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985B1 -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6985B1 KR102596985B1 KR1020210075054A KR20210075054A KR102596985B1 KR 102596985 B1 KR102596985 B1 KR 102596985B1 KR 1020210075054 A KR1020210075054 A KR 1020210075054A KR 20210075054 A KR20210075054 A KR 20210075054A KR 102596985 B1 KR102596985 B1 KR 102596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safety
- worker
- scaffold
- guar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83 coal as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02 bituminous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일로형 반출설비는 BCT차량으로 석탄재를 배출하기 위해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BCT차량의 상부로 안전하게 이동하고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반출설비(10)에 구비되어 반출설비(10)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이동하는 복수의 작업발판부재(100)와, 작업발판부재(100)의 둘레를 포위하여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드부재(2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드부재(200)에 상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발판부재(100)에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가드부재(200)를 개방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고, 안전계단(20)에서 상방으로 회전되어 가드부재(200)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발판부재(300)와, 가드부재(200)에 구비되어 이동발판부재(300)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킹부재(4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상승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폐쇄하여 반출설비(10)의 석탄재를 반출하는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고, 외압에 의해 하강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개방하여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는 안전가드레일(500)과, 안전가드레일(50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반출설비(10)에 구비되어 반출설비(10)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이동하는 복수의 작업발판부재(100)와, 작업발판부재(100)의 둘레를 포위하여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드부재(2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드부재(200)에 상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발판부재(100)에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가드부재(200)를 개방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고, 안전계단(20)에서 상방으로 회전되어 가드부재(200)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발판부재(300)와, 가드부재(200)에 구비되어 이동발판부재(300)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킹부재(4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상승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폐쇄하여 반출설비(10)의 석탄재를 반출하는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고, 외압에 의해 하강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개방하여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는 안전가드레일(500)과, 안전가드레일(50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일로형 반출설비는 BCT차량으로 석탄재를 배출하기 위해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BCT차량의 상부로 안전하게 이동하고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연탄 발전소에서는 발전과정에서 사용되는 석탄에 의해 석탄재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석탄재는 재활용을 위해 사일로형 반출설비에 저장된 상태에서 BCT차량으로 적재된 후에 외부로 반출되어서 처리된다.
BCT차량은 탱크형태의 적재공간이 구비되어 있어서 적재되는 석탄재의 밀폐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석탄재를 배출하기 위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BCT차량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레일과 같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서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1744855호(2017.06.01.)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일로형 반출설비는 BCT차량으로 석탄재를 배출하기 위해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BCT차량의 상부로 안전하게 이동하고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는,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내부공간에 저장된 석탄재를 하부로 배출하는 반출설비(10)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반출설비(10)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작업발판부재(100)와, 작업발판부재(100)의 둘레를 포위하면서 반출설비(10) 및 작업발판부재(10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드부재(2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드부재(200)에 상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발판부재(100)에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가드부재(200)를 개방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고, 안전계단(20)에서 상방으로 회전되어 가드부재(200)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발판부재(300)와, 가드부재(200)에 구비되어 이동발판부재(300)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킹부재(4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상승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폐쇄하여 반출설비(10)의 석탄재를 반출하는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고, 외압에 의해 하강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개방하여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는 안전가드레일(500)과, 작업발판부재(100)에 구비된 상태로 안전가드레일(50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작업발판부재(100)는 복수로 구성되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가드부재(200)는 작업발판부재(100)들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샤프트(210)와, 수직샤프트(210)들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샤프트(220)와, 수평샤프트(220)들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샤프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평샤프트(220)는 복수의 샤프트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이동발판부재(300)는 힌지부(310)에 의해 하단이 작업발판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발판(310)이 수직되어 이동발판(310)의 상단이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되면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고, 이동발판(310)이 수평되어 이동발판(310)의 상단이 안전계단(20)의 상부에 