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887B1 -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887B1
KR102595887B1 KR1020230101609A KR20230101609A KR102595887B1 KR 102595887 B1 KR102595887 B1 KR 102595887B1 KR 1020230101609 A KR1020230101609 A KR 1020230101609A KR 20230101609 A KR20230101609 A KR 20230101609A KR 102595887 B1 KR102595887 B1 KR 10259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parking lot
user termin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미
Priority to KR102023010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4Systems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차면을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하는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TOF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구역 제어기, 상기 구역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주차면의 상기 주차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의 빈 자리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차 시스템 서버,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빈 자리 정보를 전달받는 전광판 제어부, 상기 주차장 입구 및 상기 주차장의 각 층에 설치되고 상기 전광판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빈자리 정보를 표시하는 주차 종합 안내부,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주차장의 빈자리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주차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지오펜싱(geo fencing)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지오펜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펜싱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로그를 전송받고,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된 상기 주차장 내에 진입함을 감지하면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활성화시키고,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주차장의 빈 자리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지도 UI(user interface)를 활성화하고, 상기 구역 제어기는, 상기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빈 자리에 사용자 차량이 주차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빈자리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근거리 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구역 제어기에서 발송된 상기 제1 근거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역 제어기와 다른 구역 제어기에서 발송된 제2 근거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상기 제1 근거리 신호의 제1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과 상기 제2 근거리 신호의 제2 RSSI 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RSSI 값과 상기 제2 RSSI 값 중 높은 값을 가지는 근거리 신호 값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는,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차량의 위치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RKING GUIDAN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OPTICAL SENSOR}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오피스, 아파트 형공장, 오피스텔, 아파트(공통주택) 등 다양한 집합건물이나 인구밀집지역의 빌딩, 대형 마트, 백화점, 쇼핑몰 등에는 대규모의 주차장이 여러 층 및 구역으로 나뉘어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에 주차할 때 운전자가 직접 빈 주차면(주차공간)을 찾아다니면서 주차를 하거나 주차 요원이 안내하는 곳에 주차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지하 주차장에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유도관제시스템을 적용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지하 주차장에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유도관제시스템을 적용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유도관제시스템은 초음파 센서를 각각의 주차면의 소정 위치(예를 들어, 상부)에 장착하고, 초음파 비행거리를 이용하여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비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각 구 역에 설치된 구역제어기(DCU; District Control Unit)로 전송한다. 이때 구역제어기(DCU)에서는 초음파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주차 시스템 서버에 전송하고, 주차 시스템 서버에서는 종합적으로 모든 주차면의 주차 현황 정보를 인지하여 해당 구역의 주차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해당 구역제어기에 전달한다. 구역제어기는 이러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주차 표시등의 점등(예를 들어, 만차이면 적색, 공차이면 녹색)을 제어한다.
한국특허출원 10-2015-0059485 한국특허출원 10-2016-0027840 한국특허출원 10-2017-0132285
최근에는 지하 주차장에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유도관제시스템을 적용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유도관제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초음파 센서를 각각의 주차면에 장착하고, 각 초음파 센서마다 고유 ID를 해당 주차면 정보와 매핑하여 디지털화된 주차면 정보를 주차 시스템 서버에 등록해야 멀티 드롭(Multi-Drop) 방식(RS-485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주차면 개수에 대응하는 초음파 센서를 일일이 등록한 후 레이스웨이(race-way)에 부착하는 작업은 초기 등록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유 ID와 주차면을 일치시켜 등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잘못 등록된 초음파 센서를 찾아내는 것도 어렵지만 재 등록을 위해서는 레이스웨이에 부착된 초음파 센서를 분해하여 재 등록한 후 레이스 웨이에 재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 비행거리를 이용하여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비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식별하여야 하는 특성상 주차면에 대한 위치에 제약이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는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주차면에 