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237B1 -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237B1
KR101949237B1 KR1020180014995A KR20180014995A KR101949237B1 KR 101949237 B1 KR101949237 B1 KR 101949237B1 KR 1020180014995 A KR1020180014995 A KR 1020180014995A KR 20180014995 A KR20180014995 A KR 20180014995A KR 101949237 B1 KR101949237 B1 KR 10194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hip
main body
wat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최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호 filed Critical 최용호
Priority to KR102018001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48Sea-anchors; Drog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liquid or gas
    • H02K5/124Sealing of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어업지가 기상예보와 다른 환경이거나 급작스러운 날씨 변화로 인해 파도(조류)나 바람 등이 변화되어져 해묘를 건져낸 후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던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바닷물의 흐름이 급변하거나 그 흐름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나 어선의 어획량에 따라 선박 전체의 무게가 달라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는, 선박과, 상기 선박에 연결된 인양줄에 연결되며, 부력을 가져 수면에서 위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띄워지는 부표와, 상기 부표에 연결된 상기 인양줄에 연결되어 수중에 위치되며, 수중에 위치되게 하는 침자가 구비된 부표줄과, 상기 침자에 일단이 연결되되 연장된 타단이 방사상으로 다수로 구비된 배수구줄과, 상기 배수구줄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배수구가 형성되고, 유체의 저항에 의해 수중에서 낙하산 형태로 펼쳐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 다수의 연줄을 통해 연결된 수위볼과, 상기 수위볼에 일단이 연결되고 연장된 타단이 상기 선박에 위치된 선박연결줄 및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배수구측 단부를 오므리거나 벌려 상기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OPEN AND CLOSE CONTROL APPARATUS FOR DRAINAGE HOLE OF SEA ANCH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징어나 갈치 등과 같은 어류들은 잡기 위한 채낚기 어선의 조업시 어선이 조류 또는 바람에 의해 밀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조류의 흐름과 비슷한 속도로 흘러가도록 하여 어류의 어획을 용이하게 한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나 갈치 등과 같은 어류들은 바닷물의 흐름에 따라서 움직이는 어종이기 때문에 이러한 어류들을 잡기 위해서는 어선이 바닷물의 흐름을 따라 움직이면서 채낚기 방식으로 어획을 해야 한다.
따라서, 채낚기 어선에는 바닷물의 흐름에 따라서 어선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묘(sea anchor)가 구비되는데, 이 해묘는 원단을 보통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 또는 평행 사변형 형태로 재단천을 제단하고, 이 각각의 재단천을 빗변은 빗변끼리 그리고 수직변은 수직변끼리 박음질하여 중앙 부분에 앞쪽보다 작은 개구부가 형성된 전체 형상이 낙하산 형태가 되게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수중에서 전개된 후 바닷물의 흐름 방향으로 어선을 당겨주는 효과를 주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채낚기 어선을 정체시키고자 할 경우 파도 및 바람 등에 의해서 선박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묘를 설치하는게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묘의 일반적인 구조는, 선박(1)과 부표(2) 사이를 인양줄(3)로 연결하고 이 부표(2)를 부표줄(4)과 침자(5)를 연결한 다음 해묘 본체의 배수구줄(6)을 연결한다.
그리고, 해묘 본체를 연줄(7)로 연결한 후 이 연줄(7)과 수위볼(8)을 연결하고 이 수위볼(8)에 선박연결줄(9)을 연결하는게 통상적이다.
따라서, 파도 및 바람에 의해 선박이 유동할시 해묘 본체가 펼쳐짐에 의해 물과 저항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박은 조류의 흐름만큼의 상태로 세팅된다.
이러한, 해묘는 선박의 크기와 해묘의 크기 또는 파도의 세기(파도, 조류) 등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선박의 크기와 해묘의 크기는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하여 그에 맞게 적용 가능하나 파도의 세기나 바람 등은 그 날의 날씨와 어업자의 경험을 토대로 하는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방식은, 어업지가 기상예보와 다른 환경이거나 급작스러운 날씨 변화로 인해 파도(조류)나 바람 등이 변화게 되면 설치된 해묘의 기능이 떨어져 해묘를 건져낸 후 배수구 조정후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다.
