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944B1 - 전자드럼 - Google Patents

전자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944B1
KR102013944B1 KR1020170181109A KR20170181109A KR102013944B1 KR 102013944 B1 KR102013944 B1 KR 102013944B1 KR 1020170181109 A KR1020170181109 A KR 1020170181109A KR 20170181109 A KR20170181109 A KR 20170181109A KR 102013944 B1 KR102013944 B1 KR 10201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ad
sound
electronic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130A (ko
Inventor
정진우
박승현
김재훈
김하연
안수길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9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8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25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vibration sensing or vibration excitation in the audio range; Piezoelectric strain sensing, e.g. as key velocity sensor; Piezoelectric actuators, e.g. key actu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악기(스네어 드럼, 탐탐 드럼, 베이스 드럼, 심벌 및 하이햇 심벌 등)에 해당하는 복수의 드럼패드를 구비하되, 악기 종류에 따라 각각의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마다 분할된 영역에 대한 타격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타격할 시, 분할된 영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터치센서를 통해 패드면 상에서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되는 영역에 따라 실제 악기의 타격 위치에 기반하여 바이노럴 레코딩으로 녹음된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실제 드럼 세트에서 악기를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방향성이나 소리의 크기 등의 구분된 소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어, 실제 어쿠스틱 드럼 세트와 같은 현실감있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드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드럼{An electronic drum set}
본 발명은 전자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악기(스네어 드럼, 탐탐 드럼, 베이스 드럼, 심벌 및 하이햇 심벌 등)에 해당하는 복수의 드럼패드를 구비하되, 악기 종류에 따라 각각의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마다 분할된 영역에 대한 타격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타격할 시, 분할된 영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터치센서를 통해 패드면 상에서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되는 영역에 따라 실제 악기의 타격 위치에 기반하여 바이노럴 레코딩으로 녹음된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실제 드럼 세트에서 악기를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방향성이나 소리의 크기 등의 구분된 소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어, 실제 어쿠스틱 드럼 세트와 같은 현실감있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드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트라고 지칭되는 악기는 드럼류를 주로하여 여러 종류의 타악기로 이루어지며 그 종류와 수는 음악의 성격과 연주자의 기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악기로는 스네어 드럼(snare drum), 탐탐 드럼(tomtom drum) 및 베이스 드럼(base drum) 등의 드럼류와, 심벌(cymbal) 및 하이햇 심벌(hihat cymbal) 등의 심벌류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어쿠스틱 드럼 세트에 비해 연주가 쉽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아 설치가 용이한 전자드럼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드럼은 드럼스틱을 통해 여러 종류의 악기에 해당하는 복수의 패드를 타격하면 그에 해당하는 전자음을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전자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헤드폰 등을 통해서도 사운드를 청취할 수도 있어서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드럼은 실제 어쿠스틱 드럼에서 들려오는 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내기는 하지만 실제 드럼을 연주할 때의 소리와는 상당히 다른 소리를 내어, 실제 어쿠스틱 드럼에 비해 연주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0644021호에서는 도전성 북채와 복수의 도전성 패드로 이루어져, 연주 과정에서 도전성 북채를 통해 도전성 패드를 타격하는 세기를 검출하여, 검출된 타격 세기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전자드럼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어, 기존의 타격된 패드에 해당하는 전자음만 출력하는 전자드럼에 비해 개선된 전자드럼 장치가 나타나 있기는 하나, 이를 통해서도 실제 어쿠스틱 드럼과 같이 현실감 있는 소리를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즉, 어쿠스틱 드럼 세트를 연주하는 과정에서는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의 북면이나 심벌의 금속면을 타격하는 경우,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소리의 방향성이 달라지고 소리의 크기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타격 위치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전자드럼 장치의 경우 단순히 스테레오 녹음된 드럼이나 심벌 음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타격 세기에 따른 소리의 크기 조절만이 가능할 뿐, 타격 위치에 따른 현실감 있는 소리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644021호(등록일: 2006.11.01)의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악기(스네어 드럼, 탐탐 드럼, 베이스 드럼, 심벌 및 하이햇 심벌 등)에 해당하는 복수의 드럼패드를 구비하되, 악기 종류에 따라 