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500B1 - 내시경 포셉 - Google Patents

내시경 포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500B1
KR102595500B1 KR1020200146030A KR20200146030A KR102595500B1 KR 102595500 B1 KR102595500 B1 KR 102595500B1 KR 1020200146030 A KR1020200146030 A KR 1020200146030A KR 20200146030 A KR20200146030 A KR 20200146030A KR 102595500 B1 KR102595500 B1 KR 10259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tissue
jaw member
blade
tens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246A (ko
Inventor
강익주
안혁
한창훈
Original Assignee
(주)위드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메디컬 filed Critical (주)위드메디컬
Priority to KR102020014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5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포셉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연장튜브에 내장되는 인장와이어와; 상기 연장튜브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인장와이어와 결합하고 인장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작부와; 상기 연장튜브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홀더와; 지지핀을 통해 상기 홀더에 장착되며, 하나의 쌍을 이루고, 벌어진 상태로 채취대상부로 접근한 후 조직을 물어 절제하는 제1죠오부재 및 제2죠오부재를 포함하는 죠오부와; 상기 죠오부와 인장와이어를 연결시켜, 인장와이어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지게 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죠오부에는; 상기 제1죠오부재와 제2죠오부재의 사이로 진입하는 채취대상부가, 제1,2죠오부재의 절제범위 보다 후방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진입제한수단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내시경 포셉은, 조직의 채취 시, 채취대상부가 죠오부의 날부 뒤쪽으로 넘어가지 않으므로, 채취대상부에 대한 절개가 완벽하여, 조직의 뜯어짐이나 그로 인한 출혈의 염려가 없어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포셉{Endoscopic forcep}
본 발명은 내시경 내부의 워킹채널(working channel)을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의 의심 조직을 채취하는 내시경 포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직 채취 시 조직의 부분적인 뜯어짐을 방지하여 출혈을 유발하지 않는, 내시경 포셉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내시경은, 위나 대장(大腸) 등 체내 장기의 내부에 접근하여 장기의 내벽면을 근접 촬영 및 진단할 수 있게 하는 의료기구로서, 촬영과 동시에 해당 지점의 의심 조직이나 체액을 채취할 수 있어 병의 진단이나 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광학이나 전자 제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전의 단순한 촬영이나 조직 채취에 그치지 않고, 내시경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채널을 통해, 필요한 시술을 진행할 수도 있다. 과거에 행해지던 몇몇 외과적 개복 수술이 내시경을 통한 비개복 시술로 대신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의 가능 범위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맞는 처치구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상기 처치구에는, 용종을 떼어내는 스네어, 지혈을 목적으로 하는 헤모클립, 식염수나 필요한 약액을 주입하는 인젝터, 조직을 떼어내는 포셉 등이 있다.
이러한 처치구 들은, 내시경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워킹채널(working channel)에 끼워 사용한다. 워킹 채널은 내시경의 바디로부터 튜브의 단부에 까지 연장된 통로이다
상기 포셉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조작부와, 워킹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장튜브와, 연장튜브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죠오로 구성된다. 죠오는 체내 조직을 물어 채취하는 부분이다.
내시경 포셉과 관련된 배경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54026호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포셉은, 본체의 이동슬롯에 제1슬라이더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제1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있는 제1와이어가 내장된 가요성튜브와, 가요성튜브의 단부에 체결되며 제1와이어의 전후 이동에 따라 그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포셉을 갖는 작동부로 이루어진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에 있어서, 본체의 이동슬롯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체결되며 가요성튜브에 내장되는 제2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한 쌍의 포셉 내측에서 왕복 운동하는 분리판이 구비되며, 분리판은 상기 제2슬라이더의 전후 이동에 따라 포셉 내측에서 왕복 운동하며 포셉의 선단에 채취되어 있는 조직을 포셉으로부터 분리시켜주는 구조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내시경 포셉의 구조 및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포셉(10)은, 한 쌍의 죠오(13), 홀더(11), 링크로드(14), 인장와이어(15), 조작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죠오(13)는 죠오지지핀(12)을 통해 홀더(11)의 단부에 지지된다. 또한, 링크로드(14)는, 일단부가 연결핀(14a)을 통해 각 죠오(1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인장와이어(15)에 고정된다. 죠오(13)는, 조작부를 이용해 인장와이어(15)를 후방으로 당길 때 오므라지고, 조작부를 놓으면 (조직부 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벌어진다.