수직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는 주차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예: 주차면과 초음파 센서가 이루는 각도가 15도 내외)를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 센서는 주차면에 대한 위치의 제약이 있으므로 조명 기구를 지지하는 몰드 바에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초음파 센서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레이스웨이가 주차장 천장에 시공되어 초음파 센서의 설치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차면을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하는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TOF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구역 제어기, 상기 구역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주차면의 상기 주차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의 빈 자리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차 시스템 서버,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빈 자리 정보를 전달받는 전광판 제어부, 상기 주차장 입구 및 상기 주차장의 각 층에 설치되고 상기 전광판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빈자리 정보를 표시하는 주차 종합 안내부,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주차장의 빈자리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주차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지오펜싱(geo fencing)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지오펜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펜싱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로그를 전송받고,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된 상기 주차장 내에 진입함을 감지하면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활성화시키고,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주차장의 빈 자리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지도 UI(user interface)를 활성화하고, 상기 구역 제어기는, 상기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빈 자리에 사용자 차량이 주차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빈자리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근거리 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구역 제어기에서 발송된 상기 제1 근거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역 제어기와 다른 구역 제어기에서 발송된 제2 근거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상기 제1 근거리 신호의 제1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과 상기 제2 근거리 신호의 제2 RSSI 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RSSI 값과 상기 제2 RSSI 값 중 높은 값을 가지는 근거리 신호 값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는,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차량의 위치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주차면마다TOF(Time of Flight camera) 카메라와 같은 광학식 센서를 설치하여 주차면의 주차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광학식 센서는 초음파 센서와 비교하여 주차면에 대한 설치 위치에 제약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광학식 센서를 지지하는 별도의 레이스 웨이가 필요하지 않아 광학식 센서의 설치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외에 광학신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이용한 주차 유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주차면의 주차 상태를 감지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에 배치된 가시 광선 센서를 이용하여 주차면의 공차 높이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에 탑승한 인원이 하차할 때, 사용자의 차량 도어가 옆 차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이용한 주차 유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이용하여 주차면(P)의 주차 상태를 감지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차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 주차 시스템 서버(100), 전광판 제어부(400), 제1 주차 종합 안내부(401), 제2 주차 종합 안내부(402),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 및/또는 구역 제어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과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시스템 서버(100)와 구역 제어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시스템 서버(100)와 전광판 제어부(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와 구역 제어기(300), 주차 시스템 서버(100)와 전광판 제어부(400), 전광판 제어부(400)와 제1 주차 종합 안내부(401) 및/또는 제2 주차 종합 안내부(402)의 연결이 유선인 경우 TCP/IP 통 신이나 유선 인터넷, 전화선, 전력선 및/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이 통신 가능한 휴대통신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는 주차면(P)(주차 공간)의 개수에 대응하여 주차면(P)마다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술할 도 3을 참조하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는 적어도 일부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TOF (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OF 카메라(211, 212)는 발광된 적외선이 주차면(P) 내에 포함되도록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는 TOF 카메라(211, 212)를 통해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OF 카메라(211, 212)는 배경 내(예: 주차면(P)) 피사체(예: 차량)의 3차원 영상 정보를 얻는 기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OF 카메라(211, 212)는 거리 정보를 담은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TOF 카메라(211, 212)에 일체화되어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조사부(미도시)와 피사체에 반사되어 돌아온 적외선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OF 카메라(211, 212)는 적외선을 피사체에 비춰 반사되어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TOF 카메라(211, 212)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TOF 카메라(211, 212)는 구 좌표계의 원점에서 펄스 변조된 적외선(IR)을 피사체에 발사할 수 있다. 