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597B1 - 전자 드럼 - Google Patents

전자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597B1
KR102592597B1 KR1020210059522A KR20210059522A KR102592597B1 KR 102592597 B1 KR102592597 B1 KR 102592597B1 KR 1020210059522 A KR1020210059522 A KR 1020210059522A KR 20210059522 A KR20210059522 A KR 20210059522A KR 102592597 B1 KR102592597 B1 KR 102592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ad
sound
struck
volt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048A (ko
Inventor
박규태
Original Assignee
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태 filed Critical 박규태
Priority to KR102021005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597B1/ko
Priority to CN202221066677.1U priority patent/CN217982818U/zh
Publication of KR2022015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8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26Mechanical details of electronic dru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4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membrane, e.g. a drum; Pick-up means for vibrating surfaces, e.g. housing of an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85Stick input, e.g. drumsticks with position or contact sens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61Piezoresistive transducers, i.e. exhibiting vibration, pressure, force or movement -dependent resistance, e.g. strain gauges, carbon-doped elastomers or polymers for piezoresistive drumpads, carbon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은, 드럼 몸체; 드럼 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드럼 패드;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에 연결되며, 복수의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 및 음향 생성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음향 생성부로부터 전송 받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며, 음향 생성부는, 복수의 드럼 패드 중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생성하는 미디 컨트롤러; 및 미디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은 미디 신호에 포함된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를 발생시켜 타격된 드럼 패드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음원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드럼{Electronic drum}
본 발명은 전자 드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 패드의 타격 강도를 보다 정밀하게 세분화할 수 있고 보다 넓은 범위의 강약 조절이 가능하여 전자 드럼을 연주할 때에 실제 드럼 세트를 연주할 때와 같은 실제감 및 현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드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트(Drum set)는 타악기의 하나로서, 베이스 드럼(Bass drum), 스네어 드럼(Snare drum), 하이햇(Hi-Hat), 복수의 탐탐(Tomtom) 및 복수의 심벌(Cymbal)을 포함한다. 이 때, 탐탐(Tomtom) 및 심벌(Cymbal)의 종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일반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드럼 세트(1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드럼 세트(10)가 베이스 드럼(Bass drum)(11), 스네어 드럼(Snare drum)(12), 하이햇(Hi-Hat)(13), 3 개의 탐탐(Tomtom)(14, 15, 16) 및 2 개의 심벌(Cymbal)(17, 18)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도 1의 예에서는, 3 개의 탐탐(Tomtom)(14, 15, 16)은 각각 스몰 탐(Small tom)(14), 미들 탐(Middle tom)(15), 라지 탐(Large tom) 또는 플로우 탐(Floor tom)(16)으로 구성되고, 2 개의 심벌(Cymbal)(17, 18)이 크래쉬 심벌(Crash Cymbal)(17) 및 라이드 심벌(Ride Cymbal)(18)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드럼 세트는 가격이 비싸 일반 사용자들이 손쉽게 구입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전체 부피가 크므로 이동이 쉽지 않아 사용자가 연주 또는 연습을 위한 시간 및 장소에 있어서 제약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어쿠스틱 방식의 드럼 세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전체 크기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 드럼(Electronic drum)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551호(스피커 일체형 전자드럼)(2016년 2월 11일 공고)에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으로 구성된 거치 유닛에 복수의 드럼 및 심벌, 스피커 모듈을 설치한 전자 드럼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전자 드럼도 여전히 전체 부피가 크므로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드럼 및 심벌에 대응하는 복수의 드럼 패드가 구비된 패드형 전자 드럼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9130호(전자드럼)(2019년 7월 5일 공개)에는 드럼 스틱을 이용하여 복수의 드럼 패드를 타격하면 각각의 드럼 패드에 해당하는 전자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패드형 전자 드럼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패드형 전자 드럼의 경우, 기존의 전자 드럼에 비해 부피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하나의 패드에 복수의 드럼 패드를 인접하여 배치된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드럼 스틱을 이용하여 특정 드럼 패드를 타격하는 경우, 그 충격이 인접하는 드럼 패드에 전달되어 드럼 패드가 타격된 것으로 잘못 인식하는 등 오작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패드형 전자 드럼은 특정 드럼 패드를 너무 강하게 타격할 때에는 인접한 드럼 패드로 충격이 전달되어 오작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특정 드럼 패드를 너무 약하게 타격할 때에는 드럼 스틱에 의한 실제 타격인지 인접한 드럼 패드로부터 전달된 충격인지 판단할 수 없어 오작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드럼 패드의 타격 강도를 보다 정밀하게 세분화할 수 있고 보다 넓은 범위의 강약 조절이 가능하여 전자 드럼을 연주할 때에 실제 드럼 세트를 연주할 때와 같은 실제감 및 현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드럼이 