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195B1 - 조개 채취기 - Google Patents

조개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195B1
KR102595195B1 KR1020210079504A KR20210079504A KR102595195B1 KR 102595195 B1 KR102595195 B1 KR 102595195B1 KR 1020210079504 A KR1020210079504 A KR 1020210079504A KR 20210079504 A KR20210079504 A KR 20210079504A KR 102595195 B1 KR102595195 B1 KR 10259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frame
bar
hydraulic motor
cl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277A (ko
Inventor
장태곤
Original Assignee
장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곤 filed Critical 장태곤
Priority to KR102021007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1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01K80/005Sleds running on the bottom for catching ground-living or underground-living aquatic 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개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수평바와 수직바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측면 일측과 하부 쪽에 각각 고정되게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키플레이트와; 회전축과 결합한 상태에서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압모터와; 유압모터에 결합된 회전축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박을 이용하여 견인하여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모래 또는 뻘 속에 위치한 조개를 채취하고, 채취된 조개를 후방에 설치된 그물에 담김으로 조개의 채취와 함께 조개를 수거가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선박에 의해 견인되면서 조개를 채취할 때 바닷물의 수압에 의해 조개 채취기가 들뜨지 않는 것은 물론 프레임의 양측단에 설치된 스키플레이드에 의해 바닷속 바닥면을 따라 이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개 채취기{Device For Collecting Shellfish}
본 발명은 조개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견인하면서 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체를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시켜 모래 또는 뻘 속의 조개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조개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 뻘에 다양하게 서식하는 조개와 같은 패류는 잠수부(일명: 머구리배)가 배에 장착된 산소공급장치에 의존한 채 잠수하여 수작업으로 일일이 채취하게 된다.
즉, 수심 20 ~ 30m의 해저 뻘에 서식하고 있는 어패류 중에 채산성과 경제성이 매우 좋은 키조개는 깊은 수심에서의 잠수능력이 있는 잠수부들이 호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채취하고 있는데, 깊은 수심의 뻘은 모래와 찰흙, 기타 불순물로 장시간 응집되어 점도가 매우 높으므로 넓은 뻘을 전부 파헤치듯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잠수부가 잠수병을 얻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깊은 수심의 잠수능력을 가진 잠수부에 의존하여 패류를 채취함에 따라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고, 상대적으로 채취율이 저조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182670호에는 어선 등에 의하여 해저에서 예인되는 몸체의 앞측에 고압 분사관이 회동되면서 공기가 분사되고, 이 분사력에 의해 해저표층으로부터 부상된 패류를 몸체 후측에 부착된 수집망통에서 수집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제1983-000855호에 개시된 조립식 패류채취장치는 전면이 단으로 된 하판 상부에 채취봉을 설치하고 후미에서 고정너트로서 나사 결합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패류채취장치는 뻘에 채취봉이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채취봉이 뻘을 지속적으로 파고 들어가므로 견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제1992-0007550호에는 키조개 채취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키조개 채취기는 슬라이드 판이 저면에 설치되며 양지간을 횡간으로 고정한 몸체에 침봉을 고정한 고정봉과 연장축봉을 가진 유동체를 설치하여 선상당김장치에 의해 상, 하 연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채취장치는 선상당김장치를 이용하여 유동체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키조개 채취기는 침봉에 의해 키조개뿐 만 아니라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뻘이 채취되어 수납어망으로 유입되므로 패류를 지속적으로 채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52645호(2015.09.15. 공고)의 "패류 자동채취기"는 모선과 견인 로프에 의해 연결된 이동체의 견인에 따라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이동체의 전면을 상향 경사진 유선형태로 함과 동시에 이동체의 상면은 수압에 의해 이동체가 눌리도록 평면형태로 하고,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는 모선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수중모터의 출력이 체인에 의해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 면에는 고정각도가 서로 다르게 복수 개의 회전 날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각 회전 날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채취부재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문헌의 회전날은 직교되게 다수의 채취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뻘을 뒤집어주어 벌속에 묻힌 패류를 부상시켜 패류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회전날에 직교되게 설치된 채취부재에 의해 패류가 손상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채취부재와 채취부재 사이에 패류가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뻘을 뒤집지 못하는 현상에 의해 패류의 채취량이 현저하게 작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2645호(2015.09.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을 이용하여 견인하면서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모래 속에 위치한 조개를 채취하고, 채취된 조개를 후방에 설치된 그물에 담길 수 있도록 한 조개 채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조개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조개 채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닷속 모래에 묻힌 다양한 조개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개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조개 채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에 의해 견인되면서 조개를 채취할 때 바닷물의 수압에 의해 조개 채취기가 들뜨지 않고 바닷속 바닥면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조개 채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평바와 수직바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측면 일측과 하부 쪽에 각각 고정되게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키플레이트와; 회전축과 결합한 상태에서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압모터와; 유압모터에 결합된 