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451B1 - 접이식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접이식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451B1
KR102595451B1 KR1020210074507A KR20210074507A KR102595451B1 KR 102595451 B1 KR102595451 B1 KR 102595451B1 KR 1020210074507 A KR1020210074507 A KR 1020210074507A KR 20210074507 A KR20210074507 A KR 20210074507A KR 102595451 B1 KR102595451 B1 KR 10259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illar
lower flange
web
vertica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902A (ko
Inventor
김현석
이승창
박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4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17Set of building elements forming a self-contained package for transport before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건축 구조물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제1 보 부재와 제2 보 부재를 포함하는 수평보 및 상기 수평보의 양단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둥부재와 제2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수직기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건축 구조물{FOLDABLE ARCHITECTURAL STRUCTURE}
본 발명은 모듈러 구조의 건축물에 적용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운반 가능 적재높이를 초과하는 건축물의 운반을 위해 폴딩 및 언폴딩이 가능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건축물을 현장 외 공장 등의 공간에서 제작할 경우 트레일러 등의 운반 차량에 적재하여 현장으로 운송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로를 통한 운송이 일반적인데 도로교통법 운행 제한 차량의 기준에 높이 제한이 존재하여 적재물의 사이즈에 제약이 생긴다.
한편, 적재물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용이한 운송을 위해 해당 건축물을 모듈화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로, 현장 외 공장 등의 공간에서 모듈화를 진행하는 경우, 모듈의 수직 분절이 필요하다. 둘째로, 현장에서 모듈화를 진행하는 경우, 모듈의 제작을 위한 현장 내 별도의 부지가 필요하고 부지의 조성 및 철거에 따른 리소스가 발생한다.
이에, 운송 및 시공에 있어서 간편하고 효율적인 모듈러 구조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6342호(2019.11.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보 이음부에 탈부착식의 힌지 플레이트가 장착된 폴딩 및 언폴딩이 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구현함으로써 도로 운반 가능 적재높이를 초과하는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구조물의 기둥 또는 보 부분에 로프나 체인블럭 또는 유압장치를 적용하여 폴딩된 건축 구조물을 언폴딩시킴으로써 운반된 구조물을 현장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건축 구조물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제1 보 부재와 제2 보 부재를 포함하는 수평보 및 상기 수평보의 양단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둥부재와 제2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수직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기둥은 상기 제1 보 부재 및 상기 제2 보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기둥부재와, 상기 제1 보 부재 및 상기 제2 보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기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부재 및 상기 제2 기둥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수평보의 양단과 접촉되도록 제1 웨브와 상기 제1 웨브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 플랜지 및 제1 하부 플랜지로 구성되는 이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보 부재 및 상기 제2 보 부재는 제2 웨브와 상기 제2 웨브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상부 플랜지 및 제2 하부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하부 플랜지와 상기 제2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힌지구조의 절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첩부재는 상기 제1 하부 플랜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절첩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하부 플랜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절첩플레이트 및 절첩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첩플레이트와 상기 제2 절첩플레이트에 제1 볼트부재가 핀접합 됨에 따라 상기 수직기둥의 폴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기둥이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둥부재 및 상기 제2 기둥부재의 일단과 각각의 보 부재를 연결하여 폴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받침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음부와 상기 수평보의 양단이 결합되는 접합부위 중 상기 제1 웨브 및 상기 제2 웨브와 마주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둥의 언폴딩 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제2 볼트부재가 핀접합됨에 따라 상기 수평보와 상기 수직기둥 간의 수직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기둥의 언폴딩 시, 상기 이음부와 상기 수평보의 양단이 결합되는 접합부위 중 상기 제1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하부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보 부재와 상기 제2 보 부재의 양단에는 로프 또는 체인블럭이 결속되기 위한 결속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평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기둥의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하도록 신축 동작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기둥부재와 상기 제2 기둥부재의 일단에는 탈부착 가능한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 이음부에 탈부착식의 힌지 플레이트가 장착된 폴딩 및 언폴딩이 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구현함으로써 도로 운반 가능 적재높이를 초과하는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조물의 기둥 또는 보 부분에 로프나 체인블럭 또는 유압장치를 적용하여 폴딩된 건축 구조물을 언폴딩시킴으로써 운반된 구조물을 현장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딩 상태의 접이식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언폴딩 상태의 접이식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이식 건축 구조물의 폴딩 또는 언폴딩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모듈러 건축물을 현장으로 제공 시 트레일러 등의 운반 차량에 적재하여 운송하게 되는데, 도로운반이 가능한 적재물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약 4.2m로 모듈러의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사이즈의 제약이 생긴다.
