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482A - 김발 뒤집기 장치 - Google Patents

김발 뒤집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482A
KR20190023482A KR1020170109311A KR20170109311A KR20190023482A KR 20190023482 A KR20190023482 A KR 20190023482A KR 1020170109311 A KR1020170109311 A KR 1020170109311A KR 20170109311 A KR20170109311 A KR 20170109311A KR 20190023482 A KR20190023482 A KR 20190023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oat
laver
shaft
gimbal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140B1 (ko
Inventor
김석칠
신규재
Original Assignee
김석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칠 filed Critical 김석칠
Priority to KR102017010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1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염산희석제나 유기산제인 약제 등을 이용한 양식이 아닌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에서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김발을 뒤집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김발을 뒤집을 수 있고, 김발을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가며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해져 사업의 활성화가 도모되며,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의 어려움과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김발을 뒤집기 위한 장치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김양식 어선에 접목이 쉬워 보급 활성화가 도모되고, 컴프레셔나 동력견인기와 같은 고가의 시설들을 매일 바다에 지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어선 자체에서 김발의 뒤집기가 자동으로 가능해져 사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 김발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는 어선의 전방측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어선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축과, 길이방향의 일단이 김발과 접촉하도록 중심측이 상기 가이드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김발을 상하 반전시키며 뒤집는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타단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며, 길이 가변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축에서 회전되게 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김발 뒤집기 장치{DEVICE FOR REVERSING LAVER FARMING NE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김발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의 양식을 위해 설치한 김발을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수와 노출을 이용한 뒤집기식의 뷰류식 김양식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양질의 김양식이 가능하면서 김발을 뒤집기 위해 운행되는 어선이 김발에 걸리지 않고 통과가 가능하며, 수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인력 및 시간 낭비와 안전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김발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김은 양식과정에서 잡 조류가 부착되거나 폐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농사로 치면 농약에 해당되는 약제를 김양식장에 살포하는데, 염산희석제나 유기산제인 이들 약제는 해저에 누적되어 적조와 같은 심각한 해양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염산이나 유기산을 사용하지 않도록 바다에 떠 있는 김발을 수시로 뒤집어 공기 중에 노출함으로써 잡 조류의 부착을 막는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을 하고 있다.
여기서, 김발은 김의 양식을 위해 김의 홀씨가 붙어 자라도록 설치하는 발로서, 양식장에서는 8월 말이나 9월 초쯤 포자인 '사상체'를 모내기 하듯 김발에 옮겨 심은 후 얕은 바다에서 깊은 바다로 옮겨져 본격적으로 김을 키운 뒤 40여일 경과 후 찬바람 부는 가을부터 겨울까지 수확을 하게 된다.
이러한, 김발을 이용하는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 방법은, 어민들이 매일같이 어선을 타고 혹한의 바다에 나가 인력으로 김발을 뒤집어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 시행해야 되는데 이를 게을리 하면 김이 폐사하거나 잡 조류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많은 어민들은 기상조건의 악화나 인력의 한계에 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력튜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로프로 견인되는 스티로폼 등의 부자(浮子)를 이용하는 노출장치 등이 개량된 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방법은 컴프레셔나 동력견인기와 같은 고가의 시설들을 매일 바다에 지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를 개선하고자 등록번호 제10-0219737호 "김발장의 개구부 회전식 자동노출장치" 등이 출원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에 개시된 문헌의 장치는 부자가 김발의 외측면 밖으로 돌출되어 물갈퀴팬이 조류에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조력과 파도가 과도하게 작용하면 물갈퀴팬이 공중에 치솟거나 공회전하여 김발의 노출선이 낮아지거나 부자가 인근 김발에 엉켜 김발의 파손이 심화되어 채취가 난해한 문제점 등이 있어 실질적인 사용이 어려워 인력을 이용하여 뒤집는 통상적인 방법을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김발의 뒤집기 작업은 평균 4일에 한번 씩 뒤집는데 그 이유는 김이 생리적으로 노출과 침수가 번갈아 시행되는 간조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뒤집기 작업은 새벽에 나가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뒤집었다가 오후에 다시 바닷물 속으로 집어넣는 뒤집기 작업이 행해지는 것으로서, 김발을 뒤집는 작업은 통상 2명에서 3명 정도가 어선을 타고 나가서 1인은 어선을 조종하고, 나머지 인원은 갈고리와 같은 도구로 김발을 선수측으로 당긴 후, 어선을 전진시키면서 김발을 밀어 전체적으로 나선형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김발의 뒤집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김발을 뒤집기 위해 어선으로서 밀때는 문제되지 않으나, 김발을 당김에 있어서는 갈고리를 이용한 인력에 의한 것인 바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의 어려움과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력에 의존하여 김발을 뒤집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져 이로 인한 작업 시간의 낭비, 비용 발생 등이 발생되기 때문에 김발을 효율적으로 뒤집으면서 종래의 장치에 비해 사용성과 경제성을 갖추어 보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 공개특허 특2003-0020332호(2003.03.08) 2. 한국 등록특허 제10-0219737호(1999.06.16) 3. 한국 공개실용 제20-2013-0006342호(2013.11.04)
