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645B1 - 패류 자동채취기 - Google Patents

패류 자동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645B1
KR101552645B1 KR1020150033943A KR20150033943A KR101552645B1 KR 101552645 B1 KR101552645 B1 KR 101552645B1 KR 1020150033943 A KR1020150033943 A KR 1020150033943A KR 20150033943 A KR20150033943 A KR 20150033943A KR 101552645 B1 KR101552645 B1 KR 101552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fixed
shellfish
rotation axis
moth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옥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우성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우성스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우성스틸
Priority to KR102015003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의 뻘 속에 서식하는 각종 패류(키조재, 코끼리조재, 모시조개 등)를 자동으로 채취하는 패류 자동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모선이 이동체를 견인할 때 복수 개의 회전 날이 고정된 회전축을 수중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뻘 속의 패류를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류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회전축이 설치된 이동체를 안정적으로 해저 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선(21)과 견인 로프(22)에 의해 연결된 이동체(30)의 견인에 따라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이동체(30)의 전면을 상향 경사진 유선형태(31)로 함과 동시에 이동체(30)의 상면은 수압에 의해 이동체(30)가 눌리도록 평면형태(32)로 하고, 이동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3)에는 모선(21)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수중모터(34)의 출력이 체인(38)에 의해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33)의 외주 면에는 고정각도가 서로 다르게 복수 개의 회전 날(41)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각 회전 날(41)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채취부재(42)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류 자동채취기{Automatic Shelfish Picking Machine}
본 발명은 해저의 뻘 속에 서식하는 각종 패류(키조개, 코끼리조개, 모시조개 등)를 자동으로 채취하는 패류 자동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모선이 이동체를 견인할 때 복수 개의 회전 날이 고정된 회전축을 수중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뻘 속의 패류를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류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회전축이 설치된 이동체를 안정적으로 해저 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 뻘에 다양하게 서식하는 조개와 같은 패류는 잠수부(일명: 머구리배)가 배에 장착된 산소공급장치에 의존한 채 잠수하여 수작업으로 일일이 채취하게 된다.
즉, 수심 20 ~ 30m의 해저 뻘에 서식하고 있는 어패류 중에 채산성과 경제성이 매우 좋은 키조개는 깊은 수심에서의 잠수능력이 있는 잠수부들이 호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채취하고 있는데, 깊은 수심의 뻘은 모래와 찰흙, 기타 불순물로 장시간 응집되어 점도가 매우 높으므로 넓은 뻘을 전부 파헤치듯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잠수부가 잠수병을 얻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깊은 수심의 잠수능력을 가진 잠수부에 의존하여 패류를 채취함에 따라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고, 상대적으로 채취율이 저조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58-182670호에는 어선 등에 의하여 해저에서 예인되는 몸체의 앞 측에 고압 분사관이 회동되면서 공기가 분사되고, 이 분사력에 의해 해저표층으로부터 부상된 패류를 몸체 후 측에 부착된 수집망통에서 수집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제1983-000855호에 개시된 조립식 패류채취장치는 전면이 단으로 된 하판 상부에 채취봉을 설치하고 후미에서 고정너트로서 나사 결합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패류채취장치는 뻘에 채취봉이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채취봉이 뻘을 지속적으로 파고 들어가므로 견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제1992-0007550호에는 키조개 채취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키조개 채취기는 슬라이드 판이 저면에 설치되며 양지간을 횡간으로 고정한 몸체에 침봉을 고정한 고정봉과 연장축봉을 가진 유동체를 설치하여 선상당김장치에 의해 상, 하 연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채취장치는 선상당김장치를 이용하여 유동체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키조개 채취기는 침봉에 의해 키조개뿐 만 아니라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뻘이 채취되어 수납어망으로 유입되므로 패류를 지속적으로 채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타입의 패류채취기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20-0299165호로 등록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류채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패류채취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패류채취기의 사용상태도로써, 한 쌍의 ㄷ자형지주(2)가 연결봉(3)으로 연결되어 있고 ㄷ자형지주(2)의 고정 링(201)에는 견인판(5)이 고정되어 있으며 경사면(4A)과 직선면(4B)을 형성한 중량체(4)의 볼트(4')를 끼워 너트(6)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4)에는 무게추(7)가 볼트(8)및 너트(9)로 고정되어 있고 ㄷ자형지주(2)에는 일 측을 마개(16)로 개폐시키는 고압수 분배관(10)이 고정됨과 동시에 고압수유입관(11)이 연통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압수분배관(1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여러 개의 침봉고정관(12)에는 침봉(13)이 각각 너트(14)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침봉(13)의 사이에는 고압수분사구멍(15A)이 형성된 칼판형의 고압수분사판(15)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량추(4)에 고정한 견인판(5)을 패류채취선박에 견인로프(20)로 연결하고 채취기(1)의 고압수 유입관(11)은 패류채취선박의 펌프와 고압수공급관(18)으로 연결한 다음 채취기(1)를 물속으로 투하하여 패류채취선박으로 견인 시 뻘 속에서 서식하는 패류는 뻘 속에 박혀 이동하는 침봉(13)에 의하여 위로 상승하여 어망(19)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고압수분배관(10)에 침봉(13)을 고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고정한 각 침봉고정관(12)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고압수분사구멍(15A)을 형성한 칼판형의 고압수분사판(15)을 용접 고정하여 패류채취선박의 펌프에 의하여 물을 고압수공급관(18), 고압수유입관(11)과 고압수분배관(10) 및 고압수분사판(15)의 고압수분사구멍(15A)으로 분사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하여 뻘은 파져 아주 무르게 되므로 침봉(13)은 이동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됨과 동시에 채취되는 패류는 분사되는 수압에 의하여 손상 없이 용이하게 부상되어 어망(19)속으로 유입되어 채취된다.