지지되면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가 개방되므로 작업자가 이동발판부재(300)를 따라 이동하여서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안전가드레일(500)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가이드관(530)이 구비되고, 승강부재(600)는 작업발판부재(100)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안전가드레일(500)의 가이드관(530)에 삽입되어서 안내되는 가이드샤프트(610)와, 작업발판부재(100)에 고정되면서 안전가드레일(500)에 연결되는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동발판부재(300)에는 암형걸쇠(320)가 구비되고, 안전가드레일(500)에는 이동발판부재(300)의 암형걸쇠(320)에 걸려서 고정되는 수형걸쇠(540)가 구비되고, 암형걸쇠(320)는 끝단이 하부로 절곡되는 핀으로 구성되고, 수형걸쇠(540)는 안전가드레일(50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면서 끝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는, 사일로형 반출설비는 BCT차량으로 석탄재를 배출하기 위해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BCT차량의 상부로 안전하게 이동하고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가드레일이 하강하여서 차량의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사일로형 반출설비에서 BCT차량으로 석탄재를 배출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가드레일 하부로 BCT차량이 진입하여 위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가드레일의 내측에서 작업자가 반출설비를 BCT차량에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발판부재가 안전계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가드레일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가드레일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발판부재가 안전계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가드레일 하부로 BCT차량이 진입하여 위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가드레일의 내측에서 작업자가 반출설비를 BCT차량에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발판부재가 안전계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가드레일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가드레일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발판부재가 안전계단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내부공간에 저장된 석탄재를 하부로 배출하는 반출설비(10)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반출설비(10)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작업발판부재(100)와, 작업발판부재(100)의 둘레를 포위하면서 반출설비(10) 및 작업발판부재(10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드부재(2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드부재(200)에 상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발판부재(100)에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반출설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안전계단(20)에 지지되면 가드부재(200)를 개방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고, 안전계단(20)에서 상방으로 회전되어 안전계단(20)에서 이격되면 가드부재(200)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발판부재(300)와, 가드부재(200)에 구비되어 이동발판부재(300)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킹부재(4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상승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폐쇄하여 반출설비(10)의 석탄재를 반출하는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고, 외압에 의해 하강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개방하여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는 안전가드레일(500)과, 작업발판부재(100)에 구비된 상태로 안전가드레일(50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0)를 포함한다.
먼저, 반출설비(10)는 석탄재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사일로형태의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석탄재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석탄재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고, 투입구는 뚜껑에 의해 개폐되고, 배출구는 자바라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로 신축될 수 있다.
안전계단(20)은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계단이 형성되고 작업자가 올라서는 발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전계단(20)에 올라서는 작업자는 작업발판부재(100)로 이동할 수 있다.
BCT차량(30)은 석탄재가 채워지는 탱크가 구비되고 탱크의 상부에 뚜껑으로 개폐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계단(20)에 올라서 반출설비(10)를 조작하여 석탄재가 BCT차량(30)에 채워지게 할 수 있으므로, 반출설비(10)에서 배출되는 석탄재가 BCT차량(30)에 의해 외부로 운송되어서 처리될 수 있다.
작업발판부재(100)는 장방형이면서 복수의 타공판으로 구성되어 반출설비(10)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BCT차량(30)의 상부에서 양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발판부재(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드부재(200)는 작업발판부재(100)들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샤프트(210)와, 수직샤프트(210)들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샤프트(220)와, 수평샤프트(220)들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샤프트(230)를 포함한다.
수직샤프트(210)의 길이에 의해 수평샤프트(220) 및 연결샤프트(230)가 성인의 허리보다 높고 가슴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발판부재(100)를 따라 이동하는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샤프트(220)는 복수의 샤프트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가 이동발판부재(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샤프트(220) 및 연결샤프트(230)가 프레임(240)들에 의해 반출설비(10) 또는 반출설비(10)가 설치된 구조물에 고정됨에 따라 작업발판부재(100)들이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동발판부재(300)는 타공판으로 구성되면서 힌지부(310)에 의해 하단이 작업발판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발판부재(300) 및 수평샤프트(220)에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와이어가 연결되어 이동발판부재(300)가 개방되면서 안전계단(20)에 지지되지 않아도 와이어에 의해 이동발판부재(300)의 수평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발판부재(300)가 힌지부(31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수직되거나 수평으로 될 수 있다. 이동발판부재(300)가 수직되어 이동발판부재(300)의 상단이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되면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동발판부재(300)이 수평되어 이동발판부재(300)의 상단이 안전계단(20)의 상부에 지지되면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가 개방되므로 작업자가 이동발판부재(300)를 따라 이동하여서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록킹부재(400)는 작업발판부재(100)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수형록킹부(410)와, 이동발판부재(300)에 구비되어 수형록킹부(410)가 분리가능하게 록킹되는 암형록킹부(420)를 포함한다.
