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875A - 패류 자동채취기 - Google Patents

패류 자동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875A
KR20170049875A KR1020150150748A KR20150150748A KR20170049875A KR 20170049875 A KR20170049875 A KR 20170049875A KR 1020150150748 A KR1020150150748 A KR 1020150150748A KR 20150150748 A KR20150150748 A KR 20150150748A KR 20170049875 A KR20170049875 A KR 2017004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
shellfish
moving body
shaf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인수
Original Assignee
두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인수 filed Critical 두인수
Priority to KR102015015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9875A/ko
Publication of KR2017004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깊은 바다의 펄 속에 서식하는 패류를 잠수사를 고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채취하는 패류 자동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배가 자동채취기를 견인함에 있어 복수 개의 채취부재가 펄을 연속적으로 뒤집을 때 자동채취기의 내부로 해수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하여 채취되어 부상된 패류가 신속하게 어망에 수집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체(1)에 설치된 유압모터(7)에 의한 축(4)의 회전으로 상기 축(4)에 고정된 채취부재(6)가 펄을 뒤집어 줌에 따라 패류(9)가 채취되어 어망(8)에 채집되는 패류 자동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의 전면에 조류 저항을 줄이고 채집된 패류(9)를 어망(8) 측으로 빠르게 밀어내도록 해수 유입구(2)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채집된 패류(9)가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철망(3)을 설치하며, 축(4)에는 "ㄱ"형태로 절곡되어 고정부(6a)와 날부(6b)로 구성된 채취부재(6)를 좌, 우에 어긋나게 복수 개 배치하되, 각각의 채취부재(6)가 축 방향의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동체(1)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의 펄(10)을 동시에 뒤집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패류 자동채취기{Automatic Shelfish Picking Machine}
본 발명은 깊은 바다의 펄 속에 서식하는 패류를 잠수사를 고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채취하는 패류 자동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가 자동채취기를 견인함에 있어 복수 개의 채취부재가 펄을 연속적으로 뒤집을 때 자동채취기의 내부로 해수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하여 채취되어 부상된 패류가 신속하게 어망에 수집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 펄에 다양하게 서식하는 조개와 같은 패류는 잠수부(일명: 머구리배)가 배에 장착된 산소공급장치에 의존한 채 잠수하여 수작업으로 일일이 채취하게 된다.
즉, 수심 20 ∼ 30m의 해저 펄에 서식하고 있는 어패류 중에 채산성과 경제성이 매우 좋은 키조개는 깊은 수심에서의 잠수능력이 있는 잠수부들이 호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채취하고 있는데, 깊은 수심의 펄은 모래와 찰흙, 기타 불순물로 장시간 응집되어 점도가 매우 높으므로 넓은 펄을 전부 파헤치듯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잠수부가 잠수병을 얻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깊은 수심의 잠수능력을 가진 잠수부에 의존하여 패류를 채취함에 따라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고, 상대적으로 채취율이 저조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동체를 이용하여 펄 속의 조개를 자동으로 채취하는 패류 자동채취기가 개발되어 특허 제1552645호(2015.09.07.등록)로 등록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류 자동채취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 패류 채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종래의 패류 자동채취기는, 모선(21)과 견인 로프(22)에 의해 연결되는 이동체(30)의 전면이 견인에 따라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상향 경사진 유선형태(31)로 형성되어 있고 유선형태에 연이어진 이동체(30)의 상면은 수압에 의해 이동체(30)가 눌려 모선(21)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들리지 않도록 평면형태(32)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30)의 중간 하부에 회전축(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동체(30)의 후미 상부에는 모선(21)에서 발생된 DC전원이 케이블(23)을 통해 전달됨에 따라 구동하는 수중모터(3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중모터(34)의 저면에는 중량체의 철 구조물(3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수중모터(34)는 감속기(36)에 의해 그 회전수가 감속되어 회전축(33)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감속기 축(37)과 회전축(33)의 일단에는 체인(38)이 감기는 스프로킷(39)(40)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3)의 외주 면에 고정각도가 서로 다르게 복수 개의 회전 날(41)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회전 날(41)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채취부재(42)가 고정되어 있다.