염산희석제나 유기산제인 약제 등을 이용한 양식이 아닌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에서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김발을 뒤집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김발을 뒤집을 수 있는 김발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김발을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가며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해져 사업의 활성화가 도모되는 김발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의 어려움과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김발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김발을 뒤집기 위한 장치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김양식 어선에 접목이 쉬워 보급 활성화가 도모되는 김발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컴프레셔나 동력견인기와 같은 고가의 시설들을 매일 바다에 지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어선 자체에서 김발의 뒤집기가 자동으로 가능해져 사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김발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한 김발 뒤집기 장치는, 어선의 전방측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어선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축과, 길이방향의 일단이 김발과 접촉하도록 중심측이 상기 가이드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김발을 상하 반전시키며 뒤집는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타단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며, 길이 가변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축에서 회전되게 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어선과 접촉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어선의 외측에 위치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어선의 외측에 위치된 단부측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게 구비되어 단부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어선의 전방에서 경사를 갖고 위치되게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축은 길이 가변을 통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게 하는 실린더 구조체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은 상기 김발이 접촉되는 단부측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김발 뒤집기 장치는, 염산희석제나 유기산제인 약제 등을 이용한 양식이 아닌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에서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김발을 뒤집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김발을 뒤집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김발을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가며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해져 사업의 활성화가 도모되는 장점을 갖는다.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의 어려움과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장점을 갖는다.
김발을 뒤집기 위한 장치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김양식 어선에 접목이 쉬워 보급 활성화가 도모되는 장점을 갖는다.
컴프레셔나 동력견인기와 같은 고가의 시설들을 매일 바다에 지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어선 자체에서 김발의 뒤집기가 자동으로 가능해져 사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의 작동예.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가 어선에서의 작동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에 걸림돌기가 설치된 예.
도 5 내지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돌기의 변형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의 작동예,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가 어선에서의 작동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에 걸림돌기가 설치된 예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2), 가이드축(3), 회전축(4), 구동축(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2)는 어선(1)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는 판상체로 구비되며, 판상체의 양측면 중 일측면이 어선(1)의 전방에 뾰족해진 형상을 갖는 선수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는 후술될 가이드축(3)을 지지하여 어선(1)에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가이드축(3)이 지지될 수 있으면 판상체가 아닌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위치도 선수의 상부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축(3)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어선(1)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에 설치된다.
가이드축(3)은 대략 "ㄷ"자 형태의 측단면을 갖고, "ㄷ"자 형상에서 개방부가 형성된 양단이 상부를 향하도록 전술된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면에 결합되되, 어선(1)의 폭방향 센터라인에서 길이방향과 일치되게 양단이 전후방을 향한다.
이러한, 가이드축(3)은 회전축(4)의 회전시 어선(1)과 접촉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의 양단중 전방을 향하는 일단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선(1)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때, 가이드축(3)은 어선(1)의 외측에 위치된 단부측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게 구비되어 단부에 결합된 회전축(4)이 어선(1)의 전방에서 경사를 갖고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축(3)은 양단중 어느 하나의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2)상에 위치되고, 타단이 어선(1)의 전방으로 일부 돌출되며 구비되되, 돌출된 단부측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고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가이드축(3)이 전술된 바와 같은 결합 형태를 갖는 이유는
어선(1)의 선수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어선의 선수 모양이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후술될 회전축(4)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선수 모양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된 바에 따른 가이드축(3)의 형태에 의해 다양한 어선(1)들의 선수 모양에 대응하여 회전축(4)이 경사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어선(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김발(1a)에 접촉할 수 있게 되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며, 경사로 인한 어선(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줄어들어 그에 따른 안전 확보를 가지면서 김발(1a)을 뒤집기 위한 회전 각도의 확보가 유리해진다.
회전축(4)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김발(1a)과 접촉하도록 중심측이 가이드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김발(1a)을 상하 반전시키며 뒤집는다.
이러한, 회전축(4)은 중심측이 가이드축(3)에 힌지방식으로 결합되는 봉상의 형태로 구비되고, 힌지 결합된 중심측 부위를 중심으로 어선(1)의 전방에서 상하로 회전된다.