수평과 상하로 스캐닝 하면서 구 표면(sphere surface)의 각 기 다른 불연속 점의 분포(point-wise)에서 일어나는 역방향 산란(back scattering)으로 반사되어 원점으로 되돌아온다. 이때 걸리는 시간이 티오에프(TOF: Time Of Flight)이고 속도는 0.3 m/ns일 수 있다. TOF 카메라(211, 212)는 이러한 적외선 펄스를 전자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화소(pixels) 수에 따라 적외선 검출소자(IR detector) 수가 달라지는 격자 형태 배열(grid array)의 전자 눈(electronic eyes)을 사용한 3차원 영상 기기이다. 즉, 본 발명의 TOF 카메라(211, 212)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포인트 클아우드(Point Cloud)로 이루어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원리를 통해 본 개시의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에 포함된 TOF 카메라는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등은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ED 표시등은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통해 주차면(P)에 주차 상태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LED 표시등은 주차면(P)에 주차가 가능한 경우 녹색을 발광하고, 주차면(P)에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 적색을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는 주차장의 설정 구역마다 구비된 구역 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역 제어기(300)는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 LED 표시등을 제어하고, 주차 관리 시스템(10)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통해 감지된 주차면(P)의 주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시스템(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에서는 종합적으로 모든 주차면(P)의 주차 현황 정보를 인지하여 해당 구역의 주차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해당 구역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다. 구역 제어기(300)는 이러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LED표시등의 점등(예를 들어, 만차이면 적색, 공차이면 녹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구역 제어기(300)는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통해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비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역 제어기(300)는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통해 감지된 주차면(P)에 차량 주차 정보를 주차 시스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구역 제어기(300)를 통해 카운팅된 구역별 주차 가능한 주차면(P)의 수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각 구역에 설치된 구역 제어기(300)로부터 전송된 모든 주차면(P)의 주차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각 주차면(P)마다 부여된 고유한 ID와 해당 주차면(P)의 주차 가능 여부(예: 주차 가능 또는 주차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구역 제어기(300)를 통해 카운팅된 구역별 주차 가능한 주차면(P)의 개수를 전광판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광판 제어부(400)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제1 주차 종합 안내부(401)와 각 층의 구역별 천장에 설치된 제2 주차 종합 안내부(402)에 각 층별 주차 가능한 주차면(P)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에 대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는 제1 TOF 카메라(211), 제2 TOF 카메라(212), 가시 광선 센서(213), 가시 광선 조작 버튼(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TOF 카메라(211), 제2 TOF 카메라(212) 및 가시 광선 센서(213)는 하나의 모듈(module)로 구성되어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 광선 센서(213)는 제1 TOF 카메라(211)와 제2 TOF 카메라(212)를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210-1)에 배치되어 TOF 카메라(211, 212)와 함께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하우징(210-1)은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하우징(210-1)은 구동 모터(미도시)를 통해 하우징(210)과 연결되어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시 광선 센서(213)는 가시 광선의 발광 방향이 제1 TOF 카메라(211) 및 제2 TOF 카메라(212)의 촬영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 하우징(210-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시 광선 센서(213)는 가시 광선 조작 버튼(214)을 한번 누르면 주차면(P)을 향하여 가시 광선을 발광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가시 광선의 발광이 종료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가시 광선 센서(213)는 주차면(P)의 공차 높이(H1)를 측정할 수 있다. 구역 제어기(300)는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을 때, TOF 카메라(211, 212)에서 차량을 향하여 발광된 적외선의 거리에 기초하여 측정된 수직 높이가 공차 높이(H1)보다 줄어든 것을 감지하여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10)의 동작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10)의 시계열적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지오펜싱(Geo-Fencing) 서버는 사용자 단말(20)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20)이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된 주차장 내에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오펜싱 서버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위치 로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지오펜싱은 특정 구역(예: 주차장)에 대한 사용자 출입 현황을 알려줄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일 수 있다. 지오펜싱은 위치 추적 기술 중 하나인 GPS를 이용할 수 있다. 