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016B1 - 수중바닥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수중바닥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016B1
KR101708016B1 KR1020150088653A KR20150088653A KR101708016B1 KR 101708016 B1 KR101708016 B1 KR 101708016B1 KR 1020150088653 A KR1020150088653 A KR 1020150088653A KR 20150088653 A KR20150088653 A KR 20150088653A KR 101708016 B1 KR101708016 B1 KR 10170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tting
rotary shaft
moving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526A (ko
Inventor
이태환
Original Assignee
이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환 filed Critical 이태환
Priority to KR102015008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0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바닥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에 견인되어 수중바닥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도록 양측으로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부; 이동 프레임부의 선단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면서 수중바닥의 쓰레기를 절단시키도록 하는 커팅부; 커팅부의 후방에서 이동 프레임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수중바닥을 일정 깊이로 갈아내면서 이동 프레임부의 이동부하를 경감시키도록 하는 써레질부; 서레질부의 후방에서 이동 프레임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수중바닥의 쓰레기를 후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부; 유도부의 후방에서 이동 프레임부의 후단에 선단이 연결되도록 하여 쓰레기가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 이동 프레임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부로 채워지는 공기량에 따라 수중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부력부; 부력부의 하부에서 선박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커팅부와 써레질부와 유도부측 쓰레기들로부터 뻘이 분리되도록 하는 고압 분사부; 이동 프레임부의 일측 프레임에 고정되어 커팅부와 써레질부와 유도부의 각 회전축을 축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선박에서 이동 프레임부의 이동과 고압 분사부의 유체 공급압과 부력부의 공기 공급량 및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수중바닥 청소장치{Apparatus for cleaning bottom of underwater}
본 발명은 수중바닥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나 호수 또는 저수지 등의 수중바닥에 투기되고 퇴적되는 오물 쓰레기를 수거하면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바닥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 또는 호수 바닥에는 다양한 생활, 산업 쓰레기들이 투기에 의해 버려지고 있어 심각한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바다의 오염은 쓰레기 투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주로 선상에서의 어구 투기 등으로 인한 오염이 주된 원인인 것이 현실이다.
투기되는 쓰레기에 의해 수질이 오염되면 수질의 부영양화가 촉진되면서 양식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근해에서의 수생생물의 서식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자연은 조류와 태풍, 해일 등에 의해 스스로 자정작용을 하기도 하지만 비교적 부피가 큰 쓰레기들 특히 밧줄이나 그물 등과 같은 산업 쓰레기는 인위적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생태계를 악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등록특허 제0722318호(2007.05.21.명칭: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는 수중에서 선박에 견인되어 수중 바닥면을 미끌어지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에 설치된 정화제 봄베를 통해 고압으로 침전물 정화제가 혼합된 혼합액을 침전물을 향해 분사하도록 하면서 하부 침전물을 경운하도록 경운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부유된 침전물이 수집되도록 분사 및 경운 써레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생활 오폐수, 산업폐기물에 의해 바다나 호수 또는 강의 수중 저면에 퇴적되는 무기 혹은 유기물질을 정화제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면서 침전물을 건져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정화제를 사용하여 정화를 할 수 있는 면적은 선박에 수용할 수 있는 정화제의 양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실제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면적이 그리 크지 않으며, 분사 및 경운 써레와 오물제거 써레는 선박에 의해 견인되어 강제적으로 끌고 가야하므로 선박의 진행에 엄청난 부하로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써레날을 커팅날로 형성하게 되더라도 단순히 걸려지는 작용에 의해 폐로프나 폐그물이 절단되지는 않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0722318호(2007.05.2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회전날을 이용하여 수중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폐그물이나 폐로프를 확실하게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바닥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날과 함께 써레질날이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선박 진행이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선박 엔진 부하를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바닥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부력 조절을 통해 수중에서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유용한 수중바닥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 견인되어 수중바닥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도록 양측으로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부; 이동 프레임부의 선단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면서 수중바닥의 쓰레기를 절단시키도록 하는 커팅부; 커팅부의 후방에서 이동 프레임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수중바닥을 일정 깊이로 갈아내면서 이동 프레임부의 이동부하를 경감시키도록 하는 써레질부; 서레질부의 후방에서 이동 프레임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수중바닥의 쓰레기를 후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부; 유도부의 후방에서 이동 프레임부의 후단에 선단이 연결되도록 하여 