각각의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마다 분할된 영역에 대한 타격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타격할 시, 분할된 영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터치센서를 통해 패드면 상에서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되는 영역에 따라 실제 악기의 타격 위치에 기반하여 바이노럴 레코딩으로 녹음된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실제 드럼 세트에서 악기를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방향성이나 소리의 크기 등의 구분된 소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어, 실제 어쿠스틱 드럼 세트와 같은 현실감있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드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드럼에 있어서, 패드면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영역별로 타격 감지를 위한 터치센서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럼패드와; 상기 드럼패드를 타격하기 위한 드럼스틱과; 상기 드럼패드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발생부; 및 상기 드럼패드, 메모리부 및 음향발생부를 제어하며, 상기 드럼패드의 분할된 영역 중 드럼스틱에 의해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된 영역에 따라 상기 음향발생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상기 타격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패드를 타격하는 과정에서, 타격되는 드럼패드의 영역에 따라 구분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드럼은,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복수의 드럼패드를 타격하여 연주하는 과정에서, 타격하는 드럼패드의 영역에 따라 실제 악기의 타격 위치에 기반하여 바이노럴 레코딩으로 녹음된 음원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드럼 세트에서 악기를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방향성이나 소리의 크기 등의 구분된 소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어, 실제 어쿠스틱 드럼 세트와 같은 현실감있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드럼은,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복수의 드럼패드를 타격하며 연주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통해 자신이 연주한 드럼의 소리를 실제 드럼 소리와 같이 현실감 있게 들을 수 있어, 자신이 연주한 소리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럼 연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드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악기 종류에 따라 다르게 영역 분할된 드럼패드를 예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이노럴 레코딩을 통해 실제 드럼 세트의 소리를 녹음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드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드럼은, 패드면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영역별로 타격 감지를 위한 터치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럼패드(10)와; 상기 드럼패드(10)를 타격하기 위한 드럼스틱(20)과; 상기 드럼패드(10)의 분할된 영역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0)와;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발생부(40); 및 상기 드럼패드(10), 메모리부(30) 및 음향발생부(40)를 제어하며, 상기 드럼패드(10)의 분할된 영역 중 드럼스틱(20)에 의해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된 영역에 따라 상기 음향발생부(40)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상기 타격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드럼은,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악기(스네어 드럼, 탐탐 드럼, 베이스 드럼, 심벌 및 하이햇 심벌 등)에 해당하는 복수의 드럼패드를 구비하되, 악기 종류에 따라 각각의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마다 분할된 영역에 대한 타격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타격할 시, 분할된 영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터치센서를 통해 패드면 상에서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되는 영역에 따라 실제 악기의 타격 위치에 기반하여 바이노럴 레코딩으로 녹음된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실제 드럼 세트에서 악기를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방향성이나 소리의 크기 등의 구분된 소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어, 실제 어쿠스틱 드럼 세트와 같은 현실감있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드럼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종류의 타악기로 이루어지는 어쿠스틱 드럼 세트와 같이, 여러 종류의 타악기에서 나는 복수의 음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드럼패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전자드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드럼 세트의 경우, 스네어 드럼(snare drum), 탐탐 드럼(tomtom drum) 및 베이스 드럼(base drum) 등의 드럼류와, 심벌(cymbal) 및 하이햇 심벌(hihat cymbal) 등의 심벌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탐탐 드럼의 경우 드럼 크기에 따라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심벌의 경우에도 사이즈에 따라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드럼은 복수의 드럼류와 심벌류에 해당하는 복수의 드럼패드(10)가 구비되며, 예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스네어 드럼, 탐탐 드럼, 베이스 드럼, 심벌, 및 하이햇 심벌 등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의 드럼패드(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예로써, 스네어 드럼, 3개의 탐탐 드럼, 베이스 드럼, 3개의 심벌 및 하이햇 심벌에 해당하는 9개의 드럼패드(10)로 이루어지는 전자드럼 세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각각의 드럼패드(10)는 패드면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분할된 영역마다 분할된 영역에 대한 타격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