회전축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채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은, 수평바와 수직바로 구성되고, 수평바는 견인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1바와 다수개의 제1바 양측 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바로 구성되며, 수직바는 프레임의 전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수평바의 제2바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스키플레이트의 전면 쪽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평바와 스키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대가 설치되며, 수평바의 제2바에는 견인줄이 연결되는 견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평바와 스키플레이트는, 복수의 수평바의 상단부 쪽에 형성되는 제1고정고리와; 그물과 연결되는 밧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키플레이트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고정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고리와 제2고정고리에는 밧줄에 의해 그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키플레이트는, 유압모터를 모래 또는 뻘로부터 보호하면서 고정하는 모터고정체와; 유압모터와 결합되는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모래 또는 뻘속의 조개를 부유시키는 축결합체;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체는, 유압모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축결합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양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는 회전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날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판의 가장자리 양측면에 엇갈리게 위치되어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날은 폐류의 종류에 따라 일자형상, 아치형상 중 어느 하나로이루어져 교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견인하면서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모래 또는 뻘 속에 위치한 조개를 채취하고, 채취된 조개를 후방에 설치된 그물에 담김으로 조개의 채취와 함께 조개를 수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조개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모래 또는 뻘 속의 조개를 부유시킬 때 조개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조개를 채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닷속 모래 또는 뻘 속에 묻힌 다양한 조개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개를 채취함으로써 조개 채취기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에 의해 견인되면서 조개를 채취할 때 바닷물의 수압에 의해 조개 채취기가 들뜨지 않는 것은 물론 프레임의 양측단에 설치된 스키플레이드에 의해 바닷속 바닥면을 따라 이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채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압모터에 설치된 회전축 상에 설치된 회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체 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회전체를 분해하여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채취기를 선박에 연결하여 견인하면서 조개를 채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채취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채취기(100)는 선박에 의해 견인되면서 바닷속 바닥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프레임(110)의 하부의 양측에 스키플레이트(120)가 설치되며, 프레임에 설치된 유압모터(130)와 결합되는 회전축(131) 상에 회전체(140)가 회전하면서 모래 또는 뻘 속에 묻힌 조개를 부유시켜 프레임(110)에 매달린 그물(20)을 이용하여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채취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채취기(100)는 프레임(110), 스키플레이트(120), 유압모터(130) 및 회전체(1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수평바(111)와 수직바(11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바(111)는 견인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1바(111-1)와 다수개의 제1바(111-1) 양측 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바(1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111)의 제2바(111-2)에는 견인줄이 연결되는 견인고리(1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바(111)의 상단 쪽에는 제1고정고리(111-4)가 형성되어 그물(20)과 연결되는 밧줄이 연결된다. 상기 제1고정고리(111-4)는 수평바(111)에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그물(20)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수직바(112)에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바(112)는 프레임(110)의 전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수평바(111)의 제2바(111-2)의 일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그리고 제2바(111-2)와 수직바(112)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거나 또는 다른 작업 용도, 예를 들어 견인줄의 고정 등과 같은 기능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제1보조바(114a)와 제2보조바(114b)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보조바(114a)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거나 또는 작업 시 견인줄을 묶는 것 등 이외에 제2바(111-2)와 스키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된 지지대(113)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키플레이트(120)의 전면 쪽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평바(111)와 스키플레이트(120) 사이에 지지대(113)가 설치된다.
상기 스키플레이트(120)는 'ㄱ'자로 형성된 하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선박(10)에 의해 견인될 때 모래 또는 뻘 속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키플레이트(120)는 선박(10)이 견인하는 방향 쪽 전방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닷 속 지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키플레이트(120)에는 그물(20)과 연결되는 밧줄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제2고정고리(121)가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고리(121)는 스키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국한되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바닷 속 상황에 따라 수직바(112)의 하부 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키플레이트(120)에는 모터고정체(122)와 축결합체(123)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고정체(122)는 복수의 스키플레이트(12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유압모터(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고정체(122)는 선박(10)에 의해 견인되면서 회전체(140)가 모래 또는 뻘을 뒤집을 때 발생되는 모래 또는 뻘이 유압모터(1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드 역할을 한다.