이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축(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축(3)에 결합된 최초의 상태일 때는 어선(1)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하여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김발(1a)의 뒤집기 작업이 개시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결합된 중심측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된 일단이 어선(1)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상부를 향하고, 상부에 위치된 타단이 어선(1)의 상부면으로 근접되는 하부를 향해 회전된다.
상기된 바를 통해 회전축(4)은 김발(1a)의 뒤집기 작업시, 김발(1a)에 접촉과 동시에 걸림이 용이하도록 수면으로부터 세워진 형태로서 김발(1a)에 접촉되고, 회전이 지속되어져 김발(1a)의 일측이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들어올려 반대측으로 넘어가게 하고, 김발(1a)의 회전이 완료되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다음 위치의 김발(1a)의 뒤집기를 위한 준비 상태 또는 최초 상태가 된다.
전술된 회전축(4)의 기능에 의해 효율적인 김발의 뒤집기 작업이 가능하며, 상기된 회전축(4)을 통한 김발(1a) 뒤집기 공정은 김발(1a) 뒤집기의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어선(1)의 전진 방향으로의 운전이 동시에 행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회전축(4)은 김발(1a)의 걸림이 용이하도록 걸림돌기(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될 구동축(5) 이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축(5)은 가이드축(3) 및 회전축(4)의 길이방향 타단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며, 길이 가변되어 회전축(4)이 가이드축(3)에서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구동축(5)은 길이 가변을 통해 회전축(4)이 회전되게 하는 실린더 구조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특히 유압 실린더로 구비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회전축(4)에 연결된 단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물선을 그리며 수축됨으로써 가이드축(3)에 중심측이 힌지 결합된 회전축(4)의 회전을 유도한다.
물론, 상기된 구동축(5)이 로드와 실린더에 의한 유압 실린더 뿐만 아니라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체로 구비될 수 있고,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당김과 풀림되는 와이어 구조체의 형태를 갖거나, 랙과 피니언 구조 등과 같은 기어 물림에 의한 기어체의 형태로서 회전축(4)이 회전되게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된 바에 따른 구조는 통상적인 공지 기술을 본 개시에 적용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변경 가능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뒤집기 장치에 걸림돌기가 설치된 예, 도 5 내지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돌기의 변형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김발 뒤집기 장치의 회전축(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발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효율적으로 걸림되도록 김발(1a)이 접촉되는 단부측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6)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걸림돌기(6)는 회전축(4)에 의해 뒤집어 지는 김발(1a)이 회전축(4)에서 미끄러져 이탈되거나,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영향으로 후방으로 후퇴되며 빠지지 않도록 걸림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회전축(4)에 의해 원활히 뒤집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걸림돌기(6)는 회전축(4)의 회전으로 오히려 김발(1a)을 당기게 될 수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 넘어가는 김발(1a)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빠지게 된다. 물론, 김발(1a)이 반대방향으로 넘어가기 용이하도록 김발(1a)의 걸림과 빠짐에 용이한 길이와 각도로서 상기 회전축(4)에 구비되어 상기의 문제점이 더욱 보완될 수 있으며, 어선(1)의 전진 방향으로의 이동이 병행되면 더욱 쉬운 걸림과 넘김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은 걸림돌기(6)는 김발(1a)의 걸림과 넘김이 유리한 다양한 변형예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걸림돌기(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발(1a)이 걸림되는 회전축(4)의 전방에서 회전축(4)을 관통하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위치 이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발(1a)이 걸림되는 회전축(4)의 전방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좌우 방향 회전에 의한 위치 이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발(1a)이 걸림되는 회전축(4)의 전방에서 회전축(4)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되, 라디오의 안테와 같이 중첩되는 구조를 가져 회전축(4)의 내부로 최종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날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결합된 프러펠러의 구조를 가지되 다수의 날개가 회전축(4)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되게 중심부가 회전축(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6)는 김발(1a)이 걸림되어 올려질 때는 회전되지 않고, 넘겨질 때는 회전될 수 있는 선택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김발 뒤집기 장치는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어선(1)을 조정하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유압 실린더로 구비된 구동축(5)의 자동제어를 통해 컨트롤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걸림돌기(6)도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전술된 구동축(5)과 걸림돌기(6)의 구조와 구성, 작동 등의 자동제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된 기술을 본 개시가 속한 분야에 설계변경 등을 통해 쉽게 접목이 가능한 정도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구조와 구성, 작동 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김발 뒤집기 장치는, 염산희석제나 유기산제인 약제 등을 이용한 양식이 아닌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에서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김발을 뒤집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김발을 뒤집을 수 있고, 김발을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가며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해져 사업의 활성화가 도모되며,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의 어려움과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김발을 뒤집기 위한 장치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김양식 어선에 접목이 쉬워 보급 활성화가 도모되고, 컴프레셔나 동력견인기와 같은 고가의 시설들을 매일 바다에 지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어선 자체에서 김발의 뒤집기가 자동으로 가능해져 사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어선 1a : 김발
2 : 베이스플레이트 3 : 가이드축
4 : 회전축 5 : 구동축
6 : 걸림돌기

Claims (5)

  1. 어선의 전방측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어선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축;
    길이방향의 일단이 김발과 접촉하도록 중심측이 상기 가이드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김발을 상하 반전시키며 뒤집는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타단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며, 길이 가변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축에서 회전되게 하는 구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뒤집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어선과 접촉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어선의 외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뒤집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어선의 외측에 위치된 단부측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게 구비되어 단부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어선의 전방에서 경사를 갖고 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뒤집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길이 가변을 통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게 하는 실린더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뒤집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김발이 접촉되는 단부측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뒤집기 장치.
