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106B1 -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106B1
KR101483106B1 KR1020130090915A KR20130090915A KR101483106B1 KR 101483106 B1 KR101483106 B1 KR 101483106B1 KR 1020130090915 A KR1020130090915 A KR 1020130090915A KR 20130090915 A KR20130090915 A KR 20130090915A KR 101483106 B1 KR101483106 B1 KR 10148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screen
training
observer
view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남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5Control of aircra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46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the aircraft being a helico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훈련화면을 관찰자 시점에서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화면표시시점에 따른 이동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교관석시스템부와; 상기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송된 이동제어명령을 해석하고 그에 대응되는 비행훈련화면의 관찰자 시점을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비행훈련 화면정보의 관찰자시점을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게 제어하는 호스트컴퓨터부와; 상기 호스트컴퓨터부로부터 전달받은 관찰자시점이 변경되는 비행훈련시뮬레이션정보에 따른 비행훈련 영상화면을 탑재된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 시현시키고 훈련자가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 표시되는 임무화면을 보면서 설정된 비행시뮬레이션 훈련을 실행시키는 조종석시스템부를 포함하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교관석/통제석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의 영상화면의 표시시점을 교관석, 항공기 및 관제탑시점 등을 포함한 다양한 관찰자시점으로 이동표시하므로써, 교관석의 교관이나 회전익항공기의 조종사들이 실제 비행전에 회전익항공기의 운용에 대한 다양한 상황들을 미리 익숙하게 학습한 후 실제 회전익항공기의 비행에 참여할 수 있게 하므로 그에 따라 훈련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Flight Simulator having a Displaying Point Changing Function of Display Video Pictur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s}
본 발명은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관석/통제석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의 영상화면의 표시시점을 교관석, 항공기 및 관제탑시점 등을 포함한 다양한 관찰자시점으로 이동표시하므로써, 훈련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 장치는 모의실험을 의미하며, 주로 항공기, 선박, 철도차량 또는 각종 건설장비의 조종 훈련용으로 이용되며, 동일한 조건과 상황이 주어지고 기구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현실감을 느끼면서 실제 상황에서의 조작 기술을 연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 장치는 1930년대에 미국에서 최초로 기계적 시뮬레이터 형태로 고안되어 실용화되기 시작하다가 1950년대에 접어들면서 컴퓨터와 접목되어 플라이트 구동부(Flight Simulator)로 진보되고, 이후 1980년대에 들어 컴퓨터 그래픽이 고성능화되므로써, 주변의 화상도 동일시간에 생성할 수 있게 되므로 급속히 발전하였다. 최근에 개발된 KUH(한국형 헬리콥터)를 포함한 비행시뮬레이터 장치는 조종훈련생이 교관이 설정한 환경에서 외부영상을 보면서 조종실의 계기에 시현되는 항공기 상태를 파악하여 훈련을 실행하게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회전익항공기용 시뮬레이터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가상의 회전익항공기(70)에 대한 조종면 혹은 동체외형 이미지를 가상공간 즉, 디스플레이(71)상에 2차원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2)와;
상기 제어부(72)의 기능제어신호에 메모리(77)에 내장되어 있던 비행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로딩모듈부(73)와;
상기 가상의 회전익항공기(70)의 조종면에 대한 조작신호를 입력시키는 조작패널부(74)와;
상기 제어부(72)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가상의 회전익항공기(7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시뮬레이터장치(75)의 몸체를 움직여주는 액츄레이터(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회전익항공기용 시뮬레이터장치의 동작은 먼저, 회전익항공기의 시뮬레이션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시뮬레이터장치(75)에 구비된 좌석(도시안됨)에 앉은후 조작패널부(74)상에서 회전익항공기(70)의 기종을 설정하고 스타트버튼을 눌러준다. 