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344B1 -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344B1
KR102591344B1 KR1020180115889A KR20180115889A KR102591344B1 KR 102591344 B1 KR102591344 B1 KR 102591344B1 KR 1020180115889 A KR1020180115889 A KR 1020180115889A KR 20180115889 A KR20180115889 A KR 20180115889A KR 102591344 B1 KR102591344 B1 KR 10259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e
coil
oi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417A (ko
Inventor
유키히로 다키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과제 :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 렌즈 구동장치는, 고정부와 고정부상에, 고정부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간해서 설치되어,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와, 가동부를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고정부는, 액추에이터의 OIS 코일을 보지하는 코일 기판과, 비도전성 재료로 되어있고, 코일 기판의 아래쪽에 설치된 베이스 부재이며, 광축의 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이스측 관통공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도전성 재료로 되어있고, 일부가 베이스 부재에 매설된 단자 부재이며, 외부 단자가 되는 제1 접속부, 및 코일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는 단자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광축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제2 접속부와 베이스측 관통공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제2 접속부와 코일 기판을, 베이스측 관통공의 내측에 설치된 땜납에 의해 접속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지 화상의 촬영시에 손떨림(진동)이 있었다 하더라도, 결상면(結像面)상에서의 상떨림을 방지하여 선명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가, 종래부터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오토 포커스(AF)용 렌즈 구동장치용의 영구자석을, 손떨림 보정 장치용의 영구자석으로서도 겸용함으로써, 소형이면서도,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손떨림 보정 장치가 개시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손떨림 보정 장치에 있어서, 오토 포커스용 렌즈 구동장치이기도 한 OIS 가동부의 뒤쪽에, OIS 가동부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간(離間)해서 OIS 고정부가 배치된다. 이러한 OIS 고정부의 외주부(外周部)에는,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의 일단(一端)(하단(下端))이 고정된다.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의 타단(他端)(상단(上端))은, OIS 가동부에 단단히 고정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손떨림 보정 장치의 경우, OIS 고정부는, OIS용 코일을 보지(保持)하는 코일 기판, 코일 기판의 뒤편에 배치된 플렉서블 기판(이하, 「FPC」라고 함), 및 FPC의 뒤편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를 가진다. FPC는, 소정 방향으로 대향하는 2변의 각각에, 뒤편으로 굴곡하는 단자 부재를 가진다. 단자 부재는 각각, 예를 들면, 전원 장치나 제어장치 등의 외부 장치와 코일 기판(예를 들면, OIS 코일, 홀 소자)을 접속한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 2016/006168호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손떨림 보정 장치의 경우, 베이스 부재와 코일 기판의 사이에 FPC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FPC의 두께 치수만큼, OIS 고정부의 두께 치수가 커진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조는, 저배화의 관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한 형태는, 고정부와, 고정부상에, 고정부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간(離間)해서 설치되어,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와, 가동부를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고정부는, 액추에이터의 OIS 코일을 보지하는 코일 기판과, 비도전성 재료로 되어있고, 코일 기판의 아래쪽에 설치된 베이스 부재이며, 광축의 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이스측 관통공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도전성 재료로 되어있고, 일부가 베이스 부재에 매설(埋設)된 단자 부재이며, 외부 단자가 되는 제1 접속부, 및 코일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는 단자 부재를 구비하고, 광축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平面視)에서, 제2 접속부와 베이스측 관통공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제2 접속부와 코일 기판이, 베이스측 관통공의 내측(內側)에 설치된 땜납에 의해 코일 기판의 하측으로부터 접속되고, 땜납의 하단부는 베이스측 관통공의 하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한 형태는, 상술한 렌즈 구동장치와, 가동부에 렌즈 배럴을 개재하여 보지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의해 결상(結像)된 피사체상을 촬상(撮像)하는 촬상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탑재 장치의 한 형태는, 정보 기기 또는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이며, 상술한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스마트 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카메라 모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본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본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도9a는, 상측 탄성지지부의 사시도이며, 도9b는, 하측 탄성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도10a, 도10b는렌즈 홀더 및 마그넷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마그넷 홀더의 제1 귀퉁이부(隅部)를 지름 방향 외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 마그넷 홀더의 제1 귀퉁이부를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 흐름 방지부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3a는, 스토퍼 볼록(stopper凸)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13b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4] 흐름 방지부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14a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14b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 12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5] 흐름 방지부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15a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 12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15b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6] 흐름 방지부의 변형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16a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16b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7] AF가동부에 있어서의 자계의 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OIS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도18과 다른 각도에서 본 OIS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도20a는, 베이스 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0b는, 리드 및 단자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 도21a, 도21b는,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도22a는, 단자요소의 측면도이고, 도22b는, 단자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23] 코일 기판과 단자부재의 접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4] 도24a, 도24b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단자부재, 코일 기판, OIS코일, 및 홀소자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1.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하는 스마트 폰(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a는, 스마트 폰(M)의 정면도이고, 도1b는, 스마트 폰(M)의 배면도이다. 도2는, 카메라 모듈(A)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 4는, 카메라 모듈(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상방(上方) 사시도이며, 도4는, 하방(下方) 사시도이다.
도2~도4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좌표계(X, Y, Z)를 사용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도 공통의 직교좌표계(X, Y, Z)로 나타내고 있다. 또, X방향, Y방향의 중간 방향, 즉, 카메라 모듈(A)의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平面視) 형상에 있어서의 대각방향을 U방향, V방향으로서 설명한다(도17 참조).
카메라 모듈(A)은, 스마트 폰(M)으로 실제로 촬영이 행해질 경우에, X방향이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 Y방향이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 Z방향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탑재된다. 즉, Z방향이 광축 방향이며, Z방향 +측(예를 들어 도2의 상측)이, 광축 방향 수광측(매크로 위치측이라고도 함)이 되고, Z방향 -측(예를 들어 도2의 하측)이 광축 방향 결상측(무한원 위치측이라고도 함)이 된다. 또, Z축에 직교하는 X방향 및 Y방향을 「광축 직교 방향」이라고 하고, XY면을 「광축 직교면」이라고 한다.
또, 이하, 카메라 모듈(A)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없이 「지름(徑) 방향」, 「원주(圓周) 방향」이라고 할 경우에는, 후술하는 OIS 가동부(10)(구체적으로는, 렌즈 홀더(110), 마그넷 홀더(12a), 도7 참조)에 있어서의 각 방향을 말한다.
또,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2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A) 및 카메라 모듈(A)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귀퉁이부를 제1귀퉁이부 라고 하고, X방향 -측 이면서 또 Y방향 +측의 귀퉁이부를 제2귀퉁이부 라고 하고,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귀퉁이부를 제3귀퉁이부 라고 하고, X방향 +측이면서 또 Y방향 -측의 귀퉁이부를 제4 귀퉁이부라고 한다.
도1a 및 도1b에 나타내는 스마트 폰(M)은, 예를 들면 배면 카메라(OC)로서,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A)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핀트맞추기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하 「AF기능」이라고 함, AF:Auto Focus) 및 촬영시에 발생하는 손떨림(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여 화상의 흔들림을 경감시키는 떨림 보정 기능(떨림 보정부라고도 함. 이하 「OIS 기능」 이라고 함,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1)가 적용된다.
오토 포커스용 및 떨림 보정용의 렌즈 구동장치(1)는, 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이하 「AF용 구동부」라고 함)와, 렌즈부를 광축 직교면내에서 요동(搖動)시키기 위한 떨림 보정용 구동부(이하 「OIS용 구동부」라고 함)를 구비한다.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카메라 모듈(A)은, 원통(圓筒) 형상의 렌즈 배럴(도면표시 생략)에 렌즈가 수용되어서 되는 렌즈부(도면표시 생략), 오토 포커스용 및 떨림 보정용의 렌즈 구동장치(1),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도면표시 생략), 및 커버(4) 등을 구비한다.
[커버에 대해서]
커버(4)는, Z방향(광축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정사각형 모양의 유개(有蓋) 사각통체이며, 표면(Z방향 +측의 면)에 원형의 개구(開口)(40)를 가진다. 개구(40)로부터 렌즈부(도면표시 생략)가 외부로 임한다. 커버(4)는, 예를 들면, 접착제(도면표시 생략)에 의해 렌즈 구동장치(1) (베이스 부재(25))에 고정된다.
[촬상부에 대해서]
촬상부(도면표시 생략)는, 렌즈 구동장치(1)의 Z방향 -측(광축 방향 결상측)에 배치된다. 촬상부는,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 및 촬상 소자가 실장되는 센서 기판(基板)을 가진다. 촬상 소자는, 렌즈부(도면표시 생략)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한다. 렌즈 구동장치(1)는, 센서 기판(도면표시 생략)에 탑재되어, 센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렌즈 구동장치에 대해서]
도5~도8은, 렌즈 구동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 도7은, 상방 사시도이고, 도6, 도8은, 하방 사시도이다. 또한, 도8은, 도6에 대해서 Z방향 주위에 180도 어긋난 위치로부터 렌즈 구동장치(1)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5,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렌즈 구동장치(1)는, OIS 가동부(10)(가동부라고도 함), OIS 고정부(20)(고정부라고도 함), 및 OIS지지부(30)(서스펜션 와이어30) 등을 구비한다.
[OIS 가동부에 대해서]
OIS 가동부(10)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OIS용 마그넷부를 가지고, 떨림 보정시에 광축 직교면내에서 요동하는 부분이다. OIS 고정부(20)는, OIS용 코일부를 가지는 부분이다. 즉, 렌즈 구동장치(1)의 OIS용 구동부에는, 무빙 마그넷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OIS 가동부(10)는, AF용 구동부를 포함한 「AF 유닛」이기도 하다.
OIS 가동부(10)는, OIS 고정부(20)상(上)에, OIS 고정부(20)로부터 Z방향 +측(광축 방향 수광측 또는 상측)으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OIS용 지지부(30)에 의해 OIS 고정부(2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OIS용 지지부(30)는, Z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한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 있음)하는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로 구성된다(이하, 서스펜션 와이어(30)이라고 함).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일단(하단)은, OIS 고정부(20)(구체적으로는, 리드(26)의 제1 와이어 접속부(260) 및 제2 와이어 접속부(265), 도20b 참조)에 고정되고, 타단(상단)은 OIS 가동부(10)(구체적으로는 상측 탄성지지부(13), 도9 참조)에 고정된다. OIS 가동부(10)는, 서스펜션 와이어(30)에 의해서, 광축 직교면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0) 중, 제1귀퉁이부에 배치되는 서스펜션 와이어(30A) 및 제2귀퉁이부에 배치되는 서스펜션 와이어(30B)는, AF용 제어부(도면표시 생략)로의 급전(給電) 경로로서 사용된다.
한편, 제3귀퉁이부에 배치되는 서스펜션 와이어(30C) 및 제4귀퉁이부에 배치되는 서스펜션 와이어(30D)는, AF용 제어부(도면표시 생략)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경로로서 사용된다. 또한, 서스펜션 와이어(30)의 개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개보다 많아도 좋다.
도5~도17을 참조하여 OIS 가동부(10)에 대해서 설명한다. OIS 가동부(10)(AF유닛이라고도 함)는, 도5,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AF가동부(11), AF고정부(12), 상측 탄성 지지부(13)(도9a참조), 및 하측 탄성 지지부(14)(도9b참조) 등을 구비한다.
[AF가동부에 대해서]
AF가동부(11)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이간해서 배치되어, 상측 탄성지지부(13) 및 하측 탄성지지부(14)에 의해서 AF고정부(12)와 연결된다.
AF가동부(11)는,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코일부를 가지고, 핀트맞추기시에 AF고정부(12)에 대해서 Z방향(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AF고정부(12)는,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마그넷부를 가지는 부분이다. 즉, 렌즈 구동장치(1)의 AF용 구동부에는, 무빙 코일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AF가동부(11)는, 렌즈 홀더(110) 및 AF용 코일부(111)(도7, 도8 참조)를 가진다.
