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059B1 -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059B1
KR102593059B1 KR1020200148365A KR20200148365A KR102593059B1 KR 102593059 B1 KR102593059 B1 KR 102593059B1 KR 1020200148365 A KR1020200148365 A KR 1020200148365A KR 20200148365 A KR20200148365 A KR 20200148365A KR 102593059 B1 KR102593059 B1 KR 10259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barcode
smart device
tex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768A (ko
Inventor
김영탁
박유나
양성은
강민지
권혁준
한국영
지준영
고세림
구준범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in Braille or with key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by blind or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0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special character, e.g. for Chinese characters or bar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해 점자 인쇄물(점자 스티커, 점자 태그)를 간단하게 출력하고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점자 인쇄기와, 이를 이용한 점자 인쇄 시스템 그리고 이용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점자 인쇄 시스템은,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인쇄된 제품들과,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쇄하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점자 인쇄기는, 인쇄 용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용지 이송용 모터, 상기 인쇄 용지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 핀을 구동시키는 점자 인쇄용 모터들, 및 상기 용지 이송용 모터와 점자 인쇄용 모터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Portable braille printing machine, braille printing system and usag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자 인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 장애인을 위해 점자 인쇄물(점자 스티커, 점자 태그)를 간단하게 출력하고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점자 인쇄기와, 이를 이용한 점자 인쇄 시스템 그리고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앞을 볼 수 없거나 불편한 시각 장애인은 제품 구매나 시설물 이용시, 직원분이나 주변분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대부분 제품이나 시설물에 부착된 점자 인쇄물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제품이나 시설물에 점자가 제공된 사례는 충분하지 않으며, 점자가 인쇄되어 있더라도 정보가 비약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 공공장소 등에 설치된 점자가 훼손되더라도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없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시각 장애인은 상품 구매나 시설물 이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고, 경우에 따라서 사고에 노출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전체 의약품 중 30% 만이 의약품명, 복용법 등의 정보가 점자로 표기되고 나머지 70%에 해당하는 의약품에서는 점자 표기가 없다. 따라서 의약품의 오남용을 야기할 수 있다. 또 유제품의 경우에는 유통기한이 확인할 수 없어 식중독이나 장염 등의 사고에 쉽게 노출된다. 다른 예로, 지하철이나 도서관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점자 손잡이가 찌그러지거나 훼손된 경우가 많아 시각 장애인이 이들 시설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 다른 예로 자동 판매기 등에도 점자 표기가 없거나, '음료'나 '탄산'과 같이 정확한 음료명을 알 수 없도록 표기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시각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문제는 계속 이슈가 되고 있지만, 점자 표기와 관련된 문제는 좀처럼 개선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는 점자 표기 작업을 전문 업체에 의뢰해야 하거나 고가의 점자 프린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종래 점자 인쇄장치로 압축형 점자 인쇄기나 UV 점자 프린터를 말할 수 있다. 전자의 압축형 점자 인쇄기는 정해진 틀에 핀을 배치한 다음 점자 전용 스티커를 올려놓은 뒤 손으로 눌러 점자를 찍는 방식이다. 이 타입은 유지 보수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사람 힘으로 점자를 찍는 방식이기 때문에 대량으로 점자 표기를 제공하기 어렵다. 후자의 UV 점자 프린터는 UV 출력 기법을 이용하여 종이 위에 특수한 잉크를 사용해 점자를 볼록하게 프린트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프린터 자체의 크기가 매우 크고 대당 약 8500만원 정도로 가격이 매우 비싸다.
이렇듯 종래의 점자 인쇄기는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아 보편화된 사용을 기대할 수 없어, 점자 표기 서비스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고, 이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편리한 점자 인쇄장치에 대한 요구가 절실했다.
