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093B1 -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 Google Patents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093B1
KR102593093B1 KR1020230060686A KR20230060686A KR102593093B1 KR 102593093 B1 KR102593093 B1 KR 102593093B1 KR 1020230060686 A KR1020230060686 A KR 1020230060686A KR 20230060686 A KR20230060686 A KR 20230060686A KR 102593093 B1 KR102593093 B1 KR 10259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ump
ball valve
inle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중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23006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02Bal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4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21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a spherical segment mounted around a supply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16K5/0673Composite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16K5/0694Spindle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가 개시된다. 상기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는, 오수펌프 시스템에 설치되어 오수펌프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에 있어서, 상기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는, 오수펌프가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오수펌프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 일측에 수평배치되고 오수탱크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부; 및 상기 오수유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오수펌프측으로 이송되도록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볼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이송되는 T자형 배관을 사이에 두고 2개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PUMP STAND INTEGRATED BALL VALVE FOR SEWAGE PUMP SYSTEM}
본 발명은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펌프를 거치하는 스탠드와 펌프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엘보관 및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오수펌프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오수펌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비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활하는 건물에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오수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수 배출장치에 의해 오수를 집수하여 오수를 정화하는 오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주거 또는 업무 등을 위한 건물에는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하 공간을 주거 또는 업무 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지하 공간의 오수 배출장치가 별도로 설치된다.
지하 공간의 오수 배출장치에는 건물의 지하 공간보다 더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지하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집수하게 되며, 집수된 오수는 건물의 지상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수와 합쳐져 오수를 정화하는 정화시설로 이송된다.
따라서, 지하 공간의 오수 배출장치에는 오수를 이송하기 위한 오수펌프가 설치되어야 하는바, 화장실, 식당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임시저장되는 오수탱크와, 오수탱크 내부에 유입되는 오수를 정화조, 하수도 등으로 배출시키는 오수펌프를 포함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오수펌프를 가동하여 펌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오물에 의해 펌프의 동작이 정지되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오수펌프에 막힘현상이 발생할 경우, 설치된 상태에서 오수펌프의 세정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오수펌프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가 설치공간에 투입되어 세정작업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즉 특히 오수펌프 주변에 설치된 수많은 배관 등의 설비 시설로 인해 작업자가 오수펌프에 근접하게 접근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오수펌프를 분해하여 작업자가 직접 세정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자가 오물을 직접 접촉해야 함으로써 위생적인 측면의 문제가 동반될 수밖에 없고, 오수펌프가 설치된 공간에서 직접 세정작업을 수행할 경우 오수펌프 주변이 오물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후 오수펌프 주변의 세정작업까지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통상의 오수펌프 시스템은 오수를 펌핑하는 펌핑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의 펌프로 구성된다.
이때, 평상시에는 2개의 펌프가 동시에 가동되어 1개의 펌프 대비 많은 펌핑량을 처리하고, 2대의 펌프 중 어느 하나에 오물이 적체되거나 세적작업이 필요할 경우 해당 1대의 펌프 가동을 중지하고 펌프 내로 오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밸브를 잠궈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46436)'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은 2개의 펌프로 구동되어 오수를 펌핑하도록 구성된 오수펌프 시스템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오수탱크와 펌프 사이의 배관에는 펌프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게이트밸브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밸브를 지나 펌프로 오수가 지나는 엘보관이 설치되고, 펌프를 설치 바닥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시키기 위해 스탠드가 바닥에 설치되고, 스탠드 상부에 펌프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은 게이트밸브, 엘보관 및 펌프스탠드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오수펌프 시스템 전체의 부피가 커져 결국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함에 따라 공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수펌프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보다 설비를 간소화시켜 부피를 줄여 좁은 설치공간에서도 오수펌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오수펌프 시스템 및 이에 필요한 구성품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46436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펌프를 거치하는 스탠드와 펌프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엘보관 및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오수펌프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오수펌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비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는, 오수펌프 시스템에 설치되어 오수펌프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에 있어서, 상기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는, 오수펌프가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오수펌프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 일측에 수평배치되고 오수탱크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부; 및 상기 오수유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오수펌프측으로 이송되도록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볼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이송되는 T자형 배관을 사이에 두고 2개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부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설치판; 상기 지면설치판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지면설치판 상부에 배치되고, 오수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설치판; 및 상기 지면설치판과 상기 펌프설치판 사이에 수직배치되어 상기 지면설치판 및 상기 오수유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보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편은, 상기 오수유입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1보강편; 및 상기 오수유입부 하측을 지지하는 3방향으로 직각 배치되는 제2보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수유입부는, 상기 지면설치판과 상기 펌프설치판과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T자형 배관에 연결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과 직각되게 수직배치되고, 상기 펌프설치판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밸브는, 상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오수가 상기 배출관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오수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밸브는, 상기 유입관 내부에 내장되고 중심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통과홀이 형성된 볼; 상기 볼 상부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 외부로 노출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도록 축결합되어 상기 볼을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은, 내부 일측에 상기 볼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오수가 통과하는 홀에 단턱지게 형성된 밀착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단부에는, 상기 볼과 접촉되는 일측에 제1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밀착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단부에는, 상기 제1실링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제2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밀착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볼 외주면과 접촉하고 곡면을 형성된 곡면접촉부; 및 상기 밀착단부의 내측 테두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곡면접촉부가 상기 볼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곡면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재는,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공간에는, 상기 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상기 곡면접촉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보강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일단이 상기 곡면접촉부 내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 내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실링부재의 중공된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편과 직교되게 형성되는 제2지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의 결합된 단면은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유입관을 통과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밸브는, 상기 배출관 양측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는, 펌프를 거치하는 스탠드와 펌프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엘보관 및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오수펌프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오수펌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비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가 설치된 오수펌프 시스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가 설치된 오수펌프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본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평면도.