[렌즈 홀더에 대해서]
렌즈 홀더(110)는, 통 모양의 렌즈 수용부(110a)(도5 및 도6 참조)를 가진다. 렌즈 수용부(110a)의 내주면(內周面)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홈(溝)(도면표시 생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수용부(110a)에 렌즈부(도면표시 생략)를 나사를 이용해 장착하는 방법에서는, OIS 가동부(10)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3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수용부(110a)의 내주면에, 렌즈부(도면표시 생략)가 접착에 의해 고정되므로, 렌즈부의 부착시에 서스펜션 와이어(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렌즈 수용부(110a)의 내주면이 홈(溝)을 가지고 있고, 이 홈에 의해서 적당량의 접착제가 보지되므로, 렌즈 홀더(110)와 렌즈부와의 접착 강도가 향상한다.
렌즈 홀더(110)는, 렌즈 수용부(110a)의 외주면(外周面)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플랜지(110b)(도5, 도7 참조) 및 하측 플랜지(110c)(도6, 도7 참조)를 가진다. 렌즈 홀더(110)는,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측 플랜지(110b)와 하측 플랜지(110c)의 사이에, 전 둘레에 걸쳐서 연속된 홈(溝) 모양의 코일 권선부(110d)(도7 참조)를 가진다.
즉, 렌즈 홀더(110)는, 보빈 구조를 가진다. 상측 플랜지(110b) 및 하측 플랜지(110c)는, 평면시에서 거의 팔각형 모양을 가진다.
렌즈 홀더(110)는, 상측 플랜지(110b)의 일부(원주 방향으로 이격(離隔)한 4군데)에 있어서, 주위보다 지름 방향 외측 및 Z방향 +측으로 튀어나온 상측 돌출부(110e)(도5, 도7 참조)를 가진다. 상측 돌출부(110e)의 표면(Z방향 +측의 면)이, AF가동부(11)의 Z방향 +측(광축 방향 수광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피계지부(被係止部/*係止:서로 끼워짐)가 된다.
렌즈 홀더(110)는, Z방향 +측의 면(표면)에 있어서의 X방향 -측의 단부 및 Y방향 +측의 단부에, 한 쌍의 상(上)용수철 고정부(110f) (도10a참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상용수철 고정부(110f)는 각각, 후술하는 상측 용수철 요소(13a)(도5, 도9a참조)의 내측 고정부(131)를 위치결정하여 고정하는 상측 보스(boss)(110g)(도5, 도10a참조)를 가진다.
한편, 렌즈 홀더(110)는, 표면에 있어서의 X방향 -측의 단부 및 Y방향 -측의 단부에, 한 쌍의 상용수철 고정부(110h)(도10a참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상용수철 고정부(110h)는 각각, 후술하는 상측 용수철 요소(13b)(도5, 도9a참조)의 내측 고정부(131)를 위치결정하여 고정하는 상측 보스(110i)(도5, 도10a참조)를 가진다.
렌즈 홀더(110)는, 표면에 있어서, 한 쌍의 상용수철 고정부(110f) 끼리의 원주(圓周) 방향의 사이(間) 부분(U방향 +측의 단부(端部)), 및, 한 쌍의 상용수철 고정부(110h)끼리의 원주 방향의 사이 부분(U방향 -측의 단부)에, 한 쌍의 연결부(110n)(도5, 도10a참조)를 가진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부(110n)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렌즈 홀더(110)의 표면과, 커버(4)의 천판(天板)부(41)(도2~도4 참조)의 내면과의 사이의 Z방향에 있어서의 틈새(隙間)에 배치된다. 한쌍의 연결부(110n)를 해당 틈새에 배치하는 구성은, 렌즈 홀더(110)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렌즈 홀더(110)는, 하측 플랜지(110c)의 일부(원주 방향으로 이격한 4군데)에 있어서, 주위보다 지름 방향 외측 및 Z방향 -측으로 튀어나온 하측 돌출부(110j)(도6, 도10b참조)를 가진다. 하측 돌출부(110j)의 Z방향 -측의 단면인 선단면(先端面)(하단면)은, OIS 고정부(20)의 코일 기판(21)의 표면(Z방향 +측의 면)과 Z방향으로 대향한다. 하측 돌출부(110j)의 Z방향 -측의 면(이면)이, AF가동부(11)의 Z방향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피계지부가 된다.
렌즈 홀더(110)는, 이면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의 경우 4군데)에 하(下)용수철 고정부(110k)(도10b참조)를 가진다. 하용수철 고정부(110k)는 각각, 하측 탄성지지부(14)의 내측 고정부(14b)를 위치결정해서 고정하는 하측 보스(110m)(도6, 도10b참조)를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홀더(110)는, 폴리아릴레이트(PAR) 또는 PAR를 포함한 복수의 수지 재료를 혼합한 PAR 앨로이(예를 들어, PAR/PC)로 되어있는 성형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성형 재료,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LCP:Liquid Crystal Polymer)보다 웰드 강도가 높아지므로, 렌즈 홀더(110)를 박육화(薄肉化)하더라도 인성(靭性) 및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1)의 외형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AF용 코일부에 대해서]
AF용 코일부(111)(도7, 도8 참조)는, 핀트맞추기시에 통전되는 공심 코일이며, 렌즈 홀더(110)의 코일 권선(卷線)부(110d)의 외주면에 권선된다. AF용 코일부(111)의 일단은, 렌즈 홀더(110)의 한 쪽 연결부(110n)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쪽 연결부(110n)에 연결된다.
[AF고정부에 대해서]
AF고정부(12)는, 마그넷 홀더(12a) 및 마그넷부(125)(도7 참조)를 가진다.
[마그넷 홀더에 대해서]
마그넷 홀더(12a)는,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정사각형의 사각통 형상이다. 마그넷 홀더(12a)는, 외주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에 지름 방향 내측에 옴폭한 원호(圓弧)홈(溝)(120a)(도6 참조)을 가진다. 원호 홈(120a)의 각각에는, 서스펜션 와이어(30A~30D)가 배치된다.
마그넷 홀더(12a)는, 네 귀퉁이의 Z방향 +측의 단부(상단)에, 지름 방향 내측으로 튀어나온 4개의 마그넷 덮개부(120b)(도10a참조)를 가진다. 마그넷 홀더(12a)는, 내주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에 마그넷 배치부(120c)(도10a참조)를 가진다.
마그넷 홀더(12a)는, Z방향 -측의 단면(이면)에, 하측 탄성지지부(14)를 고정하는 하용수철 고정부(120d)(도10b참조)를 가진다. 하용수철 고정부(120d)는, 하측 탄성지지부(14)의 외측 고정부(14a1~14a4)를 위치결정해서 고정하기 위한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하측 보스(120d1)(도6, 도10b참조)를 가진다.
마그넷 홀더(12a)는, Z방향 +측의 면(표면)에 있어서, 제1귀퉁이부 및 제4귀퉁이부를 포함하는 반부(半部)(즉, X방향 +측의 반부)에, 상측 탄성지지부(13)의 상측 용수철 요소(13a)를 고정하는 상용수철 고정부(120e1)(도10a참조)를 가진다. 상용수철 고정부(120e1)는, 상측 탄성지지부(13)의 상측 용수철 요소(13a)를 위치결정해서 고정하는 4개의 상측 보스(120f1)(도5, 도10a참조)를 가진다.
한편, 마그넷 홀더(12a)는, 표면에 있어서, 제2귀퉁이부 및 제3귀퉁이부를 포함하는 반부(즉, X방향 -측의 반부)에, 상측 탄성지지부(13)의 상측 용수철 요소(13b)를 고정하는 상용수철 고정부(120e2)(도10a참조)를 가진다. 상용수철 고정부(120e2)는, 상측 탄성지지부(13)의 상측 용수철 요소(13b)를 위치결정해서 고정하는 4개의 상측 보스(120f2)(도5, 10a참조)를 가진다.
상용수철 고정부(120e1)는, 귀퉁이부(즉, 제1귀퉁이부 또는 제4귀퉁이부)에, 서스펜션 와이어(30A, 30B)가 삽통(揷通)되는 와이어 삽통부(120h1, 120h4)(도10a참조)를 가진다.
한편, 상용수철 고정부(120e2)는, 귀퉁이부(즉, 제2귀퉁이부 또는 제3귀퉁이부)에, 서스펜션 와이어(30C, 30D)가 삽통되는 와이어 삽통부(120h2, 120h3)(도8, 도10a참조)를 가진다.
와이어 삽통부(120h1~120h4)를 설치함으로써, OIS 가동부(10)가 요동할 때에, 서스펜션 와이어(30)와 마그넷 홀더(12a)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마그넷 홀더(12a)는, 각 마그넷 덮개부(120b)의 Z방향 +측의 면(표면)에, 각각 해당 표면으로부터 Z방향 +측으로 돌출한 스토퍼 볼록부(121)(도5, 도10a참조)를 가진다. 다시말하면, 마그넷 홀더(12a)는, 와이어 삽통부(120h1~120h4)보다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근방에 스토퍼 볼록부(121)를 가진다.
[댐퍼재에 대해서]
또, 서스펜션 와이어(30A~30D)를 둘러싸듯이, 마그넷 홀더(12a)의 와이어 삽통부(120h1~120h4)에는, 댐퍼재(15)(도 11 참조)가 배치된다. 댐퍼재(15)를 서스펜션 와이어(30A~30D)와 마그넷 홀더(12a)와의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불요 공진(고차의 공진 모드)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댐퍼재(15)는,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와이어 삽통부(120h1~ 120h4)에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댐퍼재(15)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의 실리콘겔을 적용할 수 있다.
[스토퍼 볼록부에 대해서]
스토퍼 볼록부(121)의 선단면(121b)(즉, Z방향 +측의 면)는, OIS 가동부(10)를 구성하는 어느 부재보다도 Z방향 +측에 위치한다. 설치 상태에 있어서, 선단면(121b)은, 커버(4)의 천판부(41)의 Z방향 -측의 면(이면)과 소정 크기의 Z방향 틈새를 개재하여 대향한다.
따라서, OIS 가동부(10)에 충격 하중이 작용하여, OIS 가동부(10)가 Z방향 +측으로 변위했을 경우에, 선단면(121b)이 다른 부분보다 먼저 커버(4)의 천판부(41)에 당접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 볼록부(121)는, OIS 가동부(10)의 Z방향 +측으로의 변위를 소정량으로 규제한다.
스토퍼 볼록부(121)는, 측면에 흐름 방지부(121a)(예를 들면, 후술하는 스토퍼 단부(stopper段部)121n 및 측방 스토퍼 단부 121r, 도5, 도11, 도12 참조)를 가진다. 흐름 방지부(121a)는, 스토퍼 볼록부(121)의 측면에 있어서, 댐퍼재(15)가 Z방향 +측으로 이동했을 경우의 경로가 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다.
흐름 방지부(121a)는, 댐퍼재(15)가 스토퍼 볼록부(121)의 측면을 타고 Z방향 +측으로 변위하는 것의 저항이 된다. 즉, 흐름 방지부(121a)는, 댐퍼재(15)가 Z방향 +측으로 이동하여 스토퍼 볼록부(121)의 선단면(121b)에 부착하는 것의 방지를 꾀한다.
또한, 상술의 부착을 방지하는 이유는, 스토퍼 볼록부(121)의 선단면(121b)과 커버(4)에 있어서의 천판부(41)의 이면에 댐퍼재(15)가 부착하면, 부착한 댐퍼재(15)가, 떨림 보정때의 OIS 가동부(10)의 변위의 저항이 되어, 떨림 보정의 정밀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11 , 도12를 참조하여 스토퍼 볼록부(121)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마그넷 홀더(12a)의 제1귀퉁이부를 지름 방향 외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12는, 마그넷 홀더(12a)의 제1귀퉁이부를 Z방향 +측(광축 방향 수광측)이 본 도면이다.
