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45B1 - 타발 장치 - Google Patents

타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45B1
KR102593545B1 KR1020220021607A KR20220021607A KR102593545B1 KR 102593545 B1 KR102593545 B1 KR 102593545B1 KR 1020220021607 A KR1020220021607 A KR 1020220021607A KR 20220021607 A KR20220021607 A KR 20220021607A KR 102593545 B1 KR102593545 B1 KR 10259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module
punch
upper mold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4371A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riority to KR102022002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45B1/ko
Publication of KR2023012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타발 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타발 대상물을 금형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손쉽게 타발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발 장치{Punching device}
본 발명은 수동으로 타발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타발 대상물을 타발할 때 교체 모듈을 교체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타발을 실시할 수 있는 타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장치는 블랭크 단위의 소재패널을 일정한 형태의 성형구조로 가압 성형하거나 절단, 홀 가공 및 헤밍면 형상을 만들어 주어 제품패널로 성형하는 성형장비를 의미한다. 상기 프레스 장치는 기본적으로 하형이 하부의 볼스터 상에 장착되고, 상기 하형에 대응하여 상부에는 상형이 슬라이더에 장착된다. 또한, 하형의 둘레에는 블랭크 홀더가 구성되어 상형과 함께 소재를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스 장치에 소재패널이 투입되면, 상기 소재패널은 가장자리가 상형과 블랭크 홀더에 의해 규제된 상태로 상형과 하형의 합형으로 소재패널을 일정한 형태의 제품패널로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프레스 장치는 상형 또는 하형이 하나의 중량물로 구성되어 제품패널의 사양이 변경될 때 마다 중량물인 상형과 하형을 각각 슬라이더와 볼스터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사양의 상형과 하형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이러한 중량물의 금형을 교체하는 과정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작업자의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금형이 중량물이라 작업자가 교체에 따른 어려움이 유발되었고,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유발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5281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문적인 타발 장비를 갖추기 않고서도 다양한 종류의 타발 대상물을 제1,2 교체 모듈에 대한 교체를 통해 수동으로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타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는 베이스 유닛의 상면에 구비된 하부 금형; 타발이 이루어 질 타발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 금형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제1 교체 모듈; 상기 하부 금형과 마주보며 위치된 상부 금형; 상기 제1 교체 모듈과 함께 타발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금형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타발 대상물을 타발하기 위한 펀치 모듈이 구비된 제2 교체 모듈; 및 상기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을 향해 하강 또는 상승되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는 프레스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금형에는 상기 제1 교체 모듈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1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교체 모듈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작업자가 타발 대상물의 타발을 위한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파일럿 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교체 모듈에 대한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제1 고정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금형은 연결 부재를 매개로 상기 프레스 핸들과 연결된 제1 상부 금형; 상기 제1 상부 금형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펀치 모듈이 삽입되는 제2 삽입 홈이 형성된 제2 상부 금형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상부 금형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교체 모듈에 대한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구비된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1 상부 금형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상부 금형에 삽입된 가이드 핀; 상기 가이드 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상부 금형을 상기 제1 상부 금형으로부터 탄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 모듈은 상기 타발 대상물을 1차로 타발하기 위한 제1 펀치 모듈; 상기 제1 펀치 모듈에 의해 타발이 이루어진 타발 대상물을 2차로 타발하기 위해 구비된 제2 펀치 모듈; 상기 제2 펀치 모듈에 의해 타발이 이루어진 타발 대상물을 마지막으로 타발하기 위해 구비된 제3 펀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금형에는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으로 하강 될 때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판이 상기 하부 금형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금형에는 상기 타발 대상물이 상기 제1 교체 모듈을 향해 정해진 위치로 진입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를 통해 진입된 타발 대상물이 상기 하부 금형의 타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파일럿 핀은 상기 타발 대상물의 폭 방향 양측에 삽입되는 제1 파일럿 핀; 상기 제1 파일럿 핀에서 상기 타발 대상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타발 대상물의 폭 방향 양측에 삽입되는 제2 파일럿 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교체 모듈에는 상기 파일럿 핀이 삽입되는 파일럿 핀 삽입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펀치 모듈은 각각 상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펀치 모듈에서 상기 제3 펀치 모듈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한다.
