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882B1 -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882B1
KR102189882B1 KR1020190179412A KR20190179412A KR102189882B1 KR 102189882 B1 KR102189882 B1 KR 102189882B1 KR 1020190179412 A KR1020190179412 A KR 1020190179412A KR 20190179412 A KR20190179412 A KR 20190179412A KR 102189882 B1 KR102189882 B1 KR 10218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drone control
practice
train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테크
Priority to KR102019017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드론을 실제로 조종할 수 있는 조종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기기연결 지원모듈을 마련하고, 드론을 AR, VR, MR, 3D로 제공하며, AR, VR, MR, 3D 상의 드론을 실제 드론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구에 응하여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화면을 표출시키는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탑재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에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HMD;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드론 조종장치; 및 상기 드론 조종장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드론 조종장치가 상호간에 연결되어 드론 조종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하는 기기연결 지원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드론 연습을 위한 별도의 조종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Drone simulation system for drone steering training}
본 발명은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드론을 실제로 조종할 수 있는 조종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기기연결 지원모듈을 마련하고, 드론을 AR, VR, MR, 3D로 제공하며, AR, VR, MR, 3D 상의 드론을 실제 드론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4차 산업의 아이콘으로 떠오르는 드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자격증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드론 국가 자격시험은 1차 필기시험과 2차 실기시험으로 나누어 실시된다.
이러한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고 있거나 드론 조종장치술을 습득하고자 사용자는 장소적·지리적·시간적·경제적 문제나 기상 등 외부변수로 인하여 실기연습을 하는데 많은 애로사항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C와 연결된 프로그램상에서 가상시뮬레이션을 통해 드론실기시험을 연습하고 있으나, 실제 비행과는 차이가 있고, 단순 키입력방식으로는 조종감이 둔하고, 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론실기시험 코스별로 1:1맞춤형 드론실기시험장분위기를 조성시키기 위한 장치와 프로그램이 없어, 연습량이 부족하고, 드론실기시험장분위기와 많이 달라서 적응을 못하여, 드론실기시험장에서 불합격 수가 점점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66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7050호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드론을 실제로 조종할 수 있는 조종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기기연결 지원모듈을 마련하고, 드론을 AR, VR, MR, 3D로 제공하며, AR, VR, MR, 3D 상의 드론을 실제 드론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연결 지원모듈을 USB 또는 기타 모듈 형태로 제작하여 조종장치에 마련된 USB 단자에 꽂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MD를 통해 사용자의 눈앞에서 펼쳐지는 메뉴들을 드론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별 미션을 제공하고, 미션을 달성하는 과정 속에서 드론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드론 조종 연습 목적 뿐만 아니라, 목적별/단계별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그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드론 교육을 위한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하고 있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전문가들로부터 드론과 관련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구에 응하여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화면을 표출시키는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탑재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에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HMD;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드론 조종장치; 및 상기 드론 조종장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드론 조종장치가 상호간에 연결되어 드론 조종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하는 기기연결 지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상으로 제공되는 드론 조종 연습용 메뉴항목들을 드론 조종장치를 통해 선택하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드론 조종장치에 의해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메뉴항목에 부응하는 드론 조종 연습 화면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설정, 배경변경, 기체변경, 날씨변경, 재시작, 항공촬영, 화면녹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뉴로 제공하고, 