이하, 제1귀퉁이부에 설치된 스토퍼 볼록부(121)의 구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제2귀퉁이부 내지 제4귀퉁이부에 설치된 스토퍼 볼록부(121)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1귀퉁이부에 설치된 스토퍼 볼록부(121)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2귀퉁이부 내지 제4귀퉁이부에 설치된 스토퍼 볼록부(121)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의 제1귀퉁이부에 설치된 스토퍼 볼록부(121)의 설명에 있어서 적절히 바꾸어 읽으면 된다.
제1귀퉁이부에 설치된 스토퍼 볼록부(121)는, 선단면(121b), 내측면(121c), 및 외측면(121f)을 가진다. 선단면(121b)은, Z방향 +측을 향한다.
내측면(121c)은,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한 면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한 면이란, 법선 벡터(예를 들면, 도12의 N1, N2)가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도12의 상측)을 향한 벡터 성분을 가지는 면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면(121c)은, 중앙 내측면(121d) 및 한쌍의 측방 내측면(121e)을 가진다. 또한, 내측면(121c)에는, 후술하는 스토퍼 단부(121n) 및 측방 스토퍼 단부(121r)와 같은 단부(段部)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외측면(121f)은,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한 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한 면이란, 법선 벡터(예를 들면, 도12의 N3, N4)가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도12의 아래 쪽)을 향한 벡터 성분을 가지는 면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외측면(121f)은, 서스펜션 와이어(30A)측으로부터의 평면시에 있어서, 폭방향(도11, 도1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외측 오목(凹)면(121g)을 가진다. 외측면(121f)은, 외측 오목면(121g)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한 쌍의 와이어 대향면(121h)을 가진다. 또, 외측면(121f)은, 한 쌍의 와이어 대향면(121h)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한 쌍의 측방 외측면(121i)을 가진다.
한 쌍의 와이어 대향면(121h)은 각각, 서스펜션 와이어(30A)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서스펜션 와이어(30A)와 대면한다. 한 쌍의 와이어 대향면(121h)은 각각, Z방향 +측의 제1 대향면(121k) 및 Z방향 -측의 제2 대향면(121m)을 가진다.
제2 대향면(121m)은, 제1대향면(121k)보다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있다. 다시말하면, 지름 방향에 있어서, 제2 대향면(121m)은, 제1대향면(121k)보다 서스펜션 와이어(30A)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한 쌍의 와이어 대향면(121h)은 각각, 제1대향면(121k)의 Z방향 -측의 단부와, 제2 대향면(121m)의 Z방향 +측의 단부를 연속(連續)하는 스토퍼 단부(121n)를 가진다. 스토퍼 단부(121n)는, 흐름 방지부(121a)를 구성한다. 또한, 스토퍼 단부(121n)는, 한 쌍의 와이어 대향면(121h)에 있어서, Z방향으로 이격한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도 좋다.
한 쌍의 측방 외측면(121i)은 각각, Z방향 +측의 측방 제1면(121p) 및 Z방향 -측의 측방 제2면(121q)을 가진다.
측방 제2면(121q)은, 측방 제1면(121p)보다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있다. 한 쌍의 측방 외측면(121i)은 각각, 측방 제1면(121p)의 Z방향 -측의 단부와, 측방 제2면(121q)의 Z방향 +측의 단부를 연속하는 측방 스토퍼 단부(121r)를 가진다.
측방 스토퍼 단부(121r)는, 스토퍼 단부(121n)와 함께 흐름 방지부(121a)를 구성한다. 또한, 측방 스토퍼 단부(121r)는, 한 쌍의 측방 외측면(121i)에 있어서, Z방향으로 이격한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도 좋다. 한 쌍의 측방 외측면(121i)의 측방 스토퍼 단부(121r)는 생략 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13a~도16을 참조하여 흐름 방지부(121a)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3a 및 도13b는, 흐름 방지부(121a)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3a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고, 도13b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13a, 도13b에 나타내는 스토퍼 볼록부(121A)의 경우, 와이어 대향면(121h1)은, Z방향 +측(도13a, 도13b의 상측)의 제1대향면(121k1) 및 Z방향 -측(도13a, 도13b의 하측)의 제2 대향면(121m1)을 가진다. 제2 대향면(121m1)은, 제1대향면(121k1)보다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도13a의 우측)에 있다.
그리고, 와이어 대향면(121h1)은 각각, 제1대향면(121k1)의 Z방향 -측의 단부와, 제2 대향면(121m1)의 Z방향 +측의 단부를 연속하는 스토퍼 단부(121n1)를 가진다.
측방 외측면(121i1)은, Z방향 +측의 측방 제1면(121p1) 및 Z방향 -측의 측방 제2면(121q1)을 가진다. 측방 제2면(121q1)은, 측방 제1면(121p1)보다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도13b의 좌측)에 있다.
측방 외측면(121i1)은 각각, 측방 제1면(121p1)의 Z방향 -측의 단부와, 측방 제2면(121q1)의 Z방향 +측의 단부를 연속하는 측방 스토퍼 단부(121r1)를 가진다. 본 변형예의 경우, 스토퍼 단부(121n1) 및 측방 스토퍼 단부(121r1)가, 흐름 방지부(121a)이다.
도14a및 도14b는, 흐름 방지부(121a)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4a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고, 도14b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14a , 도14b에 나타내는 스토퍼 볼록부(121B)의 경우, 와이어 대향면(121h2)은, Z방향(도14a, 도14b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와이어 대향면(121h2)의 폭방향(도14b의 좌우 방향)으로 연재(延在)한 흐름 방지 볼록부(121s1)를 가진다.
측방 외측면(121i2)은, Z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측방 외측면(121i2)의 폭방향(도14a의 좌우 방향)으로 연재한 측방 흐름 방지 볼록부(121s2)를 가진다. 본 변형예의 경우, 흐름 방지 볼록부(121s1) 및 측방 흐름 방지 볼록부(121s2)가, 흐름 방지부(121a)를 구성한다. 또한, 흐름 방지 볼록부(121s1) 및 측방 흐름 방지 볼록부(121s2)의 위치, 크기, 개수 등은 본 변형예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15a 및 도15b는, 흐름 방지부(121a)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5a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고, 도15b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15a 및 도15b에 나타내는 스토퍼 볼록부(121C)의 경우, 와이어 대향면(121h3)은, Z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와이어 대향면(121h3)의 폭방향(도15b의 좌우 방향)으로 연재한 흐름 방지 오목 홈(121t1)을 가진다.
측방 외측면(121i3)은, Z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측방 외측면(121i3)의 폭방향(도15a의 좌우 방향)으로 연재한 측방 흐름 방지 오목 홈(121t2)을 가진다. 본 변형예의 경우, 흐름 방지 오목 홈(121t1) 및 측방 흐름 방지 오목 홈(121t2)이, 흐름 방지부(121a)를 구성한다. 또한, 흐름 방지 오목 홈(121t1) 및 측방 흐름 방지 오목 홈(121t2)의 위치, 크기, 개수 등은 본 변형예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16a 및 도16b는, 흐름 방지부(121a)의 변형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6a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16b는, 스토퍼 볼록부의 일부를 도12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16a, 도16b에 나타내는 스토퍼 볼록부(121D)의 경우, 와이어 대향면(121h4)은, Z방향(도16a, 도16b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도16b에 사선격자로 나타낸 부분)에 와이어 대향면(121h4)의 폭방향(도16b의 좌우 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예를 들면 주름 등의 요철 모양이 형성된 주름 형성부(121u1)를 가진다.
측방 외측면(121i4)은, Z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도16a에 사선격자로 나타낸 부분)에 측방 외측면(121i4)의 폭방향(도16a의 좌우 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예를 들면 주름 등의 요철 모양이 형성된 측방 주름 형성부(121u2)를 가진다.
본 변형예의 경우, 주름 형성부(121u1) 및 측방 주름 형성부(121u2)가, 흐름 방지부(121a)이다. 주름 형성부(121u1) 및 측방 주름 형성부(121u2)의 요철 모양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주름 형성부(121u1) 및 측방 주름 형성부(121u2)의 위치, 크기, 개수 등은 본 변형예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각 흐름 방지부(121a)의 구조는, 적절히 조합시켜서 실시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넷 홀더(12a)는, 렌즈 홀더(110)와 마찬가지로, 폴리아릴레이트(PAR) 또는 PAR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지 재료를 혼합한 PAR 앨로이(예를 들어, PAR/PC)로 되어있는 성형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웰드 강도가 높아지므로, 마그넷 홀더(12a)를 박육화하더라도 인성(질김) 및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1)의 외형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마그넷부에 대해서]
마그넷부(125)는, 4개의 직사각형 기둥 모양의 영구자석(125A~ 125D)(도17참조)을 가진다. 영구자석(125A~125D)은, 마그넷 배치부(120c)에,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구자석(125A~ 125D)은, 평면시에서, 거의 등변 사다리꼴(等角臺形)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마그넷 홀더(12a)의 각부(角部)의 스페이스(구체적으로는 마그넷 배치부 120c)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영구자석(125A~125D)은, 도17에 나타내는 것처럼, AF용 코일부(111)를 지름 방향으로 횡단하는 자계가 형성되도록 착자(着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구자석(125A~ 125D)은, 내주측이 N극, 외주측이 S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영구자석(125A~125D)의 Z방향 -측의 단면(端面)(이면)은, 마그넷 홀더(12a)보다 Z방향 -측으로 돌출한다(도6 참조). 즉, OIS 가동부(10)의 높이는, 영구자석(125A~125D)에 의해서 규정된다. 이것에 의해, 자력을 확보하기 위한 영구자석(125A~125D)의 사이즈에 따라, OIS 가동부(10)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억제되므로, 렌즈 구동장치(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마그넷부(125) 및 AF용 코일부(111)에 의해서,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성된다. 또, 마그넷부(125)는, AF용 마그넷부와 OIS용 마그넷부를 겸용한다.
[상측 탄성지지부에 대해서]
상측 탄성지지부(13)(이하, 「상측 판용수철 13」라고 함)는, 도9a에 나타내는 것처럼, 한 쌍의 상측 용수철 요소(13a, 13b)로 되어있다. 상측 용수철 요소(13a, 13b)는 각각, 예를 들면 베릴륨동, 니켈동, 스텐레스 등으로 되어있는 판용수철이다.
상측 용수철 요소(13a, 13b) 중의 상측 용수철 요소(13a)는, 마그넷 홀더(12a)의 Z방향 +측의 면(구체적으로는, 상용수철 고정부120e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외측 고정부(130), 및, 렌즈 홀더(110)의 Z방향 +측의 면(구체적으로는, 상용수철 고정부 110f)에 고정되는 내측 고정부(131)를 가진다. 또한, 상측 용수철 요소(13b)의 구조는, 상측 용수철 요소(13a)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상측 용수철 요소(13b) 중, 상측 용수철 요소(13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측 용수철 요소(13a)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 쌍의 외측 고정부(130)와 내측 고정부(131)는, Z방향으로 상대 변위(相對變位) 가능하다. 이러한 상대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위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측 용수철 요소(13a)는, 한 쌍의 외측 고정부(130)와 내측 고정부(131)와의 상대 변위를, 자신의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허용하는 변위 허용부(132)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외측 고정부(130)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130a, 130b)를 가진다. 와이어 고정부(130a, 130b)는 각각, 마그넷 홀더(12a)의 원호 홈(120a)(도6 참조) 중 서스펜션 와이어(30D, 30A)가 배치되는 원호 홈(120a)의 Z방향 +측에 배치된다(즉, 제4 귀퉁이부 및 제1 귀퉁이부에 배치됨). 또한, 상측 용수철 요소(13b)의 경우에는, 와이어 고정부(130a, 130b)는 각각, 마그넷 홀더(12a)의 원호 홈(120a) 중 서스펜션 와이어(30B, 30C)가 배치되는 원호 홈(120a)의 Z방향 +측에 배치된다(즉, 제2귀퉁이부 및 제3귀퉁이부에 배치됨).
