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686B1 -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686B1
KR102596686B1 KR1020200079775A KR20200079775A KR102596686B1 KR 102596686 B1 KR102596686 B1 KR 102596686B1 KR 1020200079775 A KR1020200079775 A KR 1020200079775A KR 20200079775 A KR20200079775 A KR 20200079775A KR 102596686 B1 KR102596686 B1 KR 102596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hosphonate
resin composition
resin
yellow index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598A (ko
Inventor
이정재
배진용
권혁만
지준호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686B1/ko
Priority to PCT/KR2021/008214 priority patent/WO2022005181A1/ko
Priority to CN202180045633.2A priority patent/CN115715309B/zh
Priority to US18/010,048 priority patent/US20230227614A1/en
Publication of KR2022000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5/02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phosphorus
    • C08G79/04Phosphorus linked to oxygen or to oxygen and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 화합물 0.01 내지 0.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난연성, 광투과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POLYPHOSPH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난연성, 광투과성 등이 우수한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난연성 향상을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난연제를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여 블렌딩하는 방법이다. 난연제 중, 할로겐계 난연제는 난연성이 뛰어나지만,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어, 인계 난연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인계 난연제로는 포스페이트, 포스핀옥사이드, 포스파이트, 포스포네이트와 같은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주로 저분자량의 화합물이 사용되므로, 고온에서 열가소성 수지 가공 시 휘발되어 손실되거나, 성형품의 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와 인계 난연제 혼합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분자량의 인계 중합체(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등)를 기초 수지로 적용해 볼 수 있으나, 고온 조건 및/또는 자외선 노광 시, 변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난연성, 광투과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9111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난연성, 광투과성 등이 우수한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 화합물 0.01 내지 0.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A 및 디아릴아릴포스포네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전체 반복단위 100 몰% 중 90 몰% 이상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5 이하일 수 있다:
[식 1]
황색 지수 차이(ΔYI)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수지 조성물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1은 상기 시편을 200℃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2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7 이하일 수 있다:
[식 2]
황색 지수 차이(ΔYI) = YI2 - YI0
상기 식 2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수지 조성물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2는 상기 시편을 60℃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313 nm 파장, 0.63 W/m2 전력밀도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한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UL-94 기준에 따라 측정한 0.7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가 V-0 이상일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광투과도가 87% 이상일 수 있다.
9.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난연성, 광투과성 등이 우수한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및 (B) 술포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특정 술포네이트 화합물과 함께 적용되어, 기초 수지로서,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난연성, 광투과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A 등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디아릴아릴포스포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공지의 폴리포스포네이트 중합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로는 비스페놀-A(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4'-비페놀,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아릴아릴포스포네이트로는 디페닐페닐포스포네이트, 디페닐톨릴포스포네이트, 디페닐나프틸포스포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전체 반복단위 100 몰% 중 90 몰% 이상, 예를 들면, 95 내지 100 몰%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로, 90 몰% 이상, 예를 들면, 95 내지 100 몰%의 비스페놀-A; 및 나머지 함량의 다른 방향족 디올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디아릴아릴포스포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가 기초 수지로 작용할 수 있으며,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100,000 g/mol, 예를 들면 20,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가 기초 수지로 작용할 수 있으며,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술포네이트 화합물
본 발명의 술포네이트 화합물은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술포네이트 화합물은 부틸 p-톨루엔술포네이트, 펜틸 p-톨루엔술포네이트, 헥실 p-톨루엔술포네이트, 헵틸 p-톨루엔술포네이트, 옥틸 p-톨루엔술포네이트, 노닐 p-톨루엔술포네이트, 데실 p-톨루엔술포네이트, 도데실 p-톨루엔술포네이트,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술포네이트 화합물은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05 중량부, 예를 들면 0.02 내지 0.0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술포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0.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도,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충격보강제, 무기 충진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의 내열성, 내열변색성 및 난연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와 블렌드(blend)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140 내지 220℃, 예를 들면 150 내지 20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5 이하, 예를 들면 1 내지 4일 수 있다.