즉, 드럼패드(10)에서 드럼스틱(20)에 의해 타격되는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별로 타격 감지를 위한 터치센서(미도시)를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드럼패드(10)에서 드럼스틱(20)에 의해 타격되는 부분을 영역별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드럼패드(10)의 패드면에 영역별로 각각 구비되는 터치센서(미도시)는 압력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피에조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패드(10)의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이유는, 드럼스틱(20)으로 패드면을 타격하는 경우, 패드면을 타격하는 영역에 따라 음향발생부(40)를 통해 실제 타악기와 같이 타격 위치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즉, 실제 드럼이나 심벌 등의 타악기의 경우, 드럼스틱으로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소리의 방향성이 달라지고 소리의 크기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타격 위치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발생시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제 타악기와 같은 소리를 구현하게 위해 드럼패드(10)의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드럼스틱(20)에 의해 타격되는 영역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패드면을 타격하는 영역에 따라 음향발생부(4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들은, 실제 드럼류 또는 심벌류 등의 악기를 드럼스틱으로 타격할 시, 타격된 위치에 기반하여 바이노럴 레코딩 방식으로 녹음된 음원들을 메모리부(30)에 저장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더불어, 각각의 드럼패드(10)의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함에 있어서는, 실제 타악기와 같이 타격 위치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악기의 종류에 따라 드럼패드(10)의 영역 분할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악기 종류에 따라 다르게 영역 분할된 드럼패드를 예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네어 드럼에 해당하는 드럼패드의 경우, 테두리를 제외한 패드면에 격자 형태로 9개의 영역을 분할 형성하는 동시에, 패드면 테두리 부분에 1개의 영역을 형성하여, 패드면을 총 10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실제 스네어 드럼의 경우, 연주 기법에 따라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의 북면 중앙부터 가장자리에 걸쳐 여러 부분을 타격하여 소리를 내고 있으며, 날카로운 소리를 내기 위한 방법으로 드럼의 테두리를 타격하여 소리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스네어 드럼에 해당하는 드럼패드는, 패드면에 형성된 격자 형태의 9개의 영역을 통해서는 실제 드럼과 같이 타격 위치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패드면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1개의 영역을 통해서는 실제 드럼의 테두리를 타격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탐 드럼에 해당하는 드럼패드의 경우에는, 패드면 전체에 걸쳐 격자 형태로 9개의 영역을 분할 형성하여, 타격 영역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드럼의 경우에는 통상 풋 페달을 이용하여 북면의 중앙 부위만 타격하여 소리를 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스틱 외에도 베이스 드럼에 해당하는 드럼패드를 타격하기 위한 별도의 풋 페달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드럼에 해당하는 드럼패드의 경우 패드면 전체를 1개의 영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벌 및 하이햇 심벌과 같은 심벌류에 해당하는 드럼패드의 경우에는, 패드면의 중앙에 1개의 영역을 형성하고,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방사형으로 분할한 8개의 영역을 형성하여, 타격 영역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실제 하이햇 심벌의 경우, 드럼스틱과 함께 풋 페달을 이용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하이햇 심벌에 해당하는 드럼패드의 경우에도 해당 드럼패드를 타격하기 위한 별도의 풋 페달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격자 형태나 방사 형태로 분할하여 패드면에 다수의 영역을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악기의 종류에 따라 상술한 격자 형태나 방사 형태 외의 다른 형태로 패드면을 분할하여 다수의 영역을 형성하고, 타격 영역에 따라 구분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드럼은, 악기 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마다 분할된 영역에 대한 타격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각각 구비하여,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패드의 패드면을 타격할 시, 분할된 영역별로 각각 구비되는 터치센서를 통해 패드면 상에서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되는 영역에 따라 음향발생부를 통해 실제 타악기와 같은 구분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어쿠스틱 드럼 세트와 같은 현실감있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30)는 악기 종류에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는 각 드럼패드(10)의 분할된 영역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음원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일 예로써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럼패드의 분할 영역 갯수에 맞추어, 스네어 드럼은 10개의 음원데이터, 3개의 탐탐 드럼은 각각 9개의 음원데이터, 베이스는 1개의 음원데이터, 3개의 심벌은 각각 9개의 음원데이터, 하이햇 심벌은 9개의 음원데이터를 메모리부(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30)에 저장되는 음원데이터는 실제 드럼류 또는 심벌류 등의 악기를 드럼스틱으로 타격할 시, 타격된 위치에 기반하여 바이노럴 레코딩 방식으로 녹음된 음원데이터들이다.