본 실시 예들은 연구소 또는 실험실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타발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타발 대상물의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제1,2 교체 모듈을 교환하여 타발이 가능해지므로 다양한 형태를 갖는 타발 대상물에 대한 타발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에 의해 타발이 이루어지는 절연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의 주요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하부 금형에 제1 교체 모듈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상부 금형과 제2 교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대상물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 및 펀치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1)는 작업자가 실험실 또는 연구소에서 복수의 타발 대상물을 실험하면서 수동 방식으로 시험적으로 타발하여 이상 유무 및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1)는 대량으로 제품 생산을 실시하기 이전에 소량으로 타발을 실시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여러 가지 형태의 타발 대상물을 각각 타발하기 위한 금형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후술할 제1,2 교체 모듈(200, 400)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타발 대상물에 대한 타발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타발 대상물(2)은 일 예로 리튬이온전지(3)에 구비된 절연판(2a)을 타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리튬이온전지(3)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태의 리튬이온전지(3)의 내부에 사용하는 절연판(2a)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다른 형태의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태의 리튬이온전지(3)에는 필름 형태의 양극판(3a)과 음극판(3b)이 세퍼레이터(3c)를 경계로 하여 다수회 권취된다. 이와 같이 권취된 리튬이온전지(3)는 상측과 하측에 원판 형태의 절연판(2a)이 사용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절연판(2a)을 다양한 형태로 연구소 또는 실험실에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타발하기 위해 상기 타발 장치(1)를 이용하여 타발 대상물(2)에 대한 손쉬운 타발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절연판(2a)은 일 예로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장소 또는 환경에 제한 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타발장치(1)가 사용된다.
상기 절연판(2a)이 타발 되기 위해서는 모두 n회의 타발이 이루어져야만 최종 형태의 절연판이 제작되며 이는 펀치 모듈(500)을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는 형태가 상이한 타발 대상물을 타발하기 위한 개별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서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타발이 가능하고, 타발 대상물의 형태가 변경될 경우 제1,2 교체 모듈(200, 400)을 연구소 또는 실험실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과 작업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 의한 타발 장치(1)는 하부 금형(100)과, 제1 교체 모듈(200)과, 상부 금형(300)과, 제2 교체 모듈(400) 및 프레스 핸들(6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 핸들(600)은 베이스 유닛(10)에서 연장된 수직 프레임과 링크 결합되어 후술할 상부 금형(300)과 연결된다.
상기 하부 금형(100)은 베이스 유닛(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교체 모듈(200)은 타발이 이루어 질 타발 대상물(2)의 형태에 따라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 금형(1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상부 금형(300)은 하부 금형(100)과 마주보며 위치되고, 제2 교체 모듈(400)은 상기 제1 교체 모듈(200)과 함께 타발 대상물(2)의 형태에 따라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금형(3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타발 대상물(2)을 타발하기 위한 펀치 모듈(500)이 구비된다.
또한 프레스 핸들(600)은 상기 상부 금형(300)이 하부 금형(100)을 향해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승되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10)과 연결된 수직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된다.
상기 하부 금형(100)은 베이스 유닛(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금형(100)의 상부에 상부 금형(300)이 위치된다. 상기 상부 금형(300)은 후술할 프레스 핸들(600)과 연결되어 있어 작업자가 프레스 핸들(600)을 손으로 파지한 후에 하부 금형(100)으로 하강 시킬 경우 상기 상부 금형(300)에 안착된 펀치 모듈(50)이 하부 금형(100)의 내측으로 하강되어 타발 대상물(2)에 대한 타발이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유닛(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프레스 핸들(600)의 작동에 따른 움직임이 최소화 되도록 중량체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금형(100)은 상기 제1 교체 모듈(200)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1 삽입 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교체 모듈(200)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작업자가 타발 대상물(2)의 타발을 위한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파일럿 핀(21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금형(100)은 타발 대상물(2)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교체하거나 재설치가 필요하지 않아 최초 설치된 이후에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만약에 타발 대상물(2)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제1 교체 모듈(200)만 하부 금형(100)에서 분리시킨 이후에 새로운 제1 교체 모듈(미도시)을 설치하면 되므로 작업자가 최소한의 시간으로 교체를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과 작업 효율이 동시에 향상 된다.
상기 제1 교체 모듈(200)에는 후술할 펀치 모듈(500)과 대응되는 형태로 관통된 복수의 펀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타발 작업을 실시할 때 펀치 모듈(500)의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해 진다.