또한, 채취기(1)는 패류채취선박의 견인속력이나 지형에 따라 도 3의 실선 및 화살표방향으로 세워졌다 눕혀졌다하며 이동하게 되며 침봉고정관(12)에 침봉(13)을 간단히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패류채취의 상황에 따라 길고 짧은 침봉(13)을 교체사용할 수 있게 된다.
(선행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58-182670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제1983-000855호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제1992-0007550호
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99165호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패류채취기는 패류 채취 시 물의 분사력에 의하여 뻘 속의 패류를 부상시켜 채취하게 되므로 패류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견인로프에 의해 채취기를 끌고 가는 배에서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깊은 바닥에 위치하는 고압수공급관을 통해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여야만 되었으므로 뻘 속의 패류를 원하는 높이로 부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패류의 포집효율이 떨어지게 되었다.
둘째, 배의 이동으로 채취기의 침봉이 뻘을 뒤집어 줄 때 수압에 의해 떠올라 침봉이 뻘을 뒤집어 주지 못하고 거의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패류의 채집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었다.
셋째, 침봉고정판에 고정된 복수 개의 침봉이 동시에 뻘에 박힌 상태에서 배가 채취기를 끌게 되므로 부하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패류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수압에 의해 침봉이 더욱 뒤집어 지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모선에 설치된 발전기에 의해 수중모터를 구동시켜 적어도 1개 이상의 채취부재가 고정된 복수 개의 회전 날을 회전시키면서 뻘 속의 패류를 연속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회전 날이 고정된 회전축을 해저 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배 형상의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동체의 정면에 작용되는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이동체의 상판에 걸리는 수압에 의해 이동체가 들뜨지 않고 항상 해저 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뻘을 뒤집어 주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채취하고자 하는 패류의 종류에 따라 회전축으로부터 채취부재가 고정된 회전 날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손된 회전 날만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모선과 견인 로프에 의해 연결된 이동체의 견인에 따라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이동체의 전면을 상향 경사진 유선형태로 함과 동시에 이동체의 상면은 수압에 의해 이동체가 눌리도록 평면형태로 하고,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는 모선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수중모터의 출력이 체인에 의해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 면에는 고정각도가 서로 다르게 복수 개의 회전 날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각 회전 날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채취부재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패류 자동채취기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모선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중모터의 구동으로 복수 개의 회전 날이 구비된 회전축을 회전시켜 각 회전 날에 고정된 채취부재가 뻘을 뒤집어주게 되므로 뻘 속의 패류가 원활하게 부상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류의 포집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둘째, 모선의 이동 시 전면의 유선형태에 의해 이동체의 이동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하게 됨은 물론이고 이동체의 상면이 평면형태로 이루어져 수압에 의해 눌리게 되므로 회전 날에 고정된 채취부재가 뻘을 뒤집어 줄 때 수압에 의해 떠오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회전축에 소정의 각도로 고정된 회전 날이 순차적으로 뻘을 뒤집어주게 되어 있어 부하를 최소화하게 되므로 이동체가 수압에 의해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넷째, 채취하고자 하는 패류의 종류에 따라 회전축으로부터 채취부재가 고정된 회전 날을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파손된 회전 날만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활용도를 극대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패류채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패류채취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패류채취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류 채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패류 채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도로써, 본 발명은 모선(21)과 견인 로프(22)에 의해 연결되는 이동체(30)의 전면이 견인에 따라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상향 경사진 유선형태(31)로 형성되어 있고 유선형태에 연이어진 이동체(30)의 상면은 수압에 의해 이동체(30)가 눌려 모선(21)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들리지 않도록 평면형태(32)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30)의 중간 하부에 회전축(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동체(30)의 후미 상부에는 모선(21)에서 발생된 DC전원이 케이블(23)을 통해 전달됨에 따라 구동하는 수중모터(3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중모터(34)의 저면에는 중량체의 철 구조물(35)이 고정되어 있다.