그리고,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130a, 130b)에는, 서스펜션 와이어(30D, 30A)(상측 용수철 요소 13b의 경우에는, 서스펜션 와이어30B, 30C)의 타단(상단)이, 땜납에 의해 고정된다.
외측 고정부(130)는, 마그넷 홀더(12a)의 스토퍼 볼록부(121)가 삽통되는 한 쌍의 외측 제1 관통공(130c, 130d)을 가진다.
또, 외측 고정부(130)는, 마그넷 홀더(12a)의 상측 보스(120f1)(상측 용수철 요소 13b의 경우에는, 상측 보스 120f2)가 삽통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외측 제2 관통공(130e)을 가진다.
내측 고정부(131)는, 외측 고정부(130)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된다. 내측 고정부(131)는, 렌즈 홀더(110)의 상측 보스(110g)(상측 용수철 요소 13b의 경우에는, 상측 보스 110i)가 삽통되는 한 쌍의 내측 관통공(131a)을 가진다.
변위 허용부(132)는, 한 쌍의 변위 허용 요소(132a, 132b)로 되어있다. 한 쌍의 변위 허용 요소(132a, 132b)는, 각각 둘레(周)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선상(線狀) 부재이며, 내측 고정부(131)와 한 쌍의 외측 고정부(130)를 연속(連續)한다. 한 쌍의 변위 허용 요소(132a, 132b)는 각각, 일부에 사행(蛇行)부(132c, 132d)를 가진다.
또한, 한 쌍의 상측 용수철 요소(13a, 13b)는, 한 쌍의 연결부(110n)에서, 땜납에 의해 AF용 코일부(111)에 접속된다.
[하측 탄성지지부에 대해서]
하측 탄성지지부(14)(이하, 「하측 판용수철 14」라고 함)는, 도9b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측 판용수철(13)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베릴륨동, 니켈동, 스텐레스 등으로 되어있는 판용수철이고, 전체로서 평면시에서 정사각형 모양을 가진다. 하측 판용수철(14)은, AF고정부(12)에 대해서 AF가동부(11)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하측 판용수철(14)은, 마그넷 홀더(12a)(구체적으로는, 하용수철 고정부120d)에 고정되는 4개의 외측 고정부(14a1~14a4), 및, 렌즈 홀더(110)(구체적으로는, 하용수철 고정부 110k)에 고정되는 내측 고정부(14b)를 가진다.
외측 고정부(14a1~14a4)와 내측 고정부(14b)는, Z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상대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하측 판용수철(14)은, 외측 고정부(14a1~14a4)와 내측 고정부(14b)의 상대 변위를, 자신의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허용하는 4개의 변위 허용부(14c1~14c4)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고정부(14a1~14a4)는 각각, 마그넷 홀더(12a)의 하측 보스(120d1)가 삽통되는 외측 관통공(140)을 가진다. 또한, 외측 고정부의 구조는, 본 실시형태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내측 고정부(14b)는, 링(ring) 모양이며, 외측 고정부(14a1~14a4)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내측 고정부(14b)는, 원주 방향으로 90도 어긋난 4군데에, 렌즈 홀더(110)에 있어서의 하용수철 고정부(110k)의 하측 보스(110m)가 삽통되는 내측 관통공(142)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각 내측 관통공(142)과 외측 고정부(14a1~14a4)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위상의 위치 관계에 있다. 또한, 내측 고정부의 구조는, 본 실시형태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변위 허용부(14c1~14c4)는 각각,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선상 부재이며, 외측 고정부(14a1~14a4)와 내측 고정부(14b)를 연속한다. 변위 허용부(14c1~14c4)는 각각, 일부에 사행부(141)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변위 허용부(14c1~14c4)의 일단(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단(內端)이라고도 함)은, 내측 고정부(14b)에 있어서의 각 내측 관통공(142)이 설치된 부분 근방에 접속된다. 한편, 변위 허용부(14c1~14c4)의 타단(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外端)이라고도 함)은, 변위 허용부(14c1~14c4)의 일단이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약 90도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 외측 고정부(14a1~14a4)에 접속된다.
[OIS 고정부에 대해서]
도18, 도19는, OIS 고정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8, 도19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 고정부(20)는, 코일 기판(21), 베이스 부재(25), 단자 부재(27), 및 리드(26) 등을 구비한다.
[코일 기판에 대해서]
코일 기판(21)은, 평면시에서 네 귀퉁이에 면깍기부(21a)를 가지는 거의 팔각형 모양의 기판이다. 면깍기부(21a)보다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부분에, 서스펜션 와이어(30A~30D)의 중간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서스펜션 와이어(30A~30D)는, 코일 기판(21)에 계지되지 않는다.
코일 기판(21)은, 중앙에 원형의 개구(21b)를 가진다. 코일 기판(21)은, 개구(21b)의 내주 가장자리에 있어서 제1의 방향(예를 들면, X방향)으로 대향하는 2군데에 한 쌍의 제1 절결(切缺:잘라낸 부분)(21c)을 가진다.
또, 코일 기판(21)은, 개구(21b)의 내주 가장자리에 있어서 제2의 방향(예를 들면, Y방향)으로 대향하는 2군데에 한 쌍의 제2 절결(21d)을 가진다. 즉, 한 쌍의 제1 절결(21c)과 한 쌍의 제2 절결(21d)은, 개구(21b)의 내주 가장자리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교대로 설치된다.
한 쌍의 제1 절결(21c)은 각각,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직사각형 모양이다. 한편, 한 쌍의 제2 절결(21d)은 각각,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반원 형상이다. 한 쌍의 제1 절결(21c) 및 한 쌍의 제2 절결(21d)은,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25)에 대한 코일 기판(21)의 위치 결정을 꾀한다.
코일 기판(21)은, Z방향(광축 방향)에 있어서, 마그넷부(125)(도7, 도8 참조)와 대향하는 위치에 OIS용 코일부(22)를 가진다. OIS용 코일부(22)는, 영구자석(125A~125D)에 대응하는 4개의 OIS 코일(22A~22D)을 가진다.
OIS 코일(22A~22D)의 각각의 장변(長邊) 부분을, 영구자석(125A~ 125D)의 저면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계가 Z방향에 횡단하도록, OIS 코일(22A~22D) 및 영구자석(125A~125D)의 크기나 배치가 설정된다. 마그넷부(125)와 OIS용 코일부(22)로,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성된다.
코일 기판(21)은, 코일용 라인(도면표시 생략) 및 홀 소자용 라인(도면표시 생략)을 가진다. 코일용 라인은, OIS 코일(22A~22D)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한다. 홀 소자용 라인은, 코일 기판(21)의 Z방향 -측의 면(이면)에 보지된 홀 소자(23A, 23B)에 접속된다.
홀 소자용 라인은, 홀 소자(23A, 23B)로의 신호의 입력, 또는, 홀 소자(23A, 23B)로부터의 신호의 출력을 위한 라인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홀 소자(23A)는, 코일 기판(21)의 이면에 있어서의 제4 귀퉁이부에 설치된다. 한편, 홀 소자(23B)는, 코일 기판(21)의 이면에 있어서의 제3 귀퉁이부에 설치된다.
코일 기판(21)은, 이면에 복수 개(본 실시형태의 경우, 8개)의 제1 랜드(211a~211h)(기판측 접속부라고도 함)를 가진다. 제1 랜드(211a~211h)는 각각, 코일 기판(21)에 배선된 홀 소자용 라인(도면표시 생략)의 단부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랜드(211a~211h)는, 코일 기판(21)의 이면에 있어서 소정 방향의 한쪽 측(구체적으로는, Y방향 +측)의 반부에, 개구(21b)의 주연을 따르는 상태로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랜드(211a~211h)는, Z방향(광축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원형이다.
코일 기판(21)은, 이면에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제2 랜드(212a~212d)(기판측 접속부라고도 함)를 가진다. 제2 랜드(212a~212d)는 각각, 코일 기판(21)에 배선된 코일용 라인(도면표시 생략)의 단부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랜드(212a~212d)는, 코일 기판(21)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향의 다른쪽 측(Y방향 -측)의 반부에, 개구(21b)의 주연을 따르는 상태로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랜드(211a~211h) 및 제2 랜드(212a~212d)가, 개구(21b)의 주연을 따르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제1 랜드(211a~211h) 및 제2 랜드(212a~212d)를 코일 기판(21)의 외주연부(外周緣部)에 배치하는 구조와 비교해서, OIS 코일(22A~22D)의 외주연부를, 코일 기판(21)의 외주연부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코일 기판(21)에 대해서, OIS 코일(22A~22D)을 최대한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랜드(212a~212d)는, Z방향(광축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원형이다. 제2 랜드(212a, 212c)는, 후술하는 코일용 단자 요소(271a, 271c)(제1 단자대라고도 함)를 경유하여 전원 장치의 음극(-)에 접속된다. 제2 랜드(212b, 212d)는, 후술하는 코일용 단자 요소(271d, 271b)(제1 단자대라고도 함)를 경유하여 전원 장치의 양극(+)에 접속된다.
코일 기판(21)은, 이면에 있어서의 제4 귀퉁이부 및 제3귀퉁이부에, 홀 소자용 랜드(213A, 213B)(도19 참조)를 가진다. 제4 귀퉁이부에 설치된 홀 소자용 랜드(213A)는,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홀 소자용 랜드 요소(213a~213d)를 가진다.
한편, 제3 귀퉁이부에 설치된 홀 소자용 랜드(213B)는,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홀 소자용 랜드 요소(213e~213h)를 가진다. 홀 소자용 랜드(213A)의 홀 소자용 랜드 요소(213a~213d)에는 각각, 홀 소자(23A)의 단자가 접속된다. 홀 소자용 랜드(213B)의 홀 소자용 랜드 요소(213e~213h)에는 각각, 홀 소자(23B)의 단자가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랜드(211a~211h)와 홀 소자용 랜드 요소(213a~213h)가, 소정 방향(구체적으로는, Y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의 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랜드(211a~211h)는 각각, 홀 소자용 라인을 경유하여, 홀 소자용 랜드 요소(213a~213h)에 접속된다. 제1 랜드(211a~211h)와 홀 소자용 랜드 요소(213a~213h)와의 접속 관계는, 도25에 나타낸다.
또, 제1 귀퉁이부에 설치된 OIS 코일(22A)의 제1 단부와, 제3 귀퉁이부에 설치된 OIS 코일(22C)의 제1 단부는, 코일용 라인을 경유하여 접속된다. OIS 코일(22A)의 제2 단부는, 제2 랜드(212a)에 접속된다. 한편, OIS 코일(22C)의 제2 단부는, 제2 랜드(212b)에 접속된다.
또, 제2 귀퉁이부에 설치된 OIS 코일(22B)의 제1 단부와, 제4 귀퉁이부에 설치된 OIS 코일(22D)의 제1 단부는, 코일용 라인을 경유하여 접속된다. OIS 코일(22B)의 제2 단부는, 제2 랜드(212d)에 접속된다. 한편, OIS 코일(22D)의 제2 단부는, 제2 랜드(212c)에 접속된다.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도20a는, 베이스 부재(25)의 사시도이며, 도20b는, 리드(26) 및 단자 부재(27)의 사시도이다. 베이스 부재(25)는, 코일 기판(21)을 지지(支持)하는 지지 부재이다. 도21a는, 리드(26) 및 단자 부재(27)가 매설된 상태의 베이스 부재(25)의 평면도이고, 도21b는, 리드(26) 및 단자 부재(27)가 매설된 상태의 베이스 부재(25)의 저면도이다.
베이스 부재(25)는, 합성 수지 등의 비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LCP:Liquid Crystal Polymer)로 되어있고, 평면시에서 거의 정사각형의 판상 부재인 베이스 본체(25a)를 가진다.
