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16U - 주낙용 어구 - Google Patents

주낙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16U
KR20080002616U KR2020070000460U KR20070000460U KR20080002616U KR 20080002616 U KR20080002616 U KR 20080002616U KR 2020070000460 U KR2020070000460 U KR 2020070000460U KR 20070000460 U KR20070000460 U KR 20070000460U KR 20080002616 U KR20080002616 U KR 200800026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main body
main
fasten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미
Original Assignee
박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미 filed Critical 박선미
Priority to KR2020070000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616U/ko
Publication of KR20080002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낙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낚싯줄이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낚싯줄의 체결 부재가 구비되는 주낙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는, 수중의 일정 위치에 길게 형성되는 메인 낚싯줄; 상기 메인 낚싯줄에 의해 관통되면서, 일정 부력(浮力)을 가지는 본체; 상기 메인 낚싯줄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되어, 단부에 낚시바늘이 장착되는 보조 낚싯줄이 포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조 낚싯줄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실질적으로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는, 일정 부력(浮力)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본체의 중심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중앙부에 낚싯줄과 체결되면서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 걸리면서, 낚싯줄을 걸림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에 의하면,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며, 조업 준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어획량을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주낙, 어구, 부력 부재, 체결부, 함몰, 체결공, 체결부재

Description

주낙용 어구 {Fishing implement for longlin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부력 부재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부력 부재가 설치된 측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부력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부력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 낚싯줄 120. 스토퍼
200. 부력 부재 210. 본체
212. 관통부 220. 체결부
230. 함몰부 240. 지지부
250. 체결공 300. 보조 낚싯줄
320. 체결부재 400. 주낙용 바늘
본 고안은 주낙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낚싯줄이 체결되는 체결 부가 형성되고, 낚싯줄의 체결 부재가 구비되는 주낙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주낙은 연승(延繩)이라고도 하며, 하나의 메인 낚싯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조 낚싯줄이 체결되어 보조 낚싯줄 끝에 바늘을 매달고, 바늘에 미끼를 고정시켜 생물을 낚는 어구 및 어법을 일컫는 말로써 하나의 낚싯줄에 하나의 바늘을 매달아 생물을 낚는 외줄낚시보다 어획 성능이 향상된 어구 및 어법이다.
주낙은 땅주낙, 뜬주낙, 선주낙 등으로 구분되며, 땅주낙은 해저 또는 그 가까이에 있는 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낚시가 해저에 닿는 것이 원칙이다. 메인 낚싯줄에 적당한 간격으로 바늘을 달아서 가라앉히고, 어구의 양쪽 끝 부분에 닻을 놓아서 어구를 고정시키며, 그 장소에 수심보다 긴 부표를 설치하여 띄어 놓았다가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어구를 회수하게 된다.
뜬주낙은 표층이나 중측에 있는 어족을 대상으로 하는 낚시 방법으로 이 방법은 낚시가 수면 아래 적당한 깊이에 위치하여야 한다. 어구는 메인 낚싯줄에 부표줄을 매달고, 그 끝에 보조 낚싯줄은 부표줄의 길이만큼,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뜬주낙은 물의 흐름에 따라 저절로 이동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선주낙은 메인 낚싯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조 낚싯줄을 체결하지만, 보조 낚싯줄 끝에 추를 달아서 메인 낚싯줄의 수직 하방으로 뻗치도록 해 두었다가 회수함으로써 어획물을 낚게 된다.
이러한 선주낙의 변형으로 메인 낚싯줄과 보조 낚싯줄의 기능을 서로 겸하도록 함으로써 메인 낚싯줄의 끝에 바늘을 체결하고, 그 바늘에서 일정 길이의 보조 낚싯줄을 내어 그 끝에 다시 바늘을 체결하면서 연결하는 방법도 있다.
땅주낙의 연안에서는 명태, 조기, 갈치, 낙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조업에 주로 사용되고, 선주낙은 오징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조업에 주로 사용되며, 뜬주낙은 다랑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조업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메인 낚싯줄에는 부력 부재가 장착되며, 이러한 부력 부재는 주로 수중에서 일정 정도의 부력에 의해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부력 부재의 부력이 크면 수면상에 뜨게 되고, 부력이 작아지면, 수중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일정한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하게 된다.