한편, 해당 건축물을 모듈화 하기 위해서는 공장 등의 별도 공간에서 모듈화를 수행하거나, 현장에서 직접 모듈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모듈의 수직 분절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 모듈의 제작을 위한 현장 내 별도의 부지가 필요하고 부지의 조성 및 철거에 따른 리소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기반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로운반이 가능한 적재물의 높이 제한 없이 운송 가능한 건축물 즉, 건축 구조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딩 상태의 접이식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언폴딩 상태의 접이식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건축 구조물은 수평보(100)와 수직기둥(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보(100)와 수직기둥(200)은 H형강, I형강, C형강, T형강 등 다양한 형태의 형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C형강과 유사한 형태의 디귿(ㄷ)자 형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보(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서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보 부재(110)와 제2 보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보 부재(110)와 제2 보 부재(120)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1 보 부재(110)와 제2 보 부재(120)는 디귿(ㄷ)자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웨브와 플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보 부재(110)와 제2 보 부재(120)는 제2 웨브(101a)와 제2 웨브(101a)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상부 플랜지(101b)와 제2 하부 플랜지(101c)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측이란 웨브의 상부와 하부를 의미한다.
참고로, 수평보(100)는 각 보 부재(110,120)의 디귿(ㄷ)자 형강에서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직기둥(200)은 수평보(100)의 양단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둥부재(210)와 제2 기둥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기둥(200)은 제1 보 부재(110) 및 제2 보 부재(12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기둥부재(210)와, 제1 보 부재(110) 및 제2 보 부재(12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기둥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기둥부재(210)는 제1 보 부재(110)와 제2 보 부재(120)의 일단에 결합되는 2개 즉, 한 쌍의 기둥부재를 포함하고, 제2 기둥부재(220)는 제1 보 부재(110)와 제2 보 부재(120)의 타단에 결합되는 2개 즉, 한 쌍의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정확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둥부재(210) 및 상기 제2 기둥부재(220)의 일단에는 수평보(100)의 양단과 접촉되는 이음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둥부재(210)의 일단에는 수평보(100)의 좌측 끝단과 접촉되는 이음부(20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기둥부재(220)의 일단에는 수평보(100)의 우측 끝단과 접촉되는 이음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이란 각 기둥부재(210,220)의 상단을 의미한다.
이음부(201)는 수직기둥(200)이 수평보(100)에 대해 폴딩 또는 언폴딩 시 각 기둥부재와 각 보 부재(110,120)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매개재로서, 폴딩 또는 언폴딩에 따라 이음부(201)의 일측면과 수평보(100)의 끝단면이 맞닿거나 떨어질 수 있다.
이음부(201)는 수평보(100)와 수직기둥(200)과 마찬가지로, 디귿(ㄷ)자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웨브와 플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음부(201)는 제1 웨브(201a)와 제1 웨브(201a)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 플랜지(201b)와 제1 하부 플랜지(201c)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측이란 웨브의 상부와 하부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식 건축 구조물은 수평보(100)의 양단에서 수직기둥(200)이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도록 수직기둥(200)의 이음부(201)와 수평보(100)를 연결하는 힌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기둥부재(210,220)의 제1 하부 플랜지(101c)와 보 부재(110,120)의 제2 하부 플랜지(101c)를 연결하는 힌지구조의 절첩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첩부재(300)는 제1 하부 플랜지(201c)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절첩플레이트(301a)와 제2 하부 플랜지(101c)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절첩플레이트(301b) 및 절첩축(30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절첩플레이트(301a)와 제2 절첩플레이트(301b)는 절첩축(301c)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부재(210,220)가 폴딩 또는 언폴딩 되어야 하므로 제1 절첩플레이트(301a)가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절첩플레이트(301a)와 제2 절첩플레이트(301b)에 제1 볼트부재(302)가 핀접합 됨에 따라 수직기둥(200)의 폴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반면에, 제1 절첩플레이트(301a)와 제2 절첩플레이트(301b)로부터 제1 볼트부재(302)가 핀해제 됨에 따라 수직기둥(200)의 언폴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즉, 절첩부재(300)는 이음부(201)와 보 부재(110,120)를 구성하는 각 하부 플랜지(201c,101c)에 탈부착 형태로 적용되어, 필요 시에만 구조물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직기둥(200)의 폴딩 시에는 절첩부재(300)가 각 하부 플랜지(201c,101c)에 결합될 수 있고, 수직기둥(200)의 언폴딩 시에는 절첩부재(300)가 각 하부 플랜지(201c,101c)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언폴딩 시, 절첩부재(300)가 제거된 