지오펜싱 서버는 GPS를 통해 특정 장소를 기준으로 가상의 지오펜싱을 지정해 놓고, 사용자가 지오펜싱 구역에 진입하거나 벗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오펜싱 서버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위치 로그를 전송받고,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된 상기 주차장 내에 진입함을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된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P1). 일 실시예에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주차 시스템 서버(10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주차면(P)의 빈자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주차 시스템 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주차장의 빈 자리 대한 정보가 표시된 주차장의 각 층별 지도 UI(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된 주차장에 사용자 단말(20)이 진입 시, 해당 주차장의 주차 시스템 서버(100)에 빈 자리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된 빈 자리에 대한 정보를 각 층별 지도 UI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빈자리가 표시된 각 층별 지도 UI는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차량의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표기된 빈 자리에 주차를 할 경우, 구역 제어기(300)는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통해 빈 자리에 사용자 차량(30)이 주차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역 제어기(300)는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을 때, TOF 카메라(211, 212)에서 차량을 향하여 발광된 적외선의 거리에 기초하여 측정된 수직 높이가 가시 광선 센서(213)를 통해 측정된 공차 높이(H1)보다 줄어든 것을 감지하여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역 제어기(300)는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통해 상기 빈 자리에 사용자 차량(30)이 주차된 것을 감지하여 빈자리의 주변에 위치한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근거리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P2). 일 실시예에서, 제1 근거리 신호는 비콘(beacon)을 활용한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제1 근거리 신호를 수신하여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P3).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예: 걸음)이 감지된 경우에 구역 제어기(300)에서 발송된 상기 제1 근거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된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특정 주차면(P)에 주차를 한 이후, 비슷한 장소에 다른 사용자가 다른 주차면(P)에 주차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역 제어기(300)와 다른 구역 제어기(300)에서 각각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에는 사용자가 주차한 주차면(P)을 촬영하는 광학식 카메라 센서와 연결된 구역 제어기(300)에서 발송된 제1 근거리 신호와 다른 구역 제어기(300)에서 발송된 제2 근거리 신호가 모두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근거리 신호는 비콘을 활용한 BLE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제1 근거리 신호의 제1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과 상기 제2 근거리 신호의 제2 RSSI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RSSI 값과 상기 제2 RSSI 값 중 높은 값을 가지는 근거리 신호 값에 포함된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저장(P4)하고 주차 시스템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P5).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된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의 차량의 위치로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에 배치된 가시 광선 센서(213)를 이용하여 주차면(P)의 공차 높이(H1)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시 광선 센서(213)는 주차면(P)의 공차 높이(H1)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하우징(210-1)은 가시 광선 센서(213)에서 발광된 가시 광선의 끝점이 주차면(P)의 중심을 향하도록 하우징(210)에 대해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역 제어기(300)는, 주차면(P)에 대한 가시 광선의 발광 각도가 A인 것을 확인하고, 주차면(P)의 중심을 향하여 발광된 가시 광선의 끝점(E)과 가시 광선 센서(213) 사이의 제1 거리에 sin(A)를 곱한 값을 공차 높이(H1)로 저장할 수 있다. 구역 제어기(300)는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을 때, TOF 카메라(211, 212)에서 차량을 향하여 발광된 적외선의 거리에 기초하여 측정된 수직 높이가 공차 높이(H1)보다 줄어든 것을 감지하여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TOF 카메라(211)에서 발광되어 주차면(P)에 위치하는 적외선의 끝점과 제1 TOF 카메라(211) 사이의 제2 거리에 sin(A)를 곱한 값이 공차 높이(H1)보다 감소함에 기초하여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2 TOF 카메라(212)에서 발광되어 주차면(P)에 위치하는 적외선의 끝점과 제2 TOF 카메라(212) 사이의 제3 거리에 sin(A)를 곱한 값이 공차 높이(H1)보다 감소함에 기초하여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역 제어기(300)는 제1 TOF 카메라(211)에서 발광되어 주차면(P)에 위치하는 적외선의 끝점과 제1 TOF 카메라(211) 사이의 제2 거리 및 제2 TOF 카메라(212)에서 발광되어 주차면(P)에 위치하는 적외선의 끝점과 제2 TOF 카메라(212) 사이의 제3 거리 중 어느 하나가 주차면(P)의 중심을 향하여 발광된 가시 광선의 끝점(E)과 가시 광선 센서(213) 사이의 제1 거리보다 감소한 것을 확인하여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 제어기(300)는 제1 TOF 카메라(211)와 제2 TOF 카메라(212)에 오염 물질이 묻은 것을 확인하여 주차 시스템 서버(100)에 오염 제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역 제어기(300)는, 제1 TOF 카메라(211)에서 발광되어 피사체(예: 차량)에 위치하는 제1 적외선의 끝점과 상기 제1 TOF 카메라(211) 사이의 제1 거리 값을 확인하고, 제2 TOF 카메라(212)에서 발광되어 상기 피사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적외선의 끝점과 상기 제2 TOF 카메라(212) 사이의 제2 거리 값을 확인할 수 있다. 구역 제어기(300)는 상기 제1 거리 값과 상기 제2 거리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에 대해 일정 오차율을 가지는 값을 오측정 값으로 저장하고 해당 오측정 값이 측정된 TOF 카메라(211, 212)를 오염 물질이 묻은 카메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역 제어기(300)는 상기 제1 거리 값과 상기 제2 거리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에 대해 0.1 내지 0.5 값으로 측정된 값을 오측정 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역 제어기(300)는 제1 거리 값이 제2 거리 값의 0.1 내지 0.5에 해당하는 값으로 측정된 경우, 제1 TOF 카메라(211)를 오염 물질이 묻은 카메라로 정의할 수 있다. 