그리고, 해묘의 크기가 일정한 관계로 해묘의 용적 변화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어 바닷물의 흐름이 급변하거나 그 흐름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 이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거나, 어선의 어획량에 따라 선박 전체의 무게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1. 한국 공개특허 특1994-7003768호(1994.12.12)
2. 한국 등록특허 제10-0211910호(1999.05.06)
어업지가 기상예보와 다른 환경이거나 급작스러운 날씨 변화로 인해 파도(조류)나 바람 등이 변화되어져 해묘를 건져낸 후 배수구 조정후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던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닷물의 흐름이 급변하거나 그 흐름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나 어선의 어획량에 따라 선박 전체의 무게가 달라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선박과, 상기 선박에 연결된 인양줄에 연결되며, 부력을 가져 수면에서 위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띄워지는 부표와, 상기 부표에 연결된 상기 인양줄에 연결되어 수중에 위치되며, 수중에 위치되게 하는 침자가 구비된 부표줄과, 상기 침자에 일단이 연결되되 연장된 타단이 방사상으로 다수로 구비된 배수구줄과, 상기 배수구줄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배수구가 형성되고, 유체의 저항에 의해 수중에서 낙하산 형태로 펼쳐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 다수의 연줄을 통해 연결된 수위볼과, 상기 수위볼에 일단이 연결되고 연장된 타단이 상기 선박에 위치된 선박연결줄 및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배수구측 단부를 오므리거나 벌려 상기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를 형성시키는 조임벨트가 통과되는 케이싱과, 상기 조임벨트에 외주면이 접촉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기어물림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을 정역 회전시켜 상기 조임벨트가 상기 케이싱의 전후방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임벨트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기어물림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케이싱의 전후방으로 상기 조임벨트가 전후진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가 구비된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터는 DC모터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는, 어업지가 기상예보와 다른 환경이거나 급작스러운 날씨 변화로 인해 파도(조류)나 바람 등이 변화되어져 해묘를 건져낸 후 배수구 조정후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던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장점을 갖는다.
바닷물의 흐름이 급변하거나 그 흐름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나 어선의 어획량에 따라 선박 전체의 무게가 달라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해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의 전방측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츄에이터의 탈부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는 오징어나 갈치 등과 같은 어류들은 잡기 위한 채낚기 어선의 조업시 어선이 조류 또는 바람에 의해 밀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조류의 흐름과 비슷한 속도로 흘러가도록 하여 어류의 어획을 용이하게 한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력, 기어, 모터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해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의 전방측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과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는, 선박(1), 부표(2), 부표줄(4), 배수구줄(6), 본체(10), 수위볼(8), 선박연결줄(9), 액츄에이터(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선박(1)은 오징어나 갈치 등과 같은 어류들은 잡기 위한 채낚기 어선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부표(2)는 선박(1)에 연결된 인양줄(3)에 연결되며, 부력을 가져 수면에서 위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띄워진다. 이를 위해, 부표(2)는 수면에서 띄워질 수 있도록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소재 등과 같은 부력을 가진 재료로 구비되되, 시인성을 갖도록 유색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러한, 부표(2)는 인양줄(3)을 통해 선박(1)에 연결되어짐으로써 인양줄(3)의 길이만큼 선박(1)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수면에 위치되게 된다.
부표줄(4)은 부표(2)에 연결된 인양줄(3)에 연결되어 수중에 위치되며, 수중에 위치되게 하는 침자(5)가 구비된다.
이러한, 부표줄(4)은 침자(5)에 의해 부표(2)로부터 수직으로 하강하여 수중에 위치되게 된다.
배수구줄(6)은 침자(5)에 일단이 연결되되 연장된 타단이 방사상으로 다수로 구비된다.
이러한, 배수구줄(6)은 방사상의 형태의 다수로 구비됨으로써 후술된 본체(10)의 전방을 지지하여 유체의 저항에 의해 본체(10)의 입구측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개방되도록 한다.
본체(10)는 배수구줄(6)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배수구가 형성되고, 낙하산 형태로 펼쳐진 후 유체와 저항을 형성함에 따라 어선이 정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10)는 보통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 또는 평행 사변형 형태로 재단천을 제단하고, 이 각각의 재단천을 빗변은 빗변끼리 그리고 수직변은 수직변끼리 박음질하여 중앙 부분에 배수구가 형성된 전체 형상이 낙하산 형태가 되게 제조된다.
