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733B1 -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733B1
KR102592733B1 KR1020180119083A KR20180119083A KR102592733B1 KR 102592733 B1 KR102592733 B1 KR 102592733B1 KR 1020180119083 A KR1020180119083 A KR 1020180119083A KR 20180119083 A KR20180119083 A KR 20180119083A KR 102592733 B1 KR102592733 B1 KR 10259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holes
mesh
field emission
e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329A (ko
Inventor
최재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7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 H01J9/025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of field emission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계방출 장치는 반도체 공정에 의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가공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발생전류를 높이고 전자의 투과율을 향상시켜 대용량 전계방출이 용이하고 전계방출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삼극관 구조의 전계방출 장치에 적용을 위한 게이트 전극에 메시를 도입한 전계방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Field emitter with meshed gates by circle-throughholes}
본 발명은 전계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극관 구조의 전계방출 장치의 구조에서 게이트 전극에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를 도입한 전계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자의 전류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전계방출 장치는 주로 아노드(anode), 캐소드(cathode), 게이트(gate)로 구성되는 삼극관 구조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고전계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의 종류에는 나노 금속 에미터, 나노 실리콘 에미터, CNT(Carbon Nano Tube) 에미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방출된 전자가 충돌하여 X-선을 발생하는 아노드 전극에는 텅스텐과 같은 원자번호가 높은 물질이 사용된다.
전계방출 장치의 게이트는 캐소드와의 사이에 높은 전계를 형성하여 캐소드 표면으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디지털 트리거링에 의해 전자방출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양질의 X-선 또는 전자선을 얻기 위해서는, 캐소드로부터 발생한 전자가 도중에 게이트에 포집되지 않고 목표지점인 아노드까지 도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전자 투과율을 향상시켜서 전계 방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전계방출 장치로서 그래핀 메시 게이트가 시도되고 있으나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그래핀의 특성상 메시의 형상이 획일적이고 최적화된 메시 구조를 용이하게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투과율을 최적화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문헌으로서, 미국공개특허 제2010/0189223호 (2010.07.29) 등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공정에 의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가공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발생전류를 높이고 전자의 투과율을 향상시켜 대용량 전계방출이 용이하고 전계방출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삼극관 구조의 전계방출 장치에 적용을 위한 게이트 전극에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를 도입한 전계방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일면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는, 벌크 게이트 및 메시 게이트를 포함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 게이트는 금속 기판의 복수의 관통홀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벌크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벌크 게이트와 함께 전계를 형성하며, 상기 게이트와 상기 캐소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캐소드의 반대편에 대향하여 설치된 아노드로 향하는, 상기 캐소드 표면으로부터의 전자 방출이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는, 실리콘 기판 상부에 금속을 증착한 후 상기 메시 게이트의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실리콘 기판의 하부의 실리콘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MEMS 가공 공정에 의해, 상기 벌크 게이트 및 상기 메시 게이트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들이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의 중심들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로 같은 거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의 중심들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인접 이격 거리가 동일한 2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의 중심들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인접 이격 거리가 서로 다른 2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들은, 1차원 또는 2차원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MEMS 가공 공정을 기초로 전계방출 장치의 제작 방법은, 실리콘 기판 상부에 금속을 증착한 후 상기 메시 게이트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 게이트의 패턴 및 그 주위로 벌크 게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부분이 남아있도록 상기 실리콘 기판의 하부의 실리콘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 게이트는 금속 기판의 복수의 관통홀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벌크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벌크 게이트와 함께 전계를 형성하며, 상기 벌크 게이트 및 상기 메시 게이트를 포함하는 게이트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캐소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캐소드의 반대편에 대향하여 설치된 아노드로 향하는, 상기 캐소드 표면으로부터의 전자 방출이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공정에 의해 MEMS 가공 기술로 메시 구조의 게이트 전극을 용이하게 제작하여 대용량 전계방출이 요구되거나 양질의 X-선 또는 전자선을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전계방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삼극관 구조의 전계방출 장치에서 요구된 게이트 메시 격벽의 간격이나 형상으로 조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전극간 전계분포 및 전자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발생전류를 높이고 전자의 투과율(아노드전류/캐소드전류)을 높여 고효율의 전계방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 구조에 대한 평면도의 일례이다.
도 1c는 도 1a 구조에 대한 평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d는 도 1a 구조에 대한 예시적인 I-V 그래프이다.