또는 구역 제어기(300)는 제2 거리 값이 제1 거리 값의 0.1 내지 0.5에 해당하는 값으로 측정된 경우, 제2 TOF 카메라(212)를 오염 물질이 묻은 카메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구역 제어기(300)는 제1 TOF 카메라(211)와 제2 TOF 카메라(212) 중 오측정 값이 인식된 카메라에 대한 오염 제거 요청 메시지를 주차 시스템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에 탑승한 인원이 하차할 때, 사용자의 차량 도어가 옆 차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 제어기(300)는, TOF 카메라(211, 212)를 통해 주차면(P)에 주차된 사용자 차량(30)의 운전자 좌석 방향에 위치한 차량의 제1 도어(31)와 사용자 차량(30)의 운전자 좌석 방향에 위치한 제1 주차면(P1)에 주차된 차량(C1) 사이의 제1 폭(L1)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OF 카메라(211, 212)는 적외선 조사부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각각 제1 도어(31)와 제1 주차면(P1)에 주차된 차량(C1)에 각각 반사되어 돌아온 시간을 측정하여 각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각 피사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삼각 측량법을 통해 제1 폭(L1)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TOF 카메라(211, 212)는 주차면(P)에 주차된 사용자 차량(30)의 보조석 방향에 위치한 차량의 제2 도어(32)와 상기 차량의 보조석 좌석 방향에 위치한 제2 주차면(P2)에 주차된 차량(C2) 사이의 제2 폭(L2)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OF 카메라(211, 212)는 적외선 조사부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제2 도어(32)와 제2 주차면(P2)에 주차된 차량(C2)에 각각 반사되어 돌아온 시간을 측정하여 각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각 피사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삼각 측량법을 통해 제2 폭(L2)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역 제어기(300)는 TOF 카메라(211, 212)에서 발광된 적외선을 통해 사용자 차량(30)의 보조석에 탑승자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구역 제어기(300)는 TOF 카메라(211, 212)를 통해 사용자 차량(30)의 보조석에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제1 폭(L1)이 1 cm 내지 20 cm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주차 위치 정정을 요구하는 정보를 담은 제3 근거리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구역 제어기(300)는 TOF 카메라(211, 212)를 통해 사용자 차량(30)의 보조석에 탑승자가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폭(L1)과 상기 제2 폭(L2) 중 적어도 하나가 1 cm 내지 20 cm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에 주차 위치 정정을 요구하는 정보를 담은 제4 근거리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근거리 신호와 제4 근거리 신호는 구역 제어기(300)에서 발생된 BLE 신호일 수 있다.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에 제3 근거리 신호 및/또는 제4 근거리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주차 위치 정정을 요구하는 정보를 담은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TOF 카메라(211, 212)를 통해 감지되는 주차면(P)에 주차된 차량의 높이가 공차 높이(H1)의 10% 초과 내지 30%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소형 차량으로, 상기 공차 높이(H1)의 30% 초과 내지 50%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중형 차량으로, 상기 공차 높이(H1)의 50%초과 내지 70%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대형 차량으로 분류하여 상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주차장의 빈 자리가 대형 차량과 대형 차량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빈자리에는 소형 차량만 추차 가능한 것으로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주차장의 빈자리가 중형 차량과 중형 차량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빈자리에는 소형 차량과 중형 차량만 주차 가능한 것으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주차장의 빈자리가 소형 차량과 소형 차량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빈자리에는 소형 차량, 중형 차량 및 대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것으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주차장의 빈자리가 대형 차량과 중형 차량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빈자리에는 소형 차량만 주차 가능한 것으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주차장의 빈자리가 대형 차량과 소형 차량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빈자리에는 소형 차량 및 중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것으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주차장의 빈자리가 중형 차량과 소형 차량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빈자리에는 소형 차량 및 중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것으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주차 시스템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 저장된 빈자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층별 지도 UI에 소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빈자리는 제1 색으로 표시하고, 중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빈자리는 제2 색으로 표시하고, 대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빈자리는 제3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소형 차량, 중형 차량 및 대형 차량 중 적어도 2 종 이상의 차량이 주차 가능한 빈자리는 상기 제1 색,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3 색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색을 상기 층별 지도 UI의 상기 빈자리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자리에 소형 차량과 중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경우, 빈자리 화면을 2개로 분할하여 제1 색과 제2 색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TOF 카메라(211)는 빈 자리에 