죠오(13)를 체내기관의 의심지점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오므리면, 채취대상부(101)가 죠오(13)에 물린 후 날부(13a)에 의해 절단된다. 날부(13a)에 의해 절단되는 부분은 도 2에 도시한 커팅라인(103)이다.
그런데 종래의 포셉(10)은, 죠오(13)의 구조 상, 채취대상부(101)의 절개가 완전하지 않아, 일부분이 뜯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커팅부(105)를 남기는 것이다. 미커팅부(105)는 시술자가 포셉(10)을 당길 때 뜯어져 출혈을 발생하게 된다. 미커팅부가 남는 이유는, 채취대상부(101)의 일부가, 날부(13a)와 홀더(11)의 사이, 즉 도 1의 후방공간(13c)에 까지 진입하기 때문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54026호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00075호 (헤드부의 방향 제어가 가능한 내시경용 생검 검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채취대상부에 대한 절개가 완벽하여, 조직의 뜯어짐이나 그로 인한 출혈의 염려가 없어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내시경 포셉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내시경 포셉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연장튜브에 내장되는 인장와이어와; 상기 연장튜브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인장와이어와 결합하고 인장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작부와; 상기 연장튜브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홀더와; 지지핀을 통해 상기 홀더에 장착되며, 하나의 쌍을 이루고, 벌어진 상태로 채취대상부로 접근한 후 조직을 물어 절제하는 제1죠오부재 및 제2죠오부재를 포함하는 죠오부와; 상기 죠오부와 인장와이어를 연결시켜, 인장와이어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지게 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죠오부에는; 상기 제1죠오부재와 제2죠오부재의 사이로 진입하는 채취대상부가, 제1,2죠오부재의 절제범위 보다 후방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진입제한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죠오부재는; 절제된 조직을 수용하며 제2죠오부재측으로 개방된 조직수용공간을 갖는 제1본체부와, 상기 제1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채취대상부의 조직을 절단하는 제1선단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죠오부재는; 절제된 조직을 수용하며 제1죠오부재측으로 개방된 조직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제1선단날부에 대응하고 채취대상부의 조직을 절단하는 제2선단날부를 구비하며, 상기 진입제한수단은; 상기 제1선단날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제1스토핑날부와, 제2선단날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되 제1스토핑날부에 밀착하는 제2스토핑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토핑날부와 제2스토핑날부는, 제1,2죠오부재가 벌어진 상태에서 채취대상부가 제1,2선단날부의 후방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고,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질 때 교차운동하며 채취대상부를 절단한다.
또한, 상기 제1스토핑날부와 제2스토핑날부는,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스토핑날부는, 제1선단날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제2스토핑날부를 향해 만곡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핑날부는, 제2선단날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제1스토핑날부를 향해 만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죠오부재는; 절제된 조직을 수용하며 제2죠오부재측으로 개방된 조직수용공간 및 상기 조직수용공간의 둘레에 형성된 장착홈을 갖는 제1본체부, 상기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채취대상부의 조직을 절단하는 제1장착날부가 구비된 제1착탈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죠오부재는; 절제된 조직을 수용하며 제1죠오부재측으로 개방된 조직수용공간 및 조직수용공간의 둘레에 형성된 장착홈을 갖는 제2본체부, 상기 제2본체부의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채취대상부의 조직을 절단하는 제2장착날부가 구비된 제2착탈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제한수단은; 상기 제1장착날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제1스토핑날부와, 상기 제2장착날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되 제1스토핑날부와 밀착하는 제2스토핑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토핑날부와 제2스토핑날부는, 제1,2죠오부재가 벌어진 상태에서 채취대상부가 제1,2장착날부의 후방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고,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질 때 교차운동하며 채취대상부를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장착날부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각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질 때 채취대상부를 절제하고, 상기 제1,2스토핑날부는; 제1,2장착날부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를 이루며 만곡된 형상을 취한다.