메인 낚싯줄에는 상기 부력 부재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 장착되고, 이러한 부력 부재에 상기 보조 낚싯줄을 감싸면서 보조 낚싯줄이 부력 부재와 체결된다. 부력 부재와 체결되는 보조 낚싯줄은 상기 메인 낚싯줄로부터 하방으로 드리워지게 되면서, 수중의 일정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주낙용 부력 부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부력 부재에 상기 보조 낚싯줄이 체결될 때, 보조 낚싯줄이 부력 부재의 몸체 외면을 감으면서 체결된다. 이처럼, 보조 낚싯줄이 부력 부재의 몸체 외면을 감으면서 체결되면, 부력 부재가 수중으로 내려지게 될 때 상기 메인 낚싯줄을 풀어주는 장치에 보조 낚싯줄이 걸려 장치가 훼손되거나, 물살 또는 그 외의 외부 영향에 의해 부력 부재로부터 보조 낚싯줄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력 부재의 몸체 외면에 상기 보조 낚싯줄을 감아서 체결하는 것은 사용자가 체결하기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 부재로부터 상기 보조 낚싯줄이 이탈되면서, 상기 메인 낚싯줄로부터 보조 낚싯줄이 이탈되어 어획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낚싯줄에서 이탈된 상기 보조 낚싯줄은 심각한 수중 오염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부력 부재에 보조 낚싯줄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구비되는 주낙용 부력 부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제안으로, 보조 낚싯줄의 체결이 용이하면서 보조 낚싯줄의 이탈이 방지되는 주낙용 부력 부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제안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는, 수중의 일정 위치에 길게 형성되는 메인 낚싯줄; 상기 메인 낚싯줄에 의해 관통되면서, 일정 부력(浮力)을 가지는 본체; 상기 메인 낚싯줄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되어, 단부에 낚시바늘이 장착되는 보조 낚싯줄이 포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조 낚싯줄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실질적으로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낚싯줄이 걸리는 지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보조 낚싯줄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메인 낚싯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는, 일정 부력(浮力)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본체의 중심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중앙부에 낚싯줄과 체결되면서 걸리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걸리면서, 낚싯줄을 지지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낚싯줄의 단부에 장착되는 후크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에 의하면,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며, 조업 준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어획량을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낙용 어구의 설치 상태를 살펴보면, 주낙은 일반적으로 수중의 일정 위치에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메인 낚싯줄(100)에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되고, 각각의 보조 낚싯줄(300) 끝 부분 에 주낙용 바늘이 체결되면서 구성된다.
상기 메인 낚싯줄(100)은 수중에서도 잘 견디면서 강도가 강한 소재로 제작되며, 수중에서 잘 견디고 강도가 강한 어떠한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러한 메인 낚싯줄(100)에는 일정 정도의 부력을 가지는 부력 부재(200)가 메인 낚싯줄(100)에 관통되면서 다수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부력 부재(200)가 가지는 부력에 의해 메인 낚싯줄(100)은 수면으로 뜨지도 않고, 해저로 가라앉지도 않으면서 수중에서 일정 정도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부력 부재(200)는 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가로(도면에서 볼 때)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210)의 일부분에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되는 체결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20)에 체결되는 보조 낚싯줄(300)의 다른 끝 부분에 주낙용 바늘(400)이 체결된다.
상기 메인 낚싯줄(100)에 상기 부력 부재(200)가 구비되고, 부력 부재(200)에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되며, 보조 낚싯줄(300)의 끝 부분에 상기 주낙용 바늘(400)이 장착되면, 사용자는 배로 이동하면서 메인 낚싯줄(100)을 원하는 장소에 내리게 된다.
