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388B1 -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9388B1 KR102269388B1 KR1020180091406A KR20180091406A KR102269388B1 KR 102269388 B1 KR102269388 B1 KR 102269388B1 KR 1020180091406 A KR1020180091406 A KR 1020180091406A KR 20180091406 A KR20180091406 A KR 20180091406A KR 102269388 B1 KR102269388 B1 KR 102269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ing
- laver
- coupling body
- fishing boat
-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부류식 김양식에서 장치를 이용해 자동으로 김발을 뒤집거나 또는 채취를 위해 어선으로 건져 올릴 수 있고,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가며 김발을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사업 증대가 도모되며,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없이 안전하게 김발로부터 김을 채취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김양식 어선에 접목이 쉬워 보급 활성화가 도모되며, 사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는, 부류식 김 양식을 위해 사용되는 선박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어선결합몸체부와,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박의 내측 상부면과 외측 하부면의 사이에서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암부 및 상기 회동암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며, 상기 어선의 외측 하부면에 위치되면 김 양식을 위한 김발을 걸어 상기 회동암부의 회동으로 상기 어선의 내측 상부면으로 상기 김발을 건져 올리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는, 부류식 김 양식을 위해 사용되는 선박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어선결합몸체부와,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박의 내측 상부면과 외측 하부면의 사이에서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암부 및 상기 회동암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며, 상기 어선의 외측 하부면에 위치되면 김 양식을 위한 김발을 걸어 상기 회동암부의 회동으로 상기 어선의 내측 상부면으로 상기 김발을 건져 올리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의 양식을 위해 설치한 김발을 인력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뒤집거나 채취를 위해 어선으로 건져 올릴 수 있어 침수와 노출을 이용한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양질의 김양식이 가능한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김은 양식과정에서 잡 조류가 부착되거나 폐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농사로 치면 농약에 해당되는 약제를 김양식장에 살포하는데, 염산희석제나 유기산제인 이들 약제는 해저에 누적되어 적조와 같은 심각한 해양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염산이나 유기산을 사용하지 않도록 바다에 떠 있는 김발을 수시로 뒤집어 공기 중에 노출함으로써 잡 조류의 부착을 막는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을 하고 있다.
여기서, 김발은 김의 양식을 위해 김의 홀씨가 붙어 자라도록 설치하는 발로서, 양식장에서는 8월 말이나 9월 초쯤 포자인 '사상체'를 모내기 하듯 김발에 옮겨 심은 후 얕은 바다에서 깊은 바다로 옮겨져 본격적으로 김을 키운 뒤 40여일 경과 후 찬바람 부는 가을부터 겨울까지 수확을 하게 된다.
이러한, 김발을 이용하는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 방법은, 어민들이 매일같이 어선을 타고 혹한의 바다에 나가 인력으로 김발을 뒤집어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 시행해야 되는데 이를 게을리 하면 김이 폐사하거나 잡 조류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많은 어민들은 기상조건의 악화나 인력의 한계에 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력튜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로프로 견인되는 스티로폼 등의 부자(浮子)를 이용하는 노출장치 등이 개량된 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방법은 컴프레셔나 동력견인기와 같은 고가의 시설들을 매일 바다에 지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를 개선하고자 등록번호 제10-0219737호 "김발장의 개구부 회전식 자동노출장치" 등이 출원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에 개시된 문헌의 장치는, 부자가 김발의 외측면 밖으로 돌출되어 물갈퀴팬이 조류에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조력과 파도가 과도하게 작용하면 물갈퀴팬이 공중에 치솟거나 공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김발의 노출선이 낮아지거나 부자가 인근 김발에 엉켜 김발의 파손이 심화됨으로써 채취가 난해한 문제점 등이 있어 실질적인 사용이 이루어지 힘들어 인력을 이용해 뒤집는 통상적인 방법을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김발의 뒤집기 작업은 평균 4일에 한번 씩 뒤집는데 그 이유는 김이 생리적으로 노출과 침수가 번갈아 시행되는 간조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뒤집기 작업은 새벽에 나가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뒤집었다가 오후에 다시 바닷물 속으로 집어넣는 뒤집기 작업이 행해지는 것으로서, 김발을 뒤집는 작업은 통상 2명에서 3명 정도가 어선을 타고 나가서 1인은 어선을 조종하고, 나머지 인원은 갈고리와 같은 도구로 김발을 선수측으로 당긴 후, 어선을 전진시키면서 김발을 밀어 전체적으로 나선형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김발의 뒤집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김발에서 김 양식이 완료되면 김발로부터 김을 채취하기 위한 채취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채취작업은 먼저 작업자가 김발을 연결시킨 로프를 막대 등의 걸이장치를 이용해 걸어 어선으로 잡아당겨 위치시키고, 이를 인력이나 잡아당기기 위한 장치로서 잡아당겨 채취를 위한 장치의 상부로 위치되게 한다.