또한, 상기 진입제한수단은; 상기 제1죠오부재의 양측부에 장착되고, 제1죠오부재와 제2죠오부재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제2죠오부재의 양측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된 한 쌍의 차단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죠오부재의 조직수용공간 내벽면에는 내부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죠오부재의 제2선단날부는,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상기 내부걸림턱부에 접한다.
아울러, 상기 제1,2장착날부는, 일정폭의 띠 형태를 취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제1,2장착날부를 수용하되 수용된 제1,2장착날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장착홈에는, 장착홈에 제1,2장착날부를 끼울 때, 장착홈이 탄성 변형할 수 있게 작용하는 신축슬릿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다른 내시경 포셉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연장튜브에 내장되는 인장와이어와; 상기 연장튜브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인장와이어와 결합하고 인장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작부와; 상기 연장튜브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홀더와; 지지핀을 통해 상기 홀더에 장착되며, 하나의 쌍을 이루고, 벌어진 상태로 채취대상부로 접근한 후 조직을 물어 절제하는 제1죠오부재 및 제2죠오부재를 포함하는 죠오부와; 상기 죠오부와 인장와이어를 연결시켜, 인장와이어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지게 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제1죠오부재와 제2죠오부재의 사이로 진입하는 채취대상부가, 제1,2죠오부재의 절제범위 보다 후방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진입제한수단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진입제한수단은; 홀더의 선단부 양측에 일체를 이루며, 제1죠오부재 및 제2죠오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2죠오부재의 양측부 일부를 커버하는 스토퍼부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내시경 포셉은, 조직의 채취 시, 채취대상부가 죠오부의 날부 뒤쪽으로 넘어가지 않으므로, 채취대상부에 대한 절개가 완벽하여, 조직의 뜯어짐이나 그로 인한 출혈의 염려가 없어 효율적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내시경 포셉의 구조 및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죠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내시경 포셉을 이용한 조직 채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에서의 죠오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죠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죠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죠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포셉은, 채취대상부의 절제 시, 조직의 뜯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출혈의 염려가 없으므로 효율적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내시경 포셉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연장튜브에 내장되는 인장와이어와; 상기 연장튜브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인장와이어와 결합하고 인장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작부와; 상기 연장튜브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홀더와; 지지핀을 통해 상기 홀더에 장착되며, 하나의 쌍을 이루고, 벌어진 상태로 채취대상부로 접근한 후 조직을 물어 절제하는 제1죠오부재 및 제2죠오부재를 포함하는 죠오부와; 상기 죠오부와 인장와이어를 연결시켜, 인장와이어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지게 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죠오부에는; 상기 제1죠오부재와 제2죠오부재의 사이로 진입하는 채취대상부가, 제1,2죠오부재의 절제범위 보다 후방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진입제한수단이 형성된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3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죠오부(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내시경 포셉을 이용한 조직 채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30)은, 연장튜브(37), 인장와이어(35), 조작부(31), 홀더(41), 죠오부(50), 링크로드(43)를 구비한다.
연장튜브(37)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랙시블한 성질의 중공 튜브로서 그 내부에 인장와이어(35)를 수용한다. 연장튜브(37)는 내시경(미도시)의 워킹채널을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인장와이어(35)는, 연장튜브(37)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위치 조절 가능한 강선으로서, 선단부는 링크로드(43)에, 후단부는 조작부(31)의 슬라이더(33)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슬라이더(33)를 후방, 즉 화살표 a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인장와이어(35)도 후방으로 당겨짐은 당연하다. 본 설명에서의 전방은 죠오부(50)가 위치한 방향이고, 후방은 조작부(31)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한다.