주차된 사용자의 차량 번호판을 향해 제1 TOF 카메라(211)의 제1 적외선을 발광하고, 차량 번호판에 대한 제1 적외선의 포인트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TOF 카메라(212)는 빈 자리에 주차된 사용자의 차량 번호판을 향해 제2 TOF 카메라(212)의 제2 적외선을 발광하고, 차량 번호판에 대한 제2 적외선의 포인트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 서버(100)는, TOF 카메라(211, 212)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기 고객의 차량 번호인지 확인하고, 차량 번호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차량 번호로 확인됨에 기초하여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된 시점부터 분 당(per minute) 주차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요금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차량(30)은, 사용자 단말(20)과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 사용자의 차량에 설치된 GPS를 통해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된 주차장 내에 차량의 진입이 감지됨에 기초하여 차량에 설치된 모니터에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모니터와 사용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에 차량의 자율 주행 여부를 활성화에 대한 승낙을 묻는 메시지 팝업이 활성화될 수 있다.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자율 주행 활성화에 대한 승낙에 기초하여, 주차 시스템 서버(100)로부터 주차장의 출입구로부터 가까운 층에서 주차장에 위치한 엘리베이터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빈 자리에 대한 정보를 주차 시스템 서보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 차량(30)은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수신된 빈 자리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으로 빈 자리로 이동하여 자율 주행으로 빈 자리에 주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주차 관리 시스템
20: 사용자 단말
30: 사용자 차량
100: 주차 시스템 서버
200: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
210: 하우징
211: 제1 TOF 카메라
212: 제2 TOF 카메라
213: 가시 광선 센서
214: 가시 광선 조작 버튼
300: 구역 제어기
400: 전광판 제어부
401: 제1 주차 종합 안내부
402: 제2 주차 종합 안내부
E: 가시광선 끝점
P: 주차면

Claims (3)

  1.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차면을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하는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
    상기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TOF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구역 제어기;
    상기 구역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주차면의 상기 주차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의 빈 자리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차 시스템 서버;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빈 자리 정보를 전달받는 전광판 제어부;
    상기 주차장 입구 및 상기 주차장의 각 층에 설치되고 상기 전광판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빈자리 정보를 표시하는 주차 종합 안내부;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주차장의 빈자리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주차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지오펜싱(geo fencing)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지오펜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펜싱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로그를 전송받고,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된 상기 주차장 내에 진입함을 감지하면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활성화시키고,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주차장의 빈 자리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기 주차장의 각 층별 지도 UI(user interface)를 활성화하고,
    상기 구역 제어기는,
    상기 광학식 주차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빈 자리에 사용자 차량이 주차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빈자리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근거리 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구역 제어기에서 발송된 상기 제1 근거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역 제어기와 다른 구역 제어기에서 발송된 제2 근거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상기 제1 근거리 신호의 제1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과 상기 제2 근거리 신호의 제2 RSSI 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RSSI 값과 상기 제2 RSSI 값 중 높은 값을 가지는 근거리 신호 값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는,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된 상기 주차장의 기둥에 적힌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차량의 위치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OF 카메라가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TOF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여 가시 광선을 발광하는 가시 광선 센서;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상기 가시 광선 센서에서 발광된 가시 광선의 끝점이 상기 주차면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 자동으로 회전하고,
    상기 구역 제어기는,
    상기 주차면에 대한 상기 가시 광선의 발광 각도가 A인 것을 확인하고,
    상기 주차면의 중심을 향하여 발광된 가시 광선의 끝점과 상기 가시 광선 센서 사이의 제1 거리에 sin(A)를 곱한 값을 공차 높이로 저장하고,
    상기 TOF 카메라에서 발광되어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는 적외선의 끝점과 상기 TOF 카메라 사이의 제2 거리에 sin(A)를 곱한 값이 상기 공차 높이보다 감소함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된 것을 감지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OF 카메라는,
    제1 적외선을 발광하는 제1 TOF 카메라와 제2 적외선을 발광하는 제2 TOF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 제어기는,