점자 서비스 이외에 시각 장애인은 또 다른 문제도 있다. 시각 장애인은 바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등)을 활용하여 제품 등의 정보를 획득하기도 한다. 그러나 시각 장애인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제품에 인쇄된 바코드 위치 및 스마트 폰에 마련된 어플 실행 버튼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코드를 인식하여 음성정보를 청취할 때 음성의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없어, 빠른 속도로 재생되는 경우 음성정보를 확인하는 것도 힘들다. 재생속도의 조절 역시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있지만, 이의 조작이 어렵고 특히 바코드 인식 후 음성이 재생되는 도중에 시각 장애인이 재생속도를 즉시 조절하는 것이 힘들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를 손쉽게 프린트할 수 있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 장애인이 제품 등에 인쇄된 바코드나 QR 코드 위치를 쉽게 찾고 나아가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어플 실행 버튼 조작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기기 및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이용하여 제품 설명 및 이용방법 등의 정보를 가지는 점자 스티커를 출력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점자 인쇄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가 전송하는 바코드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인쇄기이고, 인쇄 용지가 감겨져 있는 용지 롤러; 상기 용지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인쇄 용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용지 이송용 모터, 상기 인쇄 용지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 핀, 상기 점자핀을 구동시키는 점자 인쇄용 모터들이 포함된 점자 인쇄부; 및 상기 바코드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용지 이송용 모터와 점자 인쇄용 모터들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인쇄 용지에 점자 데이터가 인쇄되게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제공한다.
상기 점자 인쇄용 모터에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 기어가 순서대로 연결되고, 상기 랙 기어의 끝단에 상기 점자 핀이 장착된다.
상기 인쇄 용지는 상기 점자 인쇄기를 구성하는 본체 하우징의 저면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용지 이송용 모터의 축 롤러 외면에 고무패드가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인쇄된 제품들;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쇄하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점자 인쇄기는, 인쇄 용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용지 이송용 모터; 상기 인쇄 용지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 핀을 구동시키는 점자 인쇄용 모터들; 상기 용지 이송용 모터와 점자 인쇄용 모터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자 인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시각 장애인 모드 또는 일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 타입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 출력하며, 화면 터치 조작에 따라 음성 출력속도를 느리게 조절하는 음성 출력부; 점자 표기할 텍스트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부; 및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의 접근 정도에 따라 진동세기를 다르게 제공하는 진동세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캔된 바코드 정보 또는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점자 인쇄기로 전송한다.
상기 시각 장애인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 전체가 스캐너로 동작한다.
상기 시각 장애인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 전체는 스캐너 동작을 위한 버튼으로 동작한다.
상기 일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출력부 및 진동세기 조절부의 기능은 자동 해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휴대용 점자 인쇄기가 제공한 점자의 판독 이후, 시각 장애인 모드인 제1 모드 상태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단계;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위치 확인 후 스마트 기기의 화면 조작으로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인식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되는 도중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터치 조작되면 상기 음성 출력속도가 단계적으로 느리게 조절되는 점자 인쇄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위치 확인 단계는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스마트 기기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스마트 기기의 진동 세기가 크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반 모드인 제2 모드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바코드를 판독하는 판독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판독된 바코드 정보 및 추가 제품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바코드 정보 및 추가 제품정보를 휴대용 점자 인쇄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휴대용 점자 인쇄기가 상기 바코드 정보 및 추가 제품정보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인쇄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출력단계; 및 상기 인쇄된 인쇄용지를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휴대용 점자 인쇄기가, 스텝모터를 제어하여 인쇄용지를 일정 속도로 공급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서보모터들을 제어하여 일정 속도로 공급되는 상기 인쇄용지에 점자 핀을 접촉시켜 상기 점자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은 제품이나 특정 장소 등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빠르게 바코드나 QR 코드를 스캔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트나 공공장소, 관공서, 지자체등에서 점자 인쇄물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점자 인쇄물이 훼손되어 교체할 경우, 현장에서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이용하여 바로 점자 인쇄물을 출력, 부착할 수 있다. 그만큼 시각 장애인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점자 인쇄물을 제공하는 주체는 시간 장애인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으로부터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 가치 향상이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보다 구조가 간단하며 비용이 저렴한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보급할 수 있어, 누구가 쉽게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인쇄물을 출력, 제공할 수 있다. 