조작부(31)는, 연장튜브(37)의 후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인장와이어(35)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서, 가이드케이싱(31a)과 슬라이더(33)를 갖는다. 가이드케이싱(31a)은 인장와이어(3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슬릿(31c)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케이싱(31a)의 후단부에는 고리형 걸이구멍(31e)이 형성된다.
슬라이더(33)는 가이드슬릿(31c)에 지지된 상태로 직선운동 하는 부속으로서 인장와이어(35)의 후단부와 결합한다. 사용자는 걸이구멍(31e)에 엄지를 끼우고, 중지와 검지로 슬라이더(33)를 파지한 상태로 슬라이더(33)를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케이싱(31a)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된다. 스프링은 슬라이더(33)를 전방(화살표 a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조작부(31)의 구성과 역할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홀더(41)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된 원통형 부재로서, 연장튜브(37)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지지핀(55)을 통해 죠오부(50)를 지지한다. 홀더(41)의 양측부에는 측부개방부(41a)가 마련되어 있고, 단부에는 관통구멍(도 9의 41c)이 형성되어 있다.
측부개방부(41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로드(43)가 연장튜브(37)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마련한 통로이고, 관통구멍(41c)은 지지핀(55)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지지핀(55)은, 일측 관통구멍(41c), 제1죠오부재(51)의 지지핀구멍(51h), 제2죠오부재(53)의 지지핀구멍(53h), 타측 관통구멍(41c)을 차례로 통과한 후, 핀캡(55a)과 결합한다. 핀캡(55a)은 지지핀(55)의 단부와 결합하여 지지핀(55)이 빠지지 않게 한다.
죠오부(50)는, 지지핀(55)을 통해 홀더(41)에 장착되며, 하나의 쌍을 이루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어진 상태로 채취대상부(101)로 접근한 후 채취대상물, 즉 의심조직을 물어 절제하는 것으로서,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와 진입제한수단을 포함한다.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한 상태로 지지핀(55)을 통해 홀더(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죠오부재(51)는, 제1본체부(51a), 링크로드연결부(51g), 한 쌍의 제1스토핑날부(51e)를 포함한다. 제1스토핑날부(51e)는 진입제한수단의 일부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본체부(51a)에는 조직수용공간(51b)과 제1선단날부(51c)가 마련되어 있다. 조직수용공간(51b)은, 채취대상부에 대한 절제를 통해 채취된 의심 조직을 임시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제2죠오부재(53)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조직수용공간(51b)은,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제2본체부(53a)의 조직수용공간(53b)과 만나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제1선단날부(51c)는, 제1본체부(51a)의 선단부, 말하자면, 제1본체부(51a)와 채취대상부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일체형 칼날이다. 제1선단날부(51c)는 대략 U자의 형상을 취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취대상부(101)를 물었을 때 U자 모양의 커팅라인(103)을 형성하는 것이다.
링크로드연결부(51g)는, 제1본체부(51a)의 후방에 일체를 이루는 판상부분으로서, 지지핀구멍(51h)과 연결핀구멍(51j)을 갖는다. 링크로드연결부(51g)는 제2죠오부재(53)의 링크로드연결부(53g)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지지핀구멍(51h)은 지지핀(55)이 끼워지는 구멍이고, 연결핀구멍(51j)은 죠오연결핀(43a)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제1스토핑날부(51e)는, 대략, 원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의 커팅수단으로서, 제1선단날부(51c)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룬다. 즉, 제1스토핑날부(51e)는 제1선단날부(51c)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후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제2죠오부재(53) 측으로 만곡 되는 것이다.
한편, 제2죠오부재(53)는, 제2본체부(53a), 링크로드연결부(53g), 한 쌍의 제2스토핑날부(53e)를 포함한다. 제2스토핑날부(53e)는 제1스토핑날부(51e)와 함께 진입제한수단을 구성한다.
