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774B1 -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774B1
KR102595774B1 KR1020210146491A KR20210146491A KR102595774B1 KR 102595774 B1 KR102595774 B1 KR 102595774B1 KR 1020210146491 A KR1020210146491 A KR 1020210146491A KR 20210146491 A KR20210146491 A KR 20210146491A KR 102595774 B1 KR102595774 B1 KR 10259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aesa
aesa radar
radar
test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1840A (ko
Inventor
정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윈에어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윈에어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윈에어로테크
Priority to KR102021014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7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54Simulation of rada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metr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모델 생성장치가 생성한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을 통해 AESA 레이더의 운용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ducating AESA radar operation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모델 생성장치가 생성한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을 통해 AESA 레이더의 운용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AESA 레이더의 운용을 시험하기 위해서, 개발된 아날로그 시험장비와 관련 기술도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아날로그 시험장비의 각 스위치 및 지시계를 수동 조작하여 운용시험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이럴 경우,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한 열적 데미지에 의한 AESA 레이더의 손상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418482, 등록일자 2014년 07월 04일, '항전계통요목 훈련장비 및 그 제어방법' 공개특허 10-2020-0083004, 공개일자 2020년 07월 08일,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관실 교육 훈련 시스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D모델 생성장치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을 통해 AESA 레이더의 운용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생성하는 3D모델 생성장치(100);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200); 및 상기 입력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켜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운용을 학습시키는 VR학습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는, 레이더장치(410) 및 테스트셋장치(420)을 포함하되, 상기 레이더장치(410)는, 안테나 장치(411), 전원공급장치(412) 및 송수신처리장치(4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VR학습장치(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을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 상기 입력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320); 및 상기 제어부(310)가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키면,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의 각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열적데이터 수집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열적데이터 수집부(330)가 수집한 각 장치의 열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적분포가 81 내지 125도 일 경우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의 손상위험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적데이터는, 방사패턴 및 배열 소자의 열적 특성에 따른 안테나 장치(410)의 열적 데이터, 송/수신 전력의 차이에 따른 전원공급장치(420) 및 송수신처리장치(430)의 열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시스템을 통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방법에 있어서, 3D모델 생성장치(100)가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생성하는 A단계; 입력장치(200)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B 단계; 및 VR학습장치(300)가 상기 입력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켜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운용을 학습시키는 C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는, 레이더장치(410) 및 테스트셋장치(420)을 포함하되, 상기 레이더장치(410)는, 안테나 장치(411), 전원공급장치(412) 및 송수신처리장치(4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는, 제어부(320)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열적데이터 수집부(330)가 상기 제어부(320)가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키면, 상기 AESA 레이더의 3D모델의 각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가 사용자에게 상기 제어부(320)가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열적데이터 수집부(330)가 수집한 각 장치의 열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적분포가 81 내지 125도 일 경우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의 손상위험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적데이터는, 방사패턴 및 배열 소자의 열적 특성에 따른 안테나 장치(410)의 열적 데이터, 송/수신 전력의 차이에 따른 전원공급장치(420) 및 송수신처리장치(430)의 열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은 3D모델 생성장치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운용학습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AESA 레이더 운용 시 AESA 레이더의 열적 데미지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R학습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용교육 시스템을 통한 운용교육 방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R학습장치의 3D모델 구동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ESA 시험용 더미의 실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더장치의 실시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R학습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은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생성하는 3D모델 생성장치(100)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200) 및 상기 입력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켜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운용을 학습시키는 VR학습장치(3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 상기 입력장치(200) 및 상기 VR학습장치(300)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R학습장치(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와 상기 입력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320) 및 상기 제어부(310)가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키면,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의 각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열적데이터 수집부(330)를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는 홀로렌즈(Hololens),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HUD(Head Up Displa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교육 시스템을 통한 AESA 레이더의 운용교육 방법에 대해서 도 3 내지 6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용교육 시스템을 통한 운용교육 방법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용교육 시스템을 통한 AESA 레이더의 운용교육 방법은 3D모델 생성장치(100)가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100)와 입력장치(200)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00) 및 VR학습장치(300)가 상기 입력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켜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운용을 학습시키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는 도 5와 같이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비와 같이,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는 레이더 장치(410) 및 테스스텟장치(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더 장치(410)는 AESA 레이더를 재현해 놓은 것이고, 상기 테스스텟장치(420)는 상기 레이더 장치(410)의 시험을 위한 전압과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상기 레이더 장치(410)는 안테나 장치(411), 전원공급장치(412) 및 송수신처리장치(413)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도 6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의 실시예시도이다.