베이스 본체(25a)는, 중앙에 원형의 개구(250)를 가진다. 베이스 본체(25a)는, 개구(250)의 주위에 있어서, 제1의 방향(예를 들면, X방향)으로 대향하는 2군데에 제1 볼록부(252)를 가진다.
제1 볼록부(252)는,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러한 제1 볼록부(252)에는, Z방향 +측으로부터, 코일 기판(21)의 제1 절결(21c)이 계지된다.
또, 베이스 본체(25a)는, 개구(250)의 주위에 있어서, 제2의 방향(예를 들면, Y방향)으로 대향하는 2군데에 제2 볼록부(253)를 가진다. 제2 볼록부(253)는,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반원 형상이다. 이러한 제2 볼록부(253)에는, Z방향 +측으로부터, 코일 기판(21)의 제2 절결(21d)이 계지된다.
베이스 본체(25a)는, Z방향 +측의 면(표면)에 있어서, Y방향 -측이 되는 2귀퉁이(즉, 제3귀퉁이부 및 제4귀퉁이부)에 홀 소자용 오목부(254a, 254b)를 가진다. 홀 소자용 오목부(254a, 254b)는 각각, 설치 상태에 있어서, OIS 코일(22C~22D)의 Z방향 -측에 위치한다.
홀 소자용 오목부(254a)에는 홀 소자(23A)가, 홀 소자용 오목부(254b)에는 홀 소자(23B)(도8 참조)가, 각각 수용된다. 마그넷부(125)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계를, 홀 소자(23A, 23B)에서 검출함으로써, 광축 직교면내에 있어서의 OIS 가동부(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베이스 본체(25a)는, 개구(250)의 주위에,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한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8개)의 제1 관통공(250a~ 250h)(베이스측 관통공이라고도 함)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관통공(250a~250h)은, 베이스 본체(25a)의 소정 방향의 한쪽 측(구체적으로는, Y방향 +측)의 반부에, 개구(250)의 주연에 따르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관통공(250a~250h)의 내측에는 각각, 단자 부재(27)와 코일 기판(21)을 접속하기 위한 땜납(28)이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관통공(250a~250h)은, Z방향(광축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원형이다. 제1 관통공(250a~250h)은 각각, 설치 상태에 있어서, 코일 기판(21)의 제1 랜드(211a~211h)와, 광축 방향(Z방향)으로 겹쳐진다.
이하, 도23을 참조하여, 제1 관통공(250a~250h)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관통공(250a~250h) 및 후술하는 제2 관통공(251a~251d)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관통공(250A)을 나타낸다. 또, 도23에는, 후술하는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 및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가지는 단자 요소(270A)를 나타낸다. 또, 도23에는, 코일 기판(21)의 제1 랜드(211a~211h) 및 제2 랜드(212a~212d)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랜드(201A)를 나타낸다.
관통공(250A)은, 자신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一端)측(Z방향 +측)으로부터 차례로, 단자용 관통공(2501), 땜납용 관통공(2502), 및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을 가진다.
단자용 관통공(2501)은, 내측에 후술하는 단자 부재(27) (구체적으로는, 코일용 단자 부재271, 홀 소자용 단자 부재272)의 제2 접속부(2703)가 배치된다. 단자용 관통공(2501)은, 관통공(250A)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一端部)에 설치된다. 단자용 관통공(2501)은, 광축의 방향(Z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시에서 거의 직사각형이다. 단자용 관통공(2501)의 일단(Z방향 +측의 단부)은, 베이스 본체(25a)의 표면으로 개구(開口)한다.
단자용 관통공(2501)의 타단(Z방향 -측의 단부이며, 도23의 하단)은, 후술하는 땜납용 관통공(2502)의 일단(Z방향 +측의 단부이며, 도23의 상단)과, 제1 단부(2504)를 경유하여 연속한다. 제1 단부(2504)는, Z방향 +측을 향하는 평탄면이다.
땜납용 관통공(2502)은, 내측에, 후술하는 땜납(28) 및 수지(29)가 배치된다. 땜납용 관통공(2502)은, 땜납(28) 및 수지(29)에 의해 채워진다. 땜납용 관통공(2502)은, 관통공(250A)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에 설치된다. 땜납용 관통공(2502)의 내경은, 단자용 관통공(2501)의 내경보다 크다.
땜납용 관통공(2502)은, 광축 방향(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원형이다. 땜납용 관통공(2502)은, 광축 방향(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단자용 관통공(2501)의 외주연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땜납용 관통공(2502)의 일단(Z방향 +측의 단부)은, 제1 단부(2504)를 경유하여 단자용 관통공(2501)에 연속한다. 한편, 땜납용 관통공(2502)의 타단(Z방향 -측의 단부)은, 후술하는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에, 제2단부(2505)를 경유하여 연속한다.
제2단부(2505)는, 관통공(250A)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향할수록, Z방향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한 경사면이다. 또한, 제2단부(2505)는, 경사하지 않는 평탄면이라도 좋다.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은, 제2단부(2505)와 함께, 후술하는 수지(29)의 유출 방지에 기여한다.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은, 관통공(250A)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Z방향 -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은, 광축의 방향(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원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의 일단(Z방향 +측의 단부)은, 제2단부(2505)를 경유하여 땜납용 관통공(2502)에 연속한다. 한편,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의 타단(Z방향 -측의 단부)은, 베이스 본체(25a)의 이면으로 개구(開口)한다.
베이스 본체(25a)는, 개구(250)의 주위에,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한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제2 관통공(251a~251d)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관통공(251a~251d)은, 베이스 본체(25a)의 소정 방향의 다른쪽 측(구체적으로는, Y방향 -측)의 반부에, 개구(250)의 주연을 따르는 상태로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관통공(251a~251d)은, Z방향(광축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원형이다. 제2 관통공(251a~251d)은 각각, 설치 상태에 있어서, 코일 기판(21)의 제2 랜드(212a~212d)와, 광축 방향(Z방향)으로 겹쳐진다.
제2 관통공(251a~251d)은, 전술한 관통공(250A)(도23 참조)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Z방향 +측)으로부터 차례로, 단자용 관통공(2501), 땜납용 관통공(2502), 및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을 가진다. 단자용 관통공(2501), 땜납용 관통공(2502), 및 흐름방지용 관통공(2503)에 대해서는, 전술한 관통공(250A)(즉, 제1 관통공250a~250h)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베이스 본체(25a)는, 네 귀퉁이에,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옴폭한 리드용 절결부(255)(도20a, 도21a참조)를 가진다. 리드용 절결부(255)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 리드 배치 공간(256)(도20a, 도21a참조)이 형성된다. 리드 배치 공간(256)은, Z방향 양측 및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이 개구(開口)한다.
베이스 본체(25a)는, 표면에 있어서, 리드용 절결부(255)의 주연에 각각 한 쌍의 제1의 보강 리브(259)(도20a, 도21a참조)를 가진다.
베이스 본체(25a)는, Z방향 -측의 면(이면)에 있어서, 리드용 절결부(255)의 주연에, 해당 이면으로부터 Z방향 -측으로 돌출한 베이스 각부(脚部)(257)(도21b참조)를 가진다. 베이스 각부(257)는,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거의 L자 모양이며, 베이스 각부(257)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면은, 리드용 절결부(255)의 외면과 Z방향으로 연속한다.
베이스 각부(257)의 Z방향 -측의 단부(선단부)는, 베이스 본체(25a)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 리드 배치 공간(256)의 Z방향 -측의 반부(半部)는, 베이스 각부(257)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각부(257)는, 베이스 각부(257)를 설치하지 않은 구조와 비교해서, 리드 배치 공간(256)을 Z방향 -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 베이스 각부(257)는, 설치 상태에 있어서, 촬상부의 센서 기판에 당접하지 않는 범위에서, Z방향 -측으로 늘릴 수 있다.
베이스 본체(25a)는, Z방향 -측의 면(이면)에 있어서 제1의 방향(예를 들면, Y방향)으로 대향하는 2변을 따르는 위치에, 해당 이면으로부터 Z방향 -측으로 돌출한 제2 베이스 각부(258)를 가진다. 제2 베이스 각부(258)의 Z방향 -측의 단면(선단면(先端面))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베이스 각부(257)의 선단면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
상술한 제1의 보강 리브(259), 베이스 각부(257), 및 제2 베이스 각부(258)는 각각, 베이스 본체(25a)의 기계적 강도를 높인다. 이 때문에, 베이스 본체(25a)의 박육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베이스 본체(25a)는, 리드 배치 공간(256)에 있어서 베이스 각부(257)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커버(4)에 장착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A)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25a)의 Z방향 -측에서 도21b에 2점 쇄선β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센서 베이스(도면표시 생략)에 보지(保持)된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센서 베이스는, 센서 기판(도면표시 생략)의 표면(Z방향 +측의 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설치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25)의 베이스 각부(257)의 선단면(Z방향 -측의 면)은, 센서 기판과 당접하지 않는다.
[리드에 대해서]
리드(26)(와이어 접속 부재라고도 함)는, 도20b에 나타내는 것처럼, 예를 들면 베릴륨동, 니켈동, 스텐레스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어있는 판용수철이다.
리드(26)는, OIS 고정부(20)에 있어서, OIS 가동부(1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리드(26)에는, 서스펜션 와이어(30)(30A~30D)의 일단(하단)이 고정된다. 또, 리드(26)는, 필요에 따라, 서스펜션 와이어(30)(30A~30D)로의 전력의 공급로 또는 제어 신호의 전송로가 된다.
이와 같은 리드(26)는, 베이스 본체(25a)에 파묻히는 매설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매설부261 및 제2 매설부266), 및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와이어 접속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와이어 접속부260 및 제2 와이어 접속부265)를 가진다. 또, 리드(26)는,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2개)의 단자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리드 단자부268)를 가져도 좋다.
상기 매설부는, 베이스 부재(25)에 파묻힘으로써, 리드(26)를 베이스 본체(25a)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 각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각 단자부는 각각,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와이어 접속부는, 제1 귀퉁이부 내지 제4 귀퉁이부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한다. 상기 각 단자부는 각각, 제3 귀퉁이부 및 제4 귀퉁이부의 근방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한다.
상기 각 와이어 접속부는 각각, 서스펜션 와이어(30A~30D)의 일단(하단)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각 와이어 접속부는 각각, 상기 각 매설부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다시말하면, OIS 가동부10로부터 먼 위치에 있다).
이하, 도20b를 참조하여, 리드(26)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드(26)는, 한 쌍의 제1 리드 요소(26a, 26b) 및 한 쌍의 제2 리드 요소(26c, 26d)를 가진다. 한 쌍의 제1 리드 요소(26a, 26b) 및 한 쌍의 제2 리드 요소(26c, 26d)는, 베이스 부재(25)의 네 귀퉁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1 리드 요소(26a, 26b)는 각각, 제1귀퉁이부와 제2귀퉁이부에 X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한편, 한 쌍의 제2 리드 요소(26c, 26d)는 각각, 제3귀퉁이부와 제4귀퉁이부에 X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리드 요소(26a, 26b)는 각각, 제1 와이어 접속부(260) 및 제1 매설부(261)를 가진다. 한 쌍의 제1 리드 요소(26a, 26b)끼리는, X방향으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하, 제1 리드 요소(26a)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리드 요소(26b)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한다.
제1 리드 요소(26a)의 제1 와이어 접속부(260)는,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거의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이며, 서스펜션 와이어(30A)의 일단(하단)을 삽통할 수 있는 제1 관통공(260a)을 가진다. 제1 리드 요소(26b)의 제1 관통공(260a)에는, 서스펜션 와이어(30B)의 일단(하단)이 삽통된다.
제1 매설부(261)는, 제1 와이어 접속부(260)으로부터, Y방향 -측으로 연재한다. 제1 매설부(261)의 기단부(基端部)는, 제1단부(263a)를 경유하여 제1 와이어 접속부(260)에 접속된다.
제1단부(263a)는, 제1 와이어 접속부(260)에 가까워질수록 Z방향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단부(263a)는,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된다. 또한, 제1단부(263a)는, 도면표시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Z방향으로 평행이어도 좋다.
