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026B1 - 조명 거울 - Google Patents

조명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026B1
KR102597026B1 KR1020200134303A KR20200134303A KR102597026B1 KR 102597026 B1 KR102597026 B1 KR 102597026B1 KR 1020200134303 A KR1020200134303 A KR 1020200134303A KR 20200134303 A KR20200134303 A KR 20200134303A KR 102597026 B1 KR102597026 B1 KR 10259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ing
panel
ligh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064A (ko
Inventor
백승욱
Original Assignee
백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욱 filed Critical 백승욱
Priority to KR102020013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0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울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 패널과; 상기 투명 패널의 단부 영역을 제외한 배면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반사층과; 상기 투명 패널을 투과하여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 유닛; 및 상기 LED 조명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반사층에 의해 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영역과; 상기 LED 조명 유닛의 조명 광원을 거울 전방으로 투광시키는 조명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 유닛은, 측면 테두리에 입사되는 입사광을 확산시켜 전면 방향으로 고르게 출광시키는 확산 패널과; 상기 확산 패널의 일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확산 패널의 측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 거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밝은 분위기에서 거울을 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실내 장식 및 조명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 거울{LIGHTING MIRROR}
본 발명은 조명 거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울의 배면에 LED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수단을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밝은 분위기에서 거울을 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LED의 발광 색상 및 휘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서 실내 장식 및 조명장치로도 사용 가능한 조명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투명한 유리 패널과 유리 패널의 후면에 반사 물질을 도포하여 구성된 반사층이 형성되어, 유리 패널 전방의 모습이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거울은 별도의 발광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주변이 어두운 밤 시간대는 물론 낮 시간대에도 사용자의 모습을 선명하게 비추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5065호에는, 유리 패널의 전면 둘레부에 다수개의 램프를 설치하여 전방의 사용자를 조명할 수 있도록 된 조명 거울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명 거울은 램프가 유리 패널의 전면에 노출됨으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원으로서 LED 램프(1)가 투명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조명 거울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 거울은 LED 램프(1)가 투명 패널의 배면에 바로 설치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LED 램프(1)가 위치하는 지점은 지나치게 밝은 반면 그 외의 지점은 어두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LED 램프(1)를 투명 패널에서 어느 정도 이격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거울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벽면 일체형 화장대 등에 적용하는데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LED 램프(1)가 투명 패널의 양쪽 테두리 부근에 설치되는 경우, LED 램프(1)에서 발생되는 열로 주변 가구 등의 시설물이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반사층(a)의 중간에 조명부(b)가 실제 사용될 수 있는 반사 영역(a)이 축소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미관상으로도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85065호(2017.11.17)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13432호(2011.1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울에 조명을 위한 LED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밝은 분위기에서 거울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거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LED의 발광 색상 및 휘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빛을 제공하여 실내 장식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조명 장치로도 사용 가능한 조명 거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거울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 패널과; 상기 투명 패널의 단부 영역을 제외한 배면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반사층과; 상기 투명 패널을 투과하여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 유닛; 및 상기 LED 조명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반사층에 의해 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영역과; 상기 LED 조명 유닛의 조명 광원을 거울 전방으로 투광시키는 조명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 유닛은, 측면 테두리에 입사되는 입사광을 확산시켜 전면 방향으로 고르게 출광시키는 확산 패널과; 상기 확산 패널의 일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확산 패널의 측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 거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조명 거울에 있어서, 상기 확산 패널은, 상기 LED 소자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동시켜 상기 확산 패널의 전체 영역으로 유도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도광판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광판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골고루 퍼지게 하는 확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입력 전류를 상기 LED 조명 유닛에 맞춰 정류하여 제공하는 안정기와; 상기 반사 영역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상기 LED 조명 유닛의 ON, OFF, 디밍(dimming) 