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754B1 -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754B1
KR102597754B1 KR1020230122826A KR20230122826A KR102597754B1 KR 102597754 B1 KR102597754 B1 KR 102597754B1 KR 1020230122826 A KR1020230122826 A KR 1020230122826A KR 20230122826 A KR20230122826 A KR 20230122826A KR 102597754 B1 KR102597754 B1 KR 102597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auxiliary roller
roller dev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택
Original Assignee
임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윤택 filed Critical 임윤택
Priority to KR102023012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개시된 다중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시스템은, 창문프레임(10); 상기 창문프레임(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프레임(20); 상기 창문프레임(10)이 상기 창호프레임(20)의 내부 측면에 접하여 닫혔을 때 상기 창문프레임(10)을 잠그는 주잠금기구(100);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주행 롤러 장치(200); 및 상기 주행 롤러 장치(200)에 구비된 주행 롤러가 고장 또는 손상되었을 때,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 상으로 내려져 상기 창문프레임(10)을 리프팅시킴과 동시에 상기 창문프레임(10)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는 보조 롤러 장치(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Auxiliary Roller Device and Window Shutter System with Auxiliary Roller Device}
본 발명은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창호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에 사용되며, 사각형 형태의 창호프레임에 레일을 따라 창문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창문프레임은 창호프레임에 접촉하여 닫히고, 창문프레임이 창호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열리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기존의 창호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손잡이를 상/하측으로 회전시켜 잠금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해제하는 수동식 잠금기구가 부착된다.
그러나 기존의 수동식 잠금기구는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잠금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미닫이 창호의 개방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특히, 중대형 미닫이 창호의 경우 창호프레임과 창문프레임 사이에 기밀수단이 적용되어 개방에 더 큰 힘이 필요하며, 창문의 무게가 상당하여 개방 동작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노약자나 체력이 약한 사람들이 미닫이 창호를 개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창문프레임은 창호프레임에 구비된 레일을 타고 회전하여 창문프레임의 원활한 이동을 돕는 롤러를 포함하는데, 이 롤러가 손상되는 경우, 보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호시스템은 창호프레임에 방충망이 설치되어 날벌레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도록 구성되는데,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창호프레임의 레일, 특히, 방충망이 설치된 레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날벌레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다.
특허등록 제10-172257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창호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의 고장/손상에 대비하거나, 또는, 대처할 수 있도록 창문프레임에 미리 장착되거나 또는 롤러의 고장/손상 후에 장착되는 보조 롤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자가 잠금식 롤러 장치와 주잠금장치에 의해 이중 잠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자자 잠금 롤러 장치에 구비된 롤러 또는 그 외 롤러의 고장/손상에 대비할 수 있는 보조 롤러 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창호시스템은, 창문프레임(10); 상기 창문프레임(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프레임(20); 상기 창문프레임(10)이 상기 창호프레임(20)의 내부 측면에 접하여 닫혔을 때 상기 창문프레임(10)을 잠그는 주잠금기구(100);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주행 롤러 장치(200); 및 상기 주행 롤러 장치(200)에 구비된 주행 롤러가 고장 또는 손상되었을 때,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창문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 상으로 내려져 상기 창문프레임(10)을 리프팅시킴과 동시에 상기 창문프레임(10)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는 보조 롤러 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프레임(10)의 측부는 아래로 레일홈을 한정하고 상기 레일홈과 직각으로 만나는 홈을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중앙 함몰면부(15)와, 상기 중앙 함몰면부(15)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함몰면부(15)에 비해 전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더 돌출된 한 쌍의 사이드 돌출면부(16)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롤러 장치(300) 각각은 체결구(f)에 의해 상기 사이드 돌출면부(16)에 결합되고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단을 지나 아래로 더 연장된 수직부(312)와, 상기 수직부(312)와 일체로 연결된 외곽 측판부(314)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외곽 측판부(314)에는 복수개의 수직 슬롯(3142)이 전후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312)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외곽 대차 프레임(310)과, 상기 외곽 대차 프레임(310)의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 슬롯(3142)과 교차하는 복수개의 경사 슬롯(3242)이 전후로 나란하게 형성된 내부 측판부(324)를 일체로 포함하는 내부 대차 프레임(320)과, 각각이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에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보조롤러축(330)과, 각각이 상기 보조롤러축(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조롤러(340)와, 상기 외곽 대차 프레임(310)에 대하여 상기 내부 대차 프레임(320)을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보조롤러축(330)과 상기 보조롤러(340)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레일 중 방충망 레일(22)에 형성된 물구멍(222)에 설치되어, 배수를 허용하되, 날벌레의 유입을 막는, 방충 배수 모듈(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충 배수 모듈(400)은.