수위볼(8)은 본체(10)의 타단에 다수의 연줄(7)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수위볼(8)은 본체(10)의 타단에 다수의 연줄(7)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본체(10)가 낙하산 형태로 전개된 후 유체가 본체(10)의 배수구를 통해 통과될 본체(10)를 낙하산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탱하게 된다.
선박연결줄(9)은 수위볼(8)에 일단이 연결되고 연장된 타단이 선박(1)에 위치된다.
이 선박연결줄(9)은 본체(10)와 선박(1)을 이어주도록 함으로써 본체(10)와 유체의 저항에 의해 본체(10)가 유체 흐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선박(1)을 당겨준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에서 해묘의 일반적인 구성은 종래의 해묘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개시의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20)가 구비되는데, 이하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액츄에이터(20)는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10)에 구비되며, 본체(10)의 배수구측 단부를 오므리거나 벌려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한다.
액츄에이터(20)는 케이싱(21), 회전축(22), 모터(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싱(21)은 본체(10)에 구비되어 배수구를 형성시키는 조임벨트(11)가 통과된다.
케이싱(21)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육면체와 큰 육면체가 길이방향의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의 바(bar)타입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싱(21)은 본체(10)와 함께 수중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수밀이 유지되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상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에 따른 케이싱(21)은 작은 육면체의 하부측에 후술될 조임벨트(11)가 삽입되는 개구부(21a)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개구부의 하부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에 삽입된 조임벨트(11)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1b)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싱(21)에 삽입된 조임벨트(11)의 단부가 케이싱(21)에 고정될 수 있어 다수의 배수구줄(6)과 본체(10)에 걸리거나 엉키지 않고 깔끔하게 정리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에 따른 케이싱(21)은 내부 공간을 가져 부력과 중력의 힘이 동일한 상태인 중성부력을 갖는데, 이를 통해 케이싱(21)은 중성부력을 유지하게 되어 물에서 뜨지도 가라앉지도 않게 됨으로써 부표(2), 침자(5), 본체(10)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각각이 제기능을 수행하는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회전축(22)은 조임벨트(11)에 외주면이 접촉되며 케이싱(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회전축(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육면체와 큰 육면체가 결합된 케이싱(2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축(22)은 작은 육면체의 케이싱(21)에 위치된 단부의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은 케이싱(21)에 삽입된 조임벨트(11)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된다.
전술된 바에 따른 회전축(22)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베어링 등을 통해 케이싱(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연장된 타단에 기어체가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22)에는 실링부재(22a)가 구비되고, 이 실링부재(22a)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타단이 큰 육면체의 케이싱(21)에 위치되게 되어 후술될 모터(23)가 구비된 케이싱(21)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모터(23)는 회전축(22)의 단부에 구비된 기어체에 기어물림되어 케이싱(21)의 내부에 구비되되 회전축(22)을 정역 회전시켜 조임벨트(11)가 케이싱(21)의 전후방으로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에 형성된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조임벨트(11)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12)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12)는 회전축(22)의 외주면에 기어물림되어 회전축(22)의 회전시 케이싱(21)의 전후방으로 조임벨트(11)가 전후진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의 배수구를 조이거나 풀어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한다.
여기서, 조임벨트(11)의 가이드(12)는 기어물림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하며, 이 가이드(12)를 감싸는 외부는 타이어 또는 밸트 등에 사용되는 플렉시블한 소재가 사용됨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모터(23)는 단부에서 회전되는 기어(도면부호 미기재)가 회전축(22)의 기어체에 기어물림되어져 회전축(22)이 케이싱(21)의 내부에서 정역 회전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모터(23)는 DC모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부표(2)에 별도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배터리의 전력을 통해 모터(23)가 작동되도록 함에 있어 유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에 구비된 모터(23)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3)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선(23a)이 별도록 구비되거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별도로 충전이 가능하게 구비된 배터리에 의해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동력선(23a)은 부표(2)측에 구비된 배터리에 연결시키거나 별도의 표류부표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연결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가 구비된 부표(2)와 표류부표 등에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와 연동되는 무선의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선박(1)에서 모터(23)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바닷물의 흐름이 급변하거나 그 흐름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나 어선의 어획량에 따라 선박 전체의 무게가 달라짐에 맞춰 배수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컨트롤러는 액츄에이터(2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편의의 다양한 조작키 및 모니터 등을 구비한 휴대용 원격 제어장치이며, 전술된 컨트롤러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에 따른 목적 및 편의를 위한 구성을 갖고 널리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는 일반적인 해묘의 사용방법과 대동소이 하나, 어업지가 기상예보와 다른 환경이거나 급작스러운 날씨 변화로 인해 파도(조류)나 바람 등이 변화될 경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배수구의 조절이 가능해 해묘를 건져낸 후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해결되게 된다.