사용자가 배를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 낚싯줄(100)을 원하는 장소에 내리게 되면, 메인 낚싯줄(100)에 장착되는 상기 부력 부재(200)에 의해 일정 정도의 부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메인 낚싯줄(100)은 바닥으로 가라앉지 않게 되고, 수면 아래 일정 위치에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메인 낚싯줄(100)이 수면 아래 일정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부력 부재(200)에 체결되는 상기 보조 낚싯줄(300)은 메인 낚싯줄(100)의 하측으로 늘어지게 된다. 이때 보조 낙싯줄(300)의 상단부(도면에서 볼 때)는 부력 부재(200)에 고정되어 수중의 일정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하단부는 상기 주낙용 바늘(400)과 체결되어 주낙용 바늘(400)의 무게에 의해 해저 바닥면과 근접하게 된다.
상기 부력 부재(200)가 가지는 부력(浮力)은 중력이 작용할 때 유체 속에 있는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힘으로써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부력의 크기는 유체 속에 위치하게 되는 물체와 같은 부피를 가지는 유체의 무게와 같으며, 물체의 무게 중심이 어디에 위치하였는가에 따라 물체가 기울어졌을 때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복원력이 달라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부력(浮力)은 물에 뜨려는 힘을 말하며, 그 크기는 상기 부력 부재(200)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지는 물의 무게와 같게 된다.
통상적으로 물보다 비중이 큰 물체는 물에 가라앉게 되고,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은 잘 뜨게 된다. 이러한 부력에는 양성부력과 음성부력, 중성부력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주낙용 바늘(400)에 조업하고자 하는 대상 생물이 잘 먹는 미끼를 장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즉, 낙지를 조업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선택하게 되면, 상기 미끼는 살아있는 게를 사용하게 되는 것처럼, 조업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하여 그 대상 생물이 선 호하는 먹이감을 미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주낙용 바늘(400)에 장착되는 미끼를 대상 생물이 인지하여 주낙용 바늘(400)로 접근하게 되면서, 주낙용 바늘(400)에 대상 생물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주낙은 하나의 메인 낚싯줄(100)에 다수의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구비되어 한 번의 낚시로 여러 마리의 대상 생물을 낚을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부력 부재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의 부력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력 부재(20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가로(도면에서 볼 때)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2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210)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메인 낚싯줄(100)이 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관통부(21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가로 방향으로 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수중에서 일정 정도의 부력을 가지도록 발포 가공되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일정 형상을 가지는 금형에 압력을 가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본체(210)의 하반부 즉, 상기 메인 낚싯줄(100)이 관통되도록 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관통부(212)의 하측에는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되는 체결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10)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관통부(212)는 그 지름이 상기 메인 낚싯줄(100)의 단면적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부(212) 를 통해 메인 낚싯줄(100)이 본체(210)를 통과하게 되더라도 본체(210)는 메인 낚싯줄(10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배에 탄 상태에서 배에 장착되는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낚싯줄(100)을 풀게 될 때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메인 낚싯줄(100)에 얽히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 낚싯줄(100)에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감기게 되더라도 상기 본체(210)가 메인 낚싯줄(10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본체(210)를 회동시키게 되면, 메인 낚싯줄(100)에 감기는 보조 낚싯줄(300)이 풀리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10)의 양 측방에는 본체(2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20)가 상기 메인 낚싯줄(100)에 고정되면서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12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 낚싯줄(1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메인 낚싯줄(100)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본체(210)의 좌측면과 우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장착됨으로써 본체(210)의 길이 방향 이동을 일정 정도 가능하게 하여 주며, 이러한 간격은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본체(210)에 체결된 다음 배에 장착되는 상기 메인 낚싯줄(100)을 풀어주는 장치에 의해 메인 낚싯줄(100)이 풀려지게 될 때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게이트를 보조 낚싯줄(300)이 통과하게 되면서, 소정의 여유를 두어 보조 낚싯줄(300)의 매듭이 장치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본체(210)의 이동을 간섭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일정 정도의 부력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낚싯줄(100)이 수중의 일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력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220)는 상기 본체(210)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230)와, 상기 함몰부(230)의 중앙부를 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된 다음 걸리면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240)와, 상기 지지부(240)를 본체(2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보조 낚싯줄(300)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몰부(230)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부(230)를 가로지르면서 함몰부(230)를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하는 지지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4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지지부(240)의 하면은 본체(210)의 둘레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210)와 지지부(240)는 하나의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지지부(240)가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지지부(240)에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된 다음 지지부(2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지지부(240)가 가지는 강도에 의해 보조 낚싯줄(3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부(240)는 상기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고 있으나,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된 다음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게 되면, 본체(210)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함몰부(230)에 일정 정도의 홈이 양측에 형성되고, 그 홈에 별도로 제작되는 상기 지지부(240)가 자체 탄성에 의해 양 측단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보조 낚싯줄(300)을 지지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지지부(240)의 하면은 상기 본체(210)의 둘레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되거나, 둘레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240)에는 지지부(24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되면서,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통과하도록 체결공(2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공(250)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2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50)의 지름은 상기 보조 낚싯줄(30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는 체결공(250)의 지름이 보조 낚싯줄(3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체결공(250)을 통해 보조 낚싯줄(300)이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체결공(250)은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통과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공(250)을 통과하면서 체결되어 상기 본 체(210)에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체결공(250)을 통과하게 되는 상기 보조 낚싯줄(300)은 상기 지지부(2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되며, 이처럼 체결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매듭이 지어짐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체결공(250)으로 상기 보조 낚싯줄(300)을 통과시킨 다음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공(250)을 통과한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매듭을 지어주게 된다.
