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746B1 -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 Google Patents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746B1
KR102072746B1 KR1020190055225A KR20190055225A KR102072746B1 KR 102072746 B1 KR102072746 B1 KR 102072746B1 KR 1020190055225 A KR1020190055225 A KR 1020190055225A KR 20190055225 A KR20190055225 A KR 20190055225A KR 102072746 B1 KR102072746 B1 KR 10207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mulation
radar
aesa
beam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혜선
조신영
소준호
김석봉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55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40Simulation of airborne ra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2013/0236Special technical features
    • G01S2013/0245Radar with phased array antenna
    • G01S2013/0254Active array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더의 각 운용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다수의 모의 시나리오 중 하나를 실행 모의 시나리오로 선택하는 모의 제어부와, 선택된 상기 실행 모의 시나리오에 따라 다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목표로 하는 모의용 표적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RF 모의신호를 발생하는 RF 모의신호 발생부와, 발생된 상기 RF 모의신호를 벡터 변조하여 표적신호용의 RF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RF 신호를 다수의 배열 안테나 중 특정 배열 안테나를 통해 표적신호로서 송신하는 표적신호 송신부와, 송신된 상기 표적신호를 다수의 AESA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표적신호의 검출 정보와 AESA 레이더의 각 송수신 모듈(TRM: Transmit-Receive Module)의 좌표 정보에 의거하여 근전계 기반의 빔 집속을 실행하는 AESA 레이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APPARATUS FOR FOCUSING BEAM OF NEAR-FIELD IN AESA RADAR}
본 발명은 항공기 능동배열 안테나(AESA: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밍, 다중 표적, 클러터 및 SAR 표적에 대한 AESA 레이더의 시험(시뮬레이션)을 위해 빔 조향 각도에 따라 능동배열 안테나의 위상을 제어하여 근접계(Near-Field) 빔을 집속할 수 있는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에 따라 레이더는 빠른 전자적 빔 조향, 뛰어난 성능, 높은 신뢰성 등의 장점들을 가지는 능동배열 안테나(AESA: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능동배열 안테나는 원전계에 있는 표적과 지형 등을 탐지 및 추적하기 때문에 개발 및 성능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능동배열 안테나의 원전계 거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수십 미터 이상의 거리를 갖는 지상 시험장(또는 야외 시험장)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원전계 거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거리를 갖는 루프랩(Roof-lab) 시설 등과 같은 야외 시험장을 만들어 빔 조향, 표적, 클러터 및 재밍 등의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야외시험장은 외부적 조건, 즉 주변 지형, 날씨, 외부 신호 등의 조건들이 시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시험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레이더의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표적과 클러터를 다양한 시험 조건에 따라 변경해 가면서 시험을 해야 하는데, 외부적 조건(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야외 시험장에서는 적합한 시험 환경을 조성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빔 조향 범위는 레이더 탐색 성능의 중요한 요소로서 방위각, 고각 각각 ±60°로 빔을 집속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빔 조향 각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재밍, 다중 표적, 클러터 및 SAR 표적 등의 기능에 대한 지상시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시험환경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1800호(공고일: 2017. 06. 29.)
