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577A -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577A
KR20160041577A KR1020140135798A KR20140135798A KR20160041577A KR 20160041577 A KR20160041577 A KR 20160041577A KR 1020140135798 A KR1020140135798 A KR 1020140135798A KR 20140135798 A KR20140135798 A KR 20140135798A KR 20160041577 A KR20160041577 A KR 2016004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area
location log
center
geofe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206B1 (ko
Inventor
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3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2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Geo-Fencing)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cell)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본 발명은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오펜싱(Geo-fencing)은 지오그래픽(Geographic)과 펜싱(Fencing)의 합성어로 지리적으로 울타리를 설정하여 이 울타리 안에 사용자가 드나드는 것을 감지하는 기술을 말한다. 지오펜싱 기술을 활용하면 설정된 지오펜싱 구역 내 사용자의 출입현황을 체크한다든지 구역 내에 있는 사용자에게 문자 알림 또는 특정 정보를 보내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오펜싱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들은 지오펜싱 구역을 효율적이고 스마트하게 설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5-0089349호는 영역 분할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시간에 따라 경보 존 내에서의 소정 거리에 따른 가입자 이동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존 정보를 기초로 경보 지역에 해당하는 경보 존을 설정하고, 현재 존과 경보 존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 차에 따른 시간 단위로 위치추적 대상 단말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수행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화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이용하여 단위 영역 중 중심셀과 이웃셀을 지정함으로써 지오펜싱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Geo-Fencing)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cell)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온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지오펜싱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지오펜싱 서버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화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체 영역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기초로 중심셀과 이웃셀으 지정함으로써 지오펜싱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서버에 의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영역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로그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 간의 간격이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닛(unit)'이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및 지오펜싱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및 지오펜싱 서버(200)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지오펜싱 서버(200)로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100)의 일 예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지오펜싱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로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의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서버로서, 지오펜싱 서버(200)의 동작은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서버에 의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서버(200)에 의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서버(200)에 의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한다. 단계 S200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영역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오펜싱 서버(200)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 때 단위 영역의 모양을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상호배제 및 전체포괄)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단위 영역에서 제외되는 부분 없이 전체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위 영역의 모양은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모양일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단계 S22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위치로그를 수집한다. 단계 S22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로그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오펜싱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전체 영역에서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는 수집 주기를 5분으로 하여 위치 로그를 수집한 결과를 보여준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단계 S24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수집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중심셀을 지정한다. 단계 S24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오펜싱 서버(200)는 분할된 각각의 단위 영역에 셀 ID (C_1, C_2, C_3 등)를 부여하고, 수집된 위치 로그와, 각 위치 로그가 속하는 단위 영역의 셀 ID를 연계시킨다. 그 다음, 셀 ID 별로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빈도수를 기초로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도 6은, 분할된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들을 중심셀로 지정한 것을 나타낸다.
지오펜싱 서버(200)는 중심셀 지정 시, 수집된 위치 로그 중 기 지정된 수집 기간 내에 수집된 위치 로그를 이용하여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집 기간이 1일로 지정된 경우, 1일 동안 수집된 위치 로그를 이용하고, 수집 기간이 1주일로 지정된 경우, 1주일 동안 수집된 위치 로그를 이용하여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지오펜싱 서버(200)는 지정된 수집 기간에 따라, 중심셀을 지정하는 지정 조건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집 기간이 1일인 경우,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활패턴이 1일 단위임을 감안하면 1일치 위치 로그로는 매일 반복되는 패턴을 확인하기는 어려우므로, 심야 시간대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단위 영역을 주거지로 추정하여 중심셀로 지정하거나,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단위 영역들을 중심셀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수집 기간이 n일 (n은 2 이상)인 경우에는 반복되는 패턴을 추정할 수 있으므로, 단위 영역에 머무르는 빈도수가 일정 횟수 이상, 예컨대 n번 이상인 경우, 평균적으로 매일 해당 단위 영역에 1회 이상 머물렀다는 의미이므로 패턴으로 간주하여 해당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단계 S26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한다. 단계 S26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오펜싱 서버(200)는 단계 S240에서 지정된 중심셀에 이웃하는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중심셀에 직접적으로 이웃하는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정 거리로 이웃하는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단계 S28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한다. 단계 S280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오펜싱 서버(200)는 단계 S240에서 지정된 중심셀과 단계 S260에서 지정된 주변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 간의 간격이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 시, 두 중심셀 간의 거리가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지오펜싱 영역을 적절하게 연결시켜주는 방법이 문제된다.
지오펜싱 영역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는 두 중심셀 사이에 위치하는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고, 새로운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이웃셀로 지정하고, 새롭게 지정된 중심셀과 이웃셀을 추가하여 지오펜싱 영역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두 중심셀 사이에서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 시,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중심셀의 간격이 상당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상술한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지오펜싱 영역을 연결하면 실제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와의 오차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두 중심셀의 간격이 상당거리 이상으로 먼 경우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추정하고, 추정된 이동 수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단위 영역의 반경에 기초하여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4 Km/h 이하인 경우에는 도보, 4 Km/h ~ 15 Km/h인 경우에는 자전거, 15 Km/h 이상인 경우 차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동 수단이 추정되면, 예컨대, 도보인 경우는 인도를 따라서 이동하고, 자전거의 경우 자전거 도로를 따라서 이동하고, 차량의 경우 차도를 따라서 이동하므로, 추정된 이동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추정되면, 단위 영역의 반경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 상에 새로운 위치 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위치 로그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으로 나눈 지점들에 생성할 수 있다. 으로 나누는 이유는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 간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두 중심셀이, 중심셀에 직접 이웃하는 이웃셀에 의해 하나의 지오펜싱 영역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중심셀의 중심간의 간격이 이내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으로 나눈 지점에 새로운 위치 로그를 지정하고, 새로운 위치 로그를 기초로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면, 새로운 중심셀들은 이웃셀들에 의하여 하나의 지오펜싱 영역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00 내지 S28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메모리(1100) 및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11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120)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다각형 또는 MECE 모양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메모리(1100)에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여,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120)은 두 중심셀 간의 거리가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두 중심셀 사이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고, 새로운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이웃셀로 지정하여, 새로운 중심셀 및 새로운 이웃셀로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역을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지오펜싱 서버