이후, 김발 채취장치를 작동시키면 김발에 붙은 김이 떠러져 채취장치의 하부에 위치된 수거통에 담겨지게 되며, 이때 선박은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하여 작업이 완료된 김발로부터 작업이 필요한 나머지 김발을 채취장치의 위치로 이동되게 하여 연속적인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김발로부터 김을 채취하기 위한 작업은 갈고리를 이용한 인력에 의한 것이므로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의 어려움 및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김발의 채취작업은 인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작업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추가적인 비용 발생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김발을 자동으로 어선으로 올리기 위한 장치를 사용할 경우 김발을 연결시킨 로프가 장치로부터 자주 이탈되거나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일이 빈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김발을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고, 종래의 장치에 비해 사용성과 경제성을 갖추어 효율적인 보급이 가능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부류식 김양식에서 장치를 이용해 자동으로 김발을 뒤집거나 또는 채취를 위해 어선으로 건져 올릴 수 있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가며 김발을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사업 증대가 도모되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없이 안전하게 김발로부터 김을 채취할 수 있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김양식 어선에 접목이 쉬워 보급 활성화가 도모되며, 사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한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는, 부류식 김 양식을 위해 사용되는 선박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어선결합몸체부와,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박의 내측 상부면과 외측 하부면의 사이에서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암부 및 상기 회동암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며, 상기 어선의 외측 하부면에 위치되면 김 양식을 위한 김발을 걸어 상기 회동암부의 회동으로 상기 어선의 내측 상부면으로 상기 김발을 건져 올리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어선결합몸체부는, 상기 어선의 측면 일측에 걸림결합되는 장착몸체와, 상기 장착몸체의 상측에 상호간 이격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몸체와, 상기 장착몸체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장착몸체를 상기 어선으로 밀착시켜 고정되게 하는 체결구와, 상기 지지몸체의 단부측에 절개되며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동암부는,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결합되기 위해 봉상으로 구비된 암케이싱과, 상기 암케이싱이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암케이싱과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관통되며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결합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상기 암케이싱과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상기 암케이싱을 이동을 설정된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슬라딩핀과, 상기 암케이싱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암케이싱의 전방에 위치된 로드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부는, 상기 회동암부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김발을 걸림되게 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와 상기 회동암부는 유체의 압력에 작동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는, 부류식 김양식에서 장치를 이용해 자동으로 김발을 뒤집거나 또는 채취를 위해 어선으로 건져 올릴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가며 김발을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사업 증대가 도모되는 장점을 갖는다.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없이 안전하게 김발로부터 김을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김양식 어선에 접목이 쉬워 보급 활성화가 도모되며, 사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설치예.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실시예.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걸이부의 변형예.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설치예.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실시예.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걸이부의 변형예.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설치예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는, 김의 양식을 위해 설치한 김발을 인력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뒤집거나 채취를 위해 어선으로 건져 올릴 수 있어 침수와 노출을 이용한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양질의 김양식이 가능한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어선결합몸체부(10), 회동암부(20), 걸이부(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어선결합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류식 김 양식을 위해 사용되는 어선(1)의 측면 일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어선결합몸체부(10)는, 장착몸체(11), 지지몸체(12), 체결구(13), 가이드홈(14)으로 이루어진다.