요구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551호(스피커 일체형 전자드럼)(2016년 2월 11일 공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9130호(전자드럼)(2019년 7월 5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 드럼에 구비된 복수의 드럼 패드 중 특정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로부터 미디 신호를 생성하고, 미디 신호의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드럼 패드의 타격 강도를 보다 정밀하게 세분화할 수 있으므로, 전자 드럼을 연주할 때에 실제 드럼 세트를 연주할 때와 같은 실제감 및 현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은, 드럼 몸체; 상기 드럼 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드럼 패드;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 및 상기 음향 생성부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상기 음향 생성부로부터 전송 받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생성하는 미디 컨트롤러; 및 상기 미디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미디 신호에 포함된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를 발생시켜 상기 타격된 드럼 패드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음원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는 패드 플레이트;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 개방된 상단에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압전 소자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압전 소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전압 신호를 상기 미디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 컨트롤러는, 상기 압전 소자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때에만 상기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은, 상기 압전 소자를 감싸도록 상기 패드 몸체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타격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에 따르면, 전자 드럼에 구비된 복수의 드럼 패드 중 특정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로부터 미디 신호를 생성하고, 미디 신호의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드럼 패드의 타격 강도를 보다 정밀하게 세분화할 수 있으므로, 전자 드럼을 연주할 때에 실제 드럼 세트를 연주할 때와 같은 실제감 및 현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에 따르면, 전자 드럼에 구비된 복수의 드럼 패드 중 특정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타격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을 출력하되, 인접하는 드럼 패드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드럼 패드를 타격할 때에 보다 넓은 범위의 강약 조절이 가능하므로, 실제 드럼 세트와 유사한 연주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음향 생성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음향 생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음향 생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드럼 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드럼 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자 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100)은 드럼 몸체(110), 복수의 드럼 패드(120), 음향 생성부(130) 및 음향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 몸체(110)는 전자 드럼(100)을 구성하는 본체로서, 상부면에 복수의 드럼 패드(120)가 배치되고, 내부에 음향 생성부(130)가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 음향 출력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드럼 몸체(110)가 일정 부피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리콘 등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대략 얇은 패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드럼 패드(120)는 드럼 몸체(110)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각각의 드럼 패드(120)는 실제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스네어 드럼(Snare drum), 하이햇(Hi-Hat), 복수의 탐탐(Tomtom) 및 복수의 심벌(Cymbal)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럼 패드(120)는 실리콘 등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 형상(도 2의 예에서,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드럼 몸체(110)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복수의 드럼 패드(120)가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드럼 패드(120) 각각의 단면 형상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2에서는 복수의 드럼 패드(120)가 서로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복수의 드럼 패드(120)가 모두 같은 높이를 가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드럼 패드(120) 각각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각각의 드럼 패드(120)는 사용자에 의해 한 쌍의 드럼 스틱(S)으로 타격될 때에 음향 생성부(130)가 실제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스네어 드럼, 하이햇, 복수의 탐탐 및 복수의 심벌 각각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드럼 패드(120)는 사용자의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드럼 패드(120)는 사용자에 의한 타격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타격 강도에 따라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압전 소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럼 패드(120)의 구조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음향 생성부(130)는 드럼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드럼 패드(120) 각각에 연결되어 복수의 드럼 패드(120)가 타격될 때에 복수의 드럼 패드(120) 각각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음향 생성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생성부(130)는 미디 컨트롤러(131) 및 음원 컨트롤러(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디 컨트롤러(131)는 복수의 드럼 패드(120) 중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압전 소자(122)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 