외부조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드론 연습 환경을 결정하여 제공하고, 제공되는 드론 조종 연습 환경에서 드론 영상을 VR 영상 또는 AR 영상 형태로 제공하고, 드론 조종장치의 조종 제어신호에 응하여 VR 영상 또는 AR 영상의 드론이 조종되면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드론을 실제로 조종할 수 있는 조종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기기연결 지원모듈을 마련하고, 드론을 AR, VR, MR, 3D로 제공하며, AR, VR, MR, 3D 상의 드론을 실제 드론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드론 연습을 위한 별도의 조종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개인 공간 및 훈련기관에서 편리하게 학습이 가능한 비행 연습으로 드론 교육에 대한 안정성 및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재, 재해재난 대비, 구조, 측량 등 다양한 분야의 드론 교육 콘텐즈를 제공하여, 드론 조종 연습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전문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 레이싱, 드론 축구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통한 드론 관심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플랫폼 구축으로, 전문가의 직접적인 문제 해결 능력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비, 수리 등 교육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등 콘텐츠를 통한 전문성 향상 및 장비, 드론 관련 연구개발 인력 부족현상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연결 지원모듈을 USB 또는 기타 모듈 형태로 제작하여 조종장치에 마련된 USB 단자 또는 모듈 커넥터에 꽂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기용 조종기, 전문가용 조정기 등 모든 조종장치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MD를 통해 사용자의 눈앞에서 펼쳐지는 메뉴들을 드론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뉴항목들을 선택하는데 있어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드론을 작동하면서 메뉴항목을 선택함에 드론 작동시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별 미션을 제공하고, 미션을 달성하는 과정 속에서 드론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론 연습을 게임처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연습효과가 배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드론 조종 연습 목적 뿐만 아니라, 목적별/단계별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그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드론 조종을 연습하고자 하는 사용자 이외에도 특수목적을 위해서 드론 조종을 연습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연습으로 인해 실제상황에서 드론을 조종할 때 어려움이 없이 목적한 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하고 있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전문가들로부터 드론과 관련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론 조종시 생겨나는 궁금증을 매순간 해결할 수 있어, 드론 조종 실력을 급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발명의 효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드론을 각종 산업과 융합 및 응용하고 연계시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드론 실기시험뿐만 아니라 각 분야의 산업용 드론의 조종 실무 교육을 함으로써, 안전하게 드론 임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기 연결 지원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기 연결 지원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휴대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HMD(Head Mounted Display, 200), 드론 조종장치(300), 기기연결 지원모듈(400),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 데이터 통신망(600)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휴대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구에 응하여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화면을 표출시키는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다.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상으로 제공되는 드론 조종 연습용 메뉴항목들을 드론 조종장치(300)를 통해 선택하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드론 조종장치(300)에 의해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메뉴항목에 부응하는 드론 조종 연습 화면이 제공되도록 한다.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설정, 배경변경, 기체변경, 날씨변경, 재시작, 항공촬영, 화면녹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뉴로 제공하고, 외부조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드론 연습 환경을 결정하여 제공하고, 제공되는 드론 조종 연습 환경에서 드론 영상을 VR 영상 또는 AR 영상 형태로 제공하고, 드론 조종장치(300)의 드론 조종 제어신호에 응하여 VR 영상 또는 AR 영상의 드론이 조종되면서 움직이도록 한다.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드론 조종 연습이 이루어지면 드론 조종 연습 동안 발생되는 데이터를 드론 연습 데이터로 수집하고 드론 조종 연습이 완료되면 드론연습 식별정보를 생성시켜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로 송출한다.
HMD(20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탑재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에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드론 조종장치(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한다.