여기서, 바이노럴 레코딩(Binaural recording)은 양쪽 귀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사실적인 소리를 레코딩하고 재생하는 기술로서, 인간의 머리와 동일하게 생긴 모형의 양쪽 귀 부분에 마이크를 꽂고 현장을 녹음한 후, 이렇게 녹음된 음원데이터를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꽂은 사람에게 들려주면 매우 사실적인 소리를 체험할 수 있다는 착안에서 만들어졌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이노럴 레코딩을 통해 실제 드럼 세트의 소리를 녹음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노럴 레코딩 과정에서는, 실제 드럼 세트(D)에서 사람이 의자에 앉았을 때, 왼쪽 귀와 오른쪽 귀가 위치하는 부분에 마이크(60)를 배치하여 녹음을 수행하며,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드럼패드의 분할된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 악기의 위치를 타격하여 발생된 소리를 녹음함으로써, 각각의 드럼패드의 분할된 영역 갯수 별로 녹음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같이 녹음된 음원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드럼은,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드럼패드를 타격하는 과정에서, 타격하는 드럼패드의 영역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방향성 및 소리의 크기 등을 현실감 있게 구현하여 구분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실제 드럼세트와 같은 소리와 연주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녹음 과정에서는 사람이 의자에 앉았을 때의 귀의 높이를 고려하여 사람의 앉은 키를 기준으로 마이크 높이를 설정하여 배치하고 있는데, 사람마다 신체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람의 앉은 키 높이에 대해 범위를 설정하고, 범위 내의 최저 앉은 키 높이에서 최고 앉은 키 높이까지 일정 높이 간격으로 각각 마이크 높이를 바꿔가면서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사람의 앉은 키 높이 별로 녹음된 각각의 음원데이터 세트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로써, 일반적인 사람의 앉은 키 높이의 범위가 70 ~ 120cm인 경우, 70cm 높이부터 120cm 높이까지 10cm 간격으로 마이크 높이를 바꿔가면서 녹음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전자드럼에 사용자의 앉은 키를 입력하는 입력모듈(7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모듈(70)을 통해 자신의 앉은 키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50)에서 사용자의 앉은 키에 대응하는 음원데이터 세트를 메모리부(30)로부터 불러와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전자드럼을 연주하는 사용자에게 더욱 현실감있는 음향과 연주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발생부(40)는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양쪽 귀의 위상차를 이용하는 바이노럴 레코딩 방식을 통해 녹음된 음원데이터를 출력하기 때문에, 양쪽 귀에 각각 음원을 출력하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 등의 스피커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복수의 드럼패드(10), 메모리부(30) 및 음향발생부(40)를 제어하며, 각각의 드럼패드(10)의 분할된 영역 중 드럼스틱(20)에 의해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된 영역에 따라 음향발생부(40)를 통해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상기 드럼패드(10)의 타격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50)는 사용자가 드럼스틱(20)을 이용하여 드럼패드(10)를 타격하는 경우, 해당 드럼패드(10)에 분할된 영역별로 각각 구비되는 터치센서(미도시)를 통해 해당 드럼패드(10)의 타격된 영역을 감지하고,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복수의 음원 중 해당 드럼패드(10)의 타격된 영역에 대응하는 음원을 음향발생부(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드럼스틱을 통해 실제 드럼이나 심벌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타격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방향성이나 소리의 크기 등을 전자드럼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드럼은,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복수의 드럼패드를 타격하여 연주하는 과정에서, 타격하는 드럼패드의 영역에 따라 실제 악기의 타격 위치에 기반하여 바이노럴 레코딩으로 녹음된 음원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드럼 세트에서 악기를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방향성이나 소리의 크기 등의 구분된 소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어, 실제 어쿠스틱 드럼 세트와 같은 현실감있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드럼은, 사용자가 드럼스틱을 통해 복수의 드럼패드를 타격하며 연주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통해 자신이 연주한 드럼의 소리를 실제 드럼 소리와 같이 현실감 있게 들을 수 있어, 자신이 연주한 소리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럼 연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드럼패드 20 : 드럼스틱
30 : 메모리부 40 : 음향발생부
50 : 제어부 60 : 마이크
70 : 입력모듈 D : 드럼 세트

Claims (11)

  1. 전자드럼에 있어서,
    패드면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영역별로 타격 감지를 위한 터치센서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럼패드와;
    상기 드럼패드를 타격하기 위한 드럼스틱과;
    상기 드럼패드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실제 악기의 위치를 타격하여 발생된 소리를 바이노럴 레코딩(Binaural recording) 방식으로 녹음한 음원데이터가 사람의 앉은 키 높이별로 각각 녹음되어 세트별로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발생부; 및