    상기 제1 TOF 카메라에서 발광되어 피사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적외선의 끝점과 상기 제1 TOF 카메라 사이의 제1 거리 값을 확인하고,
    상기 제2 TOF 카메라에서 발광되어 상기 피사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적외선의 끝점과 상기 제2 TOF 카메라 사이의 제2 거리 값을 확인하고,
    상기 제1 거리 값과 상기 제2 거리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에 대해 0.1 내지 0.5 값으로 측정된 값을 오측정 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1 TOF 카메라와 상기 제2 TOF 카메라 중 상기 오측정 값이 인식된 카메라에 대한 오염 제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주차 시스템 서버에 전송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0230101609A 2023-08-03 2023-08-03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KR102595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609A KR102595887B1 (ko) 2023-08-03 2023-08-03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609A KR102595887B1 (ko) 2023-08-03 2023-08-03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887B1 true KR102595887B1 (ko) 2023-10-30

Family

ID=8855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609A KR102595887B1 (ko) 2023-08-03 2023-08-03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88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08B1 (ko) * 2010-10-06 2012-01-05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주차 안내 방법
KR20150059485A (ko) 2013-11-22 2015-06-01 김진길 유기 안료를 이용한 액상 화장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27840A (ko) 2014-09-02 2016-03-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창고 적치 물품의 재배치 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41577A (ko) * 2014-10-08 2016-04-18 주식회사 케이티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KR20170132285A (ko) 2015-04-08 2017-12-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시스템 운용 방법 및 지능형 단말
KR102100713B1 (ko) * 2018-07-17 2020-04-14 (주)다온텍 초음파 센서와 rfid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20200073084A (ko) * 2018-12-13 2020-06-23 현지웅 최적의 주차공간을 표시하는 주차장 시스템
KR102441974B1 (ko) * 2022-02-14 2022-09-0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Tof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08B1 (ko) * 2010-10-06 2012-01-05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주차 안내 방법
KR20150059485A (ko) 2013-11-22 2015-06-01 김진길 유기 안료를 이용한 액상 화장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27840A (ko) 2014-09-02 2016-03-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창고 적치 물품의 재배치 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41577A (ko) * 2014-10-08 2016-04-18 주식회사 케이티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KR20170132285A (ko) 2015-04-08 2017-12-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시스템 운용 방법 및 지능형 단말
KR102100713B1 (ko) * 2018-07-17 2020-04-14 (주)다온텍 초음파 센서와 rfid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20200073084A (ko) * 2018-12-13 2020-06-23 현지웅 최적의 주차공간을 표시하는 주차장 시스템
KR102441974B1 (ko) * 2022-02-14 2022-09-0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Tof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33102A1 (en) Drone management system and drone management method
US10533857B2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08383B1 (ko) 실시간 이동경로 및 점유상태를 제공하는 스마트 주차공간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576852B (zh) 自动泊车方法、装置以及车辆
US11195353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autonomous-vehicle status
CN111606157A (zh) 一种电梯控制方法、系统、运送机器人以及电梯控制器
CA3017153A1 (en) Unmanned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to interact with specifically intended objects
CN110549352B (zh) 一种机器人、行李搬运方法及智能集成模块
CN110293965B (zh) 泊车方法和控制装置、车载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00327811A1 (en) Devices for autonomous vehicle user positioning and support
WO2021109307A1 (zh) 用于管理车辆泊车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JP2015131713A (ja) 管理システム、飛行制御方法、飛行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210018455A (ko) 무인 반송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기억 매체
CN110543178A (zh) 一种机器人回充方法及其系统、机器人及充电站
CN109859260A (zh) 确定车位位置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142216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231640B1 (ko) 스마트 건물 시공 현장 및 건물 관제 시스템
WO2020085142A1 (ja) 計測装置及び計測システム
KR101521444B1 (ko) 주차 복귀경로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주차장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KR102595887B1 (ko)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KR20160089580A (ko) 무인지상차량을 이용한 주차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335199B2 (en) Parking control system, parking control method, and mobile robot device
KR102442267B1 (ko) 태그기반 경로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210402102U (zh) 一种机器人回充系统
CN113762250A (zh) 一种寻车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