후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즉, 후술하는 고정플레이트(500) 및 보강플레이트(600)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기둥(200)이 폴딩된 상태에서 폴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받침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재(400)는 제1 기둥부재(210) 및 제2 기둥부재(220)의 일단과 각각의 보 부재(110,1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형태는 끼움방식, 나사-볼트에 의한 조임방식, 접착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이란 각 기둥부재의 하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식 건축 구조물은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직기둥(200)의 이음부(201)와 수평보(100)가 연결되는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음부(201)와 수평보(100)의 양단이 결합된 접합부위 중, 제1 웨브(201a) 및 제2 웨브(101a)와 마주하는 일측에 고정플레이트(5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500)는 웨브와 플랜지로 구성되는 디귿(ㄷ)자 형강의 이음부(201)와 수평보(100)에서 개방된 부분 즉, 플랜지의 일측과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플레이트(500)의 일측면 일부가 이음부(201) 및 수평보(100) 양단의 상하부 플랜지의 일측면과 맞닿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플레이트(500)에 제2 볼트부재(502)가 핀접합됨에 따라 수직기둥(200)의 언폴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수평보(100)와 수직기둥(200) 간의 수직도를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볼트부재(502)는 고정플레이트(500)를 관통하되 이음부(201)의 제1 웨브(201a)와 보 부재의 제2 웨브(101a) 또한 관통하여 핀접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이음부(201)와 수평보(100)의 양단이 결합된 접합부위 중, 제1 하부 플랜지(201c) 및 제2 하부 플랜지(101c)의 하부에 보강플레이트(6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플레이트(600)는 수직기둥(200)이 언폴딩 된 상태에서 이음부(201)의 하부와 수평보(100)의 끝단 하부를 연결하도록 각 하부 플랜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보강플레이트(600)에 제3 볼트부재(602)가 핀접합됨에 따라 수직기둥(200)의 언폴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수평보(100)와 수직기둥(200) 간의 수직도를 확보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500)와 보강플레이트(600)는 이음부(201)와 수평보(100)가 연결되는 부위에 탈부착 형태로 적용되어, 필요 시에만 구조물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조물을 현장에 설치하는 경우 폴딩된 구조물을 다시 언폴딩 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500)와 보강플레이트(600)가 구조물에 적용되며, 반대로, 구조물을 현장에서 철거하는 경우, 고정플레이트(500)와 보강플레이트(600)는 구조물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폴딩 또는 언폴딩에 따라 절첩부재(300), 고정플레이트(500) 및 보강플레이트(600)가 선택적으로 적용됨으로써, 구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모듈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이식 건축 구조물의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보 부재(110)와 상기 제2 보 부재(120)의 양단에는 결속구(700)가 구비될 수 있다.
결속구(700)는 구조물 설치 또는 철거 시 구조물을 현장 바닥으로부터 띄울 수 있도록 로프 또는 체인블럭이 결속되기 위한 구멍에 해당한다. 즉, 현장의 천정 부분에 설치된 로프 또는 체인블럭이 구조물의 결속구(700)에 연결되고, 외부 동력장치에 의해 로프 또는 체인블럭이 조작되면 구조물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이후, 들어올려진 구조물에 대해 외부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폴딩된 기둥부재(210,220)를 펼쳐지도록 잡아당기거나 언폴딩된 기둥부재(210,220)를 보 부재(110,120) 쪽으로 포개지도록 밀 수 있다.
반면에, 실린더 형태의 유압장치를 구조물에 설치하여 폴딩 또는 언폴딩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일측이 수평보(1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직기둥(200)에 결합되어 수직기둥(200)의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하도록 신축 동작하는 유압실린더(80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구조물이 띄워지거나 폴딩 또는 언폴딩이 이루어지기 앞서 절첩부재(300), 고정플레이트(500), 보강플레이트(600) 등은 구조물로부터 제거된 상태여야 함이 마땅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 이음부에 탈부착식의 힌지 플레이트가 장착된 폴딩 및 언폴딩이 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구현함으로써 도로 운반 가능 적재높이를 초과하는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조물의 기둥 또는 보 부분에 로프나 체인블럭 또는 유압장치를 적용하여 폴딩된 건축 구조물을 언폴딩시킴으로써 운반된 구조물을 현장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수평보
101a : 제2 웨브
101b : 제2 상부 플랜지
101c : 제2 하부 플랜지
110 : 제1 보 부재
120 : 제2 보 부재
200 : 수직기둥
201 : 이음부
201a : 제1 웨브
201b : 제1 상부 플랜지
201c : 제1 하부 플랜지
210 : 제1 기둥부재
220 : 제2 기둥부재
300 : 절첩부재
301a : 제1 절첩플레이트
301b : 제2 절첩플레이트
301c : 절첩축
302 : 제1 볼트부재
400 : 받침재
500 : 고정플레이트
502 : 제2 볼트부재
600 : 보강플레이트
602 : 제3 볼트부재
700 : 결속구
800 : 유압실린더
900 : 바퀴

Claims (10)

  1.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제1 보 부재와 제2 보 부재를 포함하는 수평보; 및