그만큼 비장애인과 시각장애인과의 거리, 인식 차이를 좁힐 수 있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배려를 함으로써 공동체 의식의 함양과 시선 개선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시각 장애인만을 위한 용도로 한정하지 않고, 점자를 모르는 비장애인이 점자를 연습하거나, 점자로 출력한 편지나 메모로 남길 수 있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인쇄 시스템을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 인쇄기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 내부를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점자 인쇄기에 의한 점자 인쇄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텝모터 축에 피니언 기어 및 랙 기어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드(시각 장애인 모드)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모드(일반 모드)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인쇄 시스템을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제품(Goods)(1) 등에 표기된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 등을 인식하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100)와, 스마트 기기(100)가 인식한 코드 정보를 전달받고 점자 인쇄물(braille tag)을 인쇄/출력하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를 포함한다. 프린터 된 점자 인쇄물은 제품은 물론 제품들이 진열된 진열대(Display stand)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기본적으로 바코드(barcode)나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스캐너(110),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판단하는 판단부(120),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TTS: Text-to-speech)(130), 점자 표기할 텍스트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120)는 코드 종류에 따라 음성 출력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즉 판단에 따라 스캔된 코드가 바코드이면 일련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정보를 가져와서 음성을 출력해야 하고, QR 코드이면 바로 음성 안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들은 기구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는 상기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사용자에 따라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지원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모드는 시각 장애인 모드, 제2 모드는 일반 모드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에 마련된 모드선택버튼(160)의 조작 등을 통해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일반 사용자든 시각 장애인이든 모드 변환 없이 스마트 기기(10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스마트 기기(100)를 제1 모드와 제2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스마트 기기라 할 수 있다. 모드 전환에 따라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지원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 도면부호 100은 1대의 스마트 기기이고, 모드선택버튼(160)에 따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나눠 도시하였을 뿐이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제1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터치 화면 전체가 버튼 기능으로 구현된다. 화면 어느 부분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스캐너(110)가 제품(1)에 표기된 바코드나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종래에는 스마트 기기에 마련된 스캔 버튼을 찾아 조작해야 했는데 시각 장애인에게는 쉽지 않은 작업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제1 모드는 진동 세기 조절부(140)를 제공한다. 진동 세기 조절부(140)는 스마트 기기(100)를 바코드나 QR 코드에 접근할수록 진동 세기가 커지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이 코드 위치를 찾기 힘든 점을 해결한다. 또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음성 출력부(130)는 최초에 1배속 속도로 출력하지만 이보다 더 느린 속도로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속도 조절은 음성 출력되는 도중에 터치 화면을 터치할 때마다 또는 터치 화면을 스치듯 터치하면 속도가 느려지도록 할 수 있다. 모두 시각 장애인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일반 모드인 제2 모드는 시각 장애인이 아닌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반 사용자는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게 직원)이거나 공공 시설물등을 관리하는 직원일 수 있다. 이러한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모드는 메모버튼(170)에 의한 메모장 기능이 더 제공된다. 메모장은 텍스트 입력부(150)를 통해 점자 표기할 텍스트가 입력 저장되는 부분이며, 입력된 텍스트는 저장되고,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저장된 모든 텍스트를 한 번에 삭제하는 기능도 제공된다. 또 제2 모드는 상기 메모장에 메모된 텍스트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를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로 전송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도 1에서 보듯이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는 인쇄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210), 상기 스마트 기기(100)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220), 각종 모터들을 제어하여 점자 데이터를 인쇄하는 점자 인쇄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210)이 데이터변환부(22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의 구성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300은 스마트 기기(100)와 통신하며, 바코드 및 QR코드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 인쇄기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 내부를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외관은 본체 하우징(201)이 구성한다. 본체 하우징(201)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실시 예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 예가 표현할 점자는 대략 8 ~ 12개이며, 이는 한글 5 ~ 6 글자 정도를 변환한 경우가 해당되며, 이를 규격에 맞게 출력할 경우 출력된 용지의 길이는 7 ~ 8cm가된다. 본체 하우징(201)은 이러한 용지에 점자를 충분히 표현하고 출력할 수 있는 사이즈로 제작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보다 많고 긴 점자를 표현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는 점자를 가로 방향 2줄, 세로 방향 3줄로 표현하도록 제1 서보모터 내지 제3 서보모터(점자 인쇄용 모터)(231, 232, 233)를 구비한다. 각각의 서보모터(231, 232, 233)에는 각각의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내지 제3 피니언 기어, 상기 제1 내지 제3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내지 제3 랙 기어가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 및 랙 기어의 구조는 도 6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랙 기어의 끝단에 인쇄 용지에 점자를 표현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점자 핀(231a, 232a, 233a)이 도 3과 같이 장착된다. 도 3에서는 서보모터와 점자 핀 사이의 기어는 도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점자 핀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렬로 정렬되게 하여 모두 중앙(A부분)에 배치되게 하였다.