즉, 제1단부(263a)는, 제1 매설부(261a) 및 제1 와이어 접속부(260)에 직교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와이어 접속부(260)는, 제1 매설부(261)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
제1 리드 요소(26a)는, 베이스 부재(25)에 있어서 제1 귀퉁이부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매설부(261) 및 제1단부(263a)는,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된다.
제1 리드 요소(26a)의 제1 와이어 접속부(260)는,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한 상태로, 베이스 부재(25)에 있어서의 제1귀퉁이부의 리드 배치 공간(256)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와이어 접속부(260)의 일부도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된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 접속부(260)는,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해 있으면 된다.
한편, 제1 리드 요소(26b)는, 베이스 부재(25)에 있어서 제2 귀퉁이부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 제1 리드 요소(26b)의 제1 매설부(261) 및 제1단부(263a)는, 베이스 부재(25)에 파묻힌다.
제1 리드 요소(26b)의 제1 와이어 접속부(260)는,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한 상태로, 베이스 부재(25)에 있어서의 제2귀퉁이부의 리드 배치 공간(256)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2 리드 요소(26c, 26d)는 각각, 제2 와이어 접속부(265)(와이어 접속부라고도 함), 제2 매설 요소(266a, 266b), 및 단자부(268)를 가진다. 한 쌍의 제2 리드 요소(26c, 26d)끼리는, X방향으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하, 제2 리드 요소(26c)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리드 요소(26d)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한다.
제2 와이어 접속부(265)는, Z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거의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이며, 서스펜션 와이어(30C)의 일단(하단)을 삽통할 수 있는 제2 관통공(265a)을 가진다. 또한, 제2 리드 요소(26d)의 제2 관통공(265a)에는, 서스펜션 와이어(30D)의 일단(하단)이 삽통된다.
제2 매설부(266)은, 제2 매설 요소(266a) 및 제2 매설 요소(266b)를 가진다. 제2 매설 요소(266a)는, 제2 와이어 접속부(265)로부터 Y방향 +측으로 연재한다. 제2 매설 요소(266a)의 기단부는, 제2단부(267a)를 경유하여, 제2 와이어 접속부(265)에 연속한다.
제2 매설 요소(266b)는, 제2 와이어 접속부(265)로부터 X방향 +측으로 연재한다. 제2 매설 요소(266b)의 기단부는, 제2단부(267b)를 경유하여, 제2 와이어 접속부(265)에 연속한다. 또한, 제2 리드 요소(26d)의 경우, 제2 매설 요소(266b)는, 제2 와이어 접속부(265)로부터 X방향 -측으로 연재한다.
제2단부(267a, 267b)는 각각, 제2 와이어 접속부(265)에 가까워 질수록 Z방향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한다. 또한, 제2단부(267a, 267b)는 각각, 도면표시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Z방향에 평행이어도 좋다.
즉, 제2단부(267a, 267b)는, 제2 매설부(266a) 및 제2 와이어 접속부(265)에 직교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와이어 접속부(265)는, 제2 매설부(266)보다 Z방향 -측에 위치한다.
단자부(268)는, 제2 매설 요소(266b)의 선단부로부터, Z방향 -측으로 거의 직각으로 굴곡한다.
제2 리드 요소(26c)는, 베이스 부재(25)에 있어서 제3 귀퉁이부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 제2 리드 요소(26c)의 제2 매설부(266) 및 제2단부(267a, 267b)는,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된다.
제2 리드 요소(26c)의 제2 와이어 접속부(265)는,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한 상태로, 베이스 부재(25)에 있어서의 제3 귀퉁이부의 리드 배치 공간(256)에 배치된다. 또, 제2 리드 요소(26c)의 단자부(268)는, 제3 귀퉁이부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25)의 이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또한, 단자부(268)가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돌출하는 위치는, 베이스 부재(25)의 이면에 있어서 Y방향 -측의 제2 베이스 각부(258)보다 Y방향 -측이다(도21b참조).
한편, 제2 리드 요소(26d)는, 베이스 부재(25)에 있어서 제4 귀퉁이부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 제2 리드 요소(26d)의 제2 매설부(266) 및 제2단부(267a, 267b)는,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된다. 또, 제2 리드 요소(26d)의 단자부(268)는, 제4 귀퉁이부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25)의 이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또한, 단자부(268)가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돌출하는 위치는, 베이스 부재(25)의 이면에 있어서 Y방향 -측의 제2 베이스 각부(258)보다 Y방향 -측이다(도21b참조).
제2 리드 요소(26d)의 제2 와이어 접속부(265)는,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한 상태로, 베이스 부재(25)에 있어서의 제4귀퉁이부의 리드 배치 공간(256)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와이어 접속부(265)의 일부도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된다. 이와 같이, 제2 와이어 접속부(265)는,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하고 있으면 된다.
[단자 부재에 대해서]
단자 부재(27)는, 도20b, 도22a 및 도22b에 나타내는 것처럼, 예를 들면 베릴륨동, 니켈동, 스텐레스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어있는 판상 부재이다. 단자 부재(27)는, 코일용 단자 부재(271), 및 홀 소자용 단자 부재(272)를 가진다.
코일용 단자 부재(271)는, OIS 코일(22A~22D)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와같은 코일용 단자 부재(271)는,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제1 단자 부재라고도 함)를 가진다.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는 각각, 대응하는 OIS 코일(22A~22D)에 접속된다. 또한,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 중 코일용 단자 요소(271b, 271d)는, 전원 장치의 양극(+)에 접속되는 제1 단자대를 구성한다. 한편,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 중 코일용 단자 요소(271a, 271c)는, 전원 장치의 음극(-)에 접속되는 제1 단자대를 구성한다. 따라서, 단자 부재(27)는, 제1 단자대를 2조(組) 가진다.
한편, 홀 소자용 단자 부재(272)는, 홀 소자(23A, 23B)로의 신호의 입력, 또는, 홀 소자(23A, 23B)로부터의 신호의 출력을 위한 단자이다. 홀 소자용 단자 부재(272)는,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8개)의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제2 단자 부재라고도 함)를 가진다.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는 각각, 대응하는 홀 소자(23A, 23B)에 접속된다.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 및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는, 도22a, 도22b, 및 도23에 나타내는 단자 요소(270A)와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가진다.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 및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는 각각, 단자 요소(270A)에 있어서의 매설부(2701)의 구조를 적절히 변경한 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하, 도22a 및 도22b를 참조하여 단자 요소(270A)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자 요소(270A)는, 전체가 거의 L자의 판상 부재이며, 매설부(2701), 제1 접속부(2702), 및 제2 접속부(2703)를 가진다.
매설부(2701)는, 베이스 부재(25)에 파묻히는 부분이다. 매설부(2701)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매설부(2701)는, 제1접속부(2702)와 제2 접속부(2703)를 연속하고 있다. 매설부(2701)는, 제1접속부(2702)에 가까운 쪽에서 차례로, 평판부(平板部)(2704), 및 단부(段部)(2705)를 가진다.
평판부(2704)는, 제1접속부(2702)의 기단부(Z방향 +측이며 도22a 및 도22b의 상단부)에 연속한다.
이러한 평판부(2704)의 형상은, 제2 접속부(2703)가 접속되는 상대 부재(구체적으로는, 코일 기판21의 제1 랜드211a~211h 및 제2 랜드212a~212d)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단부(2705)는, 평판부(2704)의 제1 단부(도22a 및 도22b의 우(右)단부)로부터 Z방향 +측으로 구부러져서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단부(2705)의 Z방향 +측의 단부(도22a 및 도22b의 상단부)의 위치는,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 및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 간에서 동일하다.
제1접속부(2702)는, 예를 들면, 센서 기판에 설치된 외부 장치(전원 장치, 제어 장치 등)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제1접속부(2702)는, 평판부(2704)의 제2 단부(도22a 및 도22b의 좌단부)로부터, Z방향 -측으로 연재한다.
따라서, 제1접속부(2702)와 평판부(2704)는, 서로 직교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접속부(2702)의 구조는,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끼리 동일하다. 단, 제1접속부(2702)의 구조는,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끼리 서로 달라도 좋다.
설치 상태에 있어서, 제1접속부(2702)의 선단측(Z방향 -측이며 도22a 및 도22b의 하단측)의 반부(半部)는, 베이스 부재(25)로부터 노출한다. 한편, 제1접속부(2702)의 기단측(Z방향 +측이며 도22a 및 도22b의 상단측)의 반부는,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된다.
제2 접속부(2703)는, 코일 기판(21)(구체적으로는, OIS 코일22A~22D, 홀 소자23A, 23B 등)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제2 접속부(2703)는, Z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시에서 거의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이며, XY평면을 따르는 상태로 설치된다. 제2 접속부(2703)는, 중앙부에, 접속용 관통공(2706)(단자측 관통공이라고도 함)을 가진다. 접속용 관통공(2706)의 내경은, 베이스(26)의 제1 관통공(250a~250h) 및 제2 관통공(251a~251d)의 내경보다 작다(도21b, 도23 참조).
제2 접속부(2703)의 제1 단부(도22a 및 도 22b의 좌단부)는, 매설부(2701)의 단부(2705)에 있어서의 Z방향 +측의 단부에 연속한다. 설치 상태에 있어서, 제2 접속부(2703)는, 베이스 부재(25)의 관통공(250A)(구체적으로는, 제1 관통공250a~250h 및 제2 관통공251a~251d)에 있어서의 단자용 관통공(2501)에 배치된다(도21a 및 도23 참조). 설치 상태에 있어서, 제2 접속부(2703)의 표면은, 베이스 부재(25)의 표면으로부터 노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상과 같은 단자 요소(270A)와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가지는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가, 베이스 부재(25)의 Y방향 -측의 단부에 나란히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25)의 Y방향 -측의 단부에 있어서, X방향 -측으로부터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가 차례로 배치된다.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의 제1접속부(2702)는, 베이스 본체(25a)의 이면에 있어서의 Y방향 -측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해(노출(露出))해 있다(도21b참조). 구체적으로는,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의 제1접속부(2702)는, 베이스 본체(25a)의 이면에 있어서, Y방향 -측의 제2 베이스 각부(258)보다 Y방향 -측의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해(노출)해 있다.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의 제2 접속부(2703)는 각각, 후술하는 땜납(28)을 경유하여 코일 기판(21)의 제2 랜드(212a~212d)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는, 코일 기판(21)에 보지된 OIS 코일(22A~22D) 중 어느것인가의 OIS 코일에 접속된다. 또한,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와, 코일 기판(21)의 제2 랜드(212a~212d)와의 접속 관계에 대해서는 도25에 나타내는 것과 같다.
한편, 이상과 같은 단자 요소(270A)와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가지는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가, 베이스 부재(25)의 Y방향 +측의 단부에 나란히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25)의 Y방향 +측의 단부에 있어서, X방향 -측으로부터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가 차례로 배치된다.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의 제1접속부(2702)는, 베이스 본체(25a)의 이면에 있어서의 Y방향 +측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노출)해 있다(도21b참조). 구체적으로는,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의 제1접속부(2702)는, 베이스 본체(25a)의 이면에 있어서, Y방향 +측의 제2 베이스 각부(258)보다 Y방향 +측의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노출)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 및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의 제1접속부(2702)가, 베이스 본체(25a)의 이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본체(25a)의 주면(周面)과 커버(4) 내면과의 대향면(對向面)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향면은, 커버(4)와 베이스 본체(25)와의 접착면으로서 이용된다. 접착면의 면적이 증가함에 의해, 커버(4)와 베이스 본체(25)와의 결합이 강고하게 된다. 또, 커버(4)와 베이스 본체(25)와의 당접면이 증가하기 때문에, 커버(4)를 압압(押壓)하는 외력에 대한 강성이 향상한다.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의 제2 접속부(2703)는 각각, 후술하는 땜납(28)을 경유하여 코일 기판(21)의 제1 랜드(211a~211h)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는, 코일 기판(21)에 보지된 홀 소자(23A, 23B) 중 어느것인가의 홀 소자에 접속된다. 또한,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와, 코일 기판(21)의 제1 랜드(211a~211h)와의 접속 관계에 대해서는 도25에 나타내는 것과 같다.