본 발명은, AESA 레이더의 시험(시뮬레이션)을 위해 빔 조향 각도에 따른 능동배열 안테나의 위상 제어를 통해 근전계(Near-Field)에서 원전계 빔을 모사함으로써 근접계 빔을 집속할 수 있는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더의 각 운용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다수의 모의 시나리오 중 하나를 실행 모의 시나리오로 선택하는 모의 제어부와, 선택된 상기 실행 모의 시나리오에 따라 다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목표로 하는 모의용 표적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RF 모의신호를 발생하는 RF 모의신호 발생부와, 발생된 상기 RF 모의신호를 벡터 변조하여 표적신호용의 RF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RF 신호를 다수의 배열 안테나 중 특정 배열 안테나를 통해 표적신호로서 송신하는 표적신호 송신부와, 송신된 상기 표적신호를 다수의 AESA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표적신호의 검출 정보와 AESA 레이더의 각 송수신 모듈(TRM: Transmit-Receive Module)의 좌표 정보에 의거하여 근전계 기반의 빔 집속을 실행하는 AESA 레이더부를 포함하는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AESA 레이더부는, 상기 검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표적신호의 방위각, 고각, 빔 집속 거리 정보에 의거하여 근전계 빔 집속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와, 상기 각 송수신 모듈(TRM)의 좌표와 상기 근전계 빔 집속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위치와 상기 근전계 빔 집속 좌표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상대 거리 계산부와, 계산된 상기 거리, 전파상수 및 빔 집속 좌표와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위상 중심과의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빔 집속을 위한 거리편차를 계산하는 거리편차 계산부와,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위상 값에 상기 거리편차를 각각 가산하여 상기 각 송수신 모듈에 인가되는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계산하는 크기 및 위상 계산부와, 계산된 상기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에 의거하여 근전계 기반의 빔 집속을 실행하는 빔 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운용 모드는, 공대공, 공대지, 공대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RF 모의신호는, 재밍, 다중표적, 클러터, SAR 표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RF 모의신호 발생부는, 상기 AESA 빔 집속부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다채널 수신기와, 상기 모의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AESA 빔 집속부로부터의 RF 신호에 의거하여 재밍신호, 다중표적, 클러터 및 SAR 표적 중 어느 하나의 RF 모의신호를 선택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와,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RF 모의신호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표적신호 송신부로 전달하는 전력 합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표적신호 송신부는, 상기 특정 배열 안테나에서 상기 표적신호용의 RF 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RF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분배기와, 생성된 상기 표적신호용의 RF 신호의 벡터를 변조하여 상기 특정 배열 안테나로 전달하는 벡터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ESA 레이더의 시험을 위해 빔 조향 각도에 따른 능동배열 안테나의 위상 제어를 통해 근전계에서 원전계 빔을 모사하는 시험환경을 구현함으로써, 레이더의 성능 시험을 위한 공간적인 제약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PAA(Programmable Array Antenna)에서 실시간으로 재밍, 다중표적, 클러터, SAR 표적 등의 모의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다양한 비행 시나리오에 따른 레이더 비행의 전장 환경을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항공기 AESA 레이더에 대한 모의신호 발생 기술 및 근전계 시험 기술을 통해 시나리오에 따른 레이더 비행의 전장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실제의 비행시험 전에 지상에서 다양한 환경에 대한 AESA 레이더의 성능 검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시험 항공기를 탑재하는 비행시험 전에 외부적 요인에 기인하는 기술적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ESA 레이더부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AESA 안테나와 계획 배열 안테나를 도시화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빔 집속 표적의 위치가 방위각 0°, 고각 0°일 때의 AESA 배열 안테나의 위상 차이를 도시화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본 실시예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는 모의 제어부(110), RF 모의신호 발생부(120), 표적신호 송신부(130) 및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빔 집속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는 시스템 모델에 근간을 둔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법과 하드웨어를 접목시킨 실시간 해석 기법의 하나인 근전계 HILS(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시스템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모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AESA 레이더의 각 운용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다수의 모의 시나리오 중 하나를 실행 모의 시나리오로 선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된 모의 시나리오의 실행에 필요한 제어신호 등을 생성하여 RF 모의신호 발생부(120) 및 벡터 변조기(134)에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의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운영 모드는, 예컨대 공대공, 공대지, 공대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RF 모의신호 발생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된 실행 모의 시나리오에 따라 후술하는 표적신호 송신부(130) 내의 다수의 계획 배열 안테나(136)를 통해 목표로 하는 모의용 표적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다수의 RF 모의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RF 모의신호 발생부(120)는 다채널 수신기(122), 신호 발생기(124) 및 전력 합성기(1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RF 모의신호 발생부(120)는 AESA 빔 집속부(14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다채널 수신기(122), 모의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신호와 AESA 빔 집속부(140)로부터의 RF 신호에 의거하여 재밍, 다중표적, 클러터 및 SAR 표적 등의 RF 