그러면, 상기 시뮬레이터장치(75)의 제어부(72)가 로딩모듈부(73)를 통해 메모리(77)에 내장되어 있던 비행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로딩시키게 한후 디스플레이(71)상에 초기시뮬레이션 화면을 구현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71)상에 표시된 2차원적인 초기시뮬레이션 화면을 사용자가 보면서 실제 회전익항공기를 조종하는 것처럼 조작패널부(74)에 구비된 각종 버튼들을 이용하여 조종명령신호들을 입력시켜주면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2)는 조작패널부(74)로부터 입력되는 조종명령신호들을 분석한 후 그에 대응되는 표시제어신호를 로딩모듈부(73)를 통해 디스플레이(71)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71)는 로딩모듈부(73)로부터 입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회전익항공기의 시뮬레이션화면을 구현하게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72)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액츄레이터(76)는 가상의 회전익항공기(7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시뮬레이터장치(75)의 몸체를 움직여주므로 시뮬레이터장치(75)의 사용자가 실제 회전익항공기를 조종하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회전익항공기용 시뮬레이터장치는 교관석/통제석에 설치/운용중인 모니터의 화면에 조종사 시점(Eye point)에서 보여지는 외부영상만이 시현되기때문에 주요 훈련 과정인 항공기 패스트로프 훈련과 같이 조종사 시점을 벗어난 범위의 훈련에 대해서는 거의 훈련을 수행할 수가 없어 그에 따라 비행시뮬레이터의 기능성을 상당히 저하시켰으며, 또한 회전익항공기의 조종사들이 실제 비행 전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더라도 학습성취도가 상당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교관석의 교관이나 회전익항공기의 조종사들이 실제 비행전에 회전익항공기의 운용에 대한 다양한 상황들을 미리 익숙하게 학습한 후 실제 회전익항공기의 비행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관석시스템부에서 현재 비행훈련중인 조종훈련생의 이전비행기록 혹은 비행시뮬레이션기록에서 비행의 어려움을 겪었던 정보를 검색한후 시뮬레이션과정중 해당 부분에 이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영상표시장치상에 표시해주므로써, 시뮬레이션과정의 최적성도 확보할 수 있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비행훈련화면을 관찰자 시점에서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화면표시시점에 따른 이동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교관석시스템부와;
상기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송된 이동제어명령을 해석하고 그에 대응되는 비행훈련화면의 관찰자 시점을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비행훈련 화면정보의 관찰자시점을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게 제어하는 호스트컴퓨터부와;
상기 호스트컴퓨터부로부터 전달받은 관찰자시점이 변경되는 비행훈련시뮬레이션정보에 따른 비행훈련 영상화면을 탑재된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 시현시키고 훈련자가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 표시되는 임무화면을 보면서 설정된 비행시뮬레이션 훈련을 실행시키는 조종석시스템부를 포함하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실시간 실행제어를 위해 호스트컴퓨터부가 비행시뮬레이터의 각 모듈들을 초기화시키고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달되는 훈련모드명령에 대한 수신을 대기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중에 교관석시스템부에 의해 훈련모드가 설정되고 그에 따른 비행훈련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 변경신호가 호스트컴퓨터부로 전달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호스트컴퓨터부가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비행훈련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 변경신호를 해석하고 그에 따른 관찰자시점 위치를 계산하여 시뮬레이션정보와 함께 조종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와 교관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로 출력시키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후에 조종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와 교관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서 교관석시스템부의 변경명령에 따라 비행훈련화면이 관찰자 시점에서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화면표시시점을 변경시켜 시현시키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교관석/통제석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의 영상화면의 표시시점을 교관석, 항공기 및 관제탑시점 등을 포함한 다양한 관찰자시점으로 이동표시하므로써, 교관석의 교관이나 회전익항공기의 조종사들이 실제 비행전에 회전익항공기의 운용에 대한 다양한 상황들을 미리 익숙하게 학습한 후 실제 회전익항공기의 비행에 참여할 수 있게 하므로 그에 따라 훈련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교관석시스템부에서 현재 비행훈련중인 조종훈련생의 이전비행기록 혹은 비행시뮬레이션기록에서 비행의 어려움을 겪었던 정보를 검색한후 시뮬레이션과정중 해당 부분에 이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영상표시장치상에 표시해주므로써, 조종훈련생이 시뮬레이션과정중 자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므로 그에 따라 시뮬레이션과정의 최적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익항공기용 시뮬레이터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a)는 본 발명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관제탑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b)는 본 발명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항공기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c)는 본 발명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교관석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관제탑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항공기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교관석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는,