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내측에서 상기 물구멍(222) 밖으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되, 상기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과 면하는 부분은 개방된 하프 배수관(412)과 상기 하프 배수관(412)의 후방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하프 플랜지(414)를 일체로 포함하는 내부캡(410)과,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외측에서 상기 하프 배수관(412)의 하부 개방부를 완전히 막도록 하부 배수관(412)의 외부면에 결합되며, 하부에는 물의 배수를 허용하고 날벌레의 유입을 막는 다수의 방충 배수홀들이 형성된 방충망부(424)가 일체로 형성된 외부캡(4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주행롤러의 고장/손 있는 경우. 고장 전 미리 장착되거나 또는 롤러의 고장/손상 후에 장착되는 보조 롤러 장치에 의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쉽게 복원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창호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레일에 슬라이딩식으로 설치되는 창문프레임과 창문프레임에 장착된 보조 롤러 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보조 롤러 장치의 보조 롤러 사용 불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보조 롤러 장치의 보조 롤러 사용 가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창호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방충 배수 모듈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에 구비된 주잠금기구의 창문 잠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에 구비된 주잠금기구의 창문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자가 잠금식 롤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유리창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창문프레임(10)과, 벽체에 형성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구멍에 설치되며 창문프레임(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프레임(20)과, 상기 창문프레임(10)이 상기 창호프레임(20)에 접하여 닫혔을 때 상기 창문프레임(10)을 고정상태로 잠그는 주잠금기구(100)와,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와, 상기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에 구비된 주행 롤러 또는 그 외 주행 롤러가 고장/손상되었을 때, 사용자 조작에 의해,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 상으로 내려져 창문프레임(10)을 리프팅시킴과 동시에 창문프레임(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주행 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 롤러 장치(300)와, 상기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레일 중 하나의 레일, 특히, 방충망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방충망 레일(22)에 형성된 물구멍(222)에 설치되어, 배수를 허용하되, 날벌레의 유입을 막는, 방충 배수 모듈(400)을 포함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프레임(20)의 하부는 복수개의 레일(21)과 방충망 레일(22)을 포함한다. 창문프레임(10)은 측부는 아래로 레일홈을 한정하고 그 레일홈과 직각으로 만나는 홈을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사각 바형 중앙 함몰면부(15)와, 상기 중앙 함몰면부(15)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함몰면부(15)에 비해 전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더 돌출된 한 쌍의 사각 바형 사이드 돌출면부(16)를 포함한다.
한 쌍의 보조 롤러 장치(300)는 상기 한 쌍의 사각 바형 사이드 돌출면부(16) 에 결합되며, 주행 롤러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복수개의 보조 롤러(340)들이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시키되, 주행 롤러들이 고장/손상에 의해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복수개의 보조 롤러(340)들이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과 작용하면서 창문프레임(10)을 약간 들어올리는 위치까지 하강한 후, 상기 창문프레임(10)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주행 롤러를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보조 롤러 장치(300) 각각은 볼트 또는 피스 등 체결구(f)에 의해 상기 사이드 돌출면부(16)에 결합되고 창문프레임(10)의 하단을 지나 아래로 더 연장된 수직부(312)와 그 수직부(312)와 일체로 연결된 외곽 측판부(314)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외곽 측판부(314)에는 복수개의 수직 슬롯(3142)이 전후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312)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외곽 대차 프레임(310)과, 상기 외곽 대차 프레임(310)의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 슬롯(3142)과 교차하는 복수개의 경사 슬롯(3242)이 전후로 나란하게 형성된 내부 측판부(324)를 일체로 포함하는 내부 대차 프레임(320)과, 각각이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에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보조롤러축(330)과, 각각이 상기 보조롤러축(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조롤러(340)와, 외곽 대차 프레임(310)에 대하여 상기 내부 대차 프레임(320)을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보조롤러축(330)과 상기 보조롤러(340)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외곽 대차 프레임(310)의 수직부(312)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대차 프레임(320)의 수직부(321)에 나사 이송식으로 체결되는 조절나사(350)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롤러축(330)이 유지되는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이 수직 슬롯(3142)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보조롤러(340)가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보조롤러축(330)이 유지되는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을 더 높게 위치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에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보조롤러(340)를 하부 바닥(25)과 접촉시키기 위해, 영역을 갖는 교차 지점을 가능한 낮게 하였다.