신호는 사용자의 타격 강도에 따라 압전 소자(122)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미디 값으로, 디지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디 컨트롤러(131)는 압전 소자(122)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때에만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특정 드럼 패드(120)의 압전 소자(122)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가 기준 값 이하로 낮은 경우, 해당 전압 신호는 사용자에 의한 타격이 아니라 인접하는 드럼 패드(120)로부터 전달된 진동(충격)에 의한 것으로 보아, 드럼 패드(12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음원 컨트롤러(132)는 미디 컨트롤러(131)로부터 전송 받은 미디 신호에 포함된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를 발생시켜 타격된 드럼 패드(120)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키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에 관한 정보로 드럼 패드(120)의 종류, 위치 등을 포함하고, 강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압전 소자(122)에서 검출된 타격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사운드는 미디 정보의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음향으로, 디지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생성부(130)는 필요에 따라 음원 컨트롤러(132)에서 생성된 음향(샘플링 사운드)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13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100)을 구성하는 음향 생성부(130)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음향 생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음향 생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생성부(130)의 미디 컨트롤러(131)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압전 소자(122)로부터 전압 신호를 전송 받고, 해당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0).
단계 S11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압전 소자(122)로부터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미디 컨트롤러(131)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20).
도 6에서는 압전 소자(122)에 의해 검출된 전압 신호를 5 단계로 구분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은 P0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압전 소자(122)에 의해 검출된 전압 신호가 각각 P2, P3, P4, P5의 값 또는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P2, P3, P4, P5 각각에 대해 미디 신호 M2, M3, M4, M5가 각각 설정된 예를 들고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P0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 미디 컨트롤러(131)는 해당 전압 신호가 인접하는 드럼 패드(12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미디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P0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미디 컨트롤러(131)는 해당 전압 신호에 대해 설정된 미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전압 신호가 P1의 값 또는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P1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P0 이하이므로, 미디 컨트롤러(131)는 미디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전압 신호가 P3의 값 또는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P3는 미리 설정된 기준 값 P0 이상이므로, 미디 컨트롤러(131)는 전압 신호 P3에 대해 설정된 미디 신호 M3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음향 생성부(130)의 음원 컨트롤러(132)는, 미디 컨트롤러(131)가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생성한 후(S120), 해당 미디 신호의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를 발생시켜 타격된 드럼 패드(120)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미디 신호 M2, M3, M4, M5 각각에 대해 샘플링 사운드 S2, S3, S4, S5가 각각 설정된 예를 들고 있다. 따라서, 음원 컨트롤러(132)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전압 신호 P3에 대해 생성된 미디 신호 M3의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 S3를 발생시켜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100)을 구성하는 음향 생성부(130)는 미디 컨트롤러(131)가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120)의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형태의 미디 신호를 먼저 생성한 후, 음원 컨트롤러(132)가 해당 미디 신호의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아날로그 형태의 샘플링 사운드를 생성함으로써, 드럼 패드(120)의 압전 소자(122)로부터 검출되는 전압 신호를 보다 정밀하게 세분화할 수 있어 실제 드럼 세트와 유사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음향 출력부(140)는 드럼 몸체(110)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며, 음향 생성부(130)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드럼 패드(120)가 타격될 때에 음향 생성부(130)로부터 전송 받은 음향을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음향 출력부(140)가 드럼 몸체(110)의 상단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음향 출력부(140)의 개수,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100)을 구성하는 드럼 패드(12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드럼 패드(120) 각각은 사용자의 타격 강도에 따라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압전 소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드럼 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을 구성하는 드럼 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럼 패드(120)는 패드 플레이트(121), 압전 소자(122), 패드 몸체(123) 및 회로 기판(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드 플레이트(121)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실리콘 등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 형상(도 7의 예에서,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드 플레이트(121)는 사용자에 의한 타격, 즉, 드럼 스틱(S)에 의한 타격 강도를 모으기 위해 실리콘 등 연성 재질의 내부에 압전 소자(122)와 인접하도록 철판(121a)이 구비될 수 있다.