모의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124) 및 신호 발생기(124)로부터 선택 발생되는 RF 모의신호의 출력을 선택하여 전력 분배기(132)로 전달하는 전력 합성기(1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 발생기(124)는, 예컨대 재밍신호 발생기, 다중표적 발생기, 클러터 발생기, SAR 표적 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표적신호 송신부(130)는 RF 모의신호 발생기(120)를 통해 발생된 RF 모의신호를 벡터 변조하여 표적신호용의 RF 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RF 신호가 다수의 계획 배열 안테나(136) 중 특정 계획 배열 안테나를 통해 표적신호로서 송신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표적신호 송신부(130)는 전력 분배기(132), 벡터 변조기(134) 및 다수의 계획 배열 안테나(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계획 배열 안테나(136)는, 예컨대 다수의 관찰면 배열 안테나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표적신호 송신부(130) 내의 전력 분배기(132)는 주어진 임무 환경 또는 모의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맞게 계획 배열 안테나에서 표적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각 벡터 변조기(134)에 RF 신호를 공급(RF 신호의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적신호는 다수의 계획 배열 안테나(136) 중에 특정 계획 배열 안테나에서 생성되는데, 이것은 모의 시나리오에 따른 시험을 위해 표적선호를 송신하는 계획 배열 안테나의 위치가 바뀌게 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벡터 변조기(134)는 계획 배열 안테나(136)의 개수만큼의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증폭기, 디지털 위상 변위기, 디지털 감쇄기 및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특정 계획 배열 안테나에서 표적신호용의 RF 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전력 분배기(132)를 통해 전달되는 표적신호용 RF 신호의 벡터를 변조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AESA 레이더부(140)는, 예컨대 다수의 AESA 안테나(142) 및 각 안테나에 대응하는 다수의 수신 모듈(도면 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모의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AESA 레이더의 주파수, 빔조향 각도, 동적범위 등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면서 계획 배열 안테나(136)로부터 송출되는 송신신호(전자파)를 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AESA 레이더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ESA 레이더부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AESA 레이더부(140)는 좌표 계산부(201), 상대 거리 계산부(203), 거리편차 계산부(205), 크기 및 위상 계산부(207) 및 빔 집속부(2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좌표 계산부(201)는 AESA 안테나(142)를 통해 수신되는 표적신호의 방위각(azimuth), 고각(elevation), 빔 집속 거리(rf) 정보에 의거하여 근전계 빔 집속 좌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1
)를 계산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좌표 계산부(201)는 방위각, 고각 및 빔 집속 거리 정보를 통해 구면 좌표계(spherical coordinate)를 데카르트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근전계 빔 집속 좌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2
)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xf = rf * cos(elevation) * cos(azimuth)
yf = rf * cos(elevation) * sin(azimuth)
zf = rf * sin(elevation)
그리고, 상대 거리 계산부(203)는 각 송수신 모듈(TRM: Transmit-Receive Module)의 좌표와 좌표 계산부(201)를 통해 계산된 근전계 빔 집속 좌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3
)에 의거하여 각 송수신 모듈(TRM)의 위치와 근전계 빔 집속 좌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4
) 간의 거리(Ra2f)를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계산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5
상기한 수학식 2에 있어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6
는, 예컨대 32×32개의 2차원 송수신 모듈(TRM) 각각의 좌표이고,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7
는 빔을 집속하고자 하는 지점의 좌표(빔 집속 좌표)이며.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8
는 배열소자(송수신 모듈)의 총 개수로, 예컨대 1024개(32×32개)일 수 있다.
다음에, 거리편차 계산부(205)는 상대 거리 계산부(203)를 통해 계산된 거리(Ra2f), 전파상수(-k0) 1 및 빔 집속 좌표와 각 송수신 모듈의 위상 중심과의 거리(zf)에 의거하여 송수신 모듈 각각의 빔 집속을 위한 거리편차(φd)를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계산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9048104461-pat00009
여기에서, 거리편차(φd)는, 각 송수신 모듈(TRM)의 근전계 빔 집속을 위한 위상 변위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크기 및 위상 계산부(207)는 원전계 빔 조향을 위한 각 송수신 모듈(TRM)의 위상 값에 거리편차 계산부(205)를 통해 계산된 거리편차(φd)를 각각 가산하여 송수신 모듈에 인가되는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계산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각 송수신 모듈(TRM)에 인가되는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원거리 영역에서의 안테나 패턴을 갖도록 함으로써, 방위각(azimuth) 방향의 빔 조향 각도, 고각(elevation) 방향의 빔 조향 각도에 따른 위상 변위 값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빔 집속부(209)는 크기 및 위상 계산부(207)를 통해 계산된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에 의거하여 근전계 기반의 빔 집속을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를 예컨대 2차원 평면으로 시각화되어 도시 생략된 표시 패널(모니터)에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은, 예컨대 2차원 평면으로 시각화된 홀로그램 영상을 공간상에 표출시키는 홀로그램 표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전계에서 원전계 빔을 모사함으로써, 예컨대 수십 미터 이상의 거리(원전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거리)를 필요로 하는 야외 시험장이 아닌 챔버 내의 수 미터(예컨대, 2미터 등) 이내의 근전계(또는 근접전계) 거리에서 AESA 안테나의 빔 조향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빔 집속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근전계 HILS 시스템의 근전계 빔 집속 알고리즘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AESA 안테나와 계획 배열 안테나(관찰면 배열 안테나)를 도시화한 예시도로서, AESA 레이더부(140)는, 예컨대 32×32개의 2차원 평면배열 안테나 빔을 계획 배열 안테나의 표적 지점으로 집속할 수 있다.