이는, 이동체(30)의 이동 시 이동체(30)의 후미가 수중모터(34) 및 철 구조물(35)의 무게에 의해 들리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중모터(3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속기(36)에 의해 그 회전수가 감속되어 회전축(33)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감속기 축(37)과 회전축(33)의 일단에는 체인(38)이 감기는 스프로킷(39)(40)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3)의 외주 면에 고정각도가 서로 다르게 복수 개의 회전 날(41)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회전 날(41)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채취부재(42)가 고정되어 있다.
즉, 회전축(33)에 1번째 회전 날(41)을 고정하고 나면 그 다음에는 소정의 각도(약 90도 간격)가 차례로 유지되게 2,3,4번째 회전 날(41a)(41b)(41c)을 고정함에 따라 회전축(33)의 회전으로 회전 날(41)(41a)(41b)(41c)에 고정된 채취부재(42)가 뻘을 뒤집어 줄 때, 회전축(33)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3)에 회전 날(41)을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3)의 외주 면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복수 개의 고정편(43)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고정편(43)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채취부재(42)가 고정된 회전 날(41)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4)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채취하고자 하는 조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유지하는 회전 날(41)로 교체하거나, 파손된 회전 날(41)만을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 회전 날(41)에 고정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채취부재(42)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그 단면은 대략 봉 형상으로 회전 날(41)의 회전방향 선단에 근접된 방향을 따라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수중모터(34)의 구동으로 회전축(33)에 고정된 회전 날(41)이 회전하면서 뻘을 뒤집어 줄 때, 수중모터(34)의 동력이 최대한 채취부재(42)에 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체(30) 후단에는 채취부재(42)에 의해 채취되어 부상하는 패류가 담기는 포집어망(50)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체(30)를 도 4와 같이 패류를 채취하고자 하는 해저 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모선(21)에 견인 로프(22) 및 케이블(23)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중모터(34)에 DC전원을 인가하면 체인(38)을 통해 회전축(33)에 동력이 전달되므로 회전축(33)이 회전하기 시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선(21)을 약 2노트(약 3.7km/h) 정도의 속도로 이동시키면 회전축(33)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고정된 회전 날(41)이 순차적으로 뻘을 뒤집을 때 상기 회전 날(41)에 고정된 채취부재(42)가 보다 넓은 폭의 뻘을 동시에 뒤집어 주게 되므로 뻘 속에 있던 패류가 부상하게 되는데, 이때 부상된 패류는 모선(21)에 의해 이동체(30)가 이동하게 되므로 포집어망(50)에 담기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선(21)에 의해 이동체(30)가 이동할 때, 해저 면에 밀착된 이동체(30)는 바닷물의 저항을 받지만, 이동체(30)의 전면이 유선형태(31)로 이루어져 있어 저항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이동체(30)의 상면이 폐쇄되도록 평면형태(32)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동체(30)의 후미 상부에 중량체의 수중모터(34)가, 하부에는 철 구조물(35)이 위치되어 있어 이동체(30)가 해저 면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항상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21 : 모선 30 : 이동체
31 : 유선형태 32 : 평면형태
33 : 회전축 34 : 수중모터
35 : 철 구조물 41 : 회전 날
42 : 채취부재 43 : 고정편

Claims (4)

  1. 모선(21)과 견인 로프(22)에 의해 연결된 이동체(30)의 견인에 따라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이동체(30)의 전면을 상향 경사진 유선형태(31)로 함과 동시에 이동체(30)의 상면은 수압에 의해 이동체(30)가 눌리도록 평면형태(32)로 하고, 이동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3)에는 모선(21)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수중모터(34)의 출력이 체인(38)에 의해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33)의 외주 면에는 고정각도가 서로 다르게 복수 개의 회전 날(41)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각 회전 날(41)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채취부재(42)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3)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복수 