쓰레기가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 이동 프레임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부로 채워지는 공기량에 따라 수중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부력부; 부력부의 하부에서 선박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커팅부와 써레질부와 유도부측 쓰레기들로부터 뻘이 분리되도록 하는 고압 분사부; 이동 프레임부의 일측 프레임에 고정되어 커팅부와 써레질부와 유도부의 각 회전축을 축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선박에서 이동 프레임부의 이동과 고압 분사부의 유체 공급압과 부력부의 공기 공급량 및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에 의해 선박을 일정 속도로 느리게 운행되도록 하면서 수중바닥에서 투기된 각종 쓰레기들을 절단시키면서 수중바닥을 일정 깊이 뒤집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수거부로 쓰레기들이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수중바닥이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정화작업에 의해 수중 생물들이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면서 수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막대한 수중 쓰레기 제거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의 지출을 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좀더 경제적인 수질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의 하부 구조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의 커팅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의 하부 구조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바닥 청소장치는 크게 이동 프레임부(10)와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와 수거부(50)와 부력부(60)와 고압 분사부(70)와 구동부(80) 및 제어부(9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은 이동 프레임부(10)의 전방으로부터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 및 수거부(50)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부력부(60)와 고압 분사부(70)는 이동 프레임부(10)의 상부로 그리고 구동부(80)는 일측면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동 프레임부(10)는 선단이 선박에 연결되어 선박에 의해서 수중바닥을 미끄러지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부(10)는 선박에 연결되는 선단이 상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수중바닥으로 파고들지 않도록 수중바닥과는 일정한 면적으로 면접촉되도록 하는 한 쌍의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이들 한 쌍의 프레임(11)은 일정한 간격을 이격시켜 평행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 프레임부(10)는 전체적으로는 스키 형상이고, 다만 수중바닥에 밀착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루며 측벽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팅부(20)는 이동 프레임부(10)의 선단부 하부에서 양측 프레임(1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면서 회전에 의해 수중바닥의 폐그물 또는 폐로프 등의 쓰레기를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커팅부(20)는 도 4에서와 같이 양측의 프레임(11)에 걸쳐 베어링 결합에 의해서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1 회전축(21)과 이 제1 회전축(21)의 외주면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마다 수직 커팅날(22)이 고정되도록 하되 이때의 수직 커팅날(22)은 제1 회전축(21)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여 상단면과 하단면으로 날이 세워지도록 양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수직 커팅날(22) 사이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수평으로 수평 커팅날(23)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즉, 수평 커팅날(23)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적어도 하단면으로는 날이 세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커팅부(20)의 제1 회전축(21)의 수직 커팅날(22)과 수평 커팅날(23)에 의해서는 수중바닥에 널부러진 폐그물이나 폐로프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커팅부(20)는 선박에 의해 견인되는 이동 프레임부(10)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직 커팅날(22)의 단부는 제1 회전축(21)에서 수중바닥에 이르는 직경보다는 큰 직경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수직바닥을 일부 파면서 회전하도록 한다.
커팅부(20)의 후방에는 이동 프레임부(10)의 양측 프레임(11) 사이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는 써레질부(30)를 구비한다.
써레질부(30)는 수중바닥을 일정 깊이로 갈아엎으면서 이동 프레임부(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하를 경감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써레질부(30)는 한 쌍의 프레임(1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회전축(31)이 축지지되고, 이러한 제2 회전축(31)의 외주면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마다 끌게(32)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써레질부(30)의 끌게(32)는 단순히 수중바닥의 뻘을 일정 깊이로 파내면서 갈아엎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써레질부(30)의 회전에 의해 이동 프레임부(10)가 이동 시 커팅부(20)와 함께 수중바닥으로부터의 이동 부하가 경감되도록 하여 선박에 의한 견인이 좀더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런 써레질부(30)의 후방으로는 유도부(40)가 구비되도록 한다.
유도부(40)는 이동 프레임부(10)의 양측 프레임(11)에 걸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여 커터부(20)와 써레질부(30)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에 의해서 써레질부(30)를 통과한 쓰레기를 후방의 수거부(60)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유도부(40)는 양측의 프레임(1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3 회전축(41)이 축지지되도록 하고, 제3 회전축(41)에는 외주면의 동일 수평선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일단이 고정되도록 유도날(42)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의 유도날(42)은 써레질부(30)를 통과한 수중바닥의 쓰레기들을 후방으로 원활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3 회전축(41)이 제1 회전축(21)과 제2 회전축(31)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서 유도날(42)에 의해 후방으로 보내지는 쓰레기들은 수거부(50)에 의해서 수거되도록 한다.