수형록킹부(410)는 작업발판부재(100)에 설치되는 몸체에서 슬라이딩되는 핀으로 구성된다. 또한, 수형록킹부(410)는 끝단이 절곡되는 걸쇠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암형록킹부(420)는 수형록킹부(410)인 핀이 삽입되어서 록킹되는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형록킹부(410)의 핀을 이동시켜서 암형록킹부(420)에 삽입시켜서 록킹시키면 작업발판부재(100)의 수평샤프트(220)에 이동발판부재(300)의 나란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수형록킹부(410)의 핀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발판부재(300)가 유동될 수 있다.
안전가드레일(500)은 작업발판부재(100) 및 BCT차량(30)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커버부(510)와, 커버부(510)들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커버부(5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가드레일(500)은 샤프트들이 연결되어 대략 사각의 프레임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안전가드레일(500)이 상승되면 반출설비(10)의 하부 둘레를 포위하면서 작업발판부재(100)를 커버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안전가드레일(500)이 하강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개방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BCT차량(30)의 상부 둘레를 포위한다. 안전가드레일(500)이 BCT차량(30)의 상부 둘레를 포위하면 BCT차량(30)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가드레일(500)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가이드관(530)이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관(530)들은 커버부(510) 및 연결커버부(520)의 사이에 형성된다.
승강부재(600)는 작업발판부재(100)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안전가드레일(500)의 가이드관(530)에 삽입되어서 안내되는 가이드샤프트(610)와, 작업발판부재(100)에 고정되면서 안전가드레일(500)에 연결되는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승강실린더(620)를 포함한다.
가이드샤프트(610)가 가이드관(530)에 삽입되어서 안내되므로 작업발판부재(100)에서 안전가드레일(50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바른 자세로 승강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620)는 2개 또는 4개로 구성되어 작업발판부재(100)의 연결샤프트(230)들에 대칭되게 배치되어서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즉, 승강실린더(620)들이 동시에 작동됨에 따라 안전가드레일(500)이 수평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실린더(620)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더욱이, 작업자가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안전가드레일(500)이 높이가 다른 BCT차량(30)들의 상부에 승강실린더(620)를 근접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발판부재(300)에는 암형걸쇠(320)가 구비되고, 안전가드레일(500)에는 이동발판부재(300)의 암형걸쇠(320)에 걸려서 고정되는 수형걸쇠(540)가 구비된다.
암형걸쇠(320)는 끝단이 하부로 절곡되는 핀으로 구성되고,
수형걸쇠(540)는 안전가드레일(50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면서 끝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안전가드레일(500)이 상승되면 수형걸쇠(540)가 암형걸쇠(320)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록킹부재(400)가 해제되어도 이동발판부재(300)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안전가드레일(500)이 하강됨에 따라 암형걸쇠(320)에서 수형걸쇠(540)가 분리되므로, 이동발판부재(300)가 개방될 수 있다. 즉, 암형걸쇠(320) 및 수형걸쇠(540)에 의해 이동발판부재(300)의 록킹상태가 이중으로 안전하게 보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BCT차량(30)이 진입하여 반출설비(10)의 하부에서 작업발판부재(100)들의 사이에 위치된다. BCT차량(30)에서 하차한 운전자(작업자)는 석탄재의 반출을 위해 안전계단(20)을 이용하여 BCT차량(30)의 상부높이까지 올라간다.