여기에서, AESA 안테나(AESA 배열 안테나) 각각을 PS(Point Source), 즉 등가전원(Equivalence Source)으로 가정하여 등가전원을 중첩하면, 근전계 빔 집속 좌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0
)에서의 복사전계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배열소자로부터 근전계 빔 집속 좌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1
)까지의 거리 차이에 의한 위상 편차 보상을 위해 NFBF 복사 알고리즘을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2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3
상기한 수학식 4에 있어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4
는, 예컨대 32×32개의 2차원 송수신 모듈(TRM) 각각의 좌표로서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5
평면상의 값이며,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6
는 빔을 집속하고자 하는 지점의 좌표(빔 집속 좌표)로써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7
평면상의 값이다.
그리고 -k0는 전파상수를, rms는 빔 집속 좌표와 각 송수신 모듈의 위상 중심과의 거리이다. 여기에서, 거리편차(
Figure 112019048104461-pat00018
)는, 각 송수신 모듈(TRM)의 근전계 빔 집속을 위한 위상 변위 값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1024개 각각의 안테나와 표적 지점의 거리를 계산하고, AESA 안테나와 관찰면 배열 안테나와의 거리 차이를 위상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도 4는 빔 집속 표적의 위치가 방위각 0°, 고각 0°일 때의 AESA 배열 안테나의 위상 차이를 도시화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상 값 보상 이후 각 AESA 안테나와 관찰점 배열 안테나의 거리가 같아짐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모의 제어부
120 : RF 모의신호 발생부
130 : 표적신호 송신부
140 : AESA 레이더부
201 : 좌표 계산부
203 : 상대 거리 계산부
205 : 거리편차 계산부
207 : 크기 및 위상 계산부
209 : 빔 집속부

Claims (6)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더의 각 운용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다수의 모의 시나리오 중 하나를 실행 모의 시나리오로 선택하는 모의 제어부와,
    선택된 상기 실행 모의 시나리오에 따라 다수의 배열 안테나를 통해 목표로 하는 모의용 표적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RF 모의신호를 발생하는 RF 모의신호 발생부와,
    발생된 상기 RF 모의신호를 벡터 변조하여 표적신호용의 RF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RF 신호를 다수의 배열 안테나 중 상기 실행 모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특정 배열 안테나를 통해 표적신호로서 송신하는 표적신호 송신부와,
    송신된 상기 표적신호를 다수의 AESA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표적신호의 검출 정보와 AESA 레이더의 각 송수신 모듈(TRM: Transmit-Receive Module)의 좌표 정보에 따라 계산된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빔 집속을 위한 위상 변위 값에 의거하여 근전계 기반의 빔 집속을 실행하는 AESA 레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AESA 레이더부는,
    상기 검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표적신호의 방위각, 고각, 빔 집속 거리 정보에 의거하여 근전계 빔 집속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와,
    상기 각 송수신 모듈(TRM)의 좌표와 상기 근전계 빔 집속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위치와 상기 근전계 빔 집속 좌표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상대 거리 계산부와,
    계산된 상기 거리, 전파상수 및 빔 집속 좌표와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위상 중심과의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빔 집속을 위한 상기 위상 변위 값인 거리편차를 계산하는 거리편차 계산부와,
    상기 각 송수신 모듈의 위상 값에 상기 거리편차를 각각 가산하여 상기 각 송수신 모듈에 인가되는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계산하는 크기 및 위상 계산부와,
    계산된 상기 급전 전류의 크기와 위상에 의거하여 근전계 기반의 빔 집속을 실행하는 빔 집속부를 포함하는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운용 모드는,
    공대공, 공대지, 공대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모의신호는,
    재밍, 다중표적, 클러터, SAR 표적 중 어느 하나인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모의신호 발생부는,
    상기 빔 집속부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다채널 수신기와,
    상기 모의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빔 집속부로부터의 RF 신호에 의거하여 재밍신호, 다중표적, 클러터 및 SAR 표적 중 어느 하나의 RF 모의신호를 선택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와,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RF 모의신호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표적신호 송신부로 전달하는 전력 합성기를 포함하는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신호 송신부는,
    상기 특정 배열 안테나에서 상기 표적신호용의 RF 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RF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분배기와,