한편,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츄에이터의 탈부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액츄에이터(20)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개시의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는 배수구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끈이 구비된 본체(10)의 배수구측에 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끈의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다수로 구비된 연결띠(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띠(13)는 본체(10)에 제봉을 통해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연장된 타단이 본체(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되, 연장된 단부가 제봉된 일단을 향해 꺾여진 형태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띠(13)의 일단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고정고리(13b)가 구비되고, 꺾인 형태의 타단에는 원형의 고리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탄성고리(13a)가 구비된다.
그리고, 탄성고리(13a)는 대략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되, 갈고리 형의 걸림부와 원형의 고리에 일단이 결합되어져 탄성을 가짐으로써 연장된 타단이 걸림부의 단부쪽 내측을 지지하는 탄성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탄성부가 걸림부의 내측을 탄성가압함으로써 탄성고리(13a)는 대략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게 되며, 이를 통해 탄성고리(13a)가 고정고리(13b)측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본체(10)에 구비된 연결띠(13)의 탄성고리(13a)와 고정고리(13b)에 의해 액츄에이터(20)의 조임벨트(11)를 감아 연결띠(13)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츄에이터(20)는 본체(1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된 바에 따른 액츄에이터(20)의 탈부착을 통해 해묘로부터 액츄에이터(20)를 분리해 회수하여 별도의 보관이 가능해져 고가의 액츄에이터(20) 분실이나 도난 등의 문제에 대한 대처가 가능해 진다.
그리고, 본 개시의 액츄에이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사이드컨트롤러(도면부호 미기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사이드컨트롤러는 앞서 언급된 컨트롤러를 통한 액츄에이터(20)의 제어전 액츄에이터(20)에 의해 고정된 조임벨트(11)의 길이를 조정되게 함으로써 본체(20)의 배수구 크기를 기제공된 조업지의 날씨와 파도 등에 맞춰 사전 세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를 도모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액츄에이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배수구 크기 및 조임벨트(11)의 조정상태 등의 확인이 가능한 카메라(도면부호 미기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조임벨트(11)의 작동 유무를 액츄에이터(20)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컨트롤러의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개시의 부표(2)에는 배터리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변압기 등이 구비되도록 하여 교류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승압 또는 강압 하도록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더욱 증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개시의 컨트롤러는 고유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선박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등으로부터 간섭없는 사용, 본 개시의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선박의 각 제품에 대하여만 고유 주파수에 따른 확실한 제어, 해상에 위치된 부표(2)의 거리나 파도 등에 따른 해상변화에 의한 전파 방해 등으로 컨트롤러의 제어가 어려운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극복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는, 어업지가 기상예보와 다른 환경이거나 급작스러운 날씨 변화로 인해 파도(조류)나 바람 등이 변화되어져 해묘를 건져낸 후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던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바닷물의 흐름이 급변하거나 그 흐름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나 어선의 어획량에 따라 선박 전체의 무게가 달라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선박 2 : 부표
3 : 인양줄 4 : 부표줄
5 : 침자 6 : 배수구줄
7 : 연줄 8 : 수위볼
9 : 선박연결줄 10 : 본체
11 : 조임벨트 12 : 가이드
13 : 연결띠 13a : 탄성고리
13b : 고정고리 20 : 액츄에이터
21 : 케이싱 21a : 개구부
21b : 고정부 22 : 회전축
22a : 실링부재 23 : 모터
23a : 동력선

Claims (5)

  1. 선박;
    상기 선박에 연결된 인양줄에 연결되며, 부력을 가져 수면에서 위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띄워지는 부표;
    상기 부표에 연결된 상기 인양줄에 연결되어 수중에 위치되며, 수중에 위치되게 하는 침자가 구비된 부표줄;
    상기 침자에 일단이 연결되되 연장된 타단이 방사상으로 다수로 구비된 배수구줄;
    상기 배수구줄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배수구가 형성되고, 유체의 저항에 의해 수중에서 낙하산 형태로 펼쳐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다수의 연줄을 통해 연결된 수위볼;