    상기 수평보의 양단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기둥부재와 제2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수직기둥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둥은 상기 제1 보 부재 및 상기 제2 보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기둥부재와, 상기 제1 보 부재 및 상기 제2 보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기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부재 및 상기 제2 기둥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수평보의 양단과 접촉되도록 제1 웨브와 상기 제1 웨브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 플랜지 및 제1 하부 플랜지로 구성되는 이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보 부재와 상기 제2 보 부재의 양단에는 로프 또는 체인블럭이 결속되기 위한 결속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 부재 및 상기 제2 보 부재는 제2 웨브와 상기 제2 웨브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상부 플랜지 및 제2 하부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하부 플랜지와 상기 제2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힌지구조의 절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는 상기 제1 하부 플랜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절첩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하부 플랜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절첩플레이트 및 절첩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첩플레이트와 상기 제2 절첩플레이트에 제1 볼트부재가 핀접합 됨에 따라 상기 수직기둥의 폴딩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이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둥부재 및 상기 제2 기둥부재의 일단과 각각의 보 부재를 연결하여 폴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받침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와 상기 수평보의 양단이 결합되는 접합부위 중 상기 제1 웨브 및 상기 제2 웨브와 마주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둥의 언폴딩 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제2 볼트부재가 핀접합됨에 따라 상기 수평보와 상기 수직기둥 간의 수직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의 언폴딩 시, 상기 이음부와 상기 수평보의 양단이 결합되는 접합부위 중 상기 제1 하부 플랜지 및 제2 하부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수평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기둥의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하도록 신축 동작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재와 상기 제2 기둥부재의 일단에는 탈부착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건축 구조물.
KR1020210074507A 2021-06-09 2021-06-09 접이식 건축 구조물 KR10259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507A KR102595451B1 (ko) 2021-06-09 2021-06-09 접이식 건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507A KR102595451B1 (ko) 2021-06-09 2021-06-09 접이식 건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02A KR20220165902A (ko) 2022-12-16
KR102595451B1 true KR102595451B1 (ko) 2023-10-27

Family

ID=8453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507A KR102595451B1 (ko) 2021-06-09 2021-06-09 접이식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4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750B2 (ja) * 1992-03-11 2000-08-21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750U (ja) * 2001-02-21 2001-08-31 三協フロンテア株式会社 S造用フレームの折り畳み構造及び設置装置
IL239282B (en) * 2015-06-08 2020-06-30 Amos Klein An expanding security room
KR102046342B1 (ko) 2017-12-12 2019-11-19 최용석 접이식 건축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750B2 (ja) * 1992-03-11 2000-08-21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02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1697B (zh) 活动铰接工作台支承系统、工作台系统及其使用方法
CN100532747C (zh) 用于预浇注和构架砌块单元结构的方法和设备
JPH102018A (ja) 建物ユニットとユニット建物とその構築方法
EP4015731A1 (en) Method, assembly and system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shelter
KR102595451B1 (ko) 접이식 건축 구조물
JP2010180620A (ja) 屋上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050167B1 (ko) 사전제작형 슬래브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다운형 모듈러 건축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Aninthaneni et al. Demountable precast RC frame building system for seismic regions
CN214996417U (zh) 混凝土灌注桩钢筋笼制作的装配式厂棚
AU2011202176B2 (en) Bearer Arrangement
WO2018163134A1 (en) Hexagonal flanged prefabricated connection
JP7309565B2 (ja) 吊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US9376799B2 (en) Transportable building and foundation beams therefor
JP2002364067A (ja) 鉄骨骨組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7416022B2 (ja) 出隅部の梁と柱に関するリフォーム方法
CN212742886U (zh) 一种格构式结构混凝土框架房屋
CN218508672U (zh) 一种装配式钢结构梁柱刚性节点
KR102330479B1 (ko) 커플링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모듈의 이동방법 및 접합부재가 구성된 대형모듈의 주각부 구조
JP2888736B2 (ja) 屋根の構造
JP2001107464A (ja) ユニット建物とその構築方法
JP7063564B2 (ja) 床パネル構成体、乾式床構造および乾式床構造作製方法
JPH11172764A (ja) 鉄骨構造
JP3856796B2 (ja) コンクリート造柱と鉄骨梁による建物架構の構築方法
AU2017248411A1 (en) Method for erecting a portal frame
JP2017106186A (ja) 車路を有する建築構造物の増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