즉, 회전축(33)에 1번째 회전 날(41)을 고정하고 나면 그 다음에는 소정의 각도(약 90도 간격)가 차례로 유지되게 2,3,4번째 회전 날(41a)(41b)(41c)을 고정함에 따라 회전축(33)의 회전으로 회전 날(41)(41a)(41b)(41c)에 고정된 채취부재(42)가 펄을 뒤집어 줄 때, 회전축(33)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3)에 회전 날(41)을 고정하기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3)의 외주 면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복수 개의 고정편(43)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고정편(43)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채취부재(42)가 고정된 회전 날(41)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4)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회전 날(41)에 고정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채취부재(42)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그 단면은 대략 봉형상으로 회전 날(41)의 회전방향 선단에 근접된 방향을 따라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체(30) 후단에는 채취부재(42)에 의해 채취되어 부상하는 패류가 담기는 포집어망(50)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체(30)를 도 1과 같이 패류를 채취하고자 하는 해저 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모선(21)에 견인 로프(22) 및 케이블(23)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중모터(34)에 DC전원을 인가하면 체인(38)을 통해 회전축(33)에 동력이 전달되므로 회전축(33)이 회전하기 시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선(21)을 약 2노트(약 3.7km/h) 정도의 속도로 이동시키면 회전축(33)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고정된 회전 날(41)이 순차적으로 펄을 뒤집을 때 상기 회전 날(41)에 고정된 채취부재(42)가 보다 넓은 폭의 펄을 동시에 뒤집어 주게 되므로 펄 속에 있던 패류가 부상하게 되는데, 이때 부상된 패류는 모선(21)에 의해 이동체(30)가 이동하게 되므로 포집어망(50)에 담기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선(21)에 의해 이동체(30)가 이동할 때, 해저 면에 밀착된 이동체(30)는 바닷물의 저항을 받지만, 이동체(30)의 전면이 유선형태(31)로 이루어져 있어 저항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이동체(30)의 상면이 폐쇄되도록 평면형태(32)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동체(30)의 후미 상부에 중량체의 수중모터(34)가, 하부에는 철 구조물(35)이 위치되어 있어 이동체(30)가 해저 면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항상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52645호(2015.09.07.등록)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패류 자동채취기는 모선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면서 펄을 뒤집어 줄 때, 이동체(30)의 전면이 견인에 따라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상향 경사진 유선형태(31)로 형성되어 있고 유선형태에 연이어진 이동체(30)의 상면은 수압에 의해 이동체(30)가 눌려 모선(21)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들리지 않도록 평면형태(32)로 형성되어 있어 이동체(30)가 들리지 않는 이점을 갖으나, 이동체의 전면이 막혀 있어 채취부재(42)에 의해 채취된 패류가 부상하지 못하고 자중에 의해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되므로 어망이 담기는 패류의 양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또한, 회전축(33)에 회전 날(41)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고정되어 있어 회전축(33)의 회전으로 회전 날(41)에 고정된 채취부재(42)가 펄을 뒤집어 줄 때, 이동체(30)의 이동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위치하는 펄을 동시에 뒤집어 줄 수 없게 되므로 패류의 채취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패류채취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채취부재가 펄을 뒤집어 줄 때 해수가 패류채취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부로 부상된 패류를 어망 측으로 빠르게 채집되도록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에 "ㄱ"형태로 절곡된 채취부재를 좌, 우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패류의 채취 폭을 넓혀줌과 동시에 채취기의 이동방향과 직각으로 위치하는 펄을 동시에 뒤집어 줄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채취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펄을 뒤집어 줄 때, 채취부재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함에 따라 수중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는 패류 자동채취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으로는, 이동체(1)에 설치된 유압모터(7)에 의한 축(4)의 회전으로 상기 축(4)에 고정된 채취부재(6)가 펄을 뒤집어 줌에 따라 패류(9)가 채취되어 어망(8)에 채집되는 패류 자동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의 전면에 조류 저항을 줄이고 채집된 패류(9)를 어망(8) 측으로 빠르게 밀어내도록 해수 유입구(2)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채집된 패류(9)가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철망(3)을 설치하며, 축(4)에는 "ㄱ"형태로 절곡되어 고정부(6a)와 날부(6b)로 구성된 채취부재(6)를 좌, 우에 어긋나게 복수 개 배치하되, 각각의 채취부재(6)가 축 방향의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동체(1)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의 펄(10)을 동시에 뒤집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동체의 전면에 해수 유입구(2)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패류(9)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철망(3)이 설치되어 있어 이동체(1)를 견인하면서 채취부재(6)에 의해 채취된 패류(9)가 상부로 부상하여 빠르게 어망(8)에 채집되므로 