도 7은 제1실링부재가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8 내지 10은 제2실링부재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요부확대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는, 펌프를 거치하는 스탠드와 펌프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엘보관 및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오수펌프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오수펌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비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가 설치된 오수펌프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가 설치된 오수펌프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본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제1실링부재가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10)는 크게 스탠드부(100), 오수유입부(200) 및 볼밸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탠드부(100) 및 상기 오수유입부(200)는 일체형의 본체(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는 일 예로 주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펌프 시스템(1)에 설치되어 오수펌프(P)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오수펌프 시스템(1)에 있어 오수가 저장된 오수탱크(2) 하단에 오수가 이송되는 연결배관(3)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3)에는 오수탱크(2)로부터 이송된 오수가 2방향으로 각각 2개의 오수펌프(P)로 이송되도록 T자형 배관(4)이 구비되며, 상기 T자형 배관(4) 양단에 본 발명의 2개의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10)의 본체(11)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1) 상부에 오수펌프(P)가 설치되고, 상기 오수펌프(P) 일측에는 오수펌프(P)를 통해 펌핑된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배출관(5)이 연결된다.
즉, 상기 오수탱크(2)에 저장된 오수는 연결배관(3)을 통해 T자형 배관(4)으로 이송되고, 본 발명의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10)를 거쳐 오수펌프(P)로 펌핑되어 최종적으로 오수배출관(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10)는 상기 오수탱크(2)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이송되는 T자형 배관(4)을 사이에 두고 2개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스탠드부(100)는 오수펌프(P)가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오수펌프(P)를 거치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스탠드부(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설치판(110), 상기 지면설치판(110)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지면설치판(110)상부에 배치되고, 오수펌프(P)가 설치되는 펌프설치판(120) 및 상기 지면설치판(110)과 상기 펌프설치판(120) 사이에 수직배치되어 상기 지면설치판(110) 및 상기 오수유입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보강편(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탠드부(100)는 오수펌프(P)가 설치되기 위한 부분을 제공하고,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스탠드부(100)와 상기 오수유입부(200)가 일체형 구조로서 본체(11)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보강편(130)은 상기 오수유입부(200) 측면에 설치되는 제1보강편(131) 및 상기 오수유입부(200) 하측을 지지하는 3방향으로 직각 배치되는 제2보강편(1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보강편(131)은 단일 형태로 상기 지면설치판(110)과 상기 펌프설치판(120) 사이 일측에 수직배치되어 상기 펌프설치판(120)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제2보강편(132)은 상기 오수유입부(200)의 양측 및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1) 내에서 상기 오수유입부(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2보강편(132)은 3방향으로 상호간 직각되도록 상기 지면설치판(110)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오수유입부(200)는 상기 스탠드부(100) 일측, 즉 상기 지지보강편(130)에 지지되어 고정된 채 수평배치되고 오수탱크(P)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오수유입부(200)는 상기 지면설치판(110)과 상기 펌프설치판(120)과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T자형 배관(4)에 연결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1)가 형성된 유입관(210) 및 상기 유입관(210)과 직각되게 수직배치되고, 상기 펌프설치판(120)에 배출구(221)가 형성된 배출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관(210)에는 단부에 플랜지(미부호)가 구비되어 상기 T자형 배관(4)의 플랜지(미부호)와 볼팅결합되도록 상호간 체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볼밸브(300)는 상기 오수유입부(2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유입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오수펌프(P)측으로 이송되도록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유입관(210) 일측에는 상기 볼밸브(300)가 상기 유입관(210)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볼밸브 설치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밸브(300)는 상기 유입관(210)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배출관(220)으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오수가 상기 배출관(22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오수의 흐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볼밸브(300)는 상기 유입관(210) 내부에 내장되고 중심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통과홀(311)이 형성된 볼(310), 상기 볼(310) 상부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210) 외부로 노출되는 샤프트(320) 및 상기 샤프트(320)에 고정되도록 축결합되어 상기 볼(310)을 회전시키는 노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노브(3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샤프(320)가 수직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볼(310)이 축회전되면서 상기 통과홀(311)이 상기 유입구(211)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면 오수가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오수가 상기 배출관(220)으로 이송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노브(330)를 다시 90°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통과홀(311)이 상기 유입구(211)와 90°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폐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관(210)은 내부 일측에 상기 볼(31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오수가 통과하는 홀(미부호)에 단턱지게 형성된 밀착단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단부(213)는 상기 유입구(211) 반대 측 위치의 