본 실시 예는 제1 교체 모듈(200)에 대한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제1 고정 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0)는 하부 금형(100)의 하측에서 제1 교체 모듈(200)의 내측으로 결합되고, 하부 금형(100)을 경유하여 결합되므로 제1 교체 모듈(200)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교체 모듈(200)은 제1 고정 부재(20)가 결합 해제될 경우 하부 금형(100)에서 분리가 용이 해지므로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 또는 설치 해제 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 홈(102)은 제1 교체 모듈(200)이 안착되기 위해 형성되고,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교체 모듈(400)에는 상기 파일럿 핀(210)이 삽입되는 파일럿 핀 삽입 홀(400a)이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 핀(210)은 하부 금형(100)에서 상부 금형(100)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타발이 이루어질 때 상기 파일럿 핀 삽입 홀(400a)에 삽입될 수 있어 안정적인 타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 금형(300)은 연결 부재(302)를 매개로 상기 프레스 핸들(600)과 연결된 제1 상부 금형(310)과, 상기 제1 상부 금형(310)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펀치 모듈(500)이 삽입되는 제2 삽입 홈(322)이 형성된 제2 상부 금형(3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금형(300)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프레스 핸들(600)을 하강 또는 상승 시킬 때 함께 하부 금형(100)을 향해 이동되는 구성으로 펀치 모듈(500)이 함께 이동되면서 타발 대상물(2)에 대한 타발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금형(320)에는 제2 교체 모듈(400)이 제2 삽입 홈(322)에 안착되므로 상기 제2 교체 모듈(400)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경우 다양한 형태의 타발 대상물에 대한 타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상부 금형(320)은 상기 제1 상부 금형(310)의 하면과 밀착되는 제1 단위 금형(322)과, 타발이 이루어질 때 하부 금형(100)의 상면과 밀착되는 제2 단위 금형(3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제1,2 상부 금형(310, 320)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교체 모듈(400)에 대한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제2 고정 부재(30)가 구비되어 있어 제2 교체 모듈(400)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100)에는 상기 타발 대상물(2)이 상기 제1 교체 모듈(200)을 향해 정해진 위치로 진입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60)와, 상기 제1 가이드(60)를 통해 진입된 타발 대상물(2)이 상기 하부 금형(100)의 타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70)(도 7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가이드(60)는 타발 대상물(2)이 삽입되도록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60)의 이격된 간격은 타발 대상물(2)의 폭 방향 길이와 대응된다.
제1 가이드(60)는 하부 금형(100)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어서 타발 대상물(2)이 제1 교체 모듈(200)을 경유하여 후술할 제2 가이드(70)를 향해 일정하게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70)는 전술한 제1 가이드(60)와 마찬가지로 하부 금형(100)의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가이드(60)와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가이드(70)는 타발된 타발 대상물(2)이 하부 금형(100)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 하여 타발 대상물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타발 대상물(2)은 수작업으로 타발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2 가이드(60, 70)에 의해 항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타발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하부 금형(100)에는 상기 상부 금형(300)이 상기 하부 금형(100)으로 하강 될 때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판(S)이 상기 하부 금형(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안전판(S)은 작업자의 신체 또는 의복의 일부가 상부 금형(200)과, 하부 금형(200, 100)의 내측으로 끼는 현상을 예방하여 작업자의 안정적인 타발 작업을 도모한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파일럿 핀(210)은 타발 대상물(2)의 폭 방향 양측에 삽입되는 제1 파일럿 핀(212)과, 상기 제1 파일럿 핀(212)에서 상기 타발 대상물(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타발 대상물(2)의 폭 방향 양측에 삽입되는 제2 파일럿 핀(214)을 포함한다.
상기 파일럿 핀(210)이 제1,2 파일럿 핀(212, 214)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타발 대상물(2)의 전체 형태가 한 번에 타발되지 않고 적어도 n회에 걸쳐서 타발을 실시해야만 최종적인 타발 형태를 갖는 절연판에 대한 타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타발 대상물(2)은 길이 방향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n회 이동될 때 타발에 따른 일정한 타발 간격이 유지되어야 품질 편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를 위해 제1,2 파일럿 핀(212, 214)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상기 타발 대상물(2)은 최초 작업시 파일럿 핀(210)에 삽입되지 못하는 판 형태가 유지되나, 이는 후술할 펀치 모듈(500)을 통해 상기 제1 파일럿 핀(212)에 해당되는 위치에 먼저 타발이 실시된다.
이 경우 상기 타발 대상물(2)은 제1 파일럿 핀(212)에 삽입되는 홀이 천공되고, 작업자가 타발 대상물(2)을 파지하여 상기 제1 파일럿 핀(212)에 삽입시킨 이후에 타발을 실시할 경우 펀치 모듈(500)에 의해 절연판에 대한 타발이 실시된다.