도 2는 메시 게이트가 적용되지 않은 일반적인 전계방출 장치의 구조와 그에 대한 예시적인 I-V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의 MEMS 가공 공정에 의한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메시 게이트의 격벽이 2개인 경우에 그 위치에 따른 다양한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 구조에 대한 평면도의 일례이다. 도 1c는 도 1a 구조에 대한 평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d는 도 1a 구조에 대한 예시적인 I-V 그래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100)는, 캐소드 (전극)(10) 및 게이트 (전극)(20)을 포함한다. 이외에 전계방출 장치(100)는, 게이트(20)를 사이에 두고 캐소드(10)의 반대편에 대향하여 설치된 아노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계방출 장치(100)는, 게이트(20)와 캐소드(10) 사이에 전원을 인가하여 형성된 전계에 의해, 캐소드(10) 표면으로부터의 전자 방출이 아노드(미도시)를 향하도록 하여, 해당 전자선이나 전자빔을 이용하는 장치로서, 아노드에서 X-선 발생을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소정의 제어장치에 의해 게이트(20), 캐소드(10), 또는 아노드(미도시)에 인가되는 전원을 적절히 디지털 제어하여 필요한 전자선이나 전자빔 또는 X-선을 획득할 수 있다.
게이트(20)는 벌크 게이트(110) 및 메시 게이트(120)를 포함한다. 캐소드(10)는 게이트(20), 특히, 메시 게이트(120) 중심으로부터 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예, 200 μm)되어 설치된다.
게이트(20)는, 금속 재질의 기판에 MEMS 가공 공정 등에 의해 복수의 관통홀(22)을 가공함으로써, 복수의 관통홀(22)이 1차원 또는 2차원 배열로 형성된 형태, 또는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홀들 사이의 격벽들(21)이, 1차원 또는 2차원 배열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도 1b 와 같이, 벌크 게이트(110)가 되는 금속 기판은 4각형일 수도 있고, 도 1c 와 같이, 벌크 게이트(110)가 되는 금속 기판은 원형일 수도 있으며, 기타 설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관통홀(22)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20)는, MEMS 가공 공정에 의해, 즉, 실리콘 기판 상부에 금속을 증착한 후 메시 게이트(120)의 패턴을 형성한 후 실리콘 기판의 하부의 실리콘을 제거하는 공정을 통하여, 벌크 게이트(110) 및 메시 게이트(1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 와 같이, 벌크 게이트(110)가 될 금속 기판의 중앙 부근에 관통홀(22)을 가공하여, 메시 게이트(120) 주위에 전체적으로 홀 가공이 없는 벌크 게이트(110)가 위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설계 목적에 맞게 메시 게이트(120)는 벌크 게이트(110)가 될 금속 기판의 일측 단부쪽에 형성되는 등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 게이트(120)는 복수의 관통홀(22)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21)을 포함하도록 제작된다. 격벽(21)은 벌크 게이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가 되며, 벌크 게이트(110)의 어느 부분에 전원을 인가하여도 벌크 게이트(110)와 함께 격벽(21)에서도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20)와 캐소드(10)와의 사이에 전원을 인가하여 형성된 전계에 의해, 게이트(20)를 사이에 두고 캐소드(10)의 반대편에 대향하여 설치된 아노드(미도시)로 향하는, 캐소드(10) 표면으로부터의 전자 방출이 복수의 관통홀(22)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공정에 의해 MEMS 가공 기술 등으로 메시 구조의 게이트(20) 전극을 용이하게 제작가능 한, 본 발명의 전계방출 장치(100)는 대용량 전계방출이 요구되거나 양질의 X-선 또는 전자선을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전계방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삼극관 구조의 전계방출 장치(100)에서 요구된 게이트 메시 격벽(21)의 간격이나 형상으로 조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전극간 전계분포 및 전자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발생전류를 높이고 전자의 투과율(아노드전류/캐소드전류)을 높여 고효율의 전계방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d는 도 1a 구조에 대한 예시적인 I-V(전류-전압) 그래프이다. 도 1d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100)는, 높은 게이트 전류(Igate)와 높은 아노드 전류(Ianode)를 나타낸다.