개의 고정편(43)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각 고정편(43)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채취부재(42)가 고정된 회전 날(41)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 날(41)의 회전방향 선단에 근접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채취부재(42)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30)의 후단 상부에 수중모터(34)를 설치하고 상기 수중모터(34)의 저면에는 중량체의 철 구조물(35)을 고정하며, 상기 이동체(30)의 중간부위 하부에는 회전축(33)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
KR1020150033943A 2015-03-11 2015-03-11 패류 자동채취기 KR101552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943A KR101552645B1 (ko) 2015-03-11 2015-03-11 패류 자동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943A KR101552645B1 (ko) 2015-03-11 2015-03-11 패류 자동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645B1 true KR101552645B1 (ko) 2015-09-15

Family

ID=5424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943A KR101552645B1 (ko) 2015-03-11 2015-03-11 패류 자동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6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073A (ko) * 2018-07-12 2020-01-23 강중환 형망 어구
JP2020115766A (ja) * 2019-01-22 2020-08-06 三菱製鋼株式会社 魚介類の採取具の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97565A (ko)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패류채취장치
JP7170360B1 (ja) * 2022-02-22 2022-11-14 文雄 佐々木 魚介類採取装置
KR20220169277A (ko) 2021-06-18 2022-12-27 장태곤 조개 채취기
KR102568033B1 (ko) * 2023-02-22 2023-08-18 설재규 갯벌 생물 채취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073A (ko) * 2018-07-12 2020-01-23 강중환 형망 어구
KR102193949B1 (ko) 2018-07-12 2020-12-23 강중환 형망 어구
JP2020115766A (ja) * 2019-01-22 2020-08-06 三菱製鋼株式会社 魚介類の採取具の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97565A (ko)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패류채취장치
KR20220169277A (ko) 2021-06-18 2022-12-27 장태곤 조개 채취기
KR102595195B1 (ko) 2021-06-18 2023-10-27 장태곤 조개 채취기
JP7170360B1 (ja) * 2022-02-22 2022-11-14 文雄 佐々木 魚介類採取装置
KR102568033B1 (ko) * 2023-02-22 2023-08-18 설재규 갯벌 생물 채취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645B1 (ko) 패류 자동채취기
US80563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harvesting infestations of aquatic vegetation and/or skimming algae/floating vegetation
JP4988125B2 (ja) 二枚貝の養殖関連作業のためのシステム
CN201071502Y (zh) 一种用于清理水面漂浮物的装置
CA3052566C (en) Apparatus for removal and collection of fouling from a dived structure and a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DE102009058278B3 (de) Vorrichtung zur Ansiedelung und Erntung von marinen Hartbodentieren
CN108013000B (zh) 半自动船用捕捞设备
CN201347548Y (zh) 浒苔打捞装置
CN209144774U (zh) 一种蓝藻收集装置
CN104904683A (zh) 一种用于采掘蛏子的设备
US200500978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harvesting infestations of aquatic vegetation and/or skimming algae/floting vegetation
KR20170049875A (ko) 패류 자동채취기
US8230814B2 (en)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CN204762920U (zh) 一种用于采掘蛏子的设备
KR101674857B1 (ko) 수산물 양식용 원줄 인양장치
KR101708016B1 (ko) 수중바닥 청소장치
CN108476704B (zh) 一种多功能挖藕机
CN107460907B (zh) 一种养殖池塘淤泥清除装置
KR102595195B1 (ko) 조개 채취기
CN112335541B (zh) 一种气动式鳗草植株移植装置
CN213427066U (zh) 一种水利工程用水草清除装置
KR20200016105A (ko)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CN208509904U (zh) 一种可潜水作业的拖铲式采贝机械
CN206615361U (zh) 水上捞草设备
CN206986945U (zh) 一种水产养殖清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