또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에는 인쇄 용지(250)를 공급하는 용지 롤러(240)가 구비된다. 용지 롤러(240)는 샤프트(241)에 설치되고, 인쇄 용지(250)가 공급되는 속도에 비례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지 롤러(240)를 구동시켜 상기 인쇄 용지(250)가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스텝 모터(용지 이송용 모터)(234)가 구비된다. 스텝 모터(234)에는 스텝 각도(angle)의 정밀도를 높이도록 모터 축과 연결된 롤러 외면에 고무패드를 부착하였다. 도면과 같이 인쇄 용지(250)는 본체 하우징(201)의 바닥 저면을 따라 이송되는데, 이때 인쇄 용지(250)와 본체 하우징(201) 바닥 저면과의 마찰력을 높혀 미끄러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롤러 반경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실시 예에 따라 인쇄 용지(250)에 표기되는 점자의 열간 간격은 1mm이고 점자 사이의 간격이 4.5mm로 인쇄될 경우, 스텝 모터(234)는 1.8° 회전시 인쇄용지(250)는 0.5mm의 직선 거리만큼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학식 1에 의해 롤러 반경은 15.915mm가 되도록 설계한다.
또 상기 서보 모터(231, 232, 233)와 각각의 랙 기어 사이 간격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모듈 값이 1이고 잇 수가 13인 피니언 기어의 잇끝원 직경 15mm를 얻게 된다. 즉 사이 간격이 15mm가 된다.
물론, 상기한 롤러 반경, 서보 모터와 랙 기어 사이 간격 등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의 전체 크기 등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것이다.
도 4에서 보듯이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의 내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하부를 구획하는 중간판(202)이 설치된다.
그리고 중간판(202)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배터리 및 제어유닛(라즈베리파이)(210)가 위치하며, 하부에는 인쇄 용지가 감긴 용지 롤러(240), 인쇄 용지(250)를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스텝모터(234), 인쇄 용지(250)에 점자를 인쇄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서보모터(231, 232, 233)가 위치한다. 상기 라즈베리파이(210)는 바코드 정보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점자데이터가 인쇄용지(250)에 인쇄되도록 상기한 모터(231, 232, 233, 234)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예를 모드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100)의 사용자에 따라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모드 동작
제1 모드에 대한 설명은 시각 장애인이 제품 진열대에 부착된 점자를 판독하고, 그 제품 진열대에 진열된 제품에 인쇄된 코드를 스캔하여 정보를 취득하는 순서로 진행되는 예를 살펴본다.
시각 장애인은 제품 진열대에 부착된 점자 인쇄물의 점자를 판독한다(s100). 제품 진열대에는 제품 종류(카테고리별)를 나타내는 점자 인쇄물이 나란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렇게 부착된 점자를 손으로 읽으면서 자신이 구매할 상품을 1차적으로 확인한다. 제품 종류는 예를 들면 음료, 과자, 의류, 신발 등과 같이 대분류로 구분할 수 있는 것들이다.