반면, 도 2와 같이 메시 게이트가 적용되지 않은 일반적인 전계방출 장치의 구조(도 2의 (a))와 그에 대한 예시적인 I-V 그래프(도 2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메시 게이트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낮은 전류값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메시 게이트(120)는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배치가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메시 게이트(120)의 복수의 관통홀(22)은 한점(일직선 상의 한쪽 끝의 홀 시작점과 반대쪽 끝의 홀 종료점 사이(메시 게이트(120)의 폭에 해당)의 중심점, 이하 메시 게이트(120)의 중심점)(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메시 게이트(120)의 복수의 관통홀(22)에 의한 복수의 격벽들(21)이 한점(중심점)(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메시 게이트(120)의 중심점(C)은 해당 격벽(21)의 중심이 될 수도 있고, 해당 관통홀(22)의 중심이 될 수도 있다.
도 1a, 도 3 및 도 5 ~ 도 8과 같이, 메시 게이트(120)의 복수의 관통홀(22)의 중심들은, 한점(중심점)(C)을 중심으로 좌우로 같은 거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시 게이트(120)의 복수의 관통홀(22)에 의한 복수의 격벽(21)의 중심들은, 한점(중심점)(C)을 중심으로 좌우로 같은 거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점(중심점)(C)에만 격벽의 중심이 있는 경우(미도시)를 포함하며, 이 경우 좌우로 각각의 관통홀(22)의 중심이 한점(중심점)(C)에서 같은 거리에 거리에 있다. 한점(중심점)(C)에 관통홀(22)의 중심이 있는 경우(도 1a, 도 3 및 도 5 ~ 도 8 참조), 한점(중심점)(C)을 중심으로 좌우로 같은 거리에 복수의 격벽(21)의 중심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시 게이트(120)의 복수의 관통홀(22)의 중심들(복수의 관통홀(22)에 의한 복수의 격벽(21)의 중심들)은, 한점(중심점)(C)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인접 이격 거리가 동일한 2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관통홀(22)의 중심들(또는 격벽(21)의 중심들)은, 그 좌측에 제1인접 이격 거리(인접 홀과의 이격거리)(L1)를 갖는 제1부분들과 대칭적으로 그 우측에도 제1인접 이격 거리(L1)를 갖는 부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물론, 삼극관 구조의 요구된 게이트 메시 격벽(21)의 간격이나 형상으로 조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전극간 전계분포 및 전자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고 발생전류 및 전자의 투과율을 높여 고효율의 전계방출 장치(100)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시 게이트(120)의 복수의 관통홀(22)의 중심들(복수의 관통홀(22)에 의한 복수의 격벽(21)의 중심들)은, 항상 같은 간격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관통홀(22)의 중심들(또는 격벽(21)의 중심들)은, 그 좌측에 제1인접 이격 거리(인접 홀과의 이격거리)(L1)를 갖는 제1부분과 제2인접 이격 거리(제1인접 이격거리와 다른 이격거리)(L2)를 갖는 제2부분이 존재할 수 있고, 그 우측에 제1부분과 제2부분과 대칭적인 위치에 인접 이격 거리 L1, L2를 갖는 대칭 구조가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메시 게이트(120)의 복수의 관통홀(22)의 중심들(복수의 관통홀(22)에 의한 복수의 격벽(21)의 중심들)은, 한점(중심점)(C)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인접 이격 거리가 서로 다른 2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한점(중심점)(C)을 중심으로 좌우에 비대칭적인 위치에 관통홀(22)의 중심들(또는 격벽(21)의 중심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100)의 MEMS 가공 공정에 의한 제작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100)의 MEMS 가공 공정에 의한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EMS 가공 공정을 기초로 한 전계방출 장치(100)의 제작 공정은, 실리콘 기판 상부에 금속을 증착한 후 메시 게이트(120)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110~S130), 및 메시 게이트(120)의 패턴 및 그 주위로 벌크 게이트(110)를 포함하는 금속 부분이 남아있도록 실리콘 기판의 하부의 실리콘을 제거하는 단계(S140~S150)를 포함한다.
먼저, 실리콘 기판(210) 상부에 금속층(220)을 증착한다(S110). 실리콘 기판(210)은 진성, 또는 N영/P형 불순물 도핑된 실리콘 등 반도체 웨이퍼일 수 있다. 금속(220)은 금, 은, 구리 등 전도성이 우수한 전도체 금속이다. 실리콘 기판(210)의 두께는 200~1000μm일 수 있고 금속층(220)은 50~500μm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
실리콘 기판(210) 상부에 금속층(220)을 증착한 후, 증착된 금속층(220) 상에 포토레지스트(230)를 도포하고 메시 게이트(120)를 위한 관통홀(22) 위치에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도록 메시 패턴을 형성한다(S120).
