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342U - 김발 뒤집기 - Google Patents
김발 뒤집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6342U KR20130006342U KR2020120003368U KR20120003368U KR20130006342U KR 20130006342 U KR20130006342 U KR 20130006342U KR 2020120003368 U KR2020120003368 U KR 2020120003368U KR 20120003368 U KR20120003368 U KR 20120003368U KR 20130006342 U KR20130006342 U KR 2013000634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mbal
- flipping
- ship
- present
- gui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을 양식하는 과정에서 김의 홀씨가 붙어 자라도록 설치하는 발인 김발(laver bed)을 뒤집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과 더불어 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구성된 김발 뒤집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는, 배의 선수(船首)(150)에 고정 설치되는 뒤집기 본체(110); 상기 뒤집기 본체(110)의 선단부 저면에 부착되는 브라켓(112); 상기 브라켓(112)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회동되는 복수의 연결부재(120)(130); 일단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120)(13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 및 상기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김발(160)과 접촉하는 가이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는, 배의 선수(船首)(150)에 고정 설치되는 뒤집기 본체(110); 상기 뒤집기 본체(110)의 선단부 저면에 부착되는 브라켓(112); 상기 브라켓(112)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회동되는 복수의 연결부재(120)(130); 일단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120)(13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 및 상기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김발(160)과 접촉하는 가이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김발 뒤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을 양식하는 과정에서 김의 홀씨가 붙어 자라도록 설치하는 발인 김발(laver bed)을 뒤집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과 더불어 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구성된 김발 뒤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은 양식과정에서 잡 조류가 부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농사로 치면 농약에 해당되는 산을 뿌린다. 염산이나 유기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바다에 떠 있는 김발을 수시로 뒤집어 공기 중에 노출함으로써 잡 조류의 부착을 막고 있다.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을 하는 수많은 어민들은 기상조건의 악화나 인력의 한계로 김발의 노출이 불량한 경우에는 노출부족으로 인한 김의 폐사를 막고자 많은 비용을 들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잡태제거 및 폐사방지용 산처리제를 김망흥에 살포하는 고생을 하고 있는데, 염산희석제나 유기산제인 이들 산처리제는 해저에 누적되어 해조류와 어패류 등을 고사시켜 적조와 같은 심각한 해양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 김발(laver bed)은 김을 양식할 때, 김의 홀씨가 붙어 자라도록 설치하는 발로서 대, 섶, 싸리 따위로 엮어 만들고 있으며, 양식장에서는 8월 말이나 9월 초쯤 포자인 '사상체'를 모내기하듯 김발에 옮겨 심은 후 얕은 바다에서 깊은 바다로 옮겨져 본격적으로 김을 키운 뒤 40여일 경과 후 찬바람 부는 가을부터 겨울까지 수확을 하게 된다.
공기 중에서 김은 햇볕과 바람을 이기지만, 잡 조류는 죽게 된다. 평균 4일에 한번 씩 김발 뒤집어주기 작업을 하는데, 새벽에 나가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뒤집었다가 오후에 다시 바닷물 속으로 집어넣는 뒤집기 작업을 한다는 것은 굉장한 정성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렇게 하는 방식은 산을 뿌리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들게 된다.
김은 생리적으로 노출과 침수가 번갈아 시행되는 간조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김망흥에 부구를 고정시킨 부류식 김양식에서는 어민들이 매일같이 배를 타고 혹한의 바다에 나가 인력으로 부구가 고정된 김발을 뒤집어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 시행해야 되는데 이를 게을리 하면 김이 폐사하거나 잡태 및 갯병이 번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김발을 뒤집는 작업은 통상 2명이 배를 타고 나가서 1인은 배를 조종하고, 다른 1인은 김발을 선수측으로 당겨서 묶은 후, 배를 전진시키면서 김발을 밀면 김발이 전체적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김발의 뒤집기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인력 및 비용과 더불어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김발을 보다 손쉽게 뒤집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기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김발을 뒤집는 작업에 따른 인력 및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김발 뒤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김발을 뒤집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김발 뒤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의 선수(船首)에 고정 설치되는 뒤집기 본체; 상기 뒤집기 본체의 선단부 저면에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회동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일단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제 2링크부재; 및 상기 제 1, 제 2링크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김발과 접촉하는 가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발 뒤집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링크부재는, 상기 가이더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이 45°각도로서 절곡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더의 선단부에는, 상기 김발과 접촉하면서 김발을 뒤집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김발 뒤집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1명의 작업자가 배를 타고 나가서 배를 조종하면서 김발을 손쉽게 뒤집는 것이 가능하므로 인력 및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둘째, 김발 뒤집기를 배에 설치한 상태에서 단순히 배를 전,후진 시키는 동작에 의해 김발을 뒤집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김발 뒤집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의 사용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김발 뒤집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의 사용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김발 뒤집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의 사용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100)는 크게 뒤집기 본체(110), 연결부재(120)(130), 복수의 링크부재(122)(132), 그리고 가이더(140)를 포함한다.