즉 수거부(50)는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한 수거망(51)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수거망(51)은 망 사이 공간으로 뻘은 통과되고, 비교적 사이즈가 큰 쓰레기들은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거망(51)은 이동 프레임부(10)의 후단에 선단이 연결되도록 하되 개방된 일단부는 양측이 양측 프레임(11)의 후단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의 주면을 따라서는 중량체(52)가 결합되도록 하여 본 발명이 이동 시 수거망(51)의 개방된 일측의 하단부는 쓰레기가 원활하게 수거되도록 항상 수중바닥에 밀착되도록 한다.
다만, 수거망(51)은 개방된 일단의 하부가 중량체(52)에 의해 항상 수중바닥에 끌려 가도록 하는데 반해 상부는 부력체(53)가 결합되게 함으로써 수거망(51)의 개방면 단면적이 최대한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일정 길이를 이격하여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를 구비하는 이동 프레임부(10)에는 자체 중량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앉도록 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을 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이동 프레임부(10)의 상단부에는 에어 튜브로서 이루어지는 부력부(60)가 결합되도록 한다.
부력부(60)는 이동 프레임부(10)의 상단부에 고정되도록 하되 이동 프레임부(10)의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의 각 상부에 3개의 에어 튜브로서 구비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력부(60)는 각 에어 튜브의 내부로 공기를 채우는 양에 따라 수중에서 바닥으로 가라앉게 할 수도 있고, 수면으로 뜨게 할 수도 있으므로 수중바닥으로부터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서는 가라앉히지만 수거부(50)에 수거된 쓰레기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수면으로 부상시켜 선박에서 수거망(51)에 채워지는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부력부(60)의 각 에어 튜브를 지지하기 위해서 각 에어 튜브의 하부는 양단부가 양측의 프레임(11)에 고정되도록 하는 받침판(61)에 의해서 받쳐지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부력부(60)의 받침판(61)에는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에 의해 절단되고 이동하게 되는 쓰레기에 엉겨 붙은 뻘을 분리시키도록 하는 고압 분사부(70)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고압 분사부(70)는 부력부(60)를 지지하는 받침판(61)의 저면에서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받침판(61)의 저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도록 한 노즐관(71)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의 노즐관(71)은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의 상부에서 이들 각 구성의 양측을 향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도록 한 쌍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각 노즐관(71)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각종 쓰레기에 엉겨 붙어 있는 뻘이 제거되게 함으로써 쓰레기간 엉겨붙은 결합력이 제거되도록 하여 유도부(40)에 의해서 순수한 쓰레기만을 수거부(50)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노즐관(71)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는 공기나 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때의 물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중의 물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는 각각 제1 회전축(21)과 제2 회전축(31) 및 제3 회전축(41)을 회전시켜야만 하므로 이러한 회전력 공급을 위하여 일측의 프레임(11) 외측에는 제1 회전축(21)과 제2 회전축(31) 및 제3 회전축(41)의 일단과 연결되는 각 구동 모터(81)로 이루어지는 구동부(80)가 구비되도록 한다.
구동부(80)의 각 구동 모터(81)는 선박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구동되며, 선박에서 수동으로 구동이 단속 및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고압 분사부(70)와 구동부(80)는 선박에서 제어부(90)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제어부(90)에 의해서는 고압 분사부(70)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공급을 단속하면서 공급 압력을 제어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압 분사부(70)에 의한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이동 프레임부(10)에는 복수의 위치에 수중 카메라가 설치되도록 하여 선박에서 모니터를 통해 관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는 복수의 조명이 설치되도록 하여 수중 바닥 상황과 이동 상황을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바닥 청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 프레임부(10)의 상향 경사지도록 한 양측 프레임(11) 선단을 로프(101)를 이용하여 선박(100)에 연결되도록 하고, 선박(100)에서는 부력부(60)에 채워지는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수면에서 가라앉게 할 수도 있고, 떠 있게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자체의 중량으로 가라앉을 수 있으므로 수면에서는 부력부(60)의 에어 튜브에 최대한 공기가 주입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형을 잡으면서 떠 있을 수 있도록 하고, 이 에어 튜브의 공기를 일정량 빼내게 되면 자체 중량에 의해 서서히 가라앉힐 수가 있다.
또한, 에어 튜브에 선택적으로 공기가 주입되게 함으로써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에어 튜브의 공기를 제거하여 본 발명이 수중바닥까지 가라앉게 되면 선박(100)이 이동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구동부(80)의 구동에 의해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가 작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고압 분사부(70) 또한 동시에 구동되도록 한다.