먼저 상기 안테나 장치(411)는 송수신처리장치로(413)부터 전압과 제어신호를 받고 TRM모듈이 동작을 할 때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30개)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다음으로 상기 전원공급장치(412)는 송수신처리장치(413)로부터 전압과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마찬가지로 발열에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마지막으로 상기 송수신처리장치(413)는 테스트셋장치(420)로부터 공급받은 전압과 제어신호를 안테나 장치(411)와 전원공급장치(412)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하며, 마찬가지로 발열에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즉 상기 단계(S100)를 통해 생성되는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은 상기와 같이 구현되는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를 3D모델 생성장치(100)가 3D모델링을 통해서 생성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S30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R학습장치의 3D모델 구동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300)는 제어부(320)가 상기 입력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S310)와 열적데이터 수집부(330)가 상기 제어부(320)가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키면,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의 각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320) 및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가 사용자에게 상기 제어부(320)가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적데이터 수집부(330)에 의해 수집되는 열적 데이터는, 방사패턴 및 배열 소자의 열적 특성에 따른 안테나 장치(410)의 열적 데이터, 송/수신 전력의 차이에 따른 전원공급장치(420) 및 송수신처리장치(430)의 열적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S310 ~ S33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열적데이터 수집부(330)가 수집한 각 장치의 열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적분포가 81 내지 125도 일 경우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의 손상위험을 경고해 주어서, 사용자가 실제로 AESA 레이더 운용 시 열적 데미지에 의해 AESA 레이더가 손상될 수 있음을 교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은 3D모델 생성장치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의 3D모델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운용학습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AESA 레이더 운용 시 AESA 레이더의 열적 데미지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3D모델 생성장치
200 : 입력장치
300 : VR학습장치
310 : 웨어러블 디바이스부
320 : 제어부
330 : 열적데이터 수집부
400 :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
410 : 레이더장치
411 : 안테나 장치
412 : 전원공급장치
413 : 송수신처리장치
420 : 테스트셋장치

Claims (10)

  1.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생성하는 3D모델 생성장치(100);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200); 및
    상기 입력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켜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운용을 학습시키는 VR학습장치(300);
    를 포함하되,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는,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생성함에 있어서,
    레이더장치(410) 및 테스트셋장치(420)를 포함하여 모델링 하며, 상기 레이더장치(410)는, 안테나 장치(411), 전원공급장치(412) 및 송수신처리장치(4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장치(411)는 송수신처리장치로(413)부터 전압과 제어신호를 받고 TRM모듈이 동작을 할 때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30개)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412)는 송수신처리장치(413)로부터 전압과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마찬가지로 발열에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송수신처리장치(413)는 테스트셋장치(420)로부터 공급받은 전압과 제어신호를 안테나 장치(411)와 전원공급장치(412)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하며, 마찬가지로 발열에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상기 VR학습장치(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렌즈(Hololens),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HUD(Head Up Display)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
    상기 입력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320); 및
    상기 제어부(320)가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키면,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의 각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열적데이터 수집부(33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열적데이터 수집부(330)가 수집한 안테나 장치(411), 전원공급장치(412) 및 송수신처리장치(413)의 열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적분포가 81 내지 125도 일 경우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의 손상위험을 경고하며,
    상기 열적데이터는,
    방사패턴 및 배열 소자의 열적 특성에 따른 안테나 장치(410)의 열적 데이터, 송/수신 전력의 차이에 따른 전원공급장치(420) 및 송수신처리장치(430)의 열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운용교육시스템을 통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방법에 있어서,
    3D모델 생성장치(100)가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생성하는 A단계;
    입력장치(200)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B 단계; 및
    VR학습장치(300)가 상기 입력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가 생성한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켜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 운용을 학습시키는 C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단계에서, 상기 3D모델 생성장치(100)는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생성함에 있어서,