금속층(220) 위에 포토레지스트(230)의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210)은,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 처리되어 메시 게이트(120)를 위한 관통홀(22)과 그에 의한 격벽(21)이 형성될 수 있다(S130). 습식 식각 방법에서 불산(HF), 질산 등의 혼합 용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건식 식각 방법으로서 RIE(reactive-ion etching) 또는 DRIE(deep reactive-ion etching)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 게이트(120)를 위한 관통홀(22)과 그에 의한 격벽(21)이 형성된 후 남아있는 포토레지스트(230)을 제거한 후, 실리콘 기판(210)의 하부에 포토레지스트(240)를 도포하고 벌크 게이트(110)와 메시 게이트(120) 주위로 개구가 될 가공 위치에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도록 패턴을 형성한다(S140).
하부에 포토레지스트(240)의 패턴이 실리콘 기판(210)은, 벌크 게이트(110)와 메시 게이트(120)의 금속층(220)이 나타날 때까지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 처리되어 실리콘 기판(210) 하부의 개구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S150). 습식 식각 방법에서 KOH, TMAH(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등의 용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건식 식각 방법으로서 RIE(reactive-ion etching) 또는 DRIE(deep reactive-ion etching)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실리콘 기판(210) 하부의 개구 패턴은 실리콘 기판(210)의 복수의 위치에 1차원 또는 2차원 배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남아있는 포토레지스트(240)를 제거한 후, 도 4와 같이, 벌크 게이트(110)와 메시 게이트(120)의 금속층(220) 부분들을 하나씩 절단하는 싱귤레이션(singulation)을 통해 게이트(20)로서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벌크 게이트(110) 하부에 남아있는 실리콘(250)을 모두 제거할 필요는 없으며, 전계방출 장치(100) 제작을 위하여 벌크 게이트(110) 가장 자리를 따라 하부에 남아있는 실리콘(250)이 다른 장치와의 결합 거치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남겨 놓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계방출 장치(100)의 게이트(20)는, MEMS 가공 공정에 의해, 즉, 실리콘 기판 상부에 금속을 증착한 후 메시 게이트(120)의 패턴을 형성한 후 실리콘 기판의 하부의 실리콘을 제거하는 공정을 통하여, 벌크 게이트(110) 및 메시 게이트(1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형태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메시 게이트(120)의 격벽(21)이 2개인 경우에 그 위치에 따른 다양한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5는 메시 게이트(120)의 양쪽 끝에서 0.1μm 위치(중심으로부터 0.35μm)에 대칭적으로 폭 0.0001μm의 메시 게이트(120)의 격벽(21)을 형성한 경우의 예이다.
도 6은 메시 게이트(120)의 양쪽 끝에서 0.2μm 위치(중심으로부터 0.25μm)에 대칭적으로 폭 0.0001μm의 메시 게이트(120)의 격벽(21)을 형성한 경우의 예이다.
도 7은 메시 게이트(120)의 양쪽 끝에서 0.3μm 위치(중심으로부터 0.15μm)에 대칭적으로 폭 0.0001μm의 메시 게이트(120)의 격벽(21)을 형성한 경우의 예이다.