선박(100)을 이동시키면서 구동부(80)와 고압 분사부(70)를 구동시키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이동 프레임부(10)의 선단부에서 커팅부(20)에 의해 수중바닥에 깔려있는 폐로프나 폐그물 등의 각종 쓰레기들을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절단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커팅부(20)의 수직 커팅날(22)과 수평 커팅날(23)에 의해 절단 가능한 쓰레기들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동시에 절단되게 함으로써 좀더 수거가 용이한 사이즈가 되도록 한다.
커팅부(20)를 통해 절단된 쓰레기는 수중바닥에서 그대로 있게 되나 본 발명이 이동하면서 써레질부(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써레질부(30)에서는 복수의 끌게(32)에 의해 수중바닥을 일정 깊이로 파내도록 함으로써 뻘속에 숨어있는 쓰레기가 노출되도록 한다.
끌게(32)의 회전에 의해서 수중바닥은 육상에서의 밭갈이를 하듯 일정 두께의 뻘이 뒤집어지도록 한다.
수중바닥의 뻘이 뒤집어지면 뻘 표면에서의 부영양화로 부패가 심했던 뻘속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뻘속으로의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도록 한다.
뻘속으로의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면 뻘의 부영양화를 방지할 수가 있고, 보다 빠른 수생생물의 생장환경이 만들어질 수 있게 한다.
끌게(32)에 의해 뻘이 뒤집어지도록 하면 이때 뻘속에서는 뻘과 결합된 쓰레기가 노출되기도 하고, 쓰레기에는 각종 이물질이 흡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쓰레기들에는 고압 분사부(7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서 쓰레기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의 고압 분사부(70)는 써레질부(30)의 하부측을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고압 분사부(70)의 끌게(32)에 흡착된 뻘도 제거하면서 각 쓰레기에서 뻘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유체의 공급을 위한 펌프는 선박(100)에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펌프로부터 고압 분사부(70)까지는 에어 호스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고압 분사부(70)는 하부의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와 유도부(40)에서의 뻘이 제거된 쓰레기를 후방의 수거부(50)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수거부(50)의 수거망(51)이 이동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 후단부에 개방된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유도부(40)를 지난 쓰레기는 자연스럽게 수거망(51)으로 수거되기는 하나 중량이 있는 쓰레기에 의해 제대로 수거에 부하가 작용할 수가 있으므로 원활한 수거가 되도록 유도부(40)의 유도날(42)이 쓰레기들을 좀더 적극적으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에 의한 견인에 의해 일정 속도로 이동하면서 수중바닥과 뻘속에 일정 깊이 묻힌 쓰레기가 절단과 뻘세척 과정을 거쳐 수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좀더 효율적으로 쓰레기만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써레질부(30)의 끌게(32)에 의해 일정 깊이의 뻘을 뒤집으면서 뻘을 치고 전진할 수 있도록 하므로 선박(100)에 의한 견인 부하를 보다 경감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끌게(32)와 유도날(42)의 회전에 의해 이동 프레임부(10)의 하단부가 뻘속으로 파고들지 않도록 하므로 본 발명이 수중에서 더욱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수거부(50)의 수거망(51)은 이동 프레임부(10)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개방되도록 한 일단부측 양단부 사이는 하부측 주면을 따라 중량체(52)가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수거망(51) 하부를 통과하는 쓰레기를 최소화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선박에서의 간단한 제어에 의해 수중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고압 분사부(70)의 펌핑과 구동부(80)의 각 모터 구동을 통해 커팅부(20)와 써레질부(30) 및 유도부(40)가 구동되게 함으로써 보다 손쉬은 조작성과 함께 수중바닥을 좀더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10 : 이동 프레임부 20 : 커팅부
21 : 제1 회전축 22 : 수직 커팅날
23 : 수평 커팅날 30 : 써레질부
31 : 제2 회전축 32 : 끌게
40 : 유도부 41 : 제3 회전축
42 : 유도날 50 : 수거부
51 : 수거망 52 : 중량체
60 : 부력부 70 : 부력부
80 : 구동부 90 : 제어부
100 : 선박

Claims (5)

  1. 선박에 견인되어 수중바닥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도록 하면서 한 쌍의 프레임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양측으로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부;
    한 쌍의 프레임 선단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서 외주면의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마다 일단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수직 커팅날과, 상기 수직 커팅날간으로 동일 수평선상에 수평으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수평 커팅날로서 구비되어 수중바닥의 쓰레기를 절단시키도록 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의 후방에서 한 쌍의 프레임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서 외주면의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마다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끌게로서 구비되어 수중바닥을 일정 깊이로 갈아내면서 이동 프레임부의 이동부하를 경감시키도록 하는 써레질부;