교관이 비행시뮬레이터장치(1)의 시뮬레이션모드 전체를 제어하고 영상출력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비행훈련화면을 관찰자 시점에서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화면표시시점에 따른 이동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교관석시스템부(2)와;
상기 교관석시스템부(2)로부터 전송된 이동제어명령을 해석하고 그에 대응되는
비행훈련화면의 관찰자 시점을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비행훈련 화면정보의 관찰자시점 예컨대, 관제탑, 항공기 및 교관석 중심으로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게 제어하는 호스트컴퓨터부(3)와;
상기 호스트컴퓨터부(3)로부터 전달받은 관찰자시점이 변경되는 비행훈련시뮬레이션정보에 따른 비행훈련 영상화면을 탑재된 영상출력표시장치(4A)상에 시현시키고 훈련자가 영상출력표시장치(4A)상에 표시되는 임무화면을 보면서 설정된 비행시뮬레이션 훈련을 실행시키는 조종석시스템부(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컴퓨터부(3)의 일단에는 교관석시스템부(2)의 관찰자시점 도 3(a-c)예컨대, 관제탑, 항공기 및 교관석 중심으로 변경되는 비행훈련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 위치를 계산하는 시점변경부(7)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종석시스템부(5)의 일단에는 조종석시스템부(5)의 비행시뮬레이션 훈련에 대응하여 실제 항공기의 비행과 유사한 움직임을 구현하는 시뮬레이션 몸체부(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컴퓨터부(3)는 교관석시스템부(2)로부터 전송된 훈련모드에 따른 훈련상황부여 명령신호가 전달될 경우 훈련모드에 따른 훈련모델을 생성하고 훈련동작을 계산한 후 그에 대응되는 훈련시뮬레이션정보를 생성하여 조종석시스템부(5)의 영상출력표시장치(4A-B)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조종석시스템부(5)의 영상출력표시장치(4A)와 교관석시스템부(2)의 영상출력표시장치(4B)는 관찰자시점 변경에서 예컨대, 도 3의 (a)와 같은 관제탑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도 3의 (a)와 같은 관제탑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도 3의 (b)와 같은 항공기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도 3의 (c)와 같은 교관석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시현시킨다.
또한, 상기 조종석시스템부(5)의 일단에는 교관석시스템부(2)에서 현재 비행훈련중인 조종훈련생의 이전비행기록 혹은 비행시뮬레이션기록에서 비행의 어려움을 겪었던 정보를 검색한후 시뮬레이션과정중 해당 부분에 이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호스트컴퓨터부(3)를 통해 전송해줄 경우 이를 영상표시장치상에서 문자나 기호로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발생부(8)를 통해 음성경고음을 표시해주는 단점알람처리부(9)를 더 포함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실시간 실행제어를 위해 호스트컴퓨터부가 비행시뮬레이터의 각 모듈들을 초기화시키고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달되는 훈련모드명령에 대한 수신을 대기하는 제1 과정(S2)과;
상기 제1 과정(S2)중에 교관석시스템부에 의해 훈련모드가 설정되고 그에 따른 비행훈련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 변경신호가 호스트컴퓨터부로 전달되는 제2 과정(S3)과;
상기 제2 과정(S3)후에 호스트컴퓨터부가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비행훈련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 변경신호를 해석하고 그에 따른 관찰자시점 위치를 계산하여 시뮬레이션정보와 함께 조종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와 교관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로 출력시키는 제3 과정(S4)과;
상기 제3 과정(S4)후에 조종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와 교관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서 교관석시스템부의 변경명령에 따라 비행훈련화면이 관찰자 시점에서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화면표시시점을 변경시켜 시현시키는 제4 과정(S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 과정(S5)과정에는 교관석시스템부에서 현재 비행훈련중인 조종훈련생의 이전비행기록 혹은 비행시뮬레이션기록에서 비행의 어려움을 겪었던 정보를 검색한후 시뮬레이션과정중 해당 부분에 이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영상표시장치상에 표시해주는 단점정보 알람단계를 더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교관석시스템부(2)을 통해 교관이 본 발명의 비행시뮬레이터장치(1)의 전체를 제어하면서 훈련에 필요한 특정상황을 부여하는 명령신호를 호스트컴퓨터부(3)로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호스트컴퓨터부(3)는 실시간 실행제어를 위해 비행시뮬레이터(1)의 각 모듈들을 초기화시키고 교관석시스템부(2)로부터 전달되는 훈련모드명령에 대한 수신을 대기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교관석시스템부(2)는 교관이 비행훈련모드를 설정해줄 경우 해당 비행훈련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그 표시되는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을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화면표시시점에 따른 이동제어명령을 출력한다.