    생성된 상기 표적신호용의 RF 신호의 벡터를 변조하여 상기 특정 배열 안테나로 전달하는 벡터 변조기를 포함하는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KR1020190055225A 2019-05-10 2019-05-10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KR10207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225A KR102072746B1 (ko) 2019-05-10 2019-05-10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225A KR102072746B1 (ko) 2019-05-10 2019-05-10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746B1 true KR102072746B1 (ko) 2020-02-03

Family

ID=6962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225A KR102072746B1 (ko) 2019-05-10 2019-05-10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840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다윈에어로테크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745A (ko) * 1995-07-07 1999-04-15 더 세크리터리 오브 스테이트 포 디펜스 페이즈드 어레이 레이더용 회로 모듈
KR101134118B1 (ko) * 2012-01-05 2012-04-0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혼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성능을 검증하는 hils 시스템
KR101337300B1 (ko) * 2012-11-23 2013-12-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능동 배열 안테나의 성능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751800B1 (ko) 2015-07-28 2017-06-29 대한민국 레이더 빔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745A (ko) * 1995-07-07 1999-04-15 더 세크리터리 오브 스테이트 포 디펜스 페이즈드 어레이 레이더용 회로 모듈
KR101134118B1 (ko) * 2012-01-05 2012-04-0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혼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성능을 검증하는 hils 시스템
KR101337300B1 (ko) * 2012-11-23 2013-12-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능동 배열 안테나의 성능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751800B1 (ko) 2015-07-28 2017-06-29 대한민국 레이더 빔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영완 외 6명. 근전계 빔 집속 시험 기법을 활용한 평면위상배열레이다 시스템 복사 및 빔 조향 특성 검증. 한국전자파학회, 한국전자파학회 논문지, vol. 30, no. 2, 2019.02, pp.160-16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840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다윈에어로테크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595774B1 (ko) * 2021-10-29 2023-10-31 주식회사 다윈에어로테크 가상현실을 이용한 aesa 레이더 운용교육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1233B1 (en) Phased array calibration apparatus
EP22705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gular deception signals
JP5653914B2 (ja) アンテナ評価装置及び方法
CN102012504B (zh) 机载二次雷达相控阵询问系统动态目标模拟器
KR101979770B1 (ko)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93124A (ko) Esa 계측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8549058A (zh) 一种二次雷达宽带有源相控阵系统及其动态校准方法
CN110739544B (zh) 一种超宽带共形相控阵天线波束控制系统及方法
KR102072746B1 (ko) Aesa 레이더의 근전계 빔 집속 장치
CN210294411U (zh) 一种基于电扫天线的太赫兹紧缩场测试系统
US6950057B1 (en) Complex radar target simulator
CN102798858A (zh) 全息型主动式微波成像方法
US9041610B1 (en) Dynamic antenna pattern measurement method
CN108983240B (zh) 基于正交调制体制的防撞毫米波雷达目标信号模拟系统及方法
CN116449311A (zh) 一种产生任意极化目标和干扰信号的模拟系统及实现方法
US61079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n antenna control system
CN115561717A (zh) 一种具有可重构功能的雷达辐射源模拟装置
CN111965602B (zh) 一种相控阵雷达幅相一致性检测方法和系统
KR102012392B1 (ko)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빔을 조향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KR102189867B1 (ko) 위상 배열 안테나 보정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080224929A1 (en) Method for producing wavefronts at a desired angle
JPH1164487A (ja) フェーズドアレイ空中線のモニタ方式
RU2402036C2 (ru) Имитатор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цели
KR102551830B1 (ko) 방위모의신호 발생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16191B1 (ko) 모노펄스 신호를 모의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