주행 롤러의 손상/고장이 발생한 경우, 조절 나사(350)를 회전시켜 내부 대차 프레임(320)을 후퇴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을 수직 슬롯(3142)의 하단 또는 그에 가깝게 하강시켜 보조롤러축(330) 및 보조롤러(340)를 하강시킨다. 주행롤러의 손상 또는 고장에 의해 창문프레임이 내려 앉을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강하는 보조롤러(340)가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을 밀어 창문프레임(10)을 일정 높이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 장치(300)는 창문프레임 생산 단게에 창문프레임에 조립할 수도 있고, 창호시스템 설치한 후, 주행 롤러의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한 경우, 쉽게 창문프레임을 분리하지 않고 싶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충 배수 모듈(400)은 방충망 레일(22)에 형성된 물구멍(222)에 설치되어 물구멍의 배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방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 상기 방충 배수 모듈(400)은.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내측에서 상기 물구멍(222) 밖으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되, 상기 창호프레임의 하부 바닥(25)과 면하는 부분은 개방된 하프 배수관(412)과 상기 하프 배수관(412)의 후방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하프 플랜지(414)를 일체로 포함하는 내부캡(410)과,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외측에서 상기 하프 배수관(412)의 하부 개방부를 완전히 막도록 하부 배수관(412)의 외부면에 결합되며, 하부에는 물의 배수를 허용하고 날벌레의 유입을 막는 다수의 방충 배수홀들이 형성된 방충망부(424)가 일체로 형성된 외부캡(420)을 포함한다.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는 잠금 가능 주행 롤러와 상기 잠금 가능 주행 롤러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 및 해제용 전자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에 포함된 주행 롤러 외에도,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주행 롤러가 창호프레임(20)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회전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주행 롤러는 잠금 기능을 갖지 않는 것이 차이인데,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에 포함된 주행 롤러를 잠가 고정하는 것만으로 나머지 주행 롤러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은, 상기 주잠금기구(100)의 동작 신호를 받아 상기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의 롤러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제어부(900)가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에 예컨대 PCB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잠금기구(100)와 제어부(900)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의 전자 액추에이터 구동을 위한 전원은 배터리에 의해 공급된다. 배터리는 창호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 및 제너레이터에 의해 자동 충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잠금기구(100)는, 레일홈이 형성된 창문프레임(10)이 창호프레임(20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호시스템에 적용되어, 창문 닫힘 상태에서 창문프레임(10)과 창호프레임(20) 사이를 강제적으로 연결하여 잠금 상태를 만드는 한편, 이하 설명되는 핸들 조작에 의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창문프레임(10)의 구속을 풀음과 거의 동시에 창문프레임(10)을 창호프레임(20)으로부터 밀어내 창문프레임(10)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잠금기구(100)는 상기 창호프레임(20)의 측부 내측에 체결구에 결합되며, 아래로 수직 연장된 걸림편(192)을 일체로 구비하는 잠금 걸림 블록(190)과, 상기 창문프레임(10)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 걸림 블록(190)과 협력하여 창문을 닫힘 상태로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모듈(M)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모듈(M)은 전방 개방부를 갖는 전방 내측면부를 구비하며, 체결구에 의해 상기 창문프레임(10)의 측부에 결합된 케이싱(120)과, 상기 케이싱(120)의 전방 내측면부에 인접하게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바(130)와, 상기 승강바(130)의 중간에 형성된 눌림홀(131)과, 상기 승강바(1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창문 닫힘 상태에서 상기 잠금 걸림 블록(190)의 걸림편(192)에 걸려 창문 잠금 상태를 만드는 후크부(132)와, 상기 후크부(132)가 상기 걸림편(192)에 걸리는 것에 의한 창문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바(130)를 수직 방향 상측으로 편향시키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케이싱(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형성된 채 상기 눌림홀(131)에 끼워지는 누름 형상부(152)를 일체로 