    상기 드럼패드, 메모리부 및 음향발생부를 제어하며, 상기 드럼패드의 분할된 영역 중 드럼스틱에 의해 타격되는 영역을 감지하여, 타격된 영역에 따라 상기 음향발생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상기 타격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드럼스틱을 통해 드럼패드를 타격하는 과정에서, 타격되는 드럼패드의 영역에 따라 구분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패드는 다수개로 구비되되,
    스네어 드럼, 탐탐 드럼, 베이스 드럼, 심벌 및 하이햇 심벌에 해당하는 드럼패드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네어 드럼에 해당하는 드럼패드는,
    테두리를 제외한 패드면에 격자 형태로 9개의 영역이 분할 형성되고, 패드면 테두리 부분에 1개의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탐탐 드럼에 해당하는 드럼패드는,
    패드면에 격자 형태로 9개의 영역이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 및 하이햇 심벌에 해당하는 드럼패드는,
    패드면의 중앙에 1개의 영역이 형성되고,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패드면 부분에 방사형으로 분할된 8개의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드럼에는,
    상기 베이스 드럼 및 하이햇 심벌에 해당하는 드럼패드를 타격하기 위한 풋 페달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드럼에는,
    사용자의 앉은 키를 입력하는 입력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앉은 키 입력시, 입력된 앉은 키에 대응하는 음원데이터 세트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불러와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피에조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부에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드럼.
KR1020170181109A 2017-12-27 2017-12-27 전자드럼 KR10201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109A KR102013944B1 (ko) 2017-12-27 2017-12-27 전자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109A KR102013944B1 (ko) 2017-12-27 2017-12-27 전자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30A KR20190079130A (ko) 2019-07-05
KR102013944B1 true KR102013944B1 (ko) 2019-08-26

Family

ID=6722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109A KR102013944B1 (ko) 2017-12-27 2017-12-27 전자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370B1 (ko) 2019-11-06 2021-08-09 박규태 전자 드럼
KR102592597B1 (ko) 2021-05-07 2023-10-20 박규태 전자 드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551Y1 (ko) * 2015-08-12 2016-02-11 (주)뮤직인 스피커 일체형 전자드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021B1 (ko) 2004-03-02 2006-11-10 이문기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KR102341253B1 (ko) * 2015-04-17 2021-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551Y1 (ko) * 2015-08-12 2016-02-11 (주)뮤직인 스피커 일체형 전자드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30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5395C (zh) 用于提供交互式鼓乐教程的装置和方法
US8847057B2 (en) Auditory board
US10304432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ound 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13944B1 (ko) 전자드럼
JP4665811B2 (ja) 演奏装置
WO2016005729A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s and triggers
Fontana et al. Perception of vibrotactile cues in musical performance
WO2002021503A1 (fr) Ensemble de batteries electroniques analogiques, piece pour ensemble de batteries electroniques analogiques, et unite a pedales
JP2009003273A (ja) 電子鍵盤楽器
JP2016148695A (ja) 複合楽器およびそのシステム
WO2017200427A1 (ru) Лазерный триггер для большого барабана
JP4578108B2 (ja) 電子楽器の共鳴音発生装置、電子楽器の共鳴音発生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201498194U (zh) 用于产生音乐的手套
JP2017049386A (ja) 発音制御装置
CN104347059A (zh) 铜钹打板
US9767774B2 (en) Synthesizer with cymbal actuator
JP2010231248A (ja) 電子楽器
WO2021131070A1 (ja) 電子打楽器、電子打楽器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805475B2 (en)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device,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program and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Aimi Percussion instruments using realtime convolution: Physical controllers
JP6469391B2 (ja) 電子打楽器及び電子打楽器用コントローラ
JP3206231U (ja) 楽器
JP5609069B2 (ja) 楽音信号制御装置
JPH01246597A (ja) エレキドラム
Constanzo Towards the Beat of a Different Drummer: A Journey into the Loss of Fidelity in Drums and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