장착몸체(11)는 어선(1)의 측면 일측에 걸림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절개홈이 형성된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며, 이를 통해 어선(1)의 측면이 절개홈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서 어선(1)의 측면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장착몸체(11)는 절개홈이 형성된 하부측이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져 어선(1)의 측면 양측면이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방향 유동에 의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여기서, 장착몸체(11)는 절개홈을 기준으로 양측면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어선(1)의 측면 두께에 맞춰 폭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어선(1)에 손 쉬운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때, 장착몸체(11)는 어선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판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장착몸체(11)에는 후술될 체결구(13)가 삽입되는 다수의 체결홈(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다.
지지몸체(12)는 장착몸체(11)의 상측에 상호간 이격되며 직립하여 설치된다.
지지몸체(12)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반원의 형태를 갖는 박판상으로 구비되어, 장착몸체(11)의 중심측에 상호간 이격되게 직립하여 설치됨으로써 지지몸체(12)의 상부면에 '11'자 형태로 위치된다.
체결구(13)는 장착몸체(11)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장착몸체(11)를 어선(1)으로 밀착시켜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체결구(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된 장착몸체(11)의 체결홈에 스크류 결합됨으로써 어선(1)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장착몸체(11)를 어선(1)에 견고히 고정되게 하여 장착몸체(11)가 어선(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가이드홈(14)은 지지몸체(12)의 단부측에 절개되며 형성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인 어선결합몸체부(10)의 상부 단부측에 오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반원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오목부가 어선(1)측을 향하면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14)은 후술된 회동암부(20)의 슬라이딩핀(23)이 삽입되어 지지몸체(12)에서 가이드홈(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되, 반원 고리 형상인 가이드홈(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 양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을 규제한다. 이를 통해 후술될 회동암부(20)의 회전각이 제한되어 어선(1)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회동암부(20)는 어선결합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선(1)의 내측 상부면과 외측 하부면의 사이에서 상하로 회동된다.
이러한, 회동암부(20)는, 암케이싱(21), 힌지핀(22), 슬라이딩핀(23), 실린더(24), 로드(25)로 이루어진다.
암케이싱(21)은 어선결합몸체부(10)에 결합되기 위해 봉상으로 구비되며, 보다 자세하게는 한 쌍으로 구비된 지지몸체(12)의 사이에 일단이 위치되고 반대측 타단은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위치된다.
힌지핀(22)은 암케이싱(21)이 어선결합몸체부(10)에서 회전되도록 암케이싱(21)과 어선결합몸체부(10)에 관통되며 어선결합몸체부(1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암케이싱(21)은 어선결합몸체부(10)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딩핀(23)은 힌지핀(22)으로부터 이격된 어선결합몸체부(10)에 암케이싱(21)과 어선결합몸체부(10)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암케이싱(21)을 이동을 설정된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한다.
이러한, 슬라이딩핀(23)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어선결합몸체부(10)의 지지몸체(12)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4)의 양단까지만 이동되어져 암케이싱(21)의 회전을 규제되게 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도면 도 2는 기존장치와의 비교를 위해 본 개시의 장치와 기존장치를 함께 어선(1)에 설치한 것으로서, 도 2에서는 본 개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편의를 위해 암케이싱(21)이 제거된 상태이되 암케이싱(21)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24)가 힌지핀(22) 및 슬라이딩핀(23)이 직접 관통되어져 어선결합몸체부(10)에 회동되게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암케이싱(21)이 힌지핀(22) 및 슬라이딩핀(23)에 의해 어선결합몸체부(10)에 설치되고 내부에 실린더(24)가 탑재된 도 1의 구조를 갖는다.