포함하는 누름 회전체(150)와, 사용자가 손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상기 누름 회전체(150)를 회전시켜 상기 누름 형상부(152)가 상기 눌림홀(131) 내부를 아래로 눌러 상기 승강바(130)가 상기 탄성부재(140)에 대항하면서 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후크부(132)와 상기 걸림편(192)의 걸림 해제에 의해 창문 잠금 해제 상태를 만드는, 핸들(180)과, 상기 케이싱(12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푸싱 가이드(125)와, 상기 푸싱 가이드(125)에 전후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 푸싱 블록(162)을 일체로 구비하는 푸싱 이동판(160)과, 상부 전방 축홀부(163A)와 하부 후방 축홀부(163B)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 홀부(163C)를 포함하도록 상기 푸싱 이동판(160)에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슬롯(163)과, 상기 승강바(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바(130)가 상승된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슬롯(163)의 상기 상부 전방 축홀부(163A)에 위치하여 상기 푸싱 이동판(160)을 후퇴 위치에 유지시키되, 상기 승강바(130)가 하강하면, 상기 하부 후방 축홀부(163B)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163)을 타고 하강 이동하여, 상기 푸싱 이동판(160)을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푸싱 블록(162)이 상기 창호프레임(20)을 밀게 해주는 푸싱 유발축(17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푸싱 이동판(160)의 후방에는 전후로 신축 가능한 완충부재(145)가 설치되어 상기 푸싱 블록(162)이 상기 창호프레임(20)에 충돌할 때 생기는 진동과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며, 상기 푸싱 블록(162) 또한 충돌시 발생한 충격 일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132)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상단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20)의 하부측 내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하단을 유지하는 탄성부재 유지홈(12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유지홈(129)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눌림을 감지하는 눌림 감지 센서(800)가 설치된다. 이 눌림 감지 센서(800)는 예컨대 로드셀일 수 있다.
상기 눌림 감지 센서(800)의 눌림 감지 신호는 승강바(130)의 하강에 의해 탄성부재(140)가 아래로 눌릴 때 발생되며, 제어부(900)는 이 눌림 감지 신호를 받아 눌림 하중이 미리 정해진 설정값을 초과하면.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의 주행 롤러 잠금을 해제한다.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의 주행 롤러 잠금 해제는 단순히 주행 롤러의 잠금을 풀어주는 것이 아니라 주행 롤러에 마찰력을 미리 가하여 주행 롤러의 초기 움직임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자가 잠금식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창문 닫힘 상태에서 핸들(180)을 잡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누름 회전체(150)가 회전하여, 그 누름 회전체(150)에 일체로 형성된 누름 형상부(152)가 상기 눌림홀(131)의 내부를 아래로 눌러, 상기 승강바(130)가 상기 탄성부재(140)에 대항하면서 하강된다. 상기 탄성부재(140)에 힘이 가해지는 초기에 눌림 감지 센서(800)가 그 힘을 감지하여 전술한 제어부로 전달하면 창문 잠금이 본격적으로 해제되기 전에 제어부(900)가 자가 잠금식 롤러 장치(200)를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들어 잠금 해제 상태에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해주며, 주행 롤러에 주행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가해, 이후 이루어지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쉽게 창문프레임이 이동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승강바(130)의 하강에 의해 상기 후크부(132)와 상기 걸림편(192) 사이의 걸림이 풀어진다. 또한, 상기 후크부(132)와 상기 걸림편(192) 사이의 걸림이 풀어져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한편, 상기 승강바(13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승강바(130)의 상부에 형성된 푸싱 유발축(170)이 상기 승강바(130)와 함께 수직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163) 내에서 경사지게 가이드 되고, 이에 의해, 상기 푸싱 이동판(160)이 전진하여, 상기 푸싱 이동판(160)의 전단에 더 넓은 표면적으로 설치된 푸싱 블록(162)이 상기 창호프레임(20)을 밀어,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창문프레임(1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푸싱 블록(162)이 미는 힘과 자가 잠금식 롤러 장치(200)에 의한 주행 롤러의 초기 가동 작용이 협력하여, 창문프레임(10)을 보다 더 편하게 여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창문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창문 닫힘 상에서만 자가 잠금식 롤러 장치(200)의 주행 롤러가 