즉, 상기 교관석시스템부(2)는 호스트컴퓨터부(3)의 시점변경부(7)로 화면표시시점에 따른 이동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호스트컴퓨터부(3)의 시점변경부(7)는 교관석시스템부(2)의 화면표시시점에 따른 이동제어명령신호에 따라 영상출력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비행훈련화면의 관찰자 시점위치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각 시점의 위치데이터를 조종석시스템부(5)의 영상출력표시장치(4A)와 교관석시스템부(2)의 영상출력표시장치(4B)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종석시스템부(5)의 영상출력표시장치(4A)와 교관석시스템부(2)의 영상출력표시장치(4B)는 전송받은 각 시점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찰자시점 변경하며서, 예컨대, 도 3의 (a)와 같은 관제탑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도 3의 (a)와 같은 관제탑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도 3의 (b)와 같은 항공기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도 3의 (c)와 같은 교관석 관점에서의 영상화면을 실제와 같이 시현시킨다. 또한, 상기 조종석시스템부(5)의 일단에 구비된 시뮬레이션 몸체부(6)는 조종석시스템부(5)의 비행시뮬레이션 훈련에 대응하여 실제 항공기의 비행과 유사한 움직임을 구현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교관석시스템부(2)에서 현재 비행훈련중인 조종훈련생의 이전비행기록 혹은 비행시뮬레이션기록에서 비행의 어려움을 겪었던 정보를 검색한후 시뮬레이션과정중 해당 부분에 이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호스트컴퓨터부(3)를 통해 조종석시스템부(5)의 단점알람처리부(9)로 전송해준다. 그러면, 상기 조종석시스템부(5)의 단점알람처리부(9)는 교관석시스템부(2)의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단점정보와 일치하는 영상화면의 위치에 도달되었는 지를 비교하다가 조종훈련생의 단점정보와 일치하는 영상화면의 위치에 이를 경우 이를 영상표시장치(4A)상에서 문자나 기호로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발생부(8)를 통해 음성경고음을 표시해준다. 따라서, 상기 조종훈련생은 상기와 같이 시뮬레이션과정중 해당 시뮬레이션 과정부분에서 자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받게 되므로 시뮬레이션과정을 최적화시킬 수 있게된다.
1 : 비행시뮬레이터장치 2 : 교관석시스템부
3 : 호스트컴퓨터부 4A-B: 영상출력표시장치
5 : 조종석시스템부 6 : 시뮬레이션 몸체부
7 : 시점변경부 8 : 음성발생부
9 : 단점알람처리부

Claims (5)

  1. 비행훈련화면을 관찰자 시점에서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화면표시시점에 따른 이동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교관석시스템부와;
    상기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송된 이동제어명령을 해석하고 그에 대응되는 비행훈련화면의 관찰자 시점을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비행훈련 화면정보의 관찰자시점을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게 제어하는 호스트컴퓨터부와;
    상기 호스트컴퓨터부로부터 전달받은 관찰자시점이 변경되는 비행훈련시뮬레이션정보에 따른 비행훈련 영상화면을 탑재된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 시현시키고 훈련자가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 표시되는 임무화면을 보면서 설정된 비행시뮬레이션 훈련을 실행시키는 조종석시스템부와;
    상기 조종석시스템부의 일단에는 교관석시스템부에서 현재 비행훈련중인 조종훈련생의 이전비행기록 혹은 비행시뮬레이션기록에서 비행의 어려움을 겪었던 정보를 검색한후 시뮬레이션과정중 해당 부분에 이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호스트컴퓨터부를 통해 전송해줄 경우 이를 영상표시장치상에서 문자나 기호로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발생부를 통해 음성경고음을 표시해주는 단점알람처리부를 포함하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컴퓨터부는 교관석시스템부의 관찰자시점인 관제탑, 항공기 및 교관석 중심으로 변경되는 비행훈련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 위치를 계산하는 시점변경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3. 삭제
  4. 실시간 실행제어를 위해 호스트컴퓨터부가 비행시뮬레이터의 각 모듈들을 초기화시키고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달되는 훈련모드명령에 대한 수신을 대기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중에 교관석시스템부에 의해 훈련모드가 설정되고 그에 따른 비행훈련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 변경신호가 호스트컴퓨터부로 전달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호스트컴퓨터부가 교관석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비행훈련 영상화면의 관찰자시점 변경신호를 해석하고 그에 따른 관찰자시점 위치를 계산하여 시뮬레이션정보와 함께 조종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와 교관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로 출력시키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후에 조종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와 교관석시스템부의 영상출력표시장치상에서 교관석시스템부의 변경명령에 따라 비행훈련화면이 관찰자 시점에서 원근감이 있는 다양한 거리와 방향에서 표시되도록 화면표시시점을 변경시켜 시현시키는 제4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과정에는 교관석시스템부에서 현재 비행훈련중인 조종훈련생의 이전비행기록 혹은 비행시뮬레이션기록에서 비행의 어려움을 겪었던 정보를 검색한후 시뮬레이션과정중 해당 부분에 이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영상표시장치상에 표시해주는 단점정보 알람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의 제어방법.