Claims (20)

  1.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Geo-Fencing)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cell)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영역의 모양을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상호배제 및 전체포괄)하도록 설정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영역은 다각형 모양인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단위 영역에 셀 ID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 로그를 상기 셀 ID와 연계시키는 단계;
    상기 셀 ID 별 상기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빈도수를 기초로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로그 중 기 지정된 수집 기간 내에 수집된 위치 로그를 사용하여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조건은 상기 지정된 수집 기간에 따라 변경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두 중심셀 간의 거리가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두 중심셀 사이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이웃셀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셀, 상기 이웃셀, 상기 새로운 중심셀, 상기 새로운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 정보 및 상기 추정된 이동 수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위 영역의 반경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새로운 위치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로그 및 상기 새로운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위치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경로를 길이로 나누어 생성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11.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영역의 모양을 MECE하도록 설정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각각의 단위 영역에 셀 ID를 부여하고,
    상기 수집된 위치 로그를 상기 셀 ID와 연계시키고,
    상기 셀 ID 별 상기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상기 빈도수를 기초로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로그 중 기 지정된 수집 기간 내에 수집된 위치 로그를 사용하여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조건은 상기 지정된 수집 기간에 따라 변경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두 중심셀 간의 거리가 멀어 상기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두 중심셀 사이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새로운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 상기 이웃셀, 상기 새로운 중심셀, 상기 새로운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추정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정보 및 상기 추정된 이동 수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단위 영역의 반경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새로운 위치 로그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로그 및 상기 새로운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위치 로그는 상기 이동 경로를 길이로 나누어 생성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20.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온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지오펜싱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지오펜싱 서버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KR1020140135798A 2014-10-08 2014-10-08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KR102199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98A KR102199206B1 (ko) 2014-10-08 2014-10-08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98A KR102199206B1 (ko) 2014-10-08 2014-10-08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77A true KR20160041577A (ko) 2016-04-18
KR102199206B1 KR102199206B1 (ko) 2021-01-06

Family

ID=5591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98A KR102199206B1 (ko) 2014-10-08 2014-10-08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58B1 (ko) * 2016-04-27 2018-07-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Gps를 이용한 위치 감시 장치
KR20200006239A (ko) * 2018-07-10 2020-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위치 기반 IoT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95887B1 (ko) * 2023-08-03 2023-10-30 주식회사 티미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10B1 (ko) * 2008-12-15 2013-05-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위치 로깅, 그리고 위치 및 시간 기반 필터링
KR20140021027A (ko) * 2011-06-03 2014-02-19 애플 인크. 지오펜스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
KR20140112545A (ko) * 2012-01-13 2014-09-23 애플 인크.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찾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10B1 (ko) * 2008-12-15 2013-05-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위치 로깅, 그리고 위치 및 시간 기반 필터링
KR20140021027A (ko) * 2011-06-03 2014-02-19 애플 인크. 지오펜스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
KR20140112545A (ko) * 2012-01-13 2014-09-23 애플 인크.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찾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58B1 (ko) * 2016-04-27 2018-07-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Gps를 이용한 위치 감시 장치
KR20200006239A (ko) * 2018-07-10 2020-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위치 기반 IoT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95887B1 (ko) * 2023-08-03 2023-10-30 주식회사 티미 광학식 센서를 기반으로 한 주차 유도 방법, 장치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206B1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58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services related to geographic location
ES2671061T3 (es) Procedimiento, estación central, sistema y medio legible por ordenador de ubicación de puntos de datos
US8031595B2 (en) Future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social networks
US97063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ignificant locations through data obtainable from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2850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al-time counting of a number of participants at a public happening
EP2822336B1 (en) Paging area control device, paging area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bile station
US103755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al-time counting of a number of persons in a crowd by means of aggregated data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80077098A (ko) 이동 가입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위치 결정 및 추적
CN102982596A (zh) 人流量的统计方法及装置
US102780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computing of origin-destination matrices relating to attendees at a public happening through analysis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ata
EP32785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 posteriori a number of persons in one or more crowds by means of aggregated data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5657652A (zh) 提供流式地理定位信息
KR20160041577A (ko)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US99552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posteriori computation of origin-destination matrices relating to gathering of people through analysis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ata
US9794750B1 (en) Venue-specific wireless access point location information creation and distribution
US9709660B1 (en) Crowdsourced user density applications
JP6223302B2 (ja) 携帯端末を所持したユーザの滞在判定が可能な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448944B1 (ko)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라우팅 장치
US20160029338A1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network usage when locating a user device
KR101138606B1 (ko) 과금 데이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데이터 제공 서버
Biswash et al. Modelling and cost analysis of location management scheme for PCS networks
US10945126B2 (en) Identifying mobile aliases
KR20160045390A (ko) 도로 속도 예측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670470B1 (ko) 이동기기, 이동기기의 이벤트 실행방법, 외부 컴퓨팅 장치의 제어방법
BR112017020838B1 (pt) Método para estimar um número de pessoas reunidas em uma área de interesse, e, sistema acoplado com uma rede de telecomunicação sem fio para estimar um número de pessoas reunidas em uma área de interes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