잠금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자가 잠금식 주행 롤러 장치(200)는 체결구에 의해 창문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롤러 브라켓(210)과, 하부 일부가 상기 롤러 브라켓(210)의 하단을 지나 돌출되도록 상기 롤러 브라켓(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창호프레임의 레일(22)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잠금 가능 주행 롤러(220)와, 상기 롤러 브라켓(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창문 닫힘 상태에서, 상기 주행 롤러(22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와, 상기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의 연결되는 로드(242)와, 전자석의 활성화/비활성화에 의해 상기 로드(24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전자 액추에이터(24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240)를 제어하는, 즉, 전자 액추에이터(240)에 구비된 전자석의 활성화/비화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900)는 PCB의 형태로 상기 롤러 브라켓(210) 내에 설치된다. 외부 센서에 의해 창문 닫힘 상태가 감지되거나 및/또는 창문프레임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됨을 감지하면, 제어부(900)는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240)의 전자석을 비활성화시키며, 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로드(242) 및 그 로드(242)의 단부에 결합된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가 최대로 전진해 있고, 그에 따라,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는 상기 주행 롤러(220)에 접촉하여 주행 롤러(220)가 회전을 못하도록 잠근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을 돌리는 것에 의해 승강바가 하강하여, 탄성부재(140)에 힘이 가해지면, 눌림 감지 센서(80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00)에 전송하고, 제어부(900)는 즉사, 전자 액추에이터(240)를 활성화하여 로드(242)를 후퇴시키며, 이 후퇴에 의해,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가 주행 롤러(220)로부터 분리되므로, 주행 롤러(2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동안,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가 상기 주행 롤러(220)에 주행 롤러(220)의 회전을 유발하는 마찰력을 먼저 가하므로, 잠금 해제 초기에, 주행 롤러(220)의 초기 회전이 더 쉽게 일어나고, 이는 창문프레임(10; 도 1 참조)의 보다 원활한 이동을 돕는다. 또한,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가 주행 롤러(220)에 접촉한 상태에서 주행 롤러(220)를 향한 힘이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브라켓 내부에는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 억제 블록(21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승 억제 블록(215)에는 마찰 접촉 제동부재(230)의 주행 롤러 측으로 원활한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 유도면(2152)이 형성된다. 롤러 브라켓(210)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26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창문프레임 20: 창호프레임
100: 주잠금기구 200: 주행 롤러 장치
300: 보조 롤러 장치 310: 외곽 대차 프레임
320: 내부 대차 프레임

Claims (2)

  1. 창문프레임(10);
    상기 창문프레임(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프레임(20);
    상기 창문프레임(10)이 닫혔을 때 상기 창문프레임(10)을 잠그는 주잠금기구(100);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주행 롤러 장치(200); 및
    상기 주행 롤러 장치(200)에 구비된 주행 롤러(220)가 고장 또는 손상되었을 때,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창문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 상으로 내려져 상기 창문프레임(10)을 리프팅시킴과 동시에 상기 창문프레임(10)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는 보조 롤러 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프레임(10)의 측부는 아래로 레일홈을 한정하고 상기 레일홈과 직각으로 만나는 홈을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중앙 함몰면부(15)와, 상기 중앙 함몰면부(15)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 함몰면부(15)에 비해 전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더 돌출된 한 쌍의 사이드 돌출면부(16)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롤러 장치(300) 각각은 체결구(f)에 의해 상기 사이드 돌출면부(16)에 결합되고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단을 지나 아래로 더 연장된 수직부(312)와, 상기 수직부(312)와 일체로 연결된 외곽 측판부(314)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외곽 측판부(314)에는 복수개의 수직 슬롯(3142)이 