상기 점자 판독에 의해 구매할 제품 종류를 확인하면, 시각 장애인은 제품(1)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자신이 원하는 특정 제품을 선택하거나 제품에 대한 안내를 받고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시각 장애인은 모드 선택 버튼(160)을 조작하여 스마트 기기(100)가 제1 모드가 되게 한다. 모드 전환이 될 때 스마트 기기(100)는 시각 장애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100)라는 점에서 처음부터 제1 모드로 동작되도록 셋팅되어 있을 수도 있고, 따라서 상기 모드 선택 버튼(160)을 조작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제1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시각 장애인이 스마트 기기(100)를 제품 진열대에 진열된 제품(1)에 접근시킨다. 상기 제1 모드는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 전체가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에, 스마트 기기(100)를 접근하면 제품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촬영된 정보에는 바코드나 QR 코드가 포함된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100)가 제품을 비추는 위치에 따라 바코드나 QR 코드의 이미지 영역 크기를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스마트 기기(100)의 이동에 따라서 제품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의 간격을 알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의 진동 세기 조절부(140)는 간격이 가까워질수록(즉 바코드나 QR 코드의 이미지가 전부 화면에 들어온 경우) 스마트 기기(100)의 진동세기를 점점 크게 조절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진동 세기를 통해 바코드나 QR 코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110). 그리고 진동 세기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면 이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이 바코드 또는 QR 코드 위치를 더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진동 세기가 가장 큰 시점, 즉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에 바코드나 QR 코드 이미지가 전부 들어오면, 시각 장애인은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을 터치한다. 화면 터치가 이루어지면, 스캐너(110)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한다(s120). 이때 판단부(120)는 상기 스캐너(110)가 인식한 코드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코드가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따라 바로 음성 출력할 수 있거나 그러지 못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코드 인식 결과에 따라 바코드가 인식된 경우, 스마트 기기(100)는 일련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정보를 리드한 후, 음성 출력부(130)를 통해 바코드 정보를 음성 출력한다. 또는 QR 코드가 인식된 경우, 스마트 기기(100)는 QR 코드에 저장된 음성 정보를 곧바로 출력한다(s130). 이러한 음성 출력 기능에 따라 시각 장애인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QR 코드의 경우, 제품의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제품의 유통기한이나 제조업체/판매업체 연락처 등과 같은 추가정보를 더 청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시 제조업체나 판매업체에 연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스마트 기기(100)의 음성 출력 속도는 1배속으로 기본 셋팅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속도로 출력되는 음성을 정확하게 듣지 못할 수도 있는데(s140), 이 경우 시각 장애인은 화면 터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s150, s160). 속도 조절의 예로, 음성이 출력되는 도중에 시각 장애인이 화면을 터치할 때마다 또는 슬라이드 할 때마다 '1배속 → 0.9 배속 → 0.8 배속 ~'와 같이 느려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출력되는 음성이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속도인 경우 화면 터치를 해제하면 된다.
제2 모드동작
모드 선택 버튼(160)에 의해 제1 모드가 일반 모드인 제2 모드로 전환되면 기본적으로 스마트 기기(100)의 음성출력기능 및 진동기능은 해제된다. 시각 장애인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음성출력기능 및 진동기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 모드동작은 판매직원이 점자 인쇄물을 프린트하여 제품이나 상품 진열대에 부착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제품에는 제조업체가 이미 바코드나 QR 코드를 인쇄한 상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코드나 QR 코드에 담겨진 정보만으로는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할 수 있고, 또 상품 진열대에는 제품 종류 등을 알리는 점자 인쇄물이 미착되어 있거나 훼손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경우 판매 직원은 더 많은 정보가 담긴 점자 인쇄물을 출력하여 제품이나 상품 진열대에 부착해야 하고 충분히 가능하다. 즉 종래에는 점자 인쇄물을 프린트할 경우 전문 업체에 의뢰하거나 고가의 점자 프린터를 이용해야 했으나, 본 발명은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2 모드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판매직원이 스마트 기기(100)의 스캐너(110)를 이용하여 제품(1)에 인쇄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한다(s200). 이때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는 제품(1)의 기본적인 정보가 제공되어 있다. 제품에 대한 추가 정보, 예를 들면 유통기한, 가격 등의 정보가 필요할 경우에는 판매직원은 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
판매직원은 스캐너(110)가 스캔한 바코드 정보와, 텍스트 입력부(150)을 이용하여 추가 검색한 정보를 메모장에 메모한다(s210). 바코드 정보는 스캐너(110)에 의해 스캔되면 자동으로 텍스트 형태로 메모될 수 있으며, 추가 검색한 정보는 판매직원이 직접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메모된 정보는 판매직원이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판매직원이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된 정보들은 실질적으로 점자로 표기될 정보들이 된다.
이처럼 스마트 기기(100)에 제품 정보들이 입력되면, 판매직원은 이를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로 전송한다(s220). 스마트 기기(100)와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는 일련의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와아파이(WiFi), 지그비(ZigBee), 근거리 무선통신(NFC)과 같이 무선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면 판매직원은 휴대용 점자 인쇄기(200)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점자 인쇄물을 출력할 수 있다(s230). 점자 인쇄 과정은 먼저 제어유닛(210)이 상기 스마트 기기(100)가 전송한 제품 정보들을 점자데이터로 변환한다. 이후 제어유닛(210)이 스텝모터(234)를 구동시켜 인쇄용지(250)가 일정 속도로 공급되게 하면서, 제1 내지 제3 서보모터(231, 232, 233)를 구동한다. 그러면 제1 내지 제3 서보모터(231, 232, 233)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에 따라 맞물려 있는 랙 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랙 기어의 끝단에 부착된 점자 핀이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인쇄 용지(250)에 점자를 인쇄하게 된다.