실린더(24)는 암케이싱(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에 설치된 유압 공급장치를 통해 전방에 위치된 로드(25)를 전후로 왕복 피스톤 운동되게 한다. 여기서, 유압 공급장치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어선(1)에 자체의 유압 공급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됨이 바람직 하다.
이때, 본 개시의 실린더(24)는 암케이싱(21)에 고정되지 않고 암케이싱(2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통해 암케이싱(21)의 길이와 암케이싱(21)에서 실린더(24)가 이동된 길이가 더해져 후술될 로드(25)의 연장되는 길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김발의 수거 및 어선(1)에 위치된 김발 채취장치로의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로드(25)는 암케이싱(21)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이 암케이싱(21)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로드(25)는 암케이싱(21)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24)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암케이싱(21)의 전후로 위치 이동되며, 전방에는 걸이부(30)가 결합된다.
걸이부(30)는 회동암부(20)에 설치되어 회동암부(2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며, 어선(1)의 외측 하부면에 위치되면 김 양식을 위한 김발을 걸어 회동암부(20)의 회동을 통해 어선(1)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된 김발 채취장치로 김발을 건져 올린다.
이러한, 걸이부(30)는, 결합편(31), 걸림편(32)으로 이루어진다.
결합편(31)은 회동암부(20)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편(31)은 봉상으로 구비되어 회동암부(20)의 로드(25)에 나사 결합되며, 이를 통해 걸이부(30)의 수리 등 이유로 분리가 필요한 경우 로드(25)로부터 분리시켜 교체가 가능하다.
걸림편(32)은 결합편(31)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김발을 걸림되게 한다.
이러한, 걸림편(32)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32)의 단부에 절곡부위가 위치되어 2개의 단부가 전방을 향할수록 멀어지는 대략 "V"자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걸림편(32)이 "V"자 형태로 갈라진 2개의 단부를 가짐으로써 회동암부(20)의 회동으로 어선(1)의 외측에 위치될 경우 하측에 위치된 단부가 김발을 걸때 유리하며, 회동암부(20)의 회동으로 어선측으로 회동되는 동안에는 중심측에 위치된 절곡부위에 김발의 로프가 걸림편(32)의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회동암부(20)의 회동으로 어선(1)의 상측에 위치되면 김발을 걸었던 반대측 단부가 어선(1)의 김발 채치장치의 상측에서 하부측에 위치되어 중심부위에 걸쳐있던 로프가 미끄럼되어 자연스럽게 걸림편(32)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걸림편(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장치에서 측면 일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된 걸림구(도면부호 미기재)가 일직선으로 배치됨으로 인해 로프 걸림의 어려움 및 회동시의 미끄럼으로 인한 이탈 등이 없이 효율적으로 김발을 건져올려 김발 채취장치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걸림편(32)은 "V"자 형태로 기재 및 도시되어 있으나 "U"자 또는 "ㄷ"자 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어선결합몸체부(10)와 회동암부(20)는 유체의 압력을 통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린더(24)의 피스톤 작용을 위한 유압 공급장치에 의해 길이가변 및 회동이 하나의 장치로 작동되어 복잡하지 않고 단순화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어선(1)으로 보급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실시예,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걸이부의 변형예이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30)가 회동암부(20)의 전방에 위치되지 않고 측면에 위치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김발을 보다 쉽게 건져올릴 수 있다.