단부에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밀착단부(213)에는 상기 볼(310)과 접촉되는 일측에 상기 볼(310)과 상기 오수가 통과하는 홀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실링부재(2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실링부재(214)는 상기 밀착단부(213)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310)은 오수가 통과하는 홀 내측 테두리부분과 밀착되되, 상기 밀착단부(213)에 구비된 상기 제1실링부재(214)와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오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볼(31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실링부재(214)를 통해 오수가 통과하는 홀을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관(220)에는 상기 유입관(210)을 통과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밸브(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밸브(400)는 상기 배출관(220) 양측에 2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오수펌프 시스템(1)을 구성함에 있어 설치장소의 환경에 맞게 오수배출관(5)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드레인밸브(4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 내지 10은 제2실링부재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예로서, 상기 밀착단부(213)에는 상기 제1실링부재(214)와 인접한 위치에 제2실링부재(2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실링부재(215)는 상기 밀착단부(213)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실링부재(215)는 상기 볼(310) 외주면과 접촉하고 곡면을 형성된 곡면접촉부(215a) 및 상기 밀착단부(213)의 내측 테두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곡면접촉부(215a)가 상기 볼(310)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곡면접촉부(215a)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지지부(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접촉부(215a)는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310)의 외주면 일측과 일정부분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볼(310)이 상기 노브(330)에 의해 회전 시 최소한의 마찰저항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볼(310)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215b)는 상기 볼(310)과 접촉되는 상기 곡면접촉부(215a)가 상시 상기 볼(310)과 접촉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곡면접촉부(215a)와 연결되게 상기 볼(310)과 접촉되는 상기 곡면접촉부(215a)의 부분 반대측 부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실링부재(215)는 상기 곡면접촉부(215a)와 상기 지지부(215b)가 연결되게 형성되어 내부가 중공된 형태의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실링부재(215)는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공간에는, 상기 곡면접촉부(215a)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215b)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상기 곡면접촉부(215a)에 탄성을 제공하는 보강부(21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16)는 일단이 상기 곡면접촉부(215a) 내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215b) 내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편(216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편(216a)은 상기 곡면접촉부(215a)가 상시 상기 볼(310)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설정값만큼 가압하여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지지편(216a)은 도면에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주름진 형태로 접혀지게 압축되는 형태 및 일정간격마다 요철이 형성되어 기설정된 적정 텐션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곡면접촉부(215a)를 지지하여 설정 텐션을 유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하나를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실링부재(215)의 중공된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편(216a)과 직교되게 형성되는 제2지지편(21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편(216a)과 상기 제2지지편(216b)의 결합된 단면은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지지편(216b)은 상기 제1지지편(216a)과 함께 상기 곡면접촉부(215a)가 기설정된 적정 텐션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지지편(216a)가 직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편(216a)을 통해 상기 곡면접촉부(215a)를 지지하는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에 대해서도 상기 곡면접촉부(215a)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215b) 방향으로 상기 곡면접촉부(215a)가 이동되도록 받는 힘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1지지편(216a)을 통해 상기 곡면접촉부(215a)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지지력이 작용되도록 하고, 상기 제2지지편(216b)을 통해 상기 상기 제1지지편(216a)이 쉽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곡면접촉부(215a)가 최초 상기 볼(310)과 밀착된 상태로 복원되도록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곡면접촉부(215a) 위치로 끌어당기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보강부(216)는 상기 지지부(215b)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곡면접촉부(215a)는 상시 상기 볼(310)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는, 펌프를 거치하는 스탠드와 펌프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엘보관 및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오수펌프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오수펌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비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오수펌프 시스템 2: 오수탱크
3: 연결배관 4: T자형 배관
5: 오수배출관 P: 오수펌프
10: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11: 본체
100: 스탠드부 110: 지면설치판
120: 펌프설치판 130: 지지보강편
131: 제1보강편 132: 제2보강편
200: 오수유입부 210: 유입관
211: 유입구 212: 볼밸브 설치구
213: 밀착단부 214: 제1실링부재
215: 제2실링부재 215a: 곡면접촉부
215b: 지지부 216: 보강부
216a: 제1지지편 216b: 제2지지편
220: 배출관 221: 배출구
222: 드레인밸브 설치구 300: 볼밸브
310: 볼 311: 통과홀
320: 샤프트 330: 노브
400: 드레인밸브

Claims (15)

  1. 오수펌프 시스템에 설치되어 오수펌프로 유입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에 있어서,
    상기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는,