작업자는 승강실린더(620)를 작동시켜서 안전가드레일(500)을 하강시켜서 킨 후에 이동발판부재(300)를 회전시켜서 개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동발판부재(300)를 통과하고 작업발판부재(100)를 통과하여 BCT차량(30)의 상부로 이동한다.
BCT차량(30)의 상부로 이동한 작업자는 안전가드레일(500)에 의해 외부로 추락하지 않으면서 안정된 상태로 BCT차량(30)의 밀폐덮개를 개방하고 사일로형의 반출설비(10)에서 석탄재를 이송하는 이송관을 BCT차량(30)에 연결한다. 그리고, 반출설비(10)에서 BCT차량(30)으로 석탄재가 배출되게 한다. 석탄재의 배출이 완료되면 BCT차량(30)에서 이송관을 분리하고, BCT차량(30)의 밀폐덮개를 폐쇄한 후에 BCT차량(30)의 상부로 비산된 석탄재를 정리한다.
그리고, 작업을 완료한 작업자는 BCT차량(30)에서 작업발판부재(100)를 통과하고 이동발판부재(300)를 통과하여 안전계단(20)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이동발판부재(3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폐쇄시킨 후에, 승강실린더(620)를 작동시켜서 안전가드레일(500)을 상승시킨다. 계속해서, 운전자(작업자)는 안전계단(20)을 통해 지면으로 이동한 후에 BCT차량(30)을 운전하여 석탄재를 처리하는 시설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안전가드레일(500)을 하강시켜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한 후에 석탄재를 배출하는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가 BCT차량(30)에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일로형 반출설비는 BCT차량으로 석탄재를 배출하기 위해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BCT차량의 상부로 안전하게 이동하고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본 분야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반출설비
20 : 안전계단
30 : BCT차량
100 : 작업발판부재
200 : 가드부재
210 : 수직샤프트
220 : 수평샤프트
230 : 연결샤프트
300 : 이동발판부재
310 : 힌지부
400 : 록킹부재
500 : 안전가드레일
510 : 커버부
520 : 연결커버부
530 : 가이드관
600 : 승강부재
610 : 가이드샤프트
620 : 승강실린더
20 : 안전계단
30 : BCT차량
100 : 작업발판부재
200 : 가드부재
210 : 수직샤프트
220 : 수평샤프트
230 : 연결샤프트
300 : 이동발판부재
310 : 힌지부
400 : 록킹부재
500 : 안전가드레일
510 : 커버부
520 : 연결커버부
530 : 가이드관
600 : 승강부재
610 : 가이드샤프트
620 : 승강실린더
Claims (5)
-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내부공간에 저장된 석탄재를 하부로 배출하는 반출설비(10)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반출설비(10)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작업발판부재(100)와,
작업발판부재(100)의 둘레를 포위하면서 반출설비(10) 및 작업발판부재(10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드부재(2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드부재(200)에 상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발판부재(100)에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가드부재(200)를 개방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고, 안전계단(20)에서 상방으로 회전되어 가드부재(200)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발판부재(300)와,
가드부재(200)에 구비되어 이동발판부재(300)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킹부재(400)와,
작업발판부재(100)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상승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폐쇄하여 반출설비(10)의 석탄재를 반출하는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고, 외압에 의해 하강하면 작업발판부재(100)를 개방하여 BCT차량(30)으로 작업자의 이동을 허용하는 안전가드레일(500)과,
작업발판부재(100)에 구비된 상태로 안전가드레일(50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작업발판부재(100)는 복수로 구성되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가드부재(200)는
작업발판부재(100)들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샤프트(210)와,
수직샤프트(210)들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샤프트(220)와,
수평샤프트(220)들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샤프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샤프트(220)는 복수의 샤프트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이동발판부재(300)는 힌지부(310)에 의해 하단이 작업발판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발판(310)이 수직되어 이동발판(310)의 상단이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되면 작업자의 이동을 방지하고, 이동발판(310)이 수평되어 이동발판(310)의 상단이 안전계단(20)의 상부에 지지되면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가 개방되므로 작업자가 이동발판부재(300)를 따라 이동하여서 수평샤프트(220)들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전가드레일(500)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가이드관(530)이 구비되고,