패류의 채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축(4)에는 "ㄱ"형태로 절곡된 채취부재(6)가 좌, 우에 어긋나게 복수 개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의 채취부재(6)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어 이동체(1)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의 펄을 동시에 뒤집어 주게 되므로 패류의 채취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 펄(10)을 뒤집어주는 채취부재(6)가 장착부재(5)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어 펄(10)을 회전반경에 가까운 부분부터 뒤집어주게 되므로 채취부재(6)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므로 채취부재(6) 및 유압모터(7)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패류 자동채취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패류 채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반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축에 채취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채취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패류 자동채취기를 이용하여 패류를 채취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반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축에 채취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면에 조류 저항을 줄이고 채집된 패류(9)를 어망(8) 측으로 빠르게 밀어내도록 해수 유입구(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채집된 패류(9)가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철망(3)이 설치된 이동체(1)와, 상기 이동체(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4)과, 상기 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장착부재(5)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에 엇갈리게 각 장착부재(5)에 고정되는 채취부재(6)와, 상기 이동체(1)의 측면에 설치되어 축(4)을 회전시키는 유압모터(7)와, 상기 유압모터의 동력을 축(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이동체(1)의 후방에 설치되어 채취된 패류(9)가 담기는 어망(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모터(7)의 동력을 축(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은, 유압모터(7)의 축(7a)에 고정된 구동기어(15)와, 상기 축(4)의 일단에 고정되어 구동기어(15)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6)과, 상기 구동기어(15) 및 종동기어(16)를 감싸는 기어박스(17)로 구성한다.
상기 축(4)에 장착부재(5)을 등 간격으로 고정하고 상기 장착부재(5)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형태로 절곡되어 고정부(6a)와 날부(6b)로 구성된 채취부재(6)를 도 4와 같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지게 설치한다.
상기 채취부재(6)를 도 4와 같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는 이유는, 장착부재(5)에 채취부재(6)를 비스듬히 고정함에 따라 축(4)이 회전할 때 채취부재(6)의 날부(6b) 저면이 동시에 펄(10)을 뒤집는 것이 아니라, 펄(10)을 회전반경에 가까운 부분부터 파고들어가도록 하여 채취부재(6)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채취부재(6)는 물론이고 유압모터(7)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채취부재(6)는 펄(10)의 채집 깊이에 따라 고정부(6a)의 길이를 각기 다르게 제작한 다음 볼트 및 너트(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필요시마다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압모터(7)가 설치된 반대편 축(4)에는 도 8과 같이 구동부 보호용 오일 캡(11)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체(1)의 전면에는 로프(12)를 고정하기 위한 견인고리(13)를 고정한다.
상기 유압모터(7)는 배(14)에 설치된 엔진(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된 유압펌프(도시는 생략함)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용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패류 자동채취기의 견인고리(13)에 로프(12)를 연결하고, 다른 일단의 로프(12)는 배(14)에 묶은 상태에서 패류 자동채취기를 바다에 투하하여 이동체(1)가 펄(10)에 도 9와 같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14)에 설치된 엔진을 구동하여 유압펌프를 작동시키면 유압이 발생되므로 이동체(1)의 측면에 설치된 유압모터(7)가 작동한다.
상기 유압모터(7)가 작동하여 구동기어(15)를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기어(15)와 맞물리게 설치된 종동기어(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종동기어(16)가 고정된 축(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축(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축(4)에 등 간격으로 고정된 장착부재(5)에 도 6과 같이 "ㄱ"형태로 절곡된 채취부재(6)를 좌, 우에 어긋나게 배치하되, 각각의 채취부재(6)가 축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있어 이동체(1)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의 펄(10)을 동시에 뒤집어 주게 되므로 펄(10)에 묻혀있던 패류(9)가 이동체(1)의 내부에서 상부로 부상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채취부재(6)가 펄(10)을 뒤집어줄 때, 도 7a 및 도 7b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도 4와 같이 장착부재(5)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어 채취부재(6)의 날부(6b)가 펄(10)을 회전반경에 가까운 부분부터 파고들어가므로 채취부재(6)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채취부재(6)에 의해 펄(10)에 묻혀있던 패류(9)가 이동체(1)의 상부로 부상할 때, 이동체(1)의 견인에 따라 해수(海水)가 이동체(1)의 전면에 형성된 해수 유입구(2)로 유입되어 부상된 패류(9)를 이동체(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빠르게 밀어내게 되므로 채취된 패류(9)는 신속하게 전량 어망(8)에 채집된다.