점자 인쇄물은 제품 진열대에 부착할 인쇄물 및 제품에 부착할 인쇄물 각각 인쇄 가능하다. 그리고 판매직원은 인쇄된 점자 인쇄물을 제품이나 제품 진열대에 부착하면 된다(s240). 부착된 점자 인쇄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이 제품 정보를 알 수 있는데 도움을 주게된다. 나아가 판매직원은 점자 인쇄물에 인쇄되지 못한 정보들은 QR 코드를 새롭게 생성하여 출력하고, 제품이나 제품 진열대에 더 부착할 수도 있다(s260).
이처럼 점자 인쇄물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점자 인쇄물이 훼손되어 임시로 교체해야할 경우, 현장에서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이용하여 점자 인쇄물을 출력하여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을 배려할 수 있어 기업이나 지자체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기업이나 지자체 자체의 가치를 높게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제품 100: 스마트 기기
110: 스캐너 120: 판단부
130: 음성 출력부 140: 진동 세기 조절부
150: 텍스트 입력부 160: 모드 선택 버튼
170: 메모 버튼 200: 휴대용 점자 인쇄기
210: 제어유닛(라즈베리파이) 220: 데이터 변환부
230: 점자 제어부 231 ~ 233: 제1 내지 제3 서보모터
234: 스텝모터 240: 용지 롤러
250: 인쇄용지 300: 서버

Claims (12)

  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코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부;
    상기 텍스트를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부; 및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음성으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비장애인일 경우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점자 인쇄기에 전달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 인쇄기는,
    인쇄 용지가 감겨져 있는 용지 롤러;
    상기 용지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인쇄 용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용지 이송용 모터, 상기 인쇄 용지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 핀, 상기 점자 핀을 구동시키는 점자 인쇄용 모터들이 포함된 점자 인쇄부; 및
    상기 텍스트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용지 이송용 모터와 점자 인쇄용 모터들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인쇄 용지에 점자 데이터가 인쇄되게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로부터 제품의 기본 정보를 취득한 뒤에 상기 QR코드를 촬영하여 상기 제품의 추가 정보를 더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인쇄용 모터에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 기어가 순서대로 연결되고,
    상기 랙 기어의 끝단에 상기 점자 핀이 장착되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용지는 상기 점자 인쇄기를 구성하는 본체 하우징의 저면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용지 이송용 모터의 축 롤러 외면에 고무패드가 부착되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
  4.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인쇄된 제품들;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쇄하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를 편집하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음성으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가 비장애인일 경우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점자 인쇄기에 전달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휴대용 점자 인쇄기는, 인쇄 용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용지 이송용 모터, 상기 인쇄 용지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 핀을 구동시키는 점자 인쇄용 모터들, 및 상기 용지 이송용 모터와 점자 인쇄용 모터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코드로부터 제품의 기본 정보를 취득한 뒤에 상기 QR코드를 촬영하여 상기 제품의 추가 정보를 더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시각 장애인 모드 또는 일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 타입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 출력하며, 화면 터치 조작에 따라 음성 출력속도를 느리게 조절하는 음성 출력부;
    점자 표기할 텍스트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부; 및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의 접근 정도에 따라 진동세기를 다르게 제공하는 진동세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캔된 바코드 정보 또는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점자 인쇄기로 전송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장애인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 전체가 스캐너로 동작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장애인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 전체는 스캐너 동작을 위한 버튼으로 동작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기 음성 출력부 및 진동세기 조절부의 기능은 자동 해제되는 점자 인쇄 시스템.