제2본체부(53a)에는 조직수용공간(53b)과 제2선단날부(53c)가 형성되어 있다. 조직수용공간(53b)은, 채취대상부에 대한 절제를 통해 채취된 의심 조직을 임시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제1죠오부재(51)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조직수용공간(53b)은,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제1본체부(51a)의 조직수용공간(51b)과 만나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제2선단날부(53c)는, 제2본체부(53a)의 선단부, 말하자면, 제2본체부(53a)와 채취대상부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일체형 칼날이다. 제2선단날부(53c)도 제1선단날부와 마찬가지로 대략 U자의 형상을 취한다.
링크로드연결부(53g)는, 제2본체부(53a)의 후방에 일체를 이루는 판상부분으로서, 지지핀구멍(53h)과 연결핀구멍(53j)을 갖는다. 지지핀구멍(53h)은 지지핀(55)이, 연결핀구멍(53j)은 죠오연결핀(43a)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제2스토핑날부(53e)는, 대략, 원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의 커팅수단으로서, 제2선단날부(53c)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룬다. 즉, 제2스토핑날부(53e)는 제2선단날부(53c)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후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제1죠오부재(51) 측으로 만곡 형성된 블레이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스토핑날부(51e)와 제2스토핑날부(53e)는 (마치 가위처럼) 상호 접하며, 진입제한수단의 역할을 한다. 진입제한수단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가 벌어진 상태로 채취대상부(101)로 이동할 때, 채취대상부(101)가, 죠오부(50)의 날부, 즉, 제1선단날부(51c)와 제2선단날부(53c)의 뒤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채취대상부(101)가 제1,2죠오부재(51,53)의 절제범위 보다 후방(화살표 b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취대상부(101)에 형성되는 커팅라인(103)에 미커팅부는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제1스토핑날부(51e)와 제2스토핑날부(53e)는 대상물을 절제할 수 있는 칼날이므로,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가, 채취대상부(101)를 사이에 두고 다물어질 때, 마치 가위와 같이, 서로에 대해 교차하며, 채취대상부(101)를 절제한다. 커팅라인(103)의 양단부는 제1,2스토핑날부(51e,53e)로부터 시작되어 제1,2선단날부(51c,53c)에서 끝난다.
상기 링크로드(43)는, 죠오부(50)와 인장와이어(35)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두 개가 쌍을 이룬다. 두 개의 링크로드 중, 하나의 링크로드(43)는 제1죠오부재(51)와 인장와이어(35)를, 나머지 하나의 링크로드는 제2죠오부재(53)와 인장와이어(35)를 연결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와이어(35)를 화살표 e방향으로 당기면 링크로드(43)의 사이각이 좁아지며,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가 다물어져, 채취대상부(101)에 대한 절제가 진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30)에서의 죠오부(5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된 포셉(30)은, 제1죠오부재(51)가 제1본체부(51a)와 제1착탈블레이드(52)의 조립구조를 가지고, 제2죠오부재(53)가 제2본체부(53a)와 제2착탈블레이드(54)의 조립 구조를 가진다.
제1본체부(51a)는, 조직수용공간(51b)과 장착홈(51k)을 갖는다. 조직수용공간(51b)은 제2죠오부재(53) 측으로 개방되며 절제된 조직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또한 장착홈(51k)은 조직수용공간(51b)의 둘레에 형성된 홈으로서, 제1착탈블레이드(52)의 제1장착날부(52a)를 수용 고정한다. 특히 장착홈(51k)에는 다수의 신축슬릿(51r)과 이탈방지돌기(51s)가 마련되어 있다.
