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876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876B1
KR102597876B1 KR1020170026137A KR20170026137A KR102597876B1 KR 102597876 B1 KR102597876 B1 KR 102597876B1 KR 1020170026137 A KR1020170026137 A KR 1020170026137A KR 20170026137 A KR20170026137 A KR 20170026137A KR 102597876 B1 KR102597876 B1 KR 10259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door
vehicle
air condition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115A (ko
Inventor
허헌
김종수
이정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8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60H3/0092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in the interior of the HVAC unit, e.g. by spraying substances inside the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발기에서 번식하는 미생물과 세균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의 표면을 건조시켜 미생물과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벤트로 이동하는 유로를 제어하는 도어 상에 살균장치가 위치되어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원인균을 제거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된 차량 외부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벤트들을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가 디프로스트 벤트(1) 또는 프론트 벤트(2)로 이동하는 유로와, 공기가 히터(h)로 유입되는 유로를 제어하는 템프도어(3)가 단순히 지정된 유로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기능만 하였기 때문에, 증발기(e)에 미생물과 세균이 번식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 프론트 벤트(2), 플로어 벤트(4) 등으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악취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 실내를 냉방시키기 위한 공기가 증발기(e)를 통과 하며 서로 열교환 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이 증발기(e) 표면에 맺혀 습한 환경이 조성되므로, 증발기(e) 상에 미생물과 세균이 번식하여 증발기(e)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공조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550730호(명칭: 차량의 공조시스템, 공개일: 2015.09.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 상에 번식하는 미생물과 세균을 살균하여, 냄새원인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증발기를 살균함과 동시에 건조시켜 미생물과 세균이 번식되기 쉬운 습한 환경을 미생물과 세균의 번식이 어려운 건조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되는 차량의 내기 또는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와,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개도를 제어하는 도어(13)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3)에 상기 증발기(E)를 향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살균장치(1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상기 유로 개방 시 상기 증발기(E)와의 거리(L)가 최소화 되는 상기 도어(13)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에어컨 동작 정지 시 상기 도어(13)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장치(100)를 살균위치(A)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는 공기가 히터(H)가 위치되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1 유로(1P)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위치(A)는 상기 도어(13)가 상기 제1 유로(1P)를 개방시키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가 상기 도어(13)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13-1)에 결합되며, 전측 또는 후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지정된 임의의 시간(T) 작동 후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살균장치가 증발기를 살균하여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세균과 미생물을 제거 가능하므로, 공조장치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악취가 풍기는 문제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와 가장 인접 가능한 도어의 단부에 자외선 살균장치가 형성되어 증발기에 조사되는 자외선 에너지가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에어컨 동작 정지 시 도어의 개도를 제어하여 살균장치를 증발기 살균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켜 주므로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히터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표면을 건조 가능하므로 미생물과 세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환경 조건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살균장치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살균장치를 가동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1 유로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권장되는 살균장치의 위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에 장착되는 살균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내부에 살균장치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제2 실시예)
도 7는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운동에 따른 살균 범위를 나타낸 개념도.(제1 유로 폐쇄 시)
도 8은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운동에 따른 살균 범위를 나타낸 개념도.(제2 유로 폐쇄 시)
도 9는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단부에 살균 장치가 나타낸 것을 나타낸 개념도.(제 3 실시예)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공조장치는, 송풍되는 차량의 내기 또는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와,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개도를 제어하는 도어(13)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3)에 상기 증발기(E)를 향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살균장치(100)가 구비되어 증발기(E)에 번식하는 세균과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차량의 공조장치는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를 이용하여,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가 단순히 유로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데에만 사용되어, 에어컨 사용 시 증발기(e)의 표면에 맺히는 수분에 의해 습한 환경이 조성되므로, 증발기(e) 주변에서 다양한 미생물과 세균이 생성 및 번식되던 문제점을 해결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유로는 하측에 위치되는 히터(H)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로(1P)와,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가 상측에 위치되는 벤트인 디프로스트 벤트(11) 또는 프론트 벤트(12)로 이동하는 제2 유로(2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상기 제1 유로(1P) 및 상기 제2 유로(2P) 개방 시 상기 증발기(E)와의 거리(L)가 최소화 되는 상기 도어(13)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외선 살균장치(100)에서 상기 증발기(E)를 향하여 자외선을 방출 시 자외선 살균장치(100)와 상기 증발기(E)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발기(E)의 표면에 닫는 자외선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증발기(E)와 최 인접한 상기 도어(13)의 일측 단부에 자외선 살균장치(100)를 위치시켜, 자외선 살균장치(100)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증발기(E)까지 이동하는 거리(L)를 최소화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13)는 증발기(E)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벤트로 이동하는 유로의 개도를 제어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템프도어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에어컨 동작 정지 시 상기 도어(13)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장치(100)를 살균위치(A)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차량의 히터(H)는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킨 고온의 냉각수를 이용하고, 차량의 시동이 OFF 되거나 에어컨의 작동이 OFF 되더라도 일정량 이상의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13)의 개도를 제어하여 살균장치(100)를 상기 증발기(E)에 인접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유로(1P)를 개방하여 히터(H)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가 상기 증발기(E)를 건조시키는 에너지로 사용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살균장치(100)가 상기 증발기(E) 상에 위치된 세균과 미생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히터(H)에서 전달되는 열 에너지가 증발기(E) 주변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한 환경을 만들어 주므로, 살균장치(100)의 작동이 멈추더라도 세균과 미생물이 증발기(E) 주위에 재번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위치(A)는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도어(13)가 상기 제1 유로(1P)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2P)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 사이에 살균장치(100)가 위치될 수 있는 구간을 뜻하며, 도어(13)가 (a)구간 상에 위치되어 제1 유로(1)를 개방한 상태면 충분하지만, 더욱 살균 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살균장치(100)와 증발기(E) 사이의 거리(L)가 최소가 되는 위치인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상기 증발기(E)를 향하여 자외선을 방출 가능하면 충분하므로 다양한 자외선 방출장치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LED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가 상기 도어(13)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13-1)에 관통 결합되어, 도어(13)의 전면과 후면으로 모두 자외선을 방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상기 살균모드를 통하여 상기 증발기(E)를 살균하고, 증발기(E) 주변을 건조시킴으로 서 증발기(E) 외면에 위치된 미생물과 세균을 제거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증발기(E) 상에 미생물 및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지만, 장기간 차량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주변 환경에 의해 증발기(E) 상에 세균 및 미생물이 번식 할 경우 에어컨을 사용함과 동시에 증발기(E) 상에 형성된 미생물과 세균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자외선 살균장치(100) 상에 도어(13)가 장착되는 장착홀(13-1)을 형성하고, 장착홀(13-1)에 장착된 살균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서 모두 자외선을 방출 가능하게 형성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1P) 폐쇄 시 전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여 증발기(E)의 상측구간(B)을 살균하고, 제2 유로(2P) 폐쇄 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여 증발기(E)의 하측구간(C)을 살균 가능하게 한 것이다.
아울러, 도면상에는 상기 살균장치(100)가 상기 도어(13)의 일측 단부 전면과, 장착홀(13-1) 상에 위치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3)의 일측 단부에 상기 살균장치(100)가 결합되고, 살균장치(100)가 전측, 후측, 하측 3방위로 자외선을 방출하여 에어컨이 OFF된 이후와, 에어컨이 ON된 상태에서 증발기(E)를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살균모드에서 지정된 임의의 시간(T) 작동 후 오프되어 자동차의 배터리 또는 살균장치에 내장된 배터리가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 벤트의 위치를 한정하였지만 벤트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수 있으므로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A : 살균위치
E : 증발기
H : 히터
L : 도어 일측 단부와 증발기 사이의 거리
T : 살균장치 작동 시간
1P : 제1 유로
2P : 제2 유로
11 : 디프로스트 벤트
12 : 프론트 벤트
13 : 도어
13-1 : 장착홀
100 : 살균장치