기기연결 지원모듈(400)은 드론 조종장치(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사용자 단말기(100)와 드론 조종장치(300)가 상호간에 연결되어 드론 조종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드론 조종장치(300)는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데이터 통신망(6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호 통신환경을 이루며, 사용자 단말기(100)에 탑재된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반적인 드론 조종 연습을 비롯하여 목적별, 단계별 드론 조종을 연습할 수 있도록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고, 빅데이터를 학습시켜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이용하여 드론 조종을 하는 사용자의 조종 실력을 확인한 후 사용자 모두가 동일한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이용하여 드론 조종 연습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 각각에 적합한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생성시켜 제공한다. 즉,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이용하여 본격적으로 드론 조종 연습을 수행하기 이전에 테스트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공하여 드론 조종시 사용자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기반으로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한다.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의 빅데이터화는 다양한 형태의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현재 버전을 확인하고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물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시켜, 사용자들이 항상 최신 버전에서 드론 조종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판매하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초보와 같이 난이도가 낮은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에 대해서는 무료로 제공하고, 난이도가 높아지는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에 대해서는 유료로 제공한다 그리고,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특수한 목적을 가지는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에 대해서도 유료로 제공한다.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판매하고 있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전문가들로부터 드론과 관련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론 조종시 생겨나는 궁금증을 매순간 해결할 수 있도록 서비스ㅎ하므로, 사용자의 드론 조종 실력이 급상승되도록 지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VR/AR 기반 모바일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론 조종 연습 과정>
먼저 사용자는 드론 조종장치(300)에 기기연결 지원모듈(400)을 장착시키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드론 조종 연습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사용자 단말기(100)를 HMD(20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HMD(200)를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드론 조종 연습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상에 드론 조종 연습을 위한 메뉴항목들로 이루어진 메뉴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드론 조종 장치(300)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하여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선택하고 실행 아이콘을 클릭하여 실행요청을 하게 된다.
그러면 드론 조종 연습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실행시켜 드론 연습 영상을 AR 영상 또는 VR 영상으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AR 영상 또는 VR 영상 속의 드론을 조정하기 위해 드론 조종 장치(300)의 조종바를 움직이게 되면 드론 조종 장치(300)는 드론 조종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출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드론 조종 연습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이를 수신하여 AR, VR, MR, 3D 중 어느 하나의 상황 속에서 드론을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드론 조종 연습 과정이 종료되면 드론 조종 연습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생성시킨다. 드론 조종 연습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식별정보에 매칭된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로 전송한다.
<드론 조종 연습 콘텐츠 제작과정>
초기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는 드론 전문들의 설계를 통해 제작되어 제공된다.
일반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드론 조종 연습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렇게 제작된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공받아 AR, VR, MR, 3D 중 어느 하나의 상황 속에서 드론 조종을 연습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드론 조종 연습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드론 조종 연습이 이루어지면 이때 생성되는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DB를 구축한다.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학습시켜 새로운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고, 이렇게 제작된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는 무료 또는 유료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구에 응하여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화면을 표출시키는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탑재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에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HMD;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드론 조종장치;
    상기 드론 조종장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드론 조종장치가 상호간에 연결되어 드론 조종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지원하는 기기연결 지원모듈; 및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상으로 제공되는 드론 조종 연습용 메뉴항목들을 상기 드론 조종장치를 통해 선택하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드론 조종장치에 의해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메뉴항목에 부응하는 드론 조종 연습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 배경변경, 기체변경, 날씨변경, 재시작, 항공촬영, 화면녹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뉴로 제공하고, 외부조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드론 연습 환경을 결정하여 제공하고, 제공되는 드론 조종 연습 환경에서 드론 영상을 VR 영상 또는 AR 영상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드론 조종장치의 조종 제어신호에 응하여 VR 영상 또는 AR 영상의 드론이 조종되면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메뉴에 따른 드론 연습 환경에서 드론 조종 연습 동안 발생되는 데이터를 드론 연습 데이터로 수집하는 동작; 및