신축슬릿(51r)은, 장착홈(51k)에 제1장착날부(52a)를 끼울 때, 장착홈이 탄성 변형할 수 있게 작용한다. 즉, 제1장착날부(52a)가 장착홈(51k)에 끼워지는 동안 장착홈(51k)이 내측으로 오므라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탈방지돌기(51s)는 장착홈(51k)에 끼워진 제1장착날부(52a)가, 장착홈(51k)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돌출부로서, 제1장착날부(52a)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구멍(52k)에 삽입된다. 제1착탈블레이드(52)를 장착홈(51k)에 압입하여, 이탈방지돌기(51s)가 사각구멍(52k)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제1본체부(51a)에 대한 제1착탈블레이드(52)의 장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장착홈(51k)으로부터 제1착탈블레이드(52)의 분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착탈블레이드(52)는, 장착홈(51k)에 끼워지는 U자형 제1장착날부(52a), 제1장착날부(52a) 양단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대(52e), 제1장착날부(52a)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제1스토핑날부(52c)로 이루어진다. 제1스토핑날부(52c)는 후술할 제2스토핑날부(54c)와 함께 진입제한수단을 구성한다.
제1장착날부(52a)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칼날이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 부재로서, U자형으로 벤딩되고 양단부가 연결대(52e)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장착날부(52a)에는 다수의 사각구멍(52k)이 형성되어 있다. 사각구멍(52k)은 이탈방지돌기(51s)를 수용하는 구멍이다.
제1스토핑날부(52c)는 제1장착날부(52a)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만곡된 형태를 취하는 칼날로서,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2스토핑날부(54c)와 함께 진입제한수단의 기능을 담당한다. 제1,2스토핑날부(52c,54c)을 통한 진입제한수단의 기능은, 위에 설명한 제1,2스토핑날부(51e,53e)와 동일하다.
한편, 제2죠오부재(53)는, 제2본체부(53a)와 제2착탈블레이드(54)로 이루어진다. 제2본체부(53a)는, 조직수용공간(53b)과 장착홈(53k)을 갖는다. 장착홈(53k)은 조직수용공간(53b)의 둘레에 형성된 홈으로서, 제2착탈블레이드(54)의 제2장착날부(54a)를 수용 고정한다. 아울러 장착홈(53k)에는 다수의 신축슬릿(53m)과 이탈방지돌기(53n)가 마련되어 있다.
신축슬릿(53m)은, 장착홈(53k)에 제2장착날부(54a)를 끼울 때, 장착홈(53k)이 탄성 변형할 수 있게 작용한다. 즉, 제2장착날부(54a)가 장착홈(53k)에 끼워지는 동안 장착홈(53k)이 내측으로 오므라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탈방지돌기(53n)는 장착홈(53k)에 끼워진 제2장착날부(54a)가, 장착홈(53k)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돌출부로서, 제2장착날부(54a)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구멍(54k)에 삽입된다. 제2착탈블레이드(54)를 장착홈(53k)에 압입하여, 이탈방지돌기(53n)가 사각구멍(54k)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제2본체부(53a)에 대한 제2착탈블레이드(54)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당연히, 장착홈(53k)으로부터 제2착탈블레이드(54)의 분리도 가능하다.
제2착탈블레이드(54)는, 장착홈(53k)에 끼워지는 U자형 제2장착날부(54a), 제2장착날부(54a) 양단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대(54e), 제2장착날부(54a)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제2스토핑날부(54c)로 이루어진다. 제2스토핑날부(54c)는 제1스토핑날부(52c)와 함께 진입제한수단을 구성한다.
제2장착날부(54a)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칼날이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 부재로서, U자형으로 벤딩되고 양단부가 연결대(54e)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장착날부(54a)에는 다수의 사각구멍(54k)이 형성되어 있다. 사각구멍(54k)은 이탈방지돌기(53n)를 수용하는 구멍이다.
제2스토핑날부(54c)는 제2장착날부(54a)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만곡된 형태를 취하는 칼날로서, 제2스토핑날부(54c)와 함께 진입제한수단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본체부(51a)에 대해 제1착탈블레이드(52)를, 제2본체부(53a)에 제2착탈블레이드(54)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2착탈블레이드(52,54)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30)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죠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본체부(51a)의 양측에 스토퍼부(51p)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토퍼부(51p)는,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제2죠오부재(53)의 양측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된 사각판상 부재이며, 상기한 진입제한수단의 역할을 한다.