또는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 패널의 외측 단부는, 상기 투명 패널의 외측 단부와 중첩되고; 상기 LED 소자는, 상기 확산 패널의 내측 테두리 측면에 접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패널의 내측 단부는, 상기 반사층의 양측 단부와 접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은, 관통홀 또는 관통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거울은, 상기 확산 패널의 반사 시트에 밀착되어,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영역은, 상기 투명 패널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거울은, 상기 투명 패널 및 확산 패널의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기 LED 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 프레임과; 상기 방열 프레임의 상단부와 접하고, 상기 조명 거울 배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조명 거울을 설치면에 지지하고, 상기 조명 거울 배면 내부 공간에 충진된 열을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 전도시키는 열전도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 패널에는, 상기 조명 거울을 설치면에 걸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프레임 상단면에는, 상기 조명 거울 배면 내부 공간에 충진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 프레임과 열전도 패널의 접합면은, 내측면이 완곡면으로 형성되어 접촉 면적이 확산되는 확산 접합면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조명 거울 배면 내부 공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LED 조명 유닛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LED 소자 중 일부를 선별하여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거울은, 벽면 내장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거울은, 투명 패널의 배면에 조명을 위한 LED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밝은 분위기에서 거울을 볼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여 실내 분위기를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LED의 발광 색상 및 휘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빛을 제공하여 실내 장식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실내 조명을 위한 조명 장치로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거울의 조명을 위한 LED 소자를 도광판을 이용한 측면 적용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거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서 붙박이 화장대에 적용하는 경우, 거울 전면의 진열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 프레임 및 거울 배면의 온도 제어에 의하여 LED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안정적으로 제어함으로써, LED 소자에서의 발열로 인한 화재 위험성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광 거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명 거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현예에 따른 조명 거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현예에 따른 조명 거울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구현예에 따른 조명 거울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명 거울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거울은, 거울에 조명을 위한 LED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밝은 분위기에서 거울을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장식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거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명 거울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거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거울(100)은 크게 투명 패널(10)과, 반사층(20)과, LED 조명 유닛(30) 및 제어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10)은, 거울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거울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판 형상 이외에 전반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반사층(20)은 투명 패널(10)의 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투명 패널(10)의 단부 영역을 제외한 배면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20)을 형성하는 물질로는 일반적으로 은(Ag)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은-암모니아' 화합물에 약한 환원제를 혼합한 액체를 투명 패널(10)의 배면에 두면 거기에서 금속 '은'이 석출되면서 투명 패널(10)에 도금, 즉 코팅이 되어 거울이 제작된다.
또한 상기 LED 조명 유닛(30)은, 상기 투명 패널(10)을 투과하여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확산 패널(31)과 LED 소자(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명 패널(10)은 반사층(20)에 의해 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영역(A)과, LED 조명 유닛(30)의 조명 광원을 거울 전방으로 투광시키는 조명 영역(B)을 포함함으로써, 투명 패널(10)과 반사층(20)으로 이루어진 반사 영역(A)에 의해 사물이나 사람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 고유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LED 조명 유닛(30)에서 발광된 빛이 투명 패널(10)을 투과하여 조명 영역(B)에서 전방을 향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밝은 분위기에서 자신의 모습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 유닛(30)은, 측면 테두리에 입사되는 입사광을 확산시켜 전면 방향으로 고르게 출광시키는 확산 패널(31)과, 상기 확산 패널(31)의 일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확산 패널(31)의 측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LED 소자(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확산 패널(31)은 도광판(31a)과, 반사 시트(31b)와, 확산 시트(3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도광판(31a)은 광원, 즉 상기 LED 소자(3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동시켜 상기 확산 패널(31)의 전체 영역으로 유도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도광판(31a)의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광투과성이 89 % 이상으로 우수한 PPMA(Poly Methyl Metacrylate)나 PC(Poly Carbon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상기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광판(31a)에는 입사되는 