    써레질부의 후방에서 한 쌍의 프레임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에서 외주면의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마다 일단이 고정되는 유도날로서 구비되어 수중바닥의 쓰레기를 후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부;
    유도부의 후방에서 이동 프레임부의 후단에 선단이 연결되도록 하여 쓰레기가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부;
    이동 프레임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부로 채워지는 공기량에 따라 수중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부력부;
    부력부의 하부에서 선박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커팅부와 써레질부와 유도부측 쓰레기들로부터 뻘이 분리되도록 하는 고압 분사부;
    이동 프레임부의 일측 프레임에 고정되어 커팅부와 써레질부와 유도부의 각 회전축을 축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선박에서 이동 프레임부의 이동과 고압 분사부의 유체 공급압과 부력부의 공기 공급량 및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
    로서 이루어지는 수중바닥 청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88653A 2015-06-22 2015-06-22 수중바닥 청소장치 KR101708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653A KR101708016B1 (ko) 2015-06-22 2015-06-22 수중바닥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653A KR101708016B1 (ko) 2015-06-22 2015-06-22 수중바닥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26A KR20160150526A (ko) 2016-12-30
KR101708016B1 true KR101708016B1 (ko) 2017-02-17

Family

ID=5773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653A KR101708016B1 (ko) 2015-06-22 2015-06-22 수중바닥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5945A (zh) * 2018-11-19 2019-02-01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河道保洁船用下沉式前采收装置
CN111424606B (zh) * 2020-04-01 2021-12-07 辰源海洋科技(广东)有限公司 一种海洋生态修复用生态海堤结构
CN111535275A (zh) * 2020-04-13 2020-08-14 安徽新宇生态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河道生态修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44Y1 (ko) * 2000-10-17 2001-04-16 양한춘 갯벌 경운 청소장치
KR200393717Y1 (ko) * 2005-06-10 2005-08-30 김원태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100722318B1 (ko) * 2006-04-14 2007-05-28 국성종합건설(주)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645B1 (ko) * 1998-06-10 2001-09-06 문 치 곤 해저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44Y1 (ko) * 2000-10-17 2001-04-16 양한춘 갯벌 경운 청소장치
KR200393717Y1 (ko) * 2005-06-10 2005-08-30 김원태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100722318B1 (ko) * 2006-04-14 2007-05-28 국성종합건설(주) 수중 바닥의 침전물 정화 및 정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26A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5864C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removing plastic, sludge-like materials deposited on the beds of bodies of water
CN102215674B (zh) 原地进行水下网清洁和检查的装置
AU2006317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or removing sludge
KR101708016B1 (ko) 수중바닥 청소장치
CN216709596U (zh) 一种水下清淤系统
CN206087213U (zh) 一种组合式水面垃圾清理船
CN202169999U (zh) 一种垃圾打捞船
CN106337460A (zh) 一种盐碱地微咸养殖中可带水操作的鱼塘清淤装置
KR101739783B1 (ko) 횡으로 이동하는 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JP2006205147A (ja) 掻寄排除装置
CN111236343A (zh) 清淤装备及其清淤船
KR20230148477A (ko) 수중 오염물의 신속분리를 위한 고액분리장치 및 그 이용방법
DE202008010540U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in einem Gewässer befindlicher Objekte
CN217480282U (zh) 一种水下清淤机器人
CN216363239U (zh) 一种环保便捷式水产养殖用排污器
CN211523332U (zh) 清淤装置
CN217923462U (zh) 一种水利工程用湖水治理装置
CN216753273U (zh) 一种具有导向定位功能的水产养殖用清污装置
JP2009095318A (ja) 水圧駆動式海底走行作業機及びこれに付属する水底浄化装置とその方法
KR20180040996A (ko) 심해수조바닥 청소 및 유실물 회수장치
NZ545111A (en) Aquatic veget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23077188A (ja) 浮遊物除去装置
CN117837372A (zh) 一种坑塘生态治理用水草修剪装置
AU3314699A (en) Pond waste extractor
KR20210111656A (ko) 해수면에서 부유물 청소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