압전 소자(122)는 패드 플레이트(121)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패드 플레이트(121)의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패드 몸체(123)는 개방된 상단에 패드 플레이트(121)가 결합되며, 내부에 압전 소자(122)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12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24)은 압전 소자(122)와 이격되도록 패드 몸체(123)의 하단에 배치되며, 압전 소자(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전 소자(122)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 신호를 미디 컨트롤러(13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124)은 일반적인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물론,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드럼 패드(120)는 패드 플레이트(121)의 타격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는 탄성 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25)는 패드 플레이트(121)의 하부 및 패드 몸체(123)에 접촉하고 압전 소자(122)와 이격된 상태에서 압전 소자(122)를 감싸도록 패드 몸체(123)의 수용 공간(123a)에 배치되며, 스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125)는 사용자에 의해 패드 플레이트(121)가 타격될 때에 발생하는 진동(충격)이 인접하는 드럼 패드(120)의 압전 소자(122)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인접하는 드럼 패드(120)의 압전 소자(122)가 진동을 사용자에 의한 타격으로 판단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패드(120)는 탄성 부재(125)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는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드럼 패드(120)에 구비된 회로 기판(124)은 패드 플레이트(121)가 타격될 때에 패드 몸체(123)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 부재(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 부재(124a)는 패드 플레이트(121)가 사용자에 의해 타격될 때에 압전 소자(122)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P0 이상에서 음향 생성부(130)가 사용자의 타격 강도에 따른 음향을 생성할 때에 외부로 빛을 발산하고, 압전 소자(122)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P0 이하인 경우 빛을 발산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패드 플레이트(121)를 정확하게 타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100)은, 전자 드럼(100)에 구비된 복수의 드럼 패드(120) 중 특정 드럼 패드(120)가 타격될 때에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로부터 미디 신호를 생성하고, 미디 신호의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드럼 패드(120)의 타격 강도를 보다 정밀하게 세분화할 수 있으므로, 전자 드럼(100)을 연주할 때에 실제 드럼 세트를 연주할 때와 같은 실제감 및 현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드럼(100)은, 전자 드럼(100)에 구비된 복수의 드럼 패드(120) 중 특정 드럼 패드(120)가 타격될 때에 타격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을 출력하되, 인접하는 드럼 패드(120)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드럼 패드(120)를 타격할 때에 보다 넓은 범위의 강약 조절이 가능하므로, 실제 드럼 세트와 유사한 연주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 드럼
110: 드럼 몸체 120: 드럼 패드
121: 패드 플레이트 122: 압전 소자
123: 패드 몸체 123a: 수용 공간
124: 회로 기판 124a: 발광 부재
125: 탄성 부재 130: 음향 생성부
131: 미디 컨트롤러 132: 음원 컨트롤러
133: 증폭기 140: 음향 출력부

Claims (4)

  1. 드럼 몸체;
    상기 드럼 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드럼 패드;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 및
    상기 음향 생성부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가 타격될 때에 상기 음향 생성부로부터 전송 받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각각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는 패드 플레이트;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타격 강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
    개방된 상단에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압전 소자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패드 몸체;
    상기 패드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압전 소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전압 신호를 미디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타격될 때에 상기 패드 몸체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 부재가 구비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패드 몸체에 접촉하고 상기 압전 소자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압전 소자를 감싸도록 상기 패드 몸체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타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켜 상기 진동이 인접하는 드럼 패드에 구비된 압전 소자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압전 소자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때에만 외부로 빛을 발산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 빛을 발산하지 않으며,
    상기 음향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드럼 패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생성하는 미디 컨트롤러; 및
    상기 미디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미디 신호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드럼 패드에 관한 키 위치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사운드를 발생시켜 상기 타격된 드럼 패드에 해당하는 음향을 생성하는 음원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드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 컨트롤러는,
    상기 압전 소자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때에만 상기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드럼.