상기 체결공(250)을 통과한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되는 매듭은 체결공(250)을 통과한 보조 낚싯줄(300)의 끝 부분이 체결공(250)을 통과하지 않은 보조 낚싯줄(300)과 묶어지면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체결공(250)을 통과한 보조 낚싯줄(300)의 끝 부분을 자체적으로 매듭지어 그 매듭이 체결공(250)의 지름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보조 낚싯줄(300)이 체결공(25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체결공(250)을 통과한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상기 지지부(240)에 지지되도록 체결되는 매듭은 상기 함몰부(230)가 형성하게 되는 소정의 공간에 위치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 낚싯줄(300)의 끝 부분이 상기 체결공(250)을 통과하면서 상기 지지부(240)와 체결되는 매듭은 상기 함몰부(230)가 형성하게 되는 소정의 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타고 이동하는 배 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낚싯줄(100)을 풀게 되는 장치의 게이트를 상기 부력 부재(200)가 통과하게 될 때 상기 게이트에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상기 지지부(240)와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매듭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훼손 또는 보조 낚싯줄(300)의 망실, 및 부력 부재(2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상기 지지부(240)와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매듭이 상기 함몰부(2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본체(210)의 둘레면 외측으로는 어떠한 부분도 돌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 부력 부재(200)가 게이트를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되며, 장치의 훼손, 보조 낚싯줄(300)의 망실, 부력 부재(200)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의 부력 부재를 다른 실시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 부력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용 어구 부력 부재에 체결되는 보조 낚싯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체결부(220)가 상기 본체(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보조 낚싯줄(300)을 체결하게 될 때 어떠한 방향으로도 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본체(21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220)와 반대 방향으로 본체(210)의 상반부에 체결부(220)가 형성됨으로써 체결부(220)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을 경우보다 상기 보조 낚싯줄(300)을 체결부(220)에 체결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체결부(220)에 체결되는 상기 보조 낚싯줄(300)의 끝 부분을 체결부재(32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체결부(220)에 보조 낚싯줄(300)을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낚싯줄(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재(320)는 후크(hook)로 체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후크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중앙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링의 일부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후크의 탄성을 가지는 일부분을 상기 체결공(250)과 상기 지지부(240)의 사이로 압착시키게 되면, 탄성을 가지는 부분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후크가 체결공(250)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상기 후크가 상기 체결공(250)을 통과하여 체결되면, 탄성으로 휘어진 부분은 다시 복원되어 상기 보조 낚싯줄(300)이 상기 지지부(2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본체(210)로부터 보조 낚싯줄(300)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에도 상기 후크는 상기 함몰부(2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본체(210)의 둘레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된다. 후크가 상기 보조 낚싯줄(300)의 상단부와 체결되는 체결 부위는 상기 게이트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가 상기 보조 낚싯줄(300)의 상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부위가 상기 게이트의 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본체(210)의 이동 범위 내에서 본체(210)가 통과하게 될 때 일정 정도의 간격에 의해 동시에 통과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상기되는 실시예를 서로 부분적으로 병합하는 것에 의해 다양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어구는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면서 조업을 준비하는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어구의 사용에 따른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조업 준비 시간이 절감됨으로써 실질적인 조업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어획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 부재에 상기 보조 낚싯줄을 체결하는 방법이 간편해짐에 따라 주낙용 어구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나아가, 상기 메인 낚싯줄과 보조 낚싯줄의 꼬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꼬임의 방지로 인해 조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기 부력 부재의 내부에 상기 보조 낚싯줄의 매듭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 낚싯줄을 풀어주는 장치의 훼손 및 보조 낚싯줄의 망실, 부력 부재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수중의 일정 위치에 길게 형성되는 메인 낚싯줄;
    상기 메인 낚싯줄에 의해 관통되면서, 일정 부력(浮力)을 가지는 본체;
    상기 메인 낚싯줄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되어, 단부에 낚시바늘이 장착되는 보조 낚싯줄이 포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조 낚싯줄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실질적으로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주낙용 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낚싯줄이 걸리는 지지부가 포함되는 주낙용 어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보조 낚싯줄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주낙용 어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메인 낚싯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낙용 어구.