뒤집기 본체(110)는 육면체 형상으로서 일부가 배의 선수(船首)(150)에 별도의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브라켓(bracket)(112)은 뒤집기 본체(110)의 선단부 저면에 용접등을 통해 부착되는 것으로서, 측면에서 보아 'ㄷ'자형 단면을 구비하고 있어서, 후술하는 연결부재(120)(130)의 상단부가 브라켓(112) 내측에 삽입된 후 핀(114)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브라켓(112)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회동이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20)(130)는 봉 형태로서 상단부가 브라켓(112) 내측에 삽입되고,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가 연결된다.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는 일단부를 통해 연결부재(120)(13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 모두 대략 타원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 1링크부재(122)는, 후술하는 가이더(140)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이 약 45°각도로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제 2링크부재(132)는 일직선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더(140)는 대략 삼각 단면을 갖는 몸체(142)가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김발(160)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가이더(140)의 선단부에는, 김발(160)과 접촉하면서 김발을 뒤집기 위한 돌출부(144)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W는 해수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100)의 사용전 상태로서, 배의 선수(150)에 김발 뒤집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를 전진시키면서 김발(160)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배가 전진하다가 가이더(140)의 돌출부(144)가 김발(160)에 닿으면 연결부재(120)(130)가 핀(114)을 힌지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밀리면서 이와 연동하여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 및 가이더(140)가 해수면(W)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김발(160)의 한쪽이 해수면(W)과 이격되며, 이때 배를 약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100)의 사용 상태로서,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배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김발(160)의 일측이 가이더(140)의 돌출부(144)에 걸린 상태에서 배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술한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김발(160) 전체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김발(160)의 뒤집기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과정에서 1명의 작업자가 배를 타고 나가서 배를 조종하면서 김발(160)을 손쉽게 뒤집는 것이 가능하므로 인력 및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또한, 김발 뒤집기(100)를 배에 설치한 상태에서 단순히 배를 전,후진 시키는 동작에 의해 김발(160)을 뒤집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발 뒤집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김발 뒤집기 110 : 뒤집기 본체
112 : 브라켓 114 : 핀
120,130 : 연결부재 122,132 : 링크부재
140 : 가이더 142 : 몸체
144 : 돌출부 150 : 선수(船首)
160 : 김발 W : 해수면
112 : 브라켓 114 : 핀
120,130 : 연결부재 122,132 : 링크부재
140 : 가이더 142 : 몸체
144 : 돌출부 150 : 선수(船首)
160 : 김발 W : 해수면
Claims (3)
- 배의 선수(船首)(150)에 고정 설치되는 뒤집기 본체(110);
상기 뒤집기 본체(110)의 선단부 저면에 부착되는 브라켓(112);
상기 브라켓(112)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회동되는 복수의 연결부재(120)(130);
일단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120)(13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 및
상기 제 1, 제 2링크부재(122)(13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김발(160)과 접촉하는 가이더(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발 뒤집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크부재(122)는,
상기 가이더(140)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이 45°각도로서 절곡된 김발 뒤집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140)의 선단부에는,
상기 김발(160)과 접촉하면서 김발을 뒤집기 위한 돌출부(144)가 형성된 김발 뒤집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368U KR20130006342U (ko) | 2012-04-25 | 2012-04-25 | 김발 뒤집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368U KR20130006342U (ko) | 2012-04-25 | 2012-04-25 | 김발 뒤집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342U true KR20130006342U (ko) | 2013-11-04 |
Family
ID=5243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3368U KR20130006342U (ko) | 2012-04-25 | 2012-04-25 | 김발 뒤집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6342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3482A (ko) | 2017-08-29 | 2019-03-08 | 김석칠 | 김발 뒤집기 장치 |
KR20200016105A (ko) | 2018-08-06 | 2020-02-14 | 김석칠 |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KR102124647B1 (ko) * | 2019-12-26 | 2020-06-19 | 대한민국 | 김발 노출 장치 |
KR20220128096A (ko) * | 2021-03-12 | 2022-09-20 | 박병관 | 김발 뒤집기 장치 |
-
2012
- 2012-04-25 KR KR2020120003368U patent/KR20130006342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3482A (ko) | 2017-08-29 | 2019-03-08 | 김석칠 | 김발 뒤집기 장치 |
KR20200016105A (ko) | 2018-08-06 | 2020-02-14 | 김석칠 |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KR102124647B1 (ko) * | 2019-12-26 | 2020-06-19 | 대한민국 | 김발 노출 장치 |
KR20220128096A (ko) * | 2021-03-12 | 2022-09-20 | 박병관 | 김발 뒤집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06342U (ko) | 김발 뒤집기 | |
CN204350896U (zh) | 网片可收拢型漂流人工集鱼装置 | |
CN206629778U (zh) | 虾菜共生系统 | |
KR102008140B1 (ko) | 김발 뒤집기 장치 | |
US7596901B1 (en) | Fishing rig drogue apparatus | |
JP4789187B2 (ja) | 釣り用ルアー | |
CN207612964U (zh) | 一种海洋用多功能捕鱼网 | |
US20060288634A1 (en) | Trap for marine life | |
KR20200016105A (ko) |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 |
KR200166747Y1 (ko) | 플러그루어 | |
CN202603427U (zh) | 一种新型捕鱼网 | |
JP2007000079A (ja) | 海苔網設置構造 | |
CN204742266U (zh) | 一种卧式无损伤活鱼捕捞装置 | |
JP3217518U (ja) | 海底で直立する天秤。 | |
KR20160003318U (ko) | 해루질용 작살 뜰채 | |
KR101186605B1 (ko) | 해파리 파쇄용 끌그물 | |
JP2007089438A (ja) | 海苔網の干出装置、海苔養殖システムおよび海苔作業船 | |
ES2221538B1 (es) | Sistema de exclusion de tortugas marinas para palangre y anzuelo desplazado. | |
CN2875059Y (zh) | 一种由弹性连接片组合的仿生鱼饵钩 | |
CN210960013U (zh) | 一种鱼饵结构 | |
JP2004049125A (ja) | 釣り用ルアー、ルアー部品及びルアー本体 | |
CN205093402U (zh) | 一种立式无损伤活鱼捕捞装置 | |
CN204409261U (zh) | 一种防风浪型水产养殖设备 | |
CN217308839U (zh) | 金属线贯穿连接鱼饵 | |
JP3064658U (ja) | 根掛り取外し仕掛け付き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