[식 1]
황색 지수 차이(ΔYI)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수지 조성물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1은 상기 시편을 200℃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2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7 이하, 예를 들면 1 내지 6일 수 있다.
[식 2]
황색 지수 차이(ΔYI) = YI2 - YI0
상기 식 2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수지 조성물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2는 상기 시편을 60℃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313 nm 파장, 0.63 W/m2 전력밀도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한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UL-94 기준에 따라 측정한 0.7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가 V-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광투과도가 87% 이상, 예를 들면 88%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난연성, 광투과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 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기초 수지
(A1) 비스페놀-A 및 디페닐페닐포스포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한 중량평균분자량이 25,200 g/mol인 비스페놀-A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A2) 비스페놀-A 및 디페닐페닐포스포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1,600 g/mol인 비스페놀-A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A3) 비스페놀-A 및 디페닐페닐포스포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7,000 g/mol인 비스페놀-A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A4)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 g/mol인 비스페놀-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B) 술포네이트 화합물
(B1) 부틸 p-톨루엔술포네이트(제조사: TCI chemicals)를 사용하였다.
(B2) 도데실 p-톨루엔술포네이트(제조사: Hangzhou Keying Chem.)를 사용하였다.
(C) 에틸 p-톨루엔술포네이트(제조사: Sigma Aldrich)를 사용하였다.
(D) 비스페놀-A 디포스페이트(제조사: DAIHACHI, 제품명: DVP506)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7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16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00℃, 금형 온도: 7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7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12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90℃, 금형 온도: 7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내열변색성 평가: 하기 식 1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를 측정하였다.
[식 1]
황색 지수 차이(ΔYI)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수지 조성물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1은 상기 시편을 200℃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2) 내광변색성 평가: 하기 식 2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를 측정하였다.
[식 2]
황색 지수 차이(ΔYI) = YI2 - YI0
상기 식 2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수지 조성물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2는 상기 시편을 60℃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313 nm 파장, 0.63 W/m2 전력밀도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한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3) 난연성 평가: UL-94 기준에 따라, 0.7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4) 광투과성 평가: ASTM D1003에 의거하여, Nippon Denshoku사의 Haze meter NDH 2000 장비로 2.5 mm 두께 시편의 광투과도(단위: %)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A1)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A2) (중량부) - - - - - -
(A3) (중량부) - - - - - -
(A4) (중량부) - - - - - -
(B1) (중량부) 0.02 0.03 0.04 - - -
(B2) (중량부) - - - 0.02 0.03 0.04
(C) (중량부) - - - - - -
내열변색성 (ΔYI) 3.6 2.9 2.6 3.0 2.3 2.2
내광변색성 (ΔYI) 5.7 4.5 4.3 5.5 4.5 4.3
난연도 V-0 V-0 V-0 V-0 V-0 V-0
광투과도 (%) 88.1 88.3 88.4 88.2 88.3 88.5
비교예
1 2 3 4 5 6 7 8
(A1) (중량부) - - 100 100 100 100 100 -
(A2) (중량부) 100 - - - - - - -
(A3) (중량부) - 100 - - - - - -
(A4) (중량부) - - - - - - - 100
(B1) (중량부) 0.03 0.03 0.005 0.07 - - - -
(B2) (중량부) - - - - 0.005 0.07 - -
(C) (중량부) - - - - - - 0.03 -
(D) (중량부) - - - - - - - 17.6
내열변색성 (ΔYI) 8.9 8.3 8.5 7.4 8.3 7.5 13.3 -
내광변색성 (ΔYI) 8.3 7.9 8.0 6.1 8.1 6.3 9.7 4.7
난연도 V-0 V-0 V-0 V-0 V-0 V-0 V-0 V-2
광투과도 82.9 84.3 87.8 87.6 87.6 87.5 87.4 90.7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난연성, 광투과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대신에,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A2), (A3)를 적용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광투과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술포네이트 화합물 (B1)을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3),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4),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술포네이트 화합물 (B2)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5),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6),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술포네이트 화합물 대신에, 에틸 p-톨루엔술포네이트 (C)를 적용할 경우(비교예 7),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색성, 내광변색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기초 수지로서,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대신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적용하고, 통상의 인계 난연제 (D)를 적용한 비교예 8의 경우, 난연제의 함량이 기초 수지에 비해 과량임에도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등이 크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 화합물 0.01 내지 0.0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1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A 및 디아릴아릴포스포네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전체 반복단위 100 몰% 중 90 몰%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식 1]