스토퍼부(51p)는,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2죠오부재(53)의 양측부에 도달하여, 조직 채취시, 채취대상부(101)가 스토퍼부(51p)의 후방으로 넘어가는 것을 충분히 차단한다.
한편, 제1본체부(51a)의 조직수용공간(51b) 내벽면에는 내부걸림턱부(51m)가 마련되어 있다. 내부걸림턱부(51m)는,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제2선단날부(53c)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조직수용공간(51b,53b) 내에 포획된 의심 조직의 외곽부는, 내부걸림턱부(51m)와 제2선단날부(53c)의 사이에 찝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57은 와셔이다. 와셔(57)는 상호 대향하는 링크로드연결부(51g,53g)의 사이에 끼워지며 링크로드연결부의 마찰을 완화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30)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죠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포셉(30)은 도 8에 도시한 포셉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2선단날부(53c)는 제1선단날부(51c)와의 교차운동을 통해 채취대상부(101)를 절제하면서 조직수용공간(51b)으로 삽입되어 내부걸림턱부(51m)의 앞에 도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포셉(30)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죠오부(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홀더(41)의 선단부 양측에 스토퍼부(41f)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토퍼부(41f)는 위에 설명한 진입제한수단의 다른 구현 예이다. 즉, 스토퍼부(41f)는, 제1죠오부재(51)와 제2죠오부재53)의 사이로 진입하는 채취대상부가, 제1,2죠오부재의 절제범위 보다 후방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토퍼부(41f)는 홀더(41)에 일체를 이루며,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후, 전방으로 다시 한 번 절곡된 형상을 취한다. 채취대상부의 진입을 제한할 수 있는 한, 스토퍼부(41f)의 형상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포셉 11:홀더 12:죠오지지핀
13:죠오 13a:날부 13c:후방공간
14:링크로드 14a:연결핀 15:인장와이어
30:포셉 31:조작부 31a:가이드케이싱
31c:가이드슬릿 31e:걸이구멍 33:슬라이더
35:인장와이어 37:연장튜브 41:홀더
41a:측부개방부 41c:관통구멍 41f:스토퍼부
43:링크로드 43a:죠오연결핀 50:죠오부
51:제1죠오부재 51a:제1본체부 51b:조직수용공간
51c:제1선단날부 51e:제1스토핑날부 51g:링크로드연결부
51h:지지핀구멍 51j:연결핀구멍 51k:장착홈
51m:내부걸림턱부 51p:스토퍼부 51r:신축슬릿
51s:이탈방지돌기 52:제2착탈블레이드 52a:제1장착날부
52c:제1스토핑날부 52e:연결대 52k:사각구멍
53:제2죠오부재 53a:제2본체부 53b:조직수용공간
53c:제2선단날부 53e:제2스토핑날부 53g:링크로드연결부
53h:지지핀구멍 53j:연결핀구멍 53k:장착홈
53m:신축슬릿 53n:이탈방지돌기 54:제2착탈블레이드
54a:제2장착날부 54c:제2스토핑날부 54e:연결대
54k:사각구멍 55:지지핀 55a:핀캡
57:와셔 101:채취대상부 103:커팅라인
105:미커팅부

Claims (12)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연장튜브에 내장되는 인장와이어와;
    상기 연장튜브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인장와이어와 결합하고 인장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작부와;
    상기 연장튜브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홀더와;
    지지핀을 통해 상기 홀더에 장착되며, 하나의 쌍을 이루고, 벌어진 상태로 채취대상부로 접근한 후 조직을 물어 절제하는 제1죠오부재 및 제2죠오부재를 포함하는 죠오부와;
    상기 죠오부와 인장와이어를 연결시켜, 인장와이어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지게 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죠오부에는,
    상기 제1죠오부재와 제2죠오부재의 사이로 진입하는 채취대상부가, 제1,2죠오부재의 절제범위 보다 후방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진입제한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장 튜브에 고정되는 가이드 케이싱과 걸이형 고리구멍,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싱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가이드 케이싱의 가이드 슬릿을 통해 상기 인장와이어와 결합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인장와이어를 움직여 상기 링크로드를 통해 상기 죠오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조작부에 외력의 비존재시 상기 가이드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는 스프링을 통해 상기 죠오부를 향하여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1죠오부재는,
    절제된 조직을 수용하며 제2죠오부재측으로 개방된 조직수용공간을 갖는 제1본체부와, 상기 제1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채취대상부의 조직을 절단하는 제1선단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죠오부재는,