  4. 삭제
KR1020210059522A 2021-05-07 2021-05-07 전자 드럼 KR102592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522A KR102592597B1 (ko) 2021-05-07 2021-05-07 전자 드럼
CN202221066677.1U CN217982818U (zh) 2021-05-07 2022-05-06 电子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522A KR102592597B1 (ko) 2021-05-07 2021-05-07 전자 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048A KR20220152048A (ko) 2022-11-15
KR102592597B1 true KR102592597B1 (ko) 2023-10-20

Family

ID=8404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522A KR102592597B1 (ko) 2021-05-07 2021-05-07 전자 드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2597B1 (ko)
CN (1) CN21798281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666A (ja) * 1998-07-31 2000-02-18 Yamaha Corp 打楽器型楽音制御装置
JP2005509175A (ja) * 2000-04-06 2005-04-07 アジェーエミ−アカデミア デ ジナスチカ モベル リミタダ リズム装置、リズム伴奏方法および電子トランスデュー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5651A (ja) * 1984-09-21 1986-04-18 Hitachi Ltd 変復調装置
KR200479551Y1 (ko) 2015-08-12 2016-02-11 (주)뮤직인 스피커 일체형 전자드럼
KR102013944B1 (ko) 2017-12-27 2019-08-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드럼
KR20200111460A (ko) * 2019-03-19 2020-09-29 황규연 리듬 패드 및 그와 연동하는 반주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666A (ja) * 1998-07-31 2000-02-18 Yamaha Corp 打楽器型楽音制御装置
JP2005509175A (ja) * 2000-04-06 2005-04-07 アジェーエミ−アカデミア デ ジナスチカ モベル リミタダ リズム装置、リズム伴奏方法および電子トランスデュー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048A (ko) 2022-11-15
CN217982818U (zh)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3626B2 (ja) 電子打楽器
US20050034591A1 (en) Roll-up electronic piano
US8802962B2 (en) Foot actuated percussion board
JP5560304B2 (ja) 楽音装置並びに楽音装置の生産方法及び改造方法
JP4721936B2 (ja) 電子打楽器
JP4747994B2 (ja) 電子楽器
JP2000089761A (ja) 鍵盤装置
JP5122193B2 (ja) 楽音装置並びに楽音装置の生産方法及び改造方法
US20050284283A1 (en) Musical drum practice pads
KR102592597B1 (ko) 전자 드럼
WO2011070797A1 (ja) 鍵盤楽器
JP2007249141A (ja) 電子打楽器
JP2009003273A (ja) 電子鍵盤楽器
JP2014109709A (ja) ピアノ
CN211207956U (zh) 一种电子打击乐器
JP5320786B2 (ja) 電子楽器
US11176916B2 (en)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4556894B2 (ja) 電子打楽器装置
US2958249A (en) String mounted key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2288370B1 (ko) 전자 드럼
JP2000132168A (ja) 電子ピアノ
CN112562616B (zh) 一种体感架子鼓及其系统
US20230057338A1 (en) Chordophone with speaker function
WO2023234256A1 (ja) 電子打楽器
JP2001022346A (ja) ピア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