작업자는 전술한 방식으로 제1,2 파일럿 핀(212, 214)에 타발 대상물(2)을 결합시켜 순차적으로 타발을 실시하여 전술한 절연판에 대한 시험적인 타발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절연판은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타발되기 위해 한 번에 타발되지 않고 후술할 펀치 모듈(500)에 의해 n회에 걸쳐 타발되어 최종 형태를 갖는 절연판이 제작된다.
상기 제1 파일럿 핀(212)과 제2 파일럿 핀(214)은 서로 간에 일정하게 이격된 이격 간격(D)이 유지되는데, 상기 이격 간격(D)은 타발 대상물(2)이 제1,2 파일럿 핀(212, 214)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타발과 함께 일정한 간격으로 타발이 이루어지기 위한 간격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작업자가 타발 장치(1)를 수동으로 직접 작동시켜 타발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타발 대상물(2)의 타발이 이격 간격(D)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품질 안전성과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타발 대상물(2)을 타발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타발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제1,2 가이드(60, 70)를 통해 이동 방향이 가이드되는 타발 대상물(2)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상기 타발 대상물(2)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7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700)는 타발 대상물(2)의 하면을 소정의 길이로 지지하기 위해 제1 가이드(60)와 제2 가이드(70)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부 금형(10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지지 플레이트(700)는 타발 대상물(2)이 제1 가이드(60)에서 제2 가이드(70)로 이동되는 동안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타발 대상물(2)의 변형을 방지하고, 타발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펀치 모듈(500)은 상기 타발 대상물(2)을 1차로 타발하기 위한 제1 펀치 모듈(510)과, 상기 제1 펀치 모듈(510)에 의해 타발이 이루어진 타발 대상물(2)을 2차로 타발하기 위해 구비된 제2 펀치 모듈(520)과, 상기 제2 펀치 모듈(520)에 의해 타발이 이루어진 타발 대상물(2)을 마지막으로 타발하기 위해 구비된 제3 펀치 모듈(530)을 포함한다.
펀치 모듈(500)은 위에서 바라볼 때 제1 펀치 모듈(510)이 좌측에 위치되고 우측을 향해 제2 펀치 모듈(520)과 제3 펀치 모듈(53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펀치 모듈(510)은 전술한 제1 파일럿 핀(212)에 타발 대상물(2)이 삽입되는 홀을 가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제1 펀치 모듈(510)은 타발 대상물(2)을 최초로 타발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 펀치 모듈(520)은 절연판의 세부적인 형태를 타발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제3 펀치 모듈(530)은 최종 절연판으로 사용될 부분을 타발 대상물(2)에서 분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펀치 모듈(510, 520, 530)이 제2 교체 모듈(400)에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프레스 핸들(600)을 이동시켜 타발 대상물(2)에 대한 타발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펀치 모듈(510, 520, 530)은 각각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펀치 모듈(510)에서 상기 제3 펀치 모듈(530)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한다.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제1 상부 금형(310)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상부 금형(320)에 삽입된 가이드 핀(40)과, 상기 가이드 핀(40)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상부 금형(320)을 상기 제1 상부 금형(310)으로부터 탄지하는 탄성 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50)는 작업자가 프레스 핸들(600)을 하강 시켜 상기 상부 금형(300)을 하부 금형(100)을 향해 누르는 힘을 가할 경우 제2 단위 금형(324)이 하부 금형(100)과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 금형(310)이 탄성 부재(50)를 가이드 핀(40)의 축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서 펀치 모듈(500) 전체가 타발 대상물(2)을 타발하면서 제1 교체 모듈(200)에 형성된 펀치 홀을 경유하게 되면서 타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타발 대상물
10 : 베이스 유닛
100 : 하부 금형
200 : 제1 교체 모듈
210 : 파일럿 핀
212, 214 : 제1,2 파일럿 핀
300 : 상부 금형
310, 320 : 제1,2 상부 금형
400 : 제2 교체 모듈
500 : 펀치 모듈
600 : 프레스 핸들

Claims (5)

  1. 베이스 유닛의 상면에 구비된 하부 금형;
    타발이 이루어 질 타발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 금형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제1 교체 모듈;
    상기 하부 금형과 마주보며 위치된 상부 금형;
    상기 제1 교체 모듈과 함께 타발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금형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타발 대상물을 타발하기 위한 펀치 모듈이 구비된 제2 교체 모듈; 및