상기 이동체(1)의 상부로 부상된 패류(9)는 이동체(1)의 상면에 철망(3)이 설치되어 있어 이동체(1)의 상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어망(8)에 채집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이동체 2 : 해수 유입구
3 : 철망 4 : 축
5 : 장착부재 6 : 채취부재
6a : 고정부 6b : 날부
7 : 유압모터 8 : 어망
11 : 구동부 보호용 오일 캡 13 : 견인고리

Claims (4)

  1. 이동체(1)에 설치된 유압모터(7)에 의한 축(4)의 회전으로 상기 축(4)에 고정된 채취부재(6)가 펄을 뒤집어 줌에 따라 패류(9)가 채취되어 어망(8)에 채집되는 패류 자동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의 전면에 조류 저항을 줄이고 채집된 패류(9)를 어망(8) 측으로 빠르게 밀어내도록 해수 유입구(2)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채집된 패류(9)가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철망(3)을 설치하며, 축(4)에는 "ㄱ"형태로 절곡되어 고정부(6a)와 날부(6b)로 구성된 채취부재(6)를 좌, 우에 어긋나게 복수 개 배치하되, 각각의 채취부재(6)가 축 방향의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동체(1)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의 펄(10)을 동시에 뒤집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4)에 장착부재(5)을 고정하고 상기 장착부재에는 채취부재(6)를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7)가 설치된 반대편 축(4)에는 구동부 보호용 오일 캡(1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의 전면에 로프(12) 고정용 견인고리(13)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채취기.
KR1020150150748A 2015-10-29 2015-10-29 패류 자동채취기 KR20170049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48A KR20170049875A (ko) 2015-10-29 2015-10-29 패류 자동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48A KR20170049875A (ko) 2015-10-29 2015-10-29 패류 자동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875A true KR20170049875A (ko) 2017-05-11

Family

ID=5874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48A KR20170049875A (ko) 2015-10-29 2015-10-29 패류 자동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98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7840A (zh) * 2018-09-21 2021-02-12 株式会社东和电机制作所 钓捕机
CN113100185A (zh) * 2021-04-28 2021-07-13 山东理工大学 一种海参捕捞装置
CN113180018A (zh) * 2021-05-24 2021-07-30 浙江海洋大学 一种拖网用的辅助捕捞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169277A (ko) * 2021-06-18 2022-12-27 장태곤 조개 채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7840A (zh) * 2018-09-21 2021-02-12 株式会社东和电机制作所 钓捕机
CN112367840B (zh) * 2018-09-21 2022-10-18 株式会社东和电机制作所 钓捕机
CN113100185A (zh) * 2021-04-28 2021-07-13 山东理工大学 一种海参捕捞装置
CN113180018A (zh) * 2021-05-24 2021-07-30 浙江海洋大学 一种拖网用的辅助捕捞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180018B (zh) * 2021-05-24 2022-07-08 浙江海洋大学 一种拖网用的辅助捕捞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169277A (ko) * 2021-06-18 2022-12-27 장태곤 조개 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9875A (ko) 패류 자동채취기
KR101552645B1 (ko) 패류 자동채취기
CN109310058A (zh) 海藻收割机
JP2009261341A (ja) 海底生物採取機
CN101768945A (zh) 水藻收集装置
CN109561668A (zh) 在海上养殖水产养殖动物的装置
CN201347548Y (zh) 浒苔打捞装置
CN105966577B (zh) 一种渔业用多功能水下作业装置
CN201395234Y (zh) 一种浒苔打捞船
CN206768780U (zh) 一种可调滚筒式水面垃圾打捞收集装置
JP5122241B2 (ja) バ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ブロック回収方法
CN110239679B (zh) 一种去除水中浮萍和杂草的清洁船及其控制方法
CN104335752B (zh) 手持式水生植物收割装置
WO2009110802A1 (en) A cleaning device for an underwater structure and also a method of using same
JP2021020662A (ja) 湖の富栄養化処理に基づく漂浮装置
CN204616812U (zh) 贝类品水下捕捞器
CN212464559U (zh) 一种大型钢结构阻流网箱
JP2023099771A (ja) 水中作業具及び水中作業システム
JP4976431B2 (ja) 巨大クラゲの細断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利用したシステム
CN110074074A (zh) 一种贻贝收获一体机
CN111226580A (zh) 水域除草船
CN203340848U (zh) 滩涂贝类捕捞机械化作业的专用装置
JP2002262751A (ja) ヒトデ駆除装置
CN214325328U (zh) 一种水面保洁子母船
KR20200016105A (ko)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