    황색 지수 차이(ΔYI)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수지 조성물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1은 상기 시편을 200℃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2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식 2]
    황색 지수 차이(ΔYI) = YI2 - YI0
    상기 식 2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수지 조성물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2는 상기 시편을 60℃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313 nm 파장, 0.63 W/m2 전력밀도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한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UL-94 기준에 따라 측정한 0.7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가 V-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광투과도가 8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200079775A 2020-06-30 2020-06-30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96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75A KR102596686B1 (ko) 2020-06-30 2020-06-30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CT/KR2021/008214 WO2022005181A1 (ko) 2020-06-30 2021-06-29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202180045633.2A CN115715309B (zh) 2020-06-30 2021-06-29 聚膦酸酯树脂组合物以及由其制造的模制品
US18/010,048 US20230227614A1 (en) 2020-06-30 2021-06-29 Polyphosph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75A KR102596686B1 (ko) 2020-06-30 2020-06-30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98A KR20220001598A (ko) 2022-01-06
KR102596686B1 true KR102596686B1 (ko) 2023-10-31

Family

ID=7931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775A KR102596686B1 (ko) 2020-06-30 2020-06-30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27614A1 (ko)
KR (1) KR102596686B1 (ko)
CN (1) CN115715309B (ko)
WO (1) WO2022005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26175A (zh) * 2022-12-30 2023-04-07 缔久高科技材料(南通)有限公司 一种无卤素高聚合度聚磷酸酯阻燃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9690A (ja) * 1998-12-08 2000-06-20 Ge Plastics Japan Ltd 光学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3978A1 (en) * 1989-02-23 1990-08-29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ester resins
US6288210B1 (en) * 1999-11-12 2001-09-11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High refractive index thermoplastic polyphosphonates
JP2003226818A (ja) * 2001-11-30 2003-08-15 Polyplastics Co 難燃性樹脂組成物
JP4539131B2 (ja) * 2004-03-16 2010-09-08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ケイ素系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2643504A4 (en) * 2010-11-17 2016-11-16 Frx Polymers Inc PHOSPHONATE POLYMERS, COPOLYMERS AND THEIR OLIGOMERS AS FLAME PROTECTION AGENTS FOR POLYESTER FIBERS
CN109971144A (zh) * 2011-04-14 2019-07-05 Frx 聚合物股份有限公司 聚膦酸酯和共聚膦酸酯添加剂混合物
JP5771542B2 (ja) * 2012-02-10 2015-09-02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2306716B1 (ko) * 2015-03-31 2021-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리포스포네이트 중합체, 이를 이용한 렌즈 및 카메라 모듈
CN110300757A (zh) * 2017-01-05 2019-10-01 Frx 聚合物股份有限公司 用膦酸酯低聚物固化环氧树脂
CN113429770A (zh) * 2021-06-04 2021-09-24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高效阻燃改性的不饱和聚酯树脂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9690A (ja) * 1998-12-08 2000-06-20 Ge Plastics Japan Ltd 光学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15309B (zh) 2024-02-09
CN115715309A (zh) 2023-02-24
WO2022005181A1 (ko) 2022-01-06
KR20220001598A (ko) 2022-01-06
US20230227614A1 (en)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3288B1 (en) Scratch-resistant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2471840A1 (en) Cross-linked polyphosphona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102596686B1 (ko)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8007890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20069865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077842B1 (ko)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4738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5254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267270B1 (ko)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090066599A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204883B1 (ko) 휨특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606516B1 (ko)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1218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0709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452087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1792583B (zh) 抗刮聚碳酸酯树脂组合物
KR101134015B1 (ko) 투명성, 난연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9011738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6389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8584B1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272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161115B1 (ko) 난연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23007086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EP4116377A1 (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hydrolysis resistance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2024002997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