 건조냉각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을 제3 정렬 롤러로 평활하게 하는 제3 정렬 단계; 및
    상기 제3 정렬 롤러를 통과하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의 표면을 제3 비젼 검사기로 검사하는 제3 표면검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 단계 이전에는 직조원단 롤러에 감긴 상기 직조원단이 상기 코팅액 분사기로 공급되고,
    상기 제3 표면검사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삼차 코팅원단이 코팅원단 롤러에 감기는 코팅원단 제조 방법.
  27.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6과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코팅원단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원단.
KR1020210105024A 2021-08-10 2021-08-10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 KR102599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24A KR102599173B1 (ko) 2021-08-10 2021-08-10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24A KR102599173B1 (ko) 2021-08-10 2021-08-10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170A KR20230023170A (ko) 2023-02-17
KR102599173B1 true KR102599173B1 (ko) 2023-11-08

Family

ID=8532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024A KR102599173B1 (ko) 2021-08-10 2021-08-10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67091B (zh) * 2023-08-10 2024-02-20 江苏中金玛泰医药包装有限公司 一种铝箔梯度涂覆装置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805B1 (ko) 2016-11-07 2018-01-18 주식회사 원풍 내후성 및 접합력과 사행도가 우수한 이중공간지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35B1 (ko) * 2004-12-03 2007-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공간 타포린 제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이중공간 타포린 제품
KR101377589B1 (ko) * 2012-04-19 2014-03-25 (주)피엔티 양면 코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805B1 (ko) 2016-11-07 2018-01-18 주식회사 원풍 내후성 및 접합력과 사행도가 우수한 이중공간지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170A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546B1 (en) Method of making a cut and abrasion resistant laminate
US101502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ly wrinkling of composite laminates during forming
KR102599173B1 (ko) 코팅원단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코팅원단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원단
US1082171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including a reinforcement sheet, and a floor panel
CA28990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ly wrinkling of composite laminates during forming
US20190313719A1 (en) Insulation fabric, insulation product using the sa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sulation fabric
CN108045048A (zh) 三维间隔织物增强空间膜材及其制备方法和加工装置
CA2384370C (en) Pressure laminator apparatus and non-woven fabric formed thereby
KR101680457B1 (ko) 웹 필름을 접합한 합성수지계 탄성체를 적용한 스펀지와 가죽의 간접 가열식 접합 방법
US6805771B1 (en) Pressure laminator apparatus and non woven fabric formed thereby
CN112026191A (zh) 一种空间布材料的制备方法
KR101495864B1 (ko) 다중도색 및 에나멜코팅이 가능한 가죽 원단 도색 설비 및 방법
CN102700221B (zh) 一种无缝刺绣墙布的复合设备
US20200189255A1 (en) Three-dimensional fabric composite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08587A (ko) 압 착롤러를 이용한 에어 매트리스 다량 제조 방법
KR101784590B1 (ko) 카펫 제조방법
US117600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tegrated hull by us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type fiber clothes and a three-dimensional vacuum infusion process
EP0282562A1 (en) PROCESS AND DEVICE FOR STEAM LAMINATION.
US11535010B2 (en) Wetsuit garment fabricated as reinforcedly joined by substantially elastic joining member
JP3749692B2 (ja) 積層複合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2516043B1 (ko) 에어 매트리스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 매트리스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에어 매트리스
CN202608197U (zh) 一种无缝刺绣墙布的复合设备
AU2018221518A1 (en) Composite product
CN111038040A (zh) 一种迷彩加强型空间布及其制备方法
US913927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