KR1020170109311A 2017-08-29 2017-08-29 김발 뒤집기 장치 KR102008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11A KR102008140B1 (ko) 2017-08-29 2017-08-29 김발 뒤집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11A KR102008140B1 (ko) 2017-08-29 2017-08-29 김발 뒤집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82A true KR20190023482A (ko) 2019-03-08
KR102008140B1 KR102008140B1 (ko) 2019-08-07

Family

ID=6580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311A KR102008140B1 (ko) 2017-08-29 2017-08-29 김발 뒤집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1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647B1 (ko) 2019-12-26 2020-06-19 대한민국 김발 노출 장치
CN114521483A (zh) * 2022-03-11 2022-05-24 荣成市海洋经济发展中心(荣成市渔业技术推广站) 一种海上养殖帘翻转装置
KR20220128096A (ko) 2021-03-12 2022-09-20 박병관 김발 뒤집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737B1 (ko) 1996-12-26 1999-09-01 황용안 김발장의 개구부 회전식 자동노출장치
KR20030020332A (ko) 2003-01-22 2003-03-08 황용안 조력부양식 김발자동노출부자
KR101238526B1 (ko) * 2012-11-14 2013-02-28 조재현 양식줄 인양장치
KR20130006342U (ko) 2012-04-25 2013-11-04 김춘원 김발 뒤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737B1 (ko) 1996-12-26 1999-09-01 황용안 김발장의 개구부 회전식 자동노출장치
KR20030020332A (ko) 2003-01-22 2003-03-08 황용안 조력부양식 김발자동노출부자
KR20130006342U (ko) 2012-04-25 2013-11-04 김춘원 김발 뒤집기
KR101238526B1 (ko) * 2012-11-14 2013-02-28 조재현 양식줄 인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647B1 (ko) 2019-12-26 2020-06-19 대한민국 김발 노출 장치
KR20220128096A (ko) 2021-03-12 2022-09-20 박병관 김발 뒤집기 장치
CN114521483A (zh) * 2022-03-11 2022-05-24 荣成市海洋经济发展中心(荣成市渔业技术推广站) 一种海上养殖帘翻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140B1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3482A (ko) 김발 뒤집기 장치
CN100394846C (zh) 综合海产养殖系统
KR102200748B1 (ko) 먹이 급이가 용이한 외해 중층 가두리 양식장
DE163423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ankern von kuestenfernen Rohrleitungen
US10370068B2 (en) Floating debris removal watercraft and method
CN104823928A (zh) 一种捕鱼方法及装置
CN204860639U (zh) 一种捕鱼装置
CN210313256U (zh) 一种船舶起笼起网延绳钓作业设备
US5031809A (en) Fish stringer apparatus
KR102269388B1 (ko)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KR101949237B1 (ko)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US20030230684A1 (en) Fishing post
JP2007308129A (ja) 簡単に外せる錨
CN105766088B (zh) 大幅宽液压折叠式智能化水田埋茬机
KR20130006342U (ko) 김발 뒤집기
CN202603427U (zh) 一种新型捕鱼网
CN207646850U (zh) 一种带绞盘的履带式移动泵站
DE1456252A1 (de) Vorrichtung zum Verankern eines Schiffes
US7882793B1 (en) Lightweight anchor for small watercraft
CN211322672U (zh) 新型钓篮
US1642582A (en) Fishing and hunting otter
CN112758254A (zh) 一种能够自动切割残荷杆的浮标系统
US20110278524A1 (en) Lift assembly for managing rod holders on fishing boats
KR20240041543A (ko) 물김 채취 장치
US20200100484A1 (en) Electric outrigger pos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