    상기 수위볼에 일단이 연결되고 연장된 타단이 상기 선박에 위치된 선박연결줄; 및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배수구측 단부를 오므리거나 벌려 상기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를 형성시키는 조임벨트가 통과되는 케이싱과, 상기 조임벨트에 외주면이 접촉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기어물림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을 정역 회전시켜 상기 조임벨트가 상기 케이싱의 전후방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벨트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기어물림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케이싱의 전후방으로 상기 조임벨트가 전후진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배수구의 크기가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가 구비된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DC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KR1020180014995A 2018-02-07 2018-02-07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KR101949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95A KR101949237B1 (ko) 2018-02-07 2018-02-07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95A KR101949237B1 (ko) 2018-02-07 2018-02-07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237B1 true KR101949237B1 (ko) 2019-02-18

Family

ID=6556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95A KR101949237B1 (ko) 2018-02-07 2018-02-07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2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5696A (zh) * 2019-04-22 2019-08-27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工程研究所 一种基于多元回归的渔港船舶进出港动态预测方法及系统
CN110754449A (zh) * 2019-09-29 2020-02-07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具有摄像监控装置的行走式捕蟹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599U (ko) * 1985-11-18 1987-05-29
JPH09132191A (ja) * 1995-11-07 1997-05-20 Makoto Motoizumi シ−・アンカ−
KR19980052984U (ko) * 1996-12-31 1998-10-07 이용락 영상 신호 기록 기기 장치용 디스크 회전 테이블 구조
KR100211910B1 (ko) 1996-12-26 1999-08-02 김인섭 시 안카 본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599U (ko) * 1985-11-18 1987-05-29
JPH09132191A (ja) * 1995-11-07 1997-05-20 Makoto Motoizumi シ−・アンカ−
KR100211910B1 (ko) 1996-12-26 1999-08-02 김인섭 시 안카 본체 제조방법
KR19980052984U (ko) * 1996-12-31 1998-10-07 이용락 영상 신호 기록 기기 장치용 디스크 회전 테이블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5696A (zh) * 2019-04-22 2019-08-27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工程研究所 一种基于多元回归的渔港船舶进出港动态预测方法及系统
CN110175696B (zh) * 2019-04-22 2020-03-27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工程研究所 一种基于多元回归的渔港船舶进出港动态预测方法及系统
CN110754449A (zh) * 2019-09-29 2020-02-07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具有摄像监控装置的行走式捕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03028A (en) Floating fish bag
CN105007719B (zh) 近海水产养殖设施
US5806232A (en) Radio controlled fishing bait boat
KR101949237B1 (ko) 해묘의 배수구를 조절하는 장치
US3676882A (en) Life saving implements
US20120244768A1 (en) Flotation vest having an integral work surface
AU2008301213B2 (en) Man-over-board rescue device
AU2018203230A1 (en) Formable aquatic coverings for preventing biofouling
JP2007062419A (ja) 水棲生物付着防止具
US5031809A (en) Fish stringer apparatus
JP2012090622A (ja) 遠投用天秤付きコマセ籠
US11825815B2 (en) Buoyancy system for a fish pen
AU20192002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shellfish traps
KR20190023482A (ko) 김발 뒤집기 장치
EP2101566A1 (en) Apparatus for the cultivation of shellfish
CN111096307A (zh) 一种遥控船载路亚装置
US10201155B2 (en) Mechanized trolling device
US20060096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fishing bait
US5615513A (en) Beach trolling device
CN210248042U (zh) 一种鱼塘捕鱼装置
CN217217910U (zh) 刺猬塔钓具
JP2007006726A (ja) 釣船装置
JP5401625B1 (ja) ズックビク
JPH10117650A (ja) 釣り用仕掛け
CN212993911U (zh) 一种钓鱼打窝增氧的新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