빛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광학 패턴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학 패턴이 관통홀 또는 관통홈의 형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정하게 분산 형성됨으로써 보다 균일하게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31a)의 배면에는 도광판(31a)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켜 LED 조명 유닛(30)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 시트(31b)가 설치되며, 도광판(31a)의 전면에는 도광판(31a)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골고루 퍼지게 하는 확산 시트(31c)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40)은 상기 LED 조명 유닛(30)의 제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 모듈(40)은, 입력 전류를 상기 LED 조명 유닛(30)에 맞춰 정류하여 제공하는 안정기(41)와, 상기 반사 영역(A)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스위치(42)와, 상기 스위치(42)의 입력에 따라 상기 LED 조명 유닛(30)의 ON, OFF, 디밍(dimming) 또는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거울 전면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42)를 터치함으로써 LED의 발광 색상 및 휘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빛을 제공함으로써, 실내 분위기를 다양하게 더욱 다양하게 조성하여 조명 거울(100)이 실내 장식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실내 조명을 위한 조명 장치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산 패널(31)의 외측 단부는 상기 투명 패널(10)의 외측 단부와 중첩되고, 상기 LED 소자(32)는 상기 확산 패널(31)의 내측 테두리 측면에 접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조명 영역(B)이, 투명 패널(1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각각 구비되게 되며, 확산 패널(31)의 내측 단부가 반사층(20)의 양측 단부와 접하여 형성되며, 그 접하는 부분에 LED 소자(32)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LED 소자(32)를 도광판(31a)의 측면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전용 도광판(31a)을 별도로 생산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31a) 측면에 LED 소자(32) 설치 공간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 거울(100)에는 확산 패널(31)의 반사 시트에 밀착되어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 커버(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LED 소자(32)는 반사층(20)의 양측 단부에서 투명 패널(10)의 양측 단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며, 이와 같이 조사된 빛은 위에서 설명한 도광판(31a)과 확산 시트(31c)에 의해 확산 패널(31)의 전체 영영에서 고르게 전방을 향해 발광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LED 소자(32)의 조명 방식으로 LED 소자(32)를 도광판(31a)을 이용한 측면 적용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거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서 벽면 일체형 화장대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LED 소자(32)를 투명 패널(10)의 양측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조명 영역이 거울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양측 단부에 대칭적으로 위치함으로써 외관이 더욱 미려한 조명 거울(10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LED 소자(32)가 투명 패널(10)의 바로 뒤에서 발광함으로써 조명 영역(B)에 부분적으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명 거울(100)은, 상기 투명 패널(10) 및 확산 패널(31)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방열 프레임(51)과, 상기 방열 프레임(51)의 상단부와 접하고 조명 거울(100) 배면 내측으로 연장되는 열전도 패널(5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51)은, 투명 패널(10) 및 확산 패널(31)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명 거울(10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LED 소자(32)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열 프레임(51) 상단면에는, 조명 거울(100) 배면 내부 공간에 충진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 패널(52)은 조명 거울(100)을 설치면, 즉 벽면 등에 걸어 지지함과 동시에, LED 소자(32)에서 방열되어 조명 거울(100) 배면 내부 공간에 충진된 열을 방열 프레임(51)으로 전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전도 패널(52)에는, 조명 거울(100)을 설치면에 걸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53)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열 프레임(51)과 열전도 패널(52)의 접합면을, 내측면이 완곡면으로 형성되어 접촉 면적이 확산되는 확산 접합면(54)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명 거울(100) 배면 내부 공간에 충진된 열을 더욱 신속하게 방열 프레임으로 전도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와 같은 방열 수단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40)은, 조명 거울(100) 배면 내부 공간 일측에 구비된 온도 센서(미도시)로부터 측정된 조명 거울(100) 배면 내부 공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LED 조명 유닛(3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LED 소자(32) 중 일부를 선별하여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LED 소자(32)에서 방출되는 열을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안정기(41) 등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조명 거울(100)이 설치된 벽면이나 거울 주변의 가구 등이 열화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거울은, 투명 패널의 배면에 조명을 위한 LED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밝은 분위기에서 거울을 볼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여 실내 분위기를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LED의 발광 색상 및 휘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빛을 제공하여 실내 장식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실내 조명을 위한 조명 장치로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거울의 배면에 LED 소자(32)를 포함하는 조명 수단을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밝은 분위기에서 거울을 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LED의 발광 색상 및 휘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서 실내 장식 및 조명장치로도 사용 가능한 조명 거울에 관한 것이다.