  5. 삭제
KR1020130090915A 2013-07-31 2013-07-31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15A KR101483106B1 (ko) 2013-07-31 2013-07-31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15A KR101483106B1 (ko) 2013-07-31 2013-07-31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106B1 true KR101483106B1 (ko) 2015-01-16

Family

ID=5259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915A KR101483106B1 (ko) 2013-07-31 2013-07-31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1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1425A (zh) * 2016-01-14 2018-10-23 比伯拉赫利勃海尔零部件有限公司 起重机,建筑机械或工业卡车的模拟器
CN109903636A (zh) * 2019-03-20 2019-06-18 陈勇胜 一种战斗机飞行员便携式俯仰倾斜错觉矫正训练器
CN110264788A (zh) * 2019-06-23 2019-09-20 山东交通学院 一种带有纠错功能的日语教学用口语训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87A (ko) * 2002-08-21 2003-08-09 엄기태 자율학습을 지원하는 훈련용 시뮬레이터 및 훈련지원 방법
KR20040076364A (ko) * 2003-02-25 2004-09-0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
KR20070011660A (ko) * 2005-07-21 2007-01-25 경봉기술(주) 항공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및 항공기용 블랙박스 분석용영상정보 표시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10117816A (ko) * 2010-04-22 2011-10-28 인천국제공항공사 모의 관제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관제 훈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87A (ko) * 2002-08-21 2003-08-09 엄기태 자율학습을 지원하는 훈련용 시뮬레이터 및 훈련지원 방법
KR20040076364A (ko) * 2003-02-25 2004-09-0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
KR20070011660A (ko) * 2005-07-21 2007-01-25 경봉기술(주) 항공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및 항공기용 블랙박스 분석용영상정보 표시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10117816A (ko) * 2010-04-22 2011-10-28 인천국제공항공사 모의 관제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관제 훈련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1425A (zh) * 2016-01-14 2018-10-23 比伯拉赫利勃海尔零部件有限公司 起重机,建筑机械或工业卡车的模拟器
CN108701425B (zh) * 2016-01-14 2021-10-19 比伯拉赫利勃海尔零部件有限公司 起重机,建筑机械或工业卡车的模拟器
CN109903636A (zh) * 2019-03-20 2019-06-18 陈勇胜 一种战斗机飞行员便携式俯仰倾斜错觉矫正训练器
CN109903636B (zh) * 2019-03-20 2020-03-31 陈勇胜 一种战斗机飞行员便携式俯仰倾斜错觉矫正训练器
CN110264788A (zh) * 2019-06-23 2019-09-20 山东交通学院 一种带有纠错功能的日语教学用口语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82B2 (en) Virtual reality based pilot training system
US10529248B2 (en) Aircraft pilot train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US11043138B2 (en) VR emulator
Ellis Presence of mind: A reaction to Thomas Sheridan's “further musings on the psychophysics of presence”
García et al. A natural interface for remote operation of underwater robots
Raj et al. Vibrotactile displays for improving spatial awareness
US201503027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mbined simulation and control of remote-controlled vehicles using a user-friendly projection system
KR102097180B1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특수 차량 훈련용 시뮬레이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8482B1 (ko) 항전계통요목 훈련장비 및 그 제어방법
CA2890355C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mbined simulation and control of remote-controlled vehicles
KR20100007060A (ko) 교관석 운영 시스템
CN113496635B (zh) 飞行模拟器和飞行训练模拟方法
WO2019195898A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виртуальный симулятор
KR101483106B1 (ko) 표시영상화면의 시점변경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01135B1 (ko) 고장상황실현기능이 구비된 헬리콥터 시뮬레이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547287B1 (en) Vr emulator using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devices
KR101483103B1 (ko) 레펠훈련모드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GB2504268A (en) Vehicle simulator
KR101483105B1 (ko) 낙하산강하 훈련모드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956869A (zh) 一种路航飞行训练系统
KR101483104B1 (ko) 패스트로프훈련모드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31364B1 (ko) 운동량 연동 비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비행훈련장치
Lichtenstern et al. Pose and paste—An intuitive interface for remote navigation of a multi-robot system
JPH085500Y2 (ja) 航空機の集団操縦訓練装置
KR101392266B1 (ko) Kuh를 위한 비행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