    드론 조종 연습이 완료되면 드론연습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상기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로 송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 콘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선택된 메뉴에 따른 드론 연습 환경에서 상기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DB를 구축하는 동작;
    상기 빅데이터 DB에 대한 분석 및 학습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목적별로 또는 단계별로 드론 조종 연습할 수 있는 새로운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작하는 동작;
    상기 드론연습 식별정보와 매칭된 상기 드론 조종 연습 데이터로부터 드론 조종시 사용자의 특징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특징과 대응되는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 중 소정의 기준으로부터 난이도가 낮은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소정의 기준으로부터 난이도가 높은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유료로 제공하는 커뮤니티를 통해, 상기 드론 조종 연습용 콘텐츠를 상기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79412A 2019-12-31 2019-12-31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18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12A KR102189882B1 (ko) 2019-12-31 2019-12-31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12A KR102189882B1 (ko) 2019-12-31 2019-12-31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882B1 true KR102189882B1 (ko) 2020-12-11

Family

ID=7378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412A KR102189882B1 (ko) 2019-12-31 2019-12-31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8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30B1 (ko) * 2021-11-12 2022-06-24 주식회사 리얼테크 비대면 다중 참여의 실시간 vr/mr 기반 드론 교육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4011A (ko) 2021-04-16 2022-10-26 (주)케이씨이아이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30100261A (ko) 2021-12-28 2023-07-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초보자 드론 교육을 위한 사용자 추적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1474A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ローレル・コード Hmd装置におけるセンサー類を用いた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KR101796698B1 (ko) 2015-05-08 2017-11-24 주식회사 스카이드론 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 시스템
KR101987050B1 (ko) 2018-08-01 2019-06-10 양영용 Vr드론실기실감체험 형성장치
KR20190094800A (ko) *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플렉싱크 Vr기반 관광콘텐츠 연계형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51543B1 (ko) * 2019-10-07 2019-12-05 주식회사 포더비전 Vr 훈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98B1 (ko) 2015-05-08 2017-11-24 주식회사 스카이드론 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 시스템
JP2017191474A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ローレル・コード Hmd装置におけるセンサー類を用いた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KR20190094800A (ko) *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플렉싱크 Vr기반 관광콘텐츠 연계형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987050B1 (ko) 2018-08-01 2019-06-10 양영용 Vr드론실기실감체험 형성장치
KR102051543B1 (ko) * 2019-10-07 2019-12-05 주식회사 포더비전 Vr 훈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011A (ko) 2021-04-16 2022-10-26 (주)케이씨이아이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413130B1 (ko) * 2021-11-12 2022-06-24 주식회사 리얼테크 비대면 다중 참여의 실시간 vr/mr 기반 드론 교육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0261A (ko) 2021-12-28 2023-07-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초보자 드론 교육을 위한 사용자 추적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882B1 (ko) 드론 조종 교육을 위한 드론 시뮬레이션 시스템
US11990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vehicle training field
US20100003652A1 (en) Mission training center instructor operator st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KR102419716B1 (ko) 모듈형 콕핏을 구비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이를 이용한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EP32783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recorded real time simulation based on simulation metadata
WO2005031521A9 (en) Offshore environment computer-based safety training system and methods
KR20180070131A (ko) 유도무기체계용 시뮬레이션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CN111341166A (zh) 应急演练系统的控制方法及系统
CN111210696A (zh) 教控端模拟器、学员端模拟器及雷达设备综合训练模拟系统
CN109284167B (zh) 训练飞机用户的方法和设备
US11794100B2 (en) Guide-assisted virtual experiences
KR19990054791A (ko) 무선조종 모형 항공기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413130B1 (ko) 비대면 다중 참여의 실시간 vr/mr 기반 드론 교육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0457227A (zh) 辅助开发人员或学生进行vr应用开发的系统及开发方法
KR20210067057A (ko) 드론 시뮬레이터
KR101483106B1 (ko)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31364B1 (ko) 운동량 연동 비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비행훈련장치
US1150825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virtual reality training
CN113506489A (zh) 一种基于虚拟仿真技术的无人机的操练方法及装置
CN110462709B (zh) 交互式计算机模拟系统中的虚拟模拟元素的可视化子系统
CN107015815B (zh) 一种用于模拟核电站安全控制显示设备的装置
McLin et al. Combining virtual reality and multimedia techniques for effective maintenance training
Gustafsson Use of head mounted virtual reality displays in flight training simulation
KR102668432B1 (ko) 확장 현실 기반의 교육 훈련 시스템
WO2005052699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ystem to provide multiple touchscreen inp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