10 : 투명 패널 20 : 반사층
30 : LED 조명 유닛 31 : 확산 패널
31a : 도광판 31b : 반사 시트
31c : 확산 시트 32 : LED 소자
40 : 제어 모듈 41 : 안정기
42 : 스위치 51 : 방열 프레임
52 : 열전도 패널 53 : 지지공
54 : 확산 접합면
100 : 조명 유리
A : 반사 영역
B : 조명 영역

Claims (12)

  1. 거울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 패널과;
    상기 투명 패널의 단부 영역을 제외한 배면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반사층과;
    상기 투명 패널을 투과하여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 유닛과;
    상기 LED 조명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투명 패널 및 확산 패널의 테두리를 둘러싸고, LED 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 프레임; 및
    상기 방열 프레임의 상단부와 접하고, 거울 배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조명 거울을 설치면에 지지하고, 상기 조명 거울 배면 내부 공간에 충진된 열을 상기 방열 프레임으로 전도시키는 열전도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반사층에 의해 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영역과;
    상기 LED 조명 유닛의 조명 광원을 거울 전방으로 투광시키는 조명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LED 조명 유닛은,
    측면 테두리에 입사되는 입사광을 확산시켜 전면 방향으로 고르게 출광시키는 확산 패널과;
    상기 확산 패널의 일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확산 패널의 측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확산 패널의 외측 단부는, 상기 투명 패널의 외측 단부와 중첩되고;
    상기 LED 소자는, 상기 확산 패널의 내측 테두리 측면에 접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방열 프레임 상단면에는, 상기 조명 거울 배면 내부 공간에 충진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공이 형성되되,
    상기 방열 프레임과 열전도 패널의 접합면은, 내측면이 완곡면으로 형성되어 접촉 면적이 확대되는 접합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입력 전류를 상기 LED 조명 유닛에 맞춰 정류하여 제공하는 안정기와;
    상기 반사 영역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상기 LED 조명 유닛의 ON, OFF, 디밍(dimming) 또는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내부 공간 일측에 구비되어 조명 거울 배면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조명 거울 배면 내부 공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LED 조명 유닛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LED 소자 중 일부를 선별하여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패널은,
    상기 LED 소자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동시켜 상기 확산 패널의 전체 영역으로 유도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도광판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광판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골고루 퍼지게 하는 확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패널의 내측 단부는, 상기 반사층의 양측 단부와 접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관통홀 또는 관통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분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거울은,
    상기 확산 패널의 반사 시트에 밀착되어,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영역은,
    상기 투명 패널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패널에는,
    상기 조명 거울을 설치면에 걸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거울은,
    벽면 내장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KR1020200134303A 2020-10-16 2020-10-16 조명 거울 KR102597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03A KR102597026B1 (ko) 2020-10-16 2020-10-16 조명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03A KR102597026B1 (ko) 2020-10-16 2020-10-16 조명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064A KR20220051064A (ko) 2022-04-26
KR102597026B1 true KR102597026B1 (ko) 2023-11-01

Family

ID=8139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303A KR102597026B1 (ko) 2020-10-16 2020-10-16 조명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0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12Y1 (ko) * 2006-05-26 2006-08-02 신연식 욕실용 거울유니트
KR101936138B1 (ko) * 2018-09-28 2019-01-08 스팩트럼라이팅(주) 조명거울
KR102085490B1 (ko) * 2019-09-16 2020-03-05 김관중 조명 거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432A (ko) 2010-04-09 2011-10-17 이진욱 장식용 조명거울
KR200485065Y1 (ko) 2015-09-14 2017-11-23 장정호 조명 거울
KR20180126725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파인리빙 조명이 구비된 거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12Y1 (ko) * 2006-05-26 2006-08-02 신연식 욕실용 거울유니트
KR101936138B1 (ko) * 2018-09-28 2019-01-08 스팩트럼라이팅(주) 조명거울
KR102085490B1 (ko) * 2019-09-16 2020-03-05 김관중 조명 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064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8914B2 (ja) 照明装置
JP6767717B2 (ja) 照明装置
US20130027927A1 (en) Floating light luminaire
JP2008300203A (ja) 照明器具
KR20030004086A (ko) 선형상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 가열 조리기
JP2010250966A (ja) 照明器具
KR100937773B1 (ko) 도광판 조명장치
JP2012099331A (ja) 照明装置
KR102597026B1 (ko) 조명 거울
KR101826066B1 (ko) 천장등용 이미지패널
KR101098742B1 (ko) 측광형 거울조명장치
JP2001286373A (ja) 照明装置付き鏡
KR101080751B1 (ko) 안내판 표시장치
JP2004253354A (ja) 面型照明装置
JP2014170688A (ja) 照明器具
JP3148425U (ja) 自動販売機
KR101776004B1 (ko) 직접조명부와 간접조명부로 분할된 도광판 조명장치
JP6820532B2 (ja) 照明装置
JP6965618B2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壁部材
JP2001061623A (ja)
JP4238977B2 (ja) 面発光装置
JP2001256816A (ja) 面発光照明装置
CN215722718U (zh) 一种反光片和具有反光片的小夜灯
KR100801136B1 (ko) 장식 유리 조명장치
JP2013110030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