도 8은 메시 게이트(120)의 양쪽 끝에서 0.4μm 위치(중심으로부터 0.05μm)에 대칭적으로 폭 0.0001μm의 메시 게이트(120)의 격벽(21)을 형성한 경우의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방출 장치(100)는, 반도체 공정에 의해 MEMS 가공 기술로 메시 구조의 게이트 전극을 용이하게 제작하여 대용량 전계방출이 요구되거나 양질의 X-선 또는 전자선을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전계방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삼극관 구조의 전계방출 장치에서 요구된 게이트 메시 격벽의 간격이나 형상으로 조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전극간 전계분포 및 전자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발생전류를 높이고 전자의 투과율(아노드전류/캐소드전류)을 높여 고효율의 전계방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계방출 장치(100)
캐소드(10)
게이트(20)
벌크 게이트(110)
메시 게이트(120)
격벽(21)
관통홀(22)

Claims (9)

  1. 벌크 게이트 및 메시 게이트를 포함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 게이트는 금속 기판의 복수의 관통홀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벌크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벌크 게이트와 함께 전계를 형성하며,
    상기 게이트와 상기 캐소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캐소드의 반대편에 대향하여 설치된 아노드로 향하는, 상기 캐소드 표면으로부터의 전자 방출이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벌크 게이트 및 상기 메시 게이트는, 실리콘 기판 상부에 증착된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메시 게이트 부분에 대하여 상기 실리콘 기판의 하부의 실리콘을 제거하는 MEMS 가공 공정을 이용해 제작된 것이며,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직경이 서로 다른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전계방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들이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전계방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의 중심들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로 같은 거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쌍을 포함하는 전계방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의 중심들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인접 이격 거리가 동일한 2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전계방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의 중심들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인접 이격 거리가 서로 다른 2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전계방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한 복수의 격벽들은, 1차원 또는 2차원 배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방출 장치.
  9. MEMS 가공 공정을 기초로 전계방출 장치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실리콘 기판 상부에 금속을 증착한 후 메시 게이트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 게이트의 패턴 및 그 주위로 벌크 게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부분이 남아있도록 상기 실리콘 기판의 하부의 실리콘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 게이트는 금속 기판의 복수의 관통홀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벌크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벌크 게이트와 함께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벌크 게이트 및 상기 메시 게이트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게이트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캐소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캐소드의 반대편에 대향하여 설치된 아노드로 향하는, 상기 캐소드 표면으로부터의 전자 방출이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메시 게이트의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한점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직경이 서로 다른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전계방출 장치의 제작 방법.
KR1020180119083A 2018-10-05 2018-10-05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 KR10259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83A KR102592733B1 (ko) 2018-10-05 2018-10-05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83A KR102592733B1 (ko) 2018-10-05 2018-10-05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29A KR20200039329A (ko) 2020-04-16
KR102592733B1 true KR102592733B1 (ko) 2023-10-24

Family

ID=7045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83A KR102592733B1 (ko) 2018-10-05 2018-10-05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7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886A (ja) 2001-03-22 200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電子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素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971B1 (ko) * 2001-03-19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의 집속전극 구조 및 형성방법
KR102312202B1 (ko) * 2014-11-21 2021-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방출 장치
KR102238574B1 (ko) * 2016-12-07 202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 방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886A (ja) 2001-03-22 200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電子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素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condary electron emission in a triode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 and its influence on the image quality, Haiyan Hao 외4, CARBON 50 (2012.05.10.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29A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773B1 (ko)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3극 전계방출소자의 제작방법
US6333598B1 (en) Low gate current field emitter cell and array with vertical thin-film-edge emitter
US6590322B2 (en) Low gate current field emitter cell and array with vertical thin-film-edge emitter
US10431412B2 (en) Compact ion beam sources formed as modular ionizer
JP2007042869A (ja) ステンシルマスクとその製造方法とその使用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592733B1 (ko) 원형 관통홀에 의한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
US9202657B1 (en) Fully integrated and encapsulated micro-fabricated vacuum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6105573A1 (en) Compact modular cathode
US9331028B2 (en) Electric field gap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WO2020042549A1 (zh) 一种场发射阴极电子源及其阵列
JP6187436B2 (ja) 電子放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トランジスタ
KR20200036179A (ko) 메시 게이트를 이용한 전계방출 장치
US10366856B2 (en) Nanoscale field-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JP6635510B2 (ja) 電界放出素子及び電界放出素子を備える装置
US9953796B2 (en) Nano vacuum gap device with a gate-all-around cathode
US9299526B2 (en) Method to fabricate portable electron source based on nitrogen incorporated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N-UNCD)
US20130342098A1 (en) Corrugated Dielectric for Reliable High-current Charge-emission Devices
KR101438733B1 (ko) 수직형 진공 전자 소자, 그 제조방법 및 집적 소자
EP3171387B1 (en) Improved vacuum integrated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4391318B2 (ja) 電界電子放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06480B2 (ja) 電界放出型電子源
JP3127054B2 (ja) 電界放出型真空管
KR20200074083A (ko) 진공 전자장치 내의 전극을 위한 가려진 그리드 구조체
KR20070044173A (ko) 전자 방출 소자의 제조방법
JP2020088165A (ja) 発光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