    레이더장치(410) 및 테스트셋장치(420)를 포함하여 모델링 하며, 상기 레이더장치(410)는, 안테나 장치(411), 전원공급장치(412) 및 송수신처리장치(4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장치(411)는 송수신처리장치로(413)부터 전압과 제어신호를 받고 TRM모듈이 동작을 할 때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30개)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412)는 송수신처리장치(413)로부터 전압과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마찬가지로 발열에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송수신처리장치(413)는 테스트셋장치(420)로부터 공급받은 전압과 제어신호를 안테나 장치(411)와 전원공급장치(412)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하며, 마찬가지로 발열에 발생하는 열적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상기 C단계는,
    제어부(320)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열적데이터 수집부(330)가 상기 제어부(320)가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 시키면, 상기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의 각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가 사용자에게 상기 제어부(320)가 AESA 레이더 시험용 더미(400)의 3D모델을 가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열적데이터 수집부(330)가 수집한 안테나 장치(411), 전원공급장치(412) 및 송수신처리장치(413)의 열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적분포가 81 내지 125도 일 경우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AESA 레이더의 손상위험을 경고하며,
    상기 열적데이터는,
    방사패턴 및 배열 소자의 열적 특성에 따른 안테나 장치(410)의 열적 데이터, 송/수신 전력의 차이에 따른 전원공급장치(420) 및 송수신처리장치(430)의 열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시스템을 통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46491A 2021-10-29 2021-10-29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59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91A KR102595774B1 (ko) 2021-10-29 2021-10-29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91A KR102595774B1 (ko) 2021-10-29 2021-10-29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840A KR20230061840A (ko) 2023-05-09
KR102595774B1 true KR102595774B1 (ko) 2023-10-31

Family

ID=8640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491A KR102595774B1 (ko) 2021-10-29 2021-10-29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7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9544A (zh) * 2015-10-31 2016-01-20 零八一电子集团有限公司 有源相控阵雷达t/r组件幅相测试系统
JP2016121986A (ja) * 2014-12-24 2016-07-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ーダシステム
KR101998695B1 (ko) * 2019-05-16 2019-07-11 주식회사 다윈에어로테크 군수송기 비행조종 결함수분석법을 위한 3d 시험장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2746B1 (ko) * 2019-05-10 2020-02-03 국방과학연구소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CN111210696A (zh) * 2020-03-10 2020-05-29 中国人民解放军空军工程大学 教控端模拟器、学员端模拟器及雷达设备综合训练模拟系统
JP2021135225A (ja) * 2020-02-28 2021-09-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ーダ装置およびレーダ装置の動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482B1 (ko) 2012-12-20 2014-07-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전계통요목 훈련장비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3004A (ko) 2018-12-31 2020-07-08 박상규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관실 교육 훈련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1986A (ja) * 2014-12-24 2016-07-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ーダシステム
CN105259544A (zh) * 2015-10-31 2016-01-20 零八一电子集团有限公司 有源相控阵雷达t/r组件幅相测试系统
KR102072746B1 (ko) * 2019-05-10 2020-02-03 국방과학연구소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KR101998695B1 (ko) * 2019-05-16 2019-07-11 주식회사 다윈에어로테크 군수송기 비행조종 결함수분석법을 위한 3d 시험장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35225A (ja) * 2020-02-28 2021-09-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ーダ装置およびレーダ装置の動作方法
CN111210696A (zh) * 2020-03-10 2020-05-29 中国人民解放军空军工程大学 教控端模拟器、学员端模拟器及雷达设备综合训练模拟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840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848B1 (ko)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장치
US20170277166A1 (en) Method and system to increase operator awareness
EP3602524B1 (en) Improved heat rendering in an interactive computer simulation system
CN110824956A (zh) 核电厂控制室的仿真交互系统
KR101972269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정비인력 훈련용 시뮬레이터
CN108961893A (zh) 一种基于vr设备的虚拟现实交互仿真实训系统
KR102595774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03279897B (zh) 电力调度监测信息展示方法及系统
Viertler et al. Requirements and design challenges in rotorcraft flight simulations for research applications
KR102393734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계식 펄스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06997720A (zh) 一种高压直流输电阀冷却系统仿真培训平台
TW200500913A (en) Method and system to simulate the remote environmental condition simulation method and system
US4232299A (en) Wireless output/input system
CN116451872B (zh) 碳排放预测分布式模型训练方法、相关方法及装置
CN104932287A (zh) 仿真万用表
CN112331004A (zh) 核电厂全运行值培训考核系统
Wells et al. Cyber operational architecture training system–cyber for all
EP3783587A2 (en) Simulating aircraft data for tactics training
WO2019212495A1 (en) Operator characteristic-based visual overlays
CN213024884U (zh) 一种物联网汽车职业教育实训考核装置
CN104269081A (zh) 轻型测地系统模拟训练装置及轻型测地系统模拟训练方法
US20170011448A1 (en) Sensory feedback indicators for transactional processes
CN115132020B (zh) 飞行器训练用可自由设置的系统
CN105654807A (zh) 一种多功能故障模拟诊断系统及故障模拟诊断方法
CN108682195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教育评价系统及其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