승강부재(600)는
작업발판부재(100)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안전가드레일(500)의 가이드관(530)에 삽입되어서 안내되는 가이드샤프트(610)와,
작업발판부재(100)에 고정되면서 안전가드레일(500)에 연결되는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발판부재(300)에는 암형걸쇠(320)가 구비되고,
안전가드레일(500)에는 이동발판부재(300)의 암형걸쇠(320)에 걸려서 고정되는 수형걸쇠(540)가 구비되고,
암형걸쇠(320)는 끝단이 하부로 절곡되는 핀으로 구성되고,
수형걸쇠(540)는 안전가드레일(50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면서 끝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5054A KR102596985B1 (ko) | 2021-06-09 | 2021-06-09 |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5054A KR102596985B1 (ko) | 2021-06-09 | 2021-06-09 |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6133A KR20220166133A (ko) | 2022-12-16 |
KR102596985B1 true KR102596985B1 (ko) | 2023-11-29 |
Family
ID=8453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5054A KR102596985B1 (ko) | 2021-06-09 | 2021-06-09 |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698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0755B1 (ko) | 2007-01-18 | 2008-06-23 | (주)이진엔지니어링 | 사일로 커버 |
US20160214667A1 (en) | 2013-07-05 | 2016-07-28 | Torsten Hösker | Overhead conveying device having a securing element |
KR102126326B1 (ko) | 2020-03-17 | 2020-07-07 |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0296B1 (ko) * | 2005-01-25 | 2006-10-3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호퍼블록 내부 작업용 승강식 발판장치 |
KR101895535B1 (ko) * | 2016-08-26 | 2018-09-05 | 박정윤 | 안전 작업대 |
-
2021
- 2021-06-09 KR KR1020210075054A patent/KR1025969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0755B1 (ko) | 2007-01-18 | 2008-06-23 | (주)이진엔지니어링 | 사일로 커버 |
US20160214667A1 (en) | 2013-07-05 | 2016-07-28 | Torsten Hösker | Overhead conveying device having a securing element |
KR102126326B1 (ko) | 2020-03-17 | 2020-07-07 |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6133A (ko) | 2022-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28524B1 (en) | Cask transporter | |
KR101782139B1 (ko) |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 |
NO20200762A1 (en) |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a vehicle pen | |
US6920963B2 (en) | Apparatus having vertically movable personnel cages for a spreader | |
KR102050141B1 (ko) | 모듈형 포터블 캐스크 이송 설비 | |
CN115867501A (zh) | 容器搬运车辆升降机 | |
EP4034478A1 (en) |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a vehicle pen | |
KR200491835Y1 (ko) |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 |
KR102596985B1 (ko) |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 |
US3727359A (en) | Cranes | |
KR20230107819A (ko) | 운반체 펜을 갖춘 서비스 운반체 | |
JP6963922B2 (ja) | 放射性物質の搬出装置、放射性物質の搬入装置並びに放射性物質の搬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
KR101584389B1 (ko) | 창고 설비 | |
KR102029817B1 (ko) | 압축팩커 하강 안전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 |
CN209145305U (zh) | 一种建筑施工用卸料装置 | |
CN209583507U (zh) | 一种用于运输树脂原料的液压升降平台防坠落保护装置 | |
KR101047851B1 (ko) | 분말이송 특장차 | |
CN220787997U (zh) | 原料升降机接料平台的防护栏杆 | |
CN109051741B (zh) | 一种掩膜板搬运装置及其搬运方法 | |
US395091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suspension bridge tower | |
KR102654293B1 (ko) |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 |
CN220431318U (zh) | 一种环轨式吨包袋卸料设备 | |
EP3173367B1 (en) | Movable lift apparatus | |
CN115417183A (zh) | 乏燃料运输厂房布局结构及乏燃料运输容器的吊装方法 | |
CN210646330U (zh) | 涂料生产用便捷式投料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