  5. 일정 부력(浮力)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본체의 중심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중앙부에 낚싯줄과 체결되면서 걸리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걸리면서, 낚싯줄을 지지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포함되는 주낙용 어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주낙용 어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낚싯줄의 단부에 장착되는 후크로 형성되는 주낙용 어구.
KR2020070000460U 2007-01-10 2007-01-10 주낙용 어구 KR200800026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460U KR20080002616U (ko) 2007-01-10 2007-01-10 주낙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460U KR20080002616U (ko) 2007-01-10 2007-01-10 주낙용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16U true KR20080002616U (ko) 2008-07-15

Family

ID=4149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460U KR20080002616U (ko) 2007-01-10 2007-01-10 주낙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61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620B1 (ko) * 2010-04-16 2013-06-27 주식회사 센트로 연승 낚시
ITUA20164440A1 (it) * 2016-06-16 2017-12-16 Angelo Musiani Amettiera
KR20190105908A (ko) * 2018-03-07 2019-09-18 이주동 낚시
KR20210121886A (ko) * 2020-03-31 2021-10-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낙용 착탈식 낚시채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620B1 (ko) * 2010-04-16 2013-06-27 주식회사 센트로 연승 낚시
ITUA20164440A1 (it) * 2016-06-16 2017-12-16 Angelo Musiani Amettiera
KR20190105908A (ko) * 2018-03-07 2019-09-18 이주동 낚시
KR20210121886A (ko) * 2020-03-31 2021-10-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낙용 착탈식 낚시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016B1 (en) Molluscan bivalve cage system
KR20080002616U (ko) 주낙용 어구
KR100982541B1 (ko) 낚시추
KR200399559Y1 (ko) 낙지 주낙용 모릿줄
US1958535A (en) Buoy
KR101467678B1 (ko) 낚시용 구멍찌
JP5307929B1 (ja) 大型、中型魚を早く衰えさせる浮子
KR102175432B1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CN109843049B (zh) 钓鱼用浮标
KR102589105B1 (ko) 갈치 낚시 기둥줄 거치대
JP2006288274A (ja) 船釣り用釣具
JP2006296215A (ja) 中層設置型浮魚礁
CN202949898U (zh) 一种遥控玩具钓鱼器
CN210248042U (zh) 一种鱼塘捕鱼装置
KR100356278B1 (ko) 낚시용 구멍찌
JP4822930B2 (ja) 伸縮自在な釣り用天秤及びそれを備えた釣り用仕掛け
JP5346134B1 (ja) 大型魚用の浮子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170110454A (ko) 부상 구조물
JP2003160093A (ja) シーアンカー
JP4740393B1 (ja) トローリング装置およびトローリング方法
KR200321180Y1 (ko)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KR20230000057U (ko) 낚시용 수중찌
US20170251653A1 (en) Live Bait Container
KR20160120098A (ko) 부유조립체, 고정형 부유조립체 기구 및 회전식 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