    오수펌프가 지면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오수펌프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 일측에 수평배치되고 오수탱크로부터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부; 및
    상기 오수유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오수펌프측으로 이송되도록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볼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이송되는 T자형 배관을 사이에 두고 2개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탠드부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설치판;
    상기 지면설치판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지면설치판 상부에 배치되고, 오수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설치판; 및
    상기 지면설치판과 상기 펌프설치판 사이에 수직배치되어 상기 지면설치판 및 상기 오수유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보강편;을 포함하며,
    상기 오수유입부는,
    상기 지면설치판과 상기 펌프설치판과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T자형 배관에 연결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과 직각되게 수직배치되고, 상기 펌프설치판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볼밸브는,
    상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오수가 상기 배출관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오수의 흐름을 제한하며,
    상기 볼밸브는,
    상기 유입관 내부에 내장되고 중심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통과홀이 형성된 볼;
    상기 볼 상부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 외부로 노출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도록 축결합되어 상기 볼을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은,
    내부 일측에 상기 볼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오수가 통과하는 홀에 단턱지게 형성된 밀착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단부에는,
    상기 볼과 접촉되는 일측에 제1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밀착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단부에는,
    상기 제1실링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제2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밀착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볼 외주면과 접촉하고 곡면을 형성된 곡면접촉부; 및
    상기 밀착단부의 내측 테두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곡면접촉부가 상기 볼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곡면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실링부재는,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공간에는,
    상기 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상기 곡면접촉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보강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강부는,
    일단이 상기 곡면접촉부 내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 내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실링부재의 중공된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편과 직교되게 형성되는 제2지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의 결합된 단면은 십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강편은,
    상기 오수유입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1보강편; 및
    상기 오수유입부 하측을 지지하는 3방향으로 직각 배치되는 제2보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유입관을 통과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는,
    상기 배출관 양측에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KR1020230060686A 2023-05-10 2023-05-10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KR10259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686A KR102593093B1 (ko) 2023-05-10 2023-05-10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686A KR102593093B1 (ko) 2023-05-10 2023-05-10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093B1 true KR102593093B1 (ko) 2023-10-24

Family

ID=8851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686A KR102593093B1 (ko) 2023-05-10 2023-05-10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528B1 (ko) * 2017-09-29 2019-08-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볼 밸브 조립체
KR20200098358A (ko) * 2019-04-16 2020-08-20 주식회사 에스브이티 이중의 씰링부재가 마련되어 기밀성이 강화된 볼 밸브
KR102246436B1 (ko) 2020-12-10 2021-04-29 김진이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528B1 (ko) * 2017-09-29 2019-08-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볼 밸브 조립체
KR20200098358A (ko) * 2019-04-16 2020-08-20 주식회사 에스브이티 이중의 씰링부재가 마련되어 기밀성이 강화된 볼 밸브
KR102246436B1 (ko) 2020-12-10 2021-04-29 김진이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1936B1 (en) Plumbing sealing arrangement
US4371003A (en) Swimming pool/spa selector valve
US6561214B2 (en) Hydrant with improved drain mechanism
US20040040221A1 (en) Molded manhole unit
KR102593093B1 (ko) 오수펌프 시스템용 펌프 스탠드 일체형 볼밸브
CA2678710C (en)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WO2002103233A1 (en) Check valve floor drain
AT523381A4 (de) Leitungsmodul zum zu- und/oder abführen von versorgungsmedien an eine oder von einer geschossebene eines gebäudes
KR101690976B1 (ko) 드레인 시스템
JP2016130433A (ja) 汚物搬送システム
WO1992014889A1 (en) Inverted siphon of vacuum type sewerage
JP2512079Y2 (ja) 非常用貯水槽装置
JPH03247827A (ja) 真空弁付き汚水ますの仕切り弁
SE448482B (sv) Som golvavlopp eller rensror utford avloppsbehallare med uttagbar avloppspump och backventilanordning
KR200434163Y1 (ko) 자연유하식 물돌리기용 패커
JP6194446B2 (ja) 逆流防止弁を備えた配管構造
WO2003006892A1 (en) Vacuum collection system
CA2821843C (en) In-line water trap
JP2005320717A (ja) 真空弁ユニット
KR960008437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JP2977475B2 (ja) 貯水装置
JPS6020687Y2 (ja) 非常用貯水装置
JP2023170455A (ja) 排水流路構造
JPH05180187A (ja) 立軸ポンプ装置
JP2021169701A (ja) 接続配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