[OIS 고정부의 설치에 대해서]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OIS 고정부(20)의 설치 작업에 있어서, 코일 기판(21)과 베이스 부재(25)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23을 참조해 설명한다.
우선, 리드(26) 및 단자 부재(27)(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가 인서트 성형된 베이스 부재(25)의 상면에, 코일 기판(21)을 배치한다. 이 때, 베이스 부재(25)의 제1 볼록부(252)를 코일 기판(21)의 제1 절결(21c)에 계합시킴(係合:걸어맞춤)과 동시에, 제2 볼록부(253)를 코일 기판(21)의 제2 절결(21d)에 계합시킨다. 또, 베이스 부재(25)의 표면과 코일 기판(21)의 이면을, 접착제를 이용해 임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설치 작업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25)와 코일 기판(21)의 분리가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의 제2 접속부(2703), 코일 기판(21)의 제1 랜드(211a~211h), 및 베이스 부재(25)의 제1 관통공(250a~250h)이 각각, Z방향으로 대향한다. 또,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의 제2 접속부(2703), 코일 기판(21)의 제2 랜드(212a~212d), 및 베이스 부재(25)의 제2 관통공(251a~251d)이 각각, Z방향으로 대향한다.
이하,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 및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와, 코일 기판(21)의 제1 랜드(211a~211h) 및 제2 랜드(212a~212d)의 접속 방법에 대해서, 도23의 단자 요소(270A) 및 랜드(201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자 요소(270A)(구체적으로는, 홀 소자용 단자 요소272a~272h 및 코일용 단자 요소271a~271d)의 제2 접속부(2703)와, 코일 기판(21)의 랜드(201A)(구체적으로는, 제1랜드211a~211h 및 제2 랜드212a~212d)가 Z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베이스 부재(25)의 관통공(250A)(구체적으로는, 제1 관통공250a~250h 및 제2 관통공251a~251d)의 일단측(Z방향 +측)의 개구부는, 랜드(201A)에 의해 막힌다. 이것에 의해, 관통공(250A)의 내측에, 땜납용 공간(2500)이 형성된다.
땜납용 공간(2500)은, 관통공(250A)의 타단측(Z방향 -측)만이 개구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관통공(250A)의 내주면, 단자 요소(270A)의 제2 접속부(2703), 및 랜드(201A)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땜납(28)의 유출 방지에 효과적이다.
다음에, 관통공(250A)의 타단측의 개구부로부터 땜납용 공간(2500)에, 디스펜서 등을 이용하여 땜납(28)을 공급한다.
굳은 상태의 땜납(28)은, 접속부(28a) 및 두부(頭部)(28b)를 가진다. 접속부(28a)는, 제2 접속부(2703)에 있어서의 접속용 관통공(2706)의 내측에 배치된다.
접속부(28a)는, 거의 원주상(圓柱狀)이며, 외주면이, 접속용 관통공(2706)의 내주면에 접합된다. 접속부(28a)의 일단면(Z방향 +측의 면)은, 랜드(201A)에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 요소(270A)와 랜드(201A)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두부(28b)는, 접속부(28a)의 Z방향 -측에 설치되며, 제2 접속부(2703)에 있어서의 땜납용 관통공(2502)의 내측에 배치된다. 두부(28b)는, 제2 접속부(2703)보다 Z방향 -측에 배치되며, 접속용 관통공(2706)을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두부(28b)의 Z방향 +측의 단부는, 제2 접속부(2703)의 이면(Z방향 -측의 면)에 있어서의 접속용 관통공(2706)의 주위에 접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코일 기판(21)이 베이스 부재(25)에 대해서 확실하게 고정된다.
다음에, 땜납용 공간(2500)에 있어서의 두부(28b) 이외의 부분에, 디스펜서 등을 이용해 수지(29)를 공급한다. 수지(29)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수지(29)는, 관통공(250A)에 있어서의 제2단부(2505)보다 Z방향 +측의 부분에 빈틈없이 충전된다.
제2단부(2505)는, 굳기 전의 수지(29)가, 관통공(250A)의 타단측(Z방향 -측)의 개구부로부터 유출하는 것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수지(29)는, 땜납(28)의 두부(28b)가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Z방향 -측으로부터 두부(28b)를 덮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29)는, 땜납(28)의 찌꺼기(땜납볼이라고도 함)나 플럭스의 찌꺼기 등이, 관통공(250A)의 타단측(Z방향 -측)의 개구부로부터, 촬상 소자의 수광면(표면이며, Z방향 +측의 면)에 낙하하는 것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또, 수지(29)는, 땜납(28)에 의한 난반사(亂反射)의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OIS 가동부와 OIS 고정부의 조립에 대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OIS 가동부(10)와 OIS 고정부(20)를 조합시켜, 렌즈 구동장치(1)를 조립하는 경우, 서스펜션 와이어(30A, 30B)의 타단(상단)이 각각, 상측 용수철 요소(13a)의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130a, 130b)에 삽통되어, 땜납에 의해 고정된다.
또, 서스펜션 와이어(30C, 30D)의 타단(상단)이 각각, 상측 용수철 요소(13b)의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130a, 130b)에 삽통되어, 땜납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서스펜션 와이어(30A, 30B)의 일단(하단)은, 제1 리드 요소(26a, 26b)에 있어서의 제1 와이어 접속부(260)의 제1 관통공(260a)에 삽통되어, 땜납에 의해 고정된다.
또, 서스펜션 와이어(30C, 30D)의 일단(하단)은, 제2 리드 요소(26c, 26d)에 있어서의 제2 와이어 접속부(265)의 제2 관통공(265a)에 삽통되어, 땜납에 의해 고정된다.
또, 베이스 본체(25a)의 리드 배치 공간(256)에 있어서 베이스 각부(257)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베이스 본체(25a)와 커버(4)를 고정한다. 상기 접착제는, 제1 리드 요소(26a, 26b)의 제1 와이어 접속부(260)의 이면 및 제2 리드 요소(26c, 26d)의 제2 와이어 접속부(265)의 이면에도 도포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접속부(260) 및 제2 와이어 접속부(265)가, 엥커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커버(4)를 베이스 본체(25a)에 장착할 때의 접착 강도 및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OIS 가동부(10)는, 서스펜션 와이어(30A~30D)에 의해, 광축 직교면내에서의 요동 가능하게 OIS 고정부(20)에 지지된다.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 떨림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OIS 코일(22A~22D)에 통전한다. OIS 코일(22A~22D)에 통전하면, 마그넷부(125)의 자계와 OIS 코일(22A~22D)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OIS 코일(22A~22D)에 로렌트력이 발생한다(플레밍의 왼손 법칙). 이 구성이, OIS 액추에이터(간단히 액추에이터라고도 함) 이다.
로렌트력의 방향은, OIS 코일(22A~22D)의 장변 부분에 있어서의 자계의 방향(즉 Z방향)과 전류의 방향(즉 U방향 또는 V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V방향 또는 U방향)이다. OIS 코일(22A~22D)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영구자석(125A~125D)에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되어, 마그넷부(125)를 가지는 OIS 가동부(10)가 광축 직교면내에서 요동하여, 떨림 보정이 행해진다.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 자동 핀트맞추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AF용 코일부(111)에 통전한다. AF용 코일부(111)에 통전하면, 마그넷부(125)의 자계와 AF용 코일부(111)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AF용 코일부(111)에 로렌트력이 발생한다.
로렌트력의 방향은, 자계의 방향과 AF용 코일부(1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Z방향)이다. 마그넷부(125)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AF용 코일부(111)에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되어, AF용 코일부(111)를 가지는 AF가동부(11)가 Z방향(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핀트맞추기가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OIS 고정부(20)(고정부라고도 함)와, OIS 고정부(20)로부터 광축의 방향으로 이간해서 설치되어,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고정부에 지지된 OIS 가동부(10)(가동부라고도 함)와, OIS 가동부(10)를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OIS 고정부(20)는, 액추에이터의 OIS 코일(22A~22D)을 보지하는 코일 기판(21)과, 비(非)도전성 재료로 되어 있고, 코일 기판(21)의 뒤편에 설치된 베이스 부재(25)이며,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50A)(제1 관통공250a~250h 및 후술하는 제2 관통공251a~251d)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25)와, 도전성 재료로 되어 있고, 일부가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된 단자 부재(27)이며,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2702), 및 코일 기판(21)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2703)를 가지는 단자 부재(27)를 구비하고, 제2 접속부(2703)와 코일 기판(21)이, 관통공(250A)의 내측에 설치된 땜납(2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렌즈 구동장치(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코일 기판(21)에 보지된 OIS 코일(22A~22D) 및 홀 소자(23A, 23B)와 외부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 부재(27)(코일용 단자 부재271 및 홀 소자용 단자 부재272)가, 베이스 부재(25)에 매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과 같은 FPC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결과, 생략한 FPC의 두께 치수만큼, OIS 고정부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하여, 렌즈 구동장치(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은, FPC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은, FPC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FPC와 관련된 설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렌즈 구동장치의 설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땜납용 공간(2500)은, 제1 관통공(250A)의 타단측(Z방향 -측)만이 개구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은, 제1 관통공(250A)의 내주면 및 제1랜드(211a)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구성은, 땜납(28)의 유출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수지(29)가, 땜납(28)의 두부(28b)가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Z방향 -측으로부터 두부(28b)를 덮고 있다. 이러한 수지(29)는, 땜납(28)의 찌꺼기(땜납볼이라고도 함)나 플럭스의 찌꺼기 등이, 관통공(250A)의 타단측(Z방향 -측)의 개구부로부터, 촬상 소자의 수광면(표면이며, Z방향 +측의 면)에 낙하하는 것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또, 수지(29)는, 땜납(28)에 의한 난반사의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유효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일단(하단)이, 베이스 부재(25)의 네 귀퉁이에 노출한 제1 리드 요소(26a, 26b)의 제1 와이어 접속부(260) 및 제2 리드 요소(26c, 26d)의 제2 와이어 접속부(265)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전술한 특허 문헌 1과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일단(하단)이, 베이스 부재(25)보다 OIS 가동부(10)에 가까운 위치(즉, Z방향 +측)에 배치된 부재(예를 들면 코일 기판21 등)에 고정되는 구조와 비교해서,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유효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경우, 리드(26)에 있어서의 제1 와이어 접속부(260) 및 제2 와이어 접속부(265)가, 베이스 부재(25)에 파묻힌 제1 매설부(261) 및 제2 매설부(266)보다 OIS 가동부(10)로부터 먼 위치(즉 Z방향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와이어 접속부(260) 및 제2 와이어 접속부(265)가, 제1 매설부(261) 및 제2 매설부(266)와 Z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구조와 비교해서,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유효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리드(26)의 구조에 의하면, 제1 매설부(261) 및 제2 매설부(266)를 베이스 부재(25)의 내부에 완전히 매설한 상태로, 제1 와이어 접속부(260) 및 제2 와이어 접속부(265)를 OIS 가동부(10)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드(26)의 베이스 부재(25)에 대한 결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유효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유효길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서스펜션 와이어(30)의 금속 피로 등에 의한 파단(破斷)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렌즈 구동장치(1)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상술과 같은 카메라 모듈(A)은, 제조 공정에서 부착한 분상(粉狀) 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도2에 나타내는 등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세정된다. 본 발명자의 새로운 지견에 의하면, 이러한 세정 때, 댐퍼재(15)가, Z방향 +측으로 이동하여, 스토퍼 볼록부(121)의 선단면(121b)에 부착하는 일이 있었다.