    상기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을 향해 하강 또는 상승되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는 프레스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금형에는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으로 하강 될 때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판이 상기 하부 금형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부 금형에는 상기 타발 대상물이 상기 제1 교체 모듈을 향해 정해진 위치로 진입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를 통해 진입된 타발 대상물이 상기 하부 금형의 타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타발 대상물의 하면을 소정의 길이로 지지하기 위해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부 금형의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펀치 모듈에는 상기 타발 대상물을 1차로 타발하기 위한 제1 펀치 모듈과, 상기 제1 펀치 모듈에 의해 타발이 이루어진 타발 대상물을 2차로 타발하기 위해 구비된 제2 펀치 모듈과, 상기 제2 펀치 모듈에 의해 타발이 이루어진 타발 대상물을 마지막으로 타발하기 위해 구비된 제3 펀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2,3 펀치 모듈은 각각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펀치 모듈에서 상기 제3 펀치 모듈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타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에는 상기 제1 교체 모듈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1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교체 모듈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작업자가 타발 대상물의 타발을 위한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파일럿 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교체 모듈에 대한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제1 고정 부재가 구비된 타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연결 부재를 매개로 상기 프레스 핸들과 연결된 제1 상부 금형;
    상기 제1 상부 금형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펀치 모듈이 삽입되는 제2 삽입 홈이 형성된 제2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타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상부 금형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교체 모듈에 대한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구비된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1 상부 금형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상부 금형에 삽입된 가이드 핀;
    상기 가이드 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상부 금형을 상기 제1 상부 금형으로부터 탄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타발 장치.
  5. 삭제
KR1020220021607A 2022-02-18 2022-02-18 타발 장치 KR102593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07A KR102593545B1 (ko) 2022-02-18 2022-02-18 타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07A KR102593545B1 (ko) 2022-02-18 2022-02-18 타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71A KR20230124371A (ko) 2023-08-25
KR102593545B1 true KR102593545B1 (ko) 2023-10-25

Family

ID=8784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607A KR102593545B1 (ko) 2022-02-18 2022-02-18 타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2258B2 (ja) * 1998-09-25 2005-11-30 日本碍子株式会社 打抜き加工用パンチ装置、打抜き加工用パンチおよび打抜き加工用パンチの製造方法
KR101342902B1 (ko) * 2013-06-25 2013-12-23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장치
KR101389549B1 (ko) * 2012-08-29 2014-04-25 윤기철 캐비티 교환이 가능한 전단금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805B1 (ko) * 2007-03-20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포터블형 펀칭 장치
KR101480041B1 (ko) 2011-11-14 2015-01-08 네이버 주식회사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페이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2258B2 (ja) * 1998-09-25 2005-11-30 日本碍子株式会社 打抜き加工用パンチ装置、打抜き加工用パンチおよび打抜き加工用パンチの製造方法
KR101389549B1 (ko) * 2012-08-29 2014-04-25 윤기철 캐비티 교환이 가능한 전단금형
KR101342902B1 (ko) * 2013-06-25 2013-12-23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71A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3885B1 (en) Punching apparatus for stamp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1987338B (zh) 包含以浮动方式支撑的冲模的冲压工具
CN108941333B (zh) Gbt安装板组件的生产模具及其生产方法
JP2014161878A (ja) プレス型のスクラップ排出装置
CN105057452A (zh) 一种网型冲孔裁切模具
KR102593545B1 (ko) 타발 장치
KR20100073297A (ko) 딥 드로잉 방법과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차량용 리어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힌지 브라켓 조립체를 제조하는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브라켓
KR101389549B1 (ko) 캐비티 교환이 가능한 전단금형
KR20120111766A (ko) 탭 아이씨 절단용 금형 제조 방법
CN202137257U (zh) 一种连续冲压模具
CN106270115A (zh) 一种模切通用吸废五金模座
CN205200330U (zh) 安全带固定螺母加强板级进模
CN106345889B (zh) 一种半切精密组合模具
KR100919630B1 (ko) 금형을 프레스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다이플레이트
JPH0375247B2 (ko)
US20120247300A1 (en) Cutting apparatus
CN213135666U (zh) 一种高精度定位组装载具
KR10085872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크랩 절단장치
KR20180114586A (ko) 찬넬 밴딩용 펀칭장치
JP6209571B2 (ja) ピン分離テンプレートおよびピン分離テンプレートの製造方法
CN111774479A (zh) 一种多功能桥架冲压模具
CN206305284U (zh) 板簧加工复合模具
CN218168465U (zh) 一种汽车左右后门铰链加强板加工用连续模
CN215467691U (zh) 一种汽车前围上横梁外板修边冲孔成型模具
CN214769932U (zh) 一种新型弹片侧面自动焊接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