전후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312)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창문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외곽 대차 프레임(310)과, 상기 외곽 대차 프레임(310)의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 슬롯(3142)과 교차하는 복수개의 경사 슬롯(3242)이 전후로 나란하게 형성된 내부 측판부(324)를 일체로 포함하는 내부 대차 프레임(320)과, 각각이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에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보조롤러축(330)과, 각각이 상기 보조롤러축(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조롤러(340)와, 상기 외곽 대차 프레임(310)에 대하여 상기 내부 대차 프레임(320)을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수직 슬롯(3142)과 상기 경사 슬롯(3242)의 교차 지점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보조롤러축(330)과 상기 보조롤러(340)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레일 중 방충망 레일(22)에 형성된 물구멍(222)에 설치되어, 배수를 허용하되, 날벌레의 유입을 막는, 방충 배수 모듈(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충 배수 모듈(400)은.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내측에서 상기 물구멍(222) 밖으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되, 상기 창호프레임(20)의 하부 바닥(25)과 면하는 부분은 개방된 하프 배수관(412)과 상기 하프 배수관(4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하프 플랜지(414)를 일체로 포함하는 내부캡(410)과, 상기 방충망 레일(22)의 외측에서 상기 하프 배수관(412)의 하부 개방부를 완전히 막도록 하부 배수관(412)의 외부면에 결합되며, 하부에는 물의 배수를 허용하고 날벌레의 유입을 막는 다수의 방충 배수홀들이 형성된 방충망부(424)가 일체로 형성된 외부캡(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KR1020230122826A 2023-09-15 2023-09-15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 KR10259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826A KR102597754B1 (ko) 2023-09-15 2023-09-15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826A KR102597754B1 (ko) 2023-09-15 2023-09-15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754B1 true KR102597754B1 (ko) 2023-11-02

Family

ID=8874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2826A KR102597754B1 (ko) 2023-09-15 2023-09-15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7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573B1 (ko) 2015-04-17 2017-04-03 김홍덕 창호의 잠금장치
KR20200017091A (ko) * 2018-08-08 2020-02-18 (주)명진 리프팅 창호의 슬라이딩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573B1 (ko) 2015-04-17 2017-04-03 김홍덕 창호의 잠금장치
KR20200017091A (ko) * 2018-08-08 2020-02-18 (주)명진 리프팅 창호의 슬라이딩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0598B2 (ja) エレベータカー・ドアによって軸ドアをエントレインさせるためのデバイス
CN103723605B (zh) 一种电梯集成轿门锁的异步门刀
KR100903971B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KR20070099557A (ko) 솔레노이드에 의해 해제되는 래치를 이용한 버티컬 도어잠금장치
KR102058734B1 (ko) 스크류 구동제어 시스템
JP2019510148A (ja) 両開きのスライディングプラグドアシステム
JP201700185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2597754B1 (ko) 보조롤러장치 및 보조롤러장치가 장착된 창호시스템
KR102597753B1 (ko) 다중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시스템
US8998274B2 (en) Self-latching and self-locking latch system for sliding door panels
CN114104927B (zh) 电梯门结构及电梯
CN208561371U (zh) 电梯平层解锁防误移装置
KR20110026356A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JP7195139B2 (ja) 避難扉
JP2002309832A (ja) 折畳建具のグレモン錠誤操作防止装置
JP4196338B2 (ja) 開き戸機構付き引き戸
JP425215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212271847U (zh) 一种带闭门器的电控锁
KR20120039086A (ko) 무동력 엘리베이터 출입문 개폐장치
JP4437725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仮設障壁体装置
JP2549279Y2 (ja) グリルシャッターの押上防止装置
JP4182483B2 (ja) 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持上げ防止装置
KR100358279B1 (ko) 플랫폼용 가동펜스
JP2010024805A (ja) 開き戸機構付き引き戸装置
JP2549280Y2 (ja) グリルシャッターの押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