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116B1 -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1116B1 KR102591116B1 KR1020230047957A KR20230047957A KR102591116B1 KR 102591116 B1 KR102591116 B1 KR 102591116B1 KR 1020230047957 A KR1020230047957 A KR 1020230047957A KR 20230047957 A KR20230047957 A KR 20230047957A KR 102591116 B1 KR102591116 B1 KR 1025911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d
- cooking fume
- skirt
- cooking
- catch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5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3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81 coalesce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905 indoor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57 an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99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0372 Accident at work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813 Naus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15 carcinogen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93 nause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47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전용 후드에 설치되는 조리흄 배기장치로서,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와 같은 후드 형상에 따라 열 저항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 소재로 형성된 스커트를 가변 설치하여 조리흄 캐처를 후드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재 주요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리흄 캐처의 타공 회전판의 블레이드에 의해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킴으로써 조리종사자의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폐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타공 회전판이 유착 기름때를 시계열적으로 회수하고 추후 일괄 제거 처리함으로써 덕트 내에 축적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의 유착량을 감소시키고, 덕트 기름때 세척주기를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흄 캐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튀김, 볶음용 솥 전용 후드에 설치되는 조리흄(Cooking Fume) 배기장치로서,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와 같은 후드 형상에 따라 일체형 또는 가변 설치되어 조리흄을 포집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흄(Cooking Fume)은 기름으로 튀길 때 발생하는 가시적인 배출물을 말하는데, 산업보건학적 측면에서 흄(Fume)은 뜨거운 증기의 냉각에 의해 생성된 초미세화된 고체 미립자로 정의하고 있으며, 용접작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기처럼 보이는 유해물질 형태일 수 있다.
조리흄은, 예를 들면, 대형 튀김 솥에서 튀김을 건져 올리면 희뿌연 연기가 자욱하게 피어오를 때 발생하며, 에어로졸 형태로 변한 미세한 기름입자에 각종 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와 다핵 방향족탄화수소 등 휘발성 발암물질이 엉겨 붙어 생성된다.
이러한 조리흄 입자의 지름은 100㎚ 이하로서, 초미세 먼지보다 25분의 1이나 작으며, 즉, 나노 입자의 형태로 사람이 호흡하면 폐포 깊숙이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조리흄은 입자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폐포에 보다 깊숙이 들어가게 되고, 물질들이 가진 표면력들이 훨씬 더 넓기 때문에 폐포 자체에 흡착되며, 또한, 그 물질들이 가진 발암성 물질들이 폐에서 여러 가지 반응들을 일으킬 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실내공기 오염을 제어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보통 환기를 통해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환기 방법으로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자연식 환기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환기를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고,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데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분류된다.
이외에도, 실내공기 오염을 제어하기 위해 기계식 환기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식 환기방법은 배기덕트와 배기용 송풍기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실내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한다.
하지만, 기존의 기계식 환기 방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배기용 송풍기는 조리장 내에서 조리중에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의한 공기오염도에 무방하게 일정 회전수로 구동되며, 또한, 공기오염도가 낮을 시에도 최대 회전수로 구동됨으로써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거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장의 크기 또는 오염 발생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지역에 대한 고려 등이 없이 무조건 최대 회전수로 배기용 송풍기를 작동시키고 있고, 배기에 따른 실내공기의 부족량 대비 외부공기의 자동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조리장 전체에 대한 쾌적한 실내 공기질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실내 오염된 공기가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비등점이 높은 지방산의 증기가 덕트 입