이때, 걸이부(30)는 회동암부(20)의 일측에 절개부(도시하지 않음)를 두고, 회동암부(20)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실린더(24)로부터 외측을 향해 길이가변된 로드(25)의 전방에 위치되어 회동 및 길이가변으로 인한 작동을 통해 김발 로프의 걸림 및 이동시 보다 유리한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걸이부(30)는 앞서 도 3의 구조에서와 같이 절개부가 형성된 회동암부(20)의 측면에 위치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30)가 회동암부(20)의 단부를 향하는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개시의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개시의 걸이부(30)중 걸림편(32)은 김발을 최초 건져올리는 단부측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함몰되어 오목한 형태의 걸림홈(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김발 로프의 걸림이 보다 유리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홈(33)은 둥글게 함몰된 형태 뿐만 아니라 삼각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서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단부측 위치 및 1개의 갯수로 국한되지 않고 그 위치와 갯수로 다양하게 접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걸이부(30)의 내측면에는 미세 그루부를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로프의 미끄럼으로 인한 김발의 이탈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는, 부류식 김양식에서 장치를 이용해 자동으로 김발을 뒤집거나 또는 채취를 위해 어선으로 건져 올릴 수 있고,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가며 김발을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사업 증대가 도모되며,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없이 안전하게 김발로부터 김을 채취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김양식 어선에 접목이 쉬워 보급 활성화가 도모되며, 사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어선 10 : 어선결합몸체부
11 : 장착몸체 12 : 지지몸체
13 : 체결구 14 : 가이드홈
20 : 회동암부 21 : 암케이싱
22 : 힌지핀 23 : 슬라이딩핀
24 : 실린더 25 : 로드
30 : 걸이부 31 : 결합편
32 : 걸림편 33 : 걸림홈
11 : 장착몸체 12 : 지지몸체
13 : 체결구 14 : 가이드홈
20 : 회동암부 21 : 암케이싱
22 : 힌지핀 23 : 슬라이딩핀
24 : 실린더 25 : 로드
30 : 걸이부 31 : 결합편
32 : 걸림편 33 : 걸림홈
Claims (5)
- 부류식 김 양식을 위해 사용되는 선박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어선결합몸체부;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박의 내측 상부면과 외측 하부면의 사이에서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암부; 및
상기 회동암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며, 상기 어선의 외측 하부면에 위치되면 김 양식을 위한 김발을 걸어 상기 회동암부의 회동으로 상기 어선의 내측 상부면으로 상기 김발을 건져 올리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선결합몸체부는,
상기 어선의 측면 일측에 걸림결합되는 장착몸체와, 상기 장착몸체의 상측에 상호간 이격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몸체와, 상기 장착몸체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장착몸체를 상기 어선으로 밀착시켜 고정되게 하는 체결구와, 상기 지지몸체의 단부측에 절개되며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암부는,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결합되기 위해 봉상으로 구비된 암케이싱과, 상기 암케이싱이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암케이싱과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관통되며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결합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상기 암케이싱과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상기 암케이싱을 이동을 설정된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슬라딩핀과, 상기 암케이싱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암케이싱의 전방에 위치된 로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홈(14)은 지지몸체(12)의 단부측에 반원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목부가 어선(1)측을 향하면서 비스듬하게 형성되며, 슬라이딩핀(23)은 가이드홈(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핀(23)은 힌지핀(22)으로부터 이격된 어선결합몸체부에 암케이싱(21)과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암케이싱(21)을 이동을 설정된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며,