본 실시 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상술과 같은 댐퍼재(15)의 스토퍼 볼록부(121)의 선단면(121b)으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의 경우, 스토퍼 볼록부(121)가, 측면에 흐름 방지부(121a)를 가진다. 이러한 흐름 방지부(121a)는, 스토퍼 볼록부(121)의 측면에 있어서, 댐퍼재(15)가 Z방향 +측으로 이동했을 경우의 경로가 되는 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댐퍼재(15)가 스토퍼 볼록부(121)의 측면을, 예를 들면 도11의 화살표α의 방향을 타고 Z방향 +측으로 변위하는 일의 저항이 된다. 이 결과, 댐퍼재(15)가, 스토퍼 볼록부(121)의 선단면(121b)에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부기]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A)을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로서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인 스마트 폰(M)을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정보 기기 또는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정보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란,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정보 기기이며, 예를 들면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단말, 휴대형 게임기, 웹(web) 카메라, 카메라 부착 차재 장치(예를 들면, 백 모니터 장치, 드라이브 레코더 장치)를 포함한다. 또,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란,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수송기기이며, 예를 들면 자동차를 포함한다.
도24a, 도24b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 VC(Vehicle Camera)를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V)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a는 자동차(V)의 정면도이고, 도24b는 자동차(V)의 후방 사시도이다. 자동차(V)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VC)로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A)를 탑재한다. 도24a, 도24b에 나타내는 것처럼,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해 프런트글래스에 장착되거나, 후방을 향해 리어게이트에 장착되거나 한다. 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백 모니터용, 드라이브 레코더용, 충돌 회피 제어용, 자동 운전 제어용 등으로서 사용된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휴대 전화기, 디지털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단말, 휴대형 게임기, 차재 카메라 등의 박형(薄型) 카메라 탑재 장치에 탑재할 수 있다.
A 카메라 모듈
M 스마트 폰
1 렌즈 구동장치
10 OIS 가동부
11 AF가동부
110 렌즈 홀더
110a 렌즈 수용부
110b 상측 플랜지
110c 하측 플랜지
110d 코일 권선부
110e 상측 돌출부
110f, 110h 상용수철 고정부
110g, 110i 상측 보스
110j 하측 돌출부
110k 하용수철 고정부
110m 하측 보스
110n 연결부
111 AF용 코일부
12 AF고정부
12a 마그넷 홀더
120a 원호홈
120b 마그넷 덮개부
120c 마그넷 배치부
120d 하용수철 고정부
120d1 하측 보스
120e1, 120e2 상용수철 고정부
120f1, 120f2 상측 보스
120h1, 120h2, 120h3, 120h4 와이어 삽통부
121, 121A, 121B, 121C, 121D 스토퍼 볼록부
121a 흐름 방지부
121b 선단면
121c 내측면
121d 중앙 내측면
121e 측방 내측면
121f 외측면
121g 외측 오목면
121h, 121h1, 121h2, 121h3, 121h4 와이어 대향면
121i, 121i1, 121i2, 121i3, 121i4 측방 외측면
121k, 121k1 제1대향면
121m, 121m1 제2 대향면
121n, 121n1 스토퍼 단부
121p, 121p1 측방 제1면
121q, 121q1 측방 제2면
121r, 121r1 측방 스토퍼 단부
121s1 흐름 방지 볼록부
121s2 측방 흐름 방지 볼록부
121t1 흐름 방지 홈
121t2 측방 흐름 방지 홈
121u1 주름 형성부
121u2 측방 주름 형성부
125 마그넷부
125A, 125B, 125C, 125D 영구자석
13 상측 탄성지지부(상측 판용수철)
13a, 13b 상측 용수철 요소
130 외측 고정부
130a, 130b 와이어 고정부
130c, 130d 외측 제1 관통공
130e 외측 제2 관통공
131 내측 고정부
131a 내측 관통공
132 변위 허용부
132a, 132b 변위 허용 요소
132c, 132d 사행부
14 하측 탄성지지부(하측 판용수철 14)
14a1, 14a2, 14a3, 14a4 외측 고정부
140 외측 관통공
14b 내측 고정부
14c1, 14c2, 14c3, 14c4 변위 허용부
141 사행부
142 내측 관통공
15 댐퍼재
20 OIS 고정부
21 코일 기판
21a 면깍기부
21b 개구(開口)
21c 제1 절결
21d 제2 절결
201A 랜드
211a~211h 제1랜드
212a~212d 제2 랜드
213A, 213B 홀 소자용 랜드
213a~213h 홀 소자용 랜드 요소
22 OIS용 코일부
22A, 22B, 22C, 22D OIS 코일
23A, 23B 홀 소자
25 베이스 부재
25a 베이스 본체
250 개구(開口)
250A 관통공
250a~250h 제1 관통공
2501 단자 배치용 관통공
2502 땜납용 관통공
2503 흐름방지용 관통공
2504 제1 단부(第1段部)
2505 제2단부(第2段部)
251a~251d 제2 관통공
2500 땜납용 공간
252 제1 볼록부
253 제2 볼록부
254a, 254b 홀 소자용 오목부
255 리드용 절결부
256 리드 배치 공간
257 베이스 각부
258 제2 베이스 각부
259 제1의 보강 리브
26 리드
26a, 26b 제1 리드 요소
260 제1 와이어 접속부
260a 제1 관통공
261 제1 매설부
263a 제1단부(第1段部)
26c, 26d 제2 리드 요소
265 제2 와이어 접속부
265a 제2 관통공
266 제2 매설부
266a, 266b 제2 매설 요소
267a, 267b 제2단부(第2段部)
268 리드 단자부
27 단자 부재
271 코일용 단자 부재
270A 단자 요소
271a~271d 코일용 단자 요소
2701 매설부
2704 평판부
2705 단부(段部)
2702 제1 접속부
2703 제2 접속부
2706 접속용 관통공
272 홀 소자용 단자 부재
272a~272h 홀 소자용 단자 요소
28 땜납
28a 접속부
28b 두부(頭部)
29 수지
30 OIS용 지지부(서스펜션 와이어)
30A, 30B, 30C, 30D 서스펜션 와이어
4 커버
40 개구
41 천판부

Claims (10)

  1.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상에, 상기 고정부로부터 광축의 방향으로 이간해서 설치되어, 상기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상기 광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OIS 코일을 보지하는 코일 기판과,
    비도전성 재료로 되어있고, 상기 코일 기판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 부재이며, 상기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이스측 관통공을 가지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도전성 재료로 되어있고, 일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매설된 단자 부재이며, 외부 단자가 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코일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는 상기 단자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베이스측 관통공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코일 기판이, 상기 베이스측 관통공의 내측에 설치된 땜납에 의해 상기 코일 기판의 하측으로부터 접속되고,
    상기 땜납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측 관통공의 하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관통공의 내측에, 상기 땜납을 아래쪽으로부터 덮는 수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관통공은, 내주면(內周面)에 단부(段部)를 가지고,
    상기 수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측 관통공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단부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제2 접속부에, 단자측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코일 기판은, 하면에 기판측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광축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상기 베이스측 관통공, 상기 단자측 관통공, 및 상기 기판측 접속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베이스측 관통공의 상단부(上端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속부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과 동일 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가, 상기 OIS 코일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1 단자 부재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홀 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 단자 부재로 되어있고,
    상기 광축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단자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의 한쪽의 반부(半部)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반부(半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상기 홀 소자가, 상기 코일 기판에 있어서의 한쪽의 반부(半部)에 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OIS 코일은, 상기 코일 기판의 네 귀퉁이에 보지되고,
    대각(對角)으로 배치된 한 쌍의 OIS 코일끼리가, 접속되고,
    상기 단자 부재는, 전원의 양극(+)에 접속되는 상기 제1 단자 부재, 및 상기 전원의 음극(-)에 접속되는 상기 제1 단자 부재로 되어있는 제1 단자대를 2조(組) 가지고,
    한쪽의 대각으로 배치된 상기 한 쌍의 OIS 코일이, 상기 2조의 제1 단자대 중 한쪽의 제1 단자대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대각으로 배치된 상기 한 쌍의 OIS 코일이, 상기 2조의 제1 단자대 중 다른쪽의 제1 단자대에 접속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9. 청구항 1에 기재한 렌즈 구동장치와,
    가동부에 렌즈 배럴을 경유하여 보지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정보 기기 또는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이며,
    청구항 9에 기재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0180115889A 2017-09-29 2018-09-28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591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9293A JP6993567B2 (ja) 2017-09-29 2017-09-29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JPJP-P-2017-189293 201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417A KR20190038417A (ko) 2019-04-08
KR102591344B1 true KR102591344B1 (ko) 2023-10-18

Family

ID=6589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889A KR102591344B1 (ko) 2017-09-29 2018-09-28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9390B2 (ko)
JP (1) JP6993567B2 (ko)
KR (1) KR102591344B1 (ko)
CN (1) CN1095816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4360B2 (ja) * 2018-07-11 2023-01-16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JP7218113B2 (ja) * 2018-07-11 2023-02-06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KR102473415B1 (ko) * 2020-03-19 2022-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3534577B (zh) * 2020-04-20 2022-09-02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激光投影设备
CN114755779B (zh) * 2020-12-25 2024-05-28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驱动装置、照相装置以及电子设备
CN114755793A (zh) * 2020-12-29 2022-07-15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CN112965320B (zh) * 2021-05-19 2021-08-13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防抖机构、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及电子设备
JP7410443B2 (ja) * 2022-06-10 2024-01-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998A (ja) 2015-06-25 2017-01-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3851B2 (ja) * 2003-03-31 2009-02-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小型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546411B1 (ko) 2004-05-2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립 칩 패키지, 그 패키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및 그 제조방법
JP2010061030A (ja) * 2008-09-05 2010-03-18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5821356B2 (ja) *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094592B2 (en) * 2011-11-15 2015-07-2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JP2014126668A (ja) * 2012-12-26 2014-07-07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6133092B2 (ja) * 2013-03-22 2017-05-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撮影用光学装置
JP2015014701A (ja) * 2013-07-05 2015-01-22 日東光学株式会社 反射膜、反射鏡、及び投射光学系
JP2015094790A (ja) * 2013-11-08 2015-05-18 京セラ株式会社 閃光発光装置
JP6385067B2 (ja) * 2014-02-01 2018-09-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2275739B1 (ko) * 2014-06-12 2021-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JP6297432B2 (ja) * 2014-06-30 2018-03-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681053B2 (en) * 2014-07-08 2017-06-13 Apple Inc. Single piec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ctuator coil assembly
US9915802B2 (en) 2014-07-11 2018-03-13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ing device
JP2016051078A (ja) * 2014-08-29 2016-04-1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459504B2 (ja) * 2014-12-25 2019-01-3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6103713A1 (ja) * 2014-12-26 2016-06-3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492654B2 (ja) * 2014-12-26 2019-04-0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432907B1 (ko) * 2015-01-29 2022-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TWI579636B (zh) * 2015-11-23 2017-04-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電磁驅動模組及應用該電磁驅動模組之相機裝置
US10830980B2 (en) * 2016-01-19 2020-11-1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JP6742814B2 (ja) * 2016-05-20 2020-08-1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09487B2 (en) * 2017-06-13 2020-10-20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JP6882675B2 (ja) * 2017-06-19 2021-06-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057492B2 (ja) * 2017-12-28 2022-04-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998A (ja) 2015-06-25 2017-01-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3567B2 (ja) 2022-02-03
KR20190038417A (ko) 2019-04-08
US11169390B2 (en) 2021-11-09
US20190101771A1 (en) 2019-04-04
JP2019066568A (ja) 2019-04-25
CN109581683A (zh) 2019-04-05
CN109581683B (zh)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344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567423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533437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JP6703275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492654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US10649174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JP6459504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021434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6157885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947969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947968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989759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13250299A (ja) 手振れ補正機能付きレンズ駆動装置
CN112130397B (zh) 镜头模组以及电子设备
JP7269517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148801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214097933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