상기 축결합체(123)는 모터고정체(122)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유압모터(130)에 결합되는 회전축(13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축결합체(123) 또한 선박(10)에 의해 견인되면서 모래 또는 뻘을 회전체(140)가 뒤집을 때 발생되는 모래 또는 뻘에 의해 회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모터고정체(122)가 설치된 타측의 스키플레이트(120)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유압모터(130)는 회전축(131)이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스키플레이트(120) 상부에 설치된 모터고정체(122)와 축결합체(123)에 설치되며, 상기 축결합체(123)는 베어링(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결합되어 유압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체(140)가 연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40)는 유압모터(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1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회전판(14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141)의 중간 부분에는 회전축(1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축결합공(141-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141)의 가장자리 양측에는 회전하면서 모래 또는 뻘을 뒤집을 수 있도록 다수의 회전날(142)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날(142)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판(141)의 가장자리 양측면에 엇갈리게 위치되어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는 'ㄴ'자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패류의 종류에 따라 일자형상 또는 아치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자형상, 아치형상은 교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개 채취기(100)를 통해 모래 또는 뻘 속의 조개를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선박(10)의 후방 쪽에 견인줄의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은 수평바(111)의 제2바에 형성된 견인고리(111-3)에 고정하여 선박(10)에 의해 견인이 될 수 있도록 한 후 수평바(111)와 스키플레이트(120)의 상부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제1고정고리(111-4)와 제2고정고리(121) 각각에 밧줄을 연결하여 선박(10)에 의해 조개 채취기(100)가 견인될 때 함께 이동되면서 조개가 그물(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견인줄과 밧줄에 의해 선박(10), 조개 채취기(100), 그물(20) 순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선박(10)를 이용해 조개를 채취할 지역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크레인 등을 이용해 그물, 조개 채취기(100)를 순서대로 바닷 속으로 넣는다.
상기 조개 채취기(100)와 그물(20)이 바닷 속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선박(10)를 이용하여 종패가 뿌려진 곳을 선박(10)이 이동하면서 조개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개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선박(10)이 운항하면서 견인줄을 당기면, 견인줄에 연결된 조개 채취기(100)가 이동하는데, 이때 조개 채취기(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된 유압모터(130)를 구동시켜 회전축(131)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31)이 회전하면, 그 축 상에 설치된 다수의 회전체(140)가 회전하는데, 이때 회전판(141)의 가장자리에 양측면에 대향되게 설치된 회전날(142)이 이동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모래 또는 뻘 속에 위치된 조개를 부유시킨다.
상기 회전날(142)은 그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모래 또는 뻘을 퍼 올리는 듯이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개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부유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날(142)에 의해 부유된 조개를 프레임(110)의 뒷쪽으로 이동되고, 수평바(111)의 제1고정고리(111-4)와 스키프레이트(120)의 제2고정고리(121)에 고정된 밧줄에 연결된 그물(20)의 내측으로 조개가 유입되므로 많은 양을 한번에 채취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선박(10)에 의해 이동하는 조개 채취기(100)의 프레임(110) 하단 양측단에는 스키플레이트(12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닷 속 바닥이 고르게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이동 중 돌에 걸리거나 또는 끼이는 현상없이 스키를 타는 것과 같이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기 때문에 조개의 채취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을 이용하여 견인하여 유압모터(130)를 통해 회전체(140)를 회전시켜 모래 또는 뻘 속에 위치한 조개를 채취하고, 채취된 조개를 후방에 설치된 그물(20) 내부로 유입되므로 조개의 채취와 함께 조개의 수거가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체(140)가 회전할 때 조개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모래 또는 뻘 속의 조개를 부유시킬 때 조개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조개를 채취할 수 있고, 바닷 속 모래 또는 뻘 속에 묻힌 다양한 조개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개를 채취함으로써 조개 채취기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10)에 의해 견인되면서 조개를 채취할 때 바닷물의 수압에 의해 조개 채취기(100)가 들뜨지 않는 것은 물론 프레임(110)의 양측단에 설치된 스키플레이트(120)에 의해 바닷속 바닥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조개의 채취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선박 20: 그물
100: 조개 채취기 110: 프레임
111: 수평바 111-1: 제1바
111-2: 제2바 111-3: 견인고리
111-4: 제1고정고리 112: 수직바
113: 지지대 114a: 제1보조바
114b: 제2보조바 120: 스키플레이트
121: 제2고정고리 122: 모터고정체
123: 축결합체 130: 유압모터
131: 회전축 140: 회전체
141: 회전판 141-1: 축결합공
142: 회전날

Claims (6)