  9.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부;
    상기 텍스트를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부; 및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음성으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가 비장애인일 경우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점자 인쇄기에 전달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는,
    휴대용 점자 인쇄기가 제공한 점자의 판독 이후, 시각 장애인 모드인 제1 모드 상태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바코드 또는 QR코드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단계;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의 위치 확인 후 스마트 기기의 화면 조작으로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인식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되는 도중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터치 조작되면 상기 음성 출력속도가 단계적으로 느리게 조절되며,
    상기 바코드로부터 제품의 기본 정보를 취득한 뒤에 상기 QR코드를 촬영하여 상기 제품의 추가 정보를 더 취득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의 이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단계는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스마트 기기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스마트 기기의 진동 세기가 크게 되는 점자 인쇄 시스템의 이용방법.
  1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부;
    상기 텍스트를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부; 및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음성으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가 비장애인일 경우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점자 인쇄기에 전달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일반 모드인 제2 모드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판독하는 판독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바코드로부터 취득한 상품의 기본정보 또는 상기 QR코드로부터 취득한 상기 상품의 추가 제품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상기 기본정보 또는 상기 추가 제품정보를 편집하는 편집단계;
    입력된 상기 기본정보 및 상기 추가 제품정보를 휴대용 점자 인쇄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휴대용 점자 인쇄기가 상기 기본정보 및 상기 추가 제품정보를 점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인쇄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출력단계; 및
    상기 인쇄된 인쇄용지를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로부터 제품의 기본 정보를 취득한 뒤에 상기 QR코드를 촬영하여 상기 제품의 추가 정보를 더 취득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의 이용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휴대용 점자 인쇄기가, 스텝모터를 제어하여 인쇄용지를 일정 속도로 공급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서보모터들을 제어하여 일정 속도로 공급되는 상기 인쇄용지에 점자 핀을 접촉시켜 상기 점자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자 인쇄 시스템의 이용방법.
KR1020200148365A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 KR102593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365A KR102593059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365A KR102593059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68A KR20220062768A (ko) 2022-05-17
KR102593059B1 true KR102593059B1 (ko) 2023-10-25

Family

ID=8180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365A KR102593059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444A (ko) 2022-09-05 2024-03-12 조정우 점자를 이용한 qr코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3144A (ja) * 2002-05-13 2003-11-21 Canon Inc 点字プリンタ内蔵携帯電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939A (ja) * 1994-01-29 1995-08-15 Kozuka Shigeko 情報提示システム
KR20110030843A (ko) * 2009-09-18 2011-03-24 최영범 바코드를 이용한 점자 스티커 인쇄 장치
KR20120081779A (ko) * 2011-01-12 2012-07-2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에조 모터를 이용한 저소음 점자 라벨 프린팅 장치
KR20160088983A (ko) * 2015-01-16 2016-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물체감지 장갑
KR102161968B1 (ko) * 2019-11-14 2020-10-06 (주)소셜코어 가이드 롤러 프레스를 구비한 휴대용 점자 인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3144A (ja) * 2002-05-13 2003-11-21 Canon Inc 点字プリンタ内蔵携帯電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68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9815A (en) Portable electronic office and components suitable therefor
JP6269028B2 (ja) Pos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942016A (zh) 一种自助打印方法及系统
JP7391421B2 (ja) 商品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39944A (ja) 決済データ提供システム、決済データ提供システムの決済データ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93059B1 (ko) 휴대용 점자 인쇄기, 이의 점자 인쇄시스템 및 이용방법
JP5055903B2 (ja) セルフオーダーシステム
CN101524220A (zh) 盲人自助购物的方法与装置
US20180261052A1 (en) Point-of-sale register machine
JP2010262414A (ja) 印刷システム
KR100981030B1 (ko) 유ㆍ무선주문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메뉴 자동 주문처리 시스템
JP2018014004A (ja) 販売促進支援装置
KR20110061659A (ko) 스마트 라떼 아트 프린팅 시스템
JP201115447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031734A (ja) 注文端末
JP2014136376A (ja) 制御装置及びプリンタ
CN108416943A (zh) 商标自助注册机
JP2015055894A (ja) 注文システム、サーバ、端末、紙媒体、注文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9096074A (ja) Posシステム、会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04018B2 (ja) 注文入力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注文入力方法
KR102264824B1 (ko) 주문펜을 이용한 메뉴주문방법 및 그 장치
JP4803427B2 (ja)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6072732A (ja) 伝票プリンタ
JP2006244183A (ja) 飲食物のセルフオーダ装置、飲食物のセルフオーダシステム
JP3742618B2 (ja) 注文端末及びメニュー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