실린더(24)는 암케이싱(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에 설치된 유압 공급장치를 통해 전방에 위치된 로드(25)를 전후로 왕복 피스톤 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회동암부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김발을 걸림되게 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선결합몸체부와 상기 회동암부는 유체의 압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406A KR102269388B1 (ko) | 2018-08-06 | 2018-08-06 |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406A KR102269388B1 (ko) | 2018-08-06 | 2018-08-06 |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6105A KR20200016105A (ko) | 2020-02-14 |
KR102269388B1 true KR102269388B1 (ko) | 2021-06-28 |
Family
ID=6951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1406A KR102269388B1 (ko) | 2018-08-06 | 2018-08-06 |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938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1543A (ko) | 2022-09-23 | 2024-04-01 | 한수환 | 물김 채취 장치 |
KR20240041542A (ko) | 2022-09-23 | 2024-04-01 | 한수환 | 물김 채취 용기와 이를 이용한 채취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8526B1 (ko) * | 2012-11-14 | 2013-02-28 | 조재현 | 양식줄 인양장치 |
KR101394139B1 (ko) * | 2014-01-15 | 2014-05-15 | 김이수 | 해초류 양식줄 자동 인양장치 |
KR101869364B1 (ko) | 2018-03-27 | 2018-06-21 | 유한회사 우솔산업 | 김발 자동인양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9737B1 (ko) | 1996-12-26 | 1999-09-01 | 황용안 | 김발장의 개구부 회전식 자동노출장치 |
KR20020014635A (ko) | 2000-08-18 | 2002-02-25 | 황용안 | 부류식 김발 자동노출장치 |
KR20030020332A (ko) | 2003-01-22 | 2003-03-08 | 황용안 | 조력부양식 김발자동노출부자 |
KR20130006342U (ko) | 2012-04-25 | 2013-11-04 | 김춘원 | 김발 뒤집기 |
KR101580438B1 (ko) * | 2014-04-14 | 2015-12-24 | 문석초 | 유압식 김발 인양장치 |
-
2018
- 2018-08-06 KR KR1020180091406A patent/KR102269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8526B1 (ko) * | 2012-11-14 | 2013-02-28 | 조재현 | 양식줄 인양장치 |
KR101394139B1 (ko) * | 2014-01-15 | 2014-05-15 | 김이수 | 해초류 양식줄 자동 인양장치 |
KR101869364B1 (ko) | 2018-03-27 | 2018-06-21 | 유한회사 우솔산업 | 김발 자동인양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1543A (ko) | 2022-09-23 | 2024-04-01 | 한수환 | 물김 채취 장치 |
KR20240041542A (ko) | 2022-09-23 | 2024-04-01 | 한수환 | 물김 채취 용기와 이를 이용한 채취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6105A (ko) | 2020-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økkeborg | Seabird by-catch and bait loss in long-lining using different setting methods | |
KR102269388B1 (ko) |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
KR101438992B1 (ko) | 연승 수하식 중층 전복 가두리 시설의 관리장치 및 인양방법 | |
KR101945893B1 (ko) | 김 양식용 자체 건조 장치, 양식 장치 및 조차 자체 건조 방법 | |
DE102009058278B3 (de) | Vorrichtung zur Ansiedelung und Erntung von marinen Hartbodentieren | |
CN107972824A (zh) | 一种机械化收割海带的船只和方法 | |
CN210313256U (zh) | 一种船舶起笼起网延绳钓作业设备 | |
KR102008140B1 (ko) | 김발 뒤집기 장치 | |
CN111820122A (zh) | 自行干露浮动筏和成排紫菜养殖装置以及自行干露方法 | |
JP3734089B1 (ja) | トローリング用餌魚保持仕掛け | |
JP3796224B2 (ja) | 養殖施設 | |
CN111134005A (zh) | 一种与沉浮式养殖网箱结合的海藻养殖装置及使用方法 | |
CN112931324B (zh) | 一种适宜牡蛎海底养殖方法及装置 | |
CN205756495U (zh) | 一种蝾螺网箱养殖装置 | |
JP3150490U (ja) | 養殖用水深可変係留施設 | |
CN211185462U (zh) | 一种海水养殖网笼 | |
US20110278524A1 (en) | Lift assembly for managing rod holders on fishing boats | |
CN112237163A (zh) | 一种投喂鲍鱼养殖装置 | |
Kerr | Fishing methods of the Mariana Islands, Micronesia | |
CN215500924U (zh) | 一种具有防护功能的养殖网具 | |
CN212787082U (zh) | 一种海参捕捞装置 | |
KR200387099Y1 (ko) | 전복 양식집 | |
CN220830851U (zh) | 一种水产养殖用水草打捞设备 | |
CN117958088B (zh) | 一种环压式水草折叠定植方法 | |
CN212464613U (zh) | 站立鱼坠防刮底钓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