  1. 선박(10)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수평바(111)와 수직바(112)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측면 일측과 하부 쪽에 각각 고정되게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스키플레이트(120)와;
    회전축(131)과 결합한 상태에서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유압모터(130)와;
    유압모터(130)에 결합된 회전축(131)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10)은,
    수평바(111)와 수직바(112)로 구성되고,
    수평바(111)는 견인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1바(111-1)와 다수개의 제1바 양측 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바(111-2)로 구성되며,
    수직바(112)는 프레임(110)의 전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수평바(111)의 제2바(111-2)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스키플레이트(120)의 전면 쪽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평바(111)와 스키플레이트(120) 사이에 지지대(113)가 설치되며,
    수평바(111)의 제2바(111-2)에는 견인줄이 연결되는 견인고리(1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채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11)와 스키플레이트(120)는,
    복수의 수평바(111)의 상단부 쪽에 형성되는 제1고정고리(111-4)와;
    그물(20)과 연결되는 밧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키플레이트(120)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고정고리(121);를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고리(111-4)와 제2고정고리(121)에는 밧줄에 의해 그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채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플레이트(120)는,
    유압모터(130)를 모래 또는 뻘로부터 보호하면서 고정하는 모터고정체(122)와;
    유압모터(130)와 결합되는 회전축(131)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모래 또는 뻘속의 조개를 부유시키는 축결합체(123);
    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채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40)는,
    유압모터(130)에 결합된 회전축(131)에 설치될 수 있도록 축결합공(141-1)이 형성된 회전판(141)과;
    회전판(141)의 가장자리에 양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는 회전날(1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채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142)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판(141)의 가장자리 양측면에 엇갈리게 위치되어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채취기.
KR1020210079504A 2021-06-18 2021-06-18 조개 채취기 KR10259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504A KR102595195B1 (ko) 2021-06-18 2021-06-18 조개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504A KR102595195B1 (ko) 2021-06-18 2021-06-18 조개 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277A KR20220169277A (ko) 2022-12-27
KR102595195B1 true KR102595195B1 (ko) 2023-10-27

Family

ID=8456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504A KR102595195B1 (ko) 2021-06-18 2021-06-18 조개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1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70Y1 (ko) * 2001-01-30 2001-06-15 김학희 불가사리 채취기
KR101552645B1 (ko) 2015-03-11 2015-09-15 유한회사 우성스틸 패류 자동채취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63A (ko) * 2014-02-12 2015-08-20 박송범 해삼 채취 장치
KR20150111123A (ko) * 2014-03-25 2015-10-05 강병문 패류 채취장치
KR20170049875A (ko) * 2015-10-29 2017-05-11 두인수 패류 자동채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70Y1 (ko) * 2001-01-30 2001-06-15 김학희 불가사리 채취기
KR101552645B1 (ko) 2015-03-11 2015-09-15 유한회사 우성스틸 패류 자동채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277A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3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harvesting infestations of aquatic vegetation and/or skimming algae/floating vegetation
KR101552645B1 (ko) 패류 자동채취기
JP4988125B2 (ja) 二枚貝の養殖関連作業のためのシステム
US3783535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pecimens
CN103907574B (zh) 水下海珍品采捕装置
CN105966577B (zh) 一种渔业用多功能水下作业装置
KR20150095163A (ko) 해삼 채취 장치
US69207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harvesting infestations of aquatic vegetation and/or skimming algae/floating vegetation
CN104904683A (zh) 一种用于采掘蛏子的设备
CN203860279U (zh) 一种具有可升降支撑腿的海底捕捞器
KR20170049875A (ko) 패류 자동채취기
KR102110204B1 (ko) 꼬막 채취용 썰매
KR102595195B1 (ko) 조개 채취기
CN108377987A (zh) 一种缢蛏收获机
CN204762920U (zh) 一种用于采掘蛏子的设备
CN102318588A (zh) 贝类收获机
CN109759387B (zh) 一种用于清理珊瑚礁上泥沙的装置
KR102269388B1 (ko)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CN113463714B (zh) 一种用于海水养殖的翻泥机
CN203340848U (zh) 滩涂贝类捕捞机械化作业的专用装置
JP2001352848A (ja) 藻場増殖礁及びその形成方法
CN212325118U (zh) 文昌鱼栖息地去泥化用具
CN108438158A (zh) 一种履带式水绵打捞船
CN208242638U (zh) 一种缢蛏收获机
CN109944222B (zh) 一种水利工程用水草清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