Claims (6)

  1. 송풍되는 차량의 내기 또는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와,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개도를 제어하는 도어(13)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3)에 상기 증발기(E)를 향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살균장치(100)가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가 상기 도어(13)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13-1)에 결합되며,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상기 도어(13)의 전측 및 후측으로 자외선을 방출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가 제1 유로(1P) 폐쇄 시 전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여 증발기(E)의 상측구간(B)을 살균하고, 상기 도어가 제2 유로(2P) 폐쇄 시 후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여 증발기(E)의 하측구간(C)을 살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상기 유로 개방 시 상기 증발기(E)와의 거리(L)가 최소화 되는 상기 도어(13)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에어컨 동작 정지 시 상기 도어(13)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장치(100)를 살균위치(A)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공기가 히터(H)가 위치되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1 유로(1P)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위치(A)는 상기 도어(13)가 상기 제1 유로(1P)를 개방시키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삭제
  6. 제 3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지정된 임의의 시간(T) 작동 후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70026137A 2017-02-28 2017-02-28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9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37A KR102597876B1 (ko) 2017-02-28 2017-02-28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37A KR102597876B1 (ko) 2017-02-28 2017-02-28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15A KR20180099115A (ko) 2018-09-05
KR102597876B1 true KR102597876B1 (ko) 2023-11-03

Family

ID=6359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137A KR102597876B1 (ko) 2017-02-28 2017-02-28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8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730B1 (ko) 2009-01-23 2015-09-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753118B1 (ko) * 2015-04-17 2017-07-05 갑을오토텍(주)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15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0965B (zh) 光触媒装置和具有该光触媒装置的车用空调
TW587149B (en) Refrigerator
JP4752975B2 (ja) 冷蔵庫
KR101509903B1 (ko) Uv led를 이용한 증발기 코어 살균장치
JP2007236749A (ja) 保管庫及び光触媒装置
KR1025978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1342B1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JP2014240598A (ja) 収納装置
KR100433929B1 (ko) 위생신발장
KR201500191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211574B2 (ja) 冷蔵庫
KR100683212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9357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97874B1 (ko) 광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30938B1 (ko) 로봇 공조장치
US20090250526A1 (en) Fragrance Device
KR101351783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060115245A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공기 조화기
JP2007045174A (ja) 車両用換気除菌システム
JP5145761B2 (ja) 冷蔵庫
JP5261970B2 (ja) 冷蔵庫
JP2008292143A (ja) 冷蔵庫
JPH0737108Y2 (ja) 冷凍冷蔵庫
KR20220157559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01752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