    절제된 조직을 수용하며 제1죠오부재측으로 개방된 조직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제1선단날부에 대응하고 채취대상부의 조직을 절단하는 제2선단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죠오부재의 조직수용공간 내벽면에는 내부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죠오부재의 제2선단날부는, 제1,2죠오부재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상기 내부걸림턱부에 접하는,
    내시경 포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제한수단은;
    상기 제1죠오부재의 양측부에 장착되고, 제1죠오부재와 제2죠오부재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제2죠오부재의 양측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된 한 쌍의 차단탭을 포함하는,
    내시경 포셉.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46030A 2020-11-04 2020-11-04 내시경 포셉 KR10259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30A KR102595500B1 (ko) 2020-11-04 2020-11-04 내시경 포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30A KR102595500B1 (ko) 2020-11-04 2020-11-04 내시경 포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46A KR20220060246A (ko) 2022-05-11
KR102595500B1 true KR102595500B1 (ko) 2023-10-30

Family

ID=8160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30A KR102595500B1 (ko) 2020-11-04 2020-11-04 내시경 포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5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082B1 (ko) * 2009-09-15 2010-06-1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생검 겸자
JP2014121618A (ja) * 2011-10-26 2014-07-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超音波処置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0085B1 (en) * 2001-06-12 2002-08-27 Jacek Krzyzanowski Method of assembling a non-metallic biopsy forceps jaw and a non-metallic biopsy forceps jaw
KR101800075B1 (ko) 2015-05-21 2017-1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부의 방향 제어가 가능한 내시경용 생검 겸자
KR101754026B1 (ko) 2016-04-29 2017-07-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
BR112019015990A2 (pt) * 2017-02-22 2020-03-31 Krzyzanowski Jacek Montagem de garras para ferramenta cirúrgica e elemento de coleta de amostra para biópsia
KR20190008744A (ko) * 2017-07-17 2019-01-25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082B1 (ko) * 2009-09-15 2010-06-1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생검 겸자
JP2014121618A (ja) * 2011-10-26 2014-07-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超音波処置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46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298B1 (ko) 분리 가능한 핸들을 구비한 조직 세절기
US5873886A (en) Surgical cutting apparatus
EP1221896B1 (en) Biopsy jaw assembly
US5176695A (en) Surgical cutting means
US5922002A (en) Surgical instrument with jaws and movable internal biopsy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EP2055237B1 (en) Living tissue harvesting apparatus
US7918785B2 (en) Medical apparatus,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apparatus
US8906041B2 (en) Placing sutures
US5976075A (en) Endoscope deployment apparatus
JP4157183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20160081678A1 (en) Hinged needle
US20090143794A1 (en) Tissue resection device
US20160302815A1 (en) Reverse seam ripper dissector
US7278971B2 (en) Endoscopic multiple biopsy forceps with swing member
JP2015000341A (ja) 交換可能なポーチを有する再使用可能なシャフトを含む標本回収デバイス
US20060084885A1 (en) Endoscopic multiple biopsy forceps with swing member
KR101754026B1 (ko)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
JP3810157B2 (ja) 吸引生検具
JP4628637B2 (ja) 生検装置
JPH10137251A (ja) 連続生検具
KR102595500B1 (ko) 내시경 포셉
KR20190008744A (ko)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JP5775866B2 (ja) 医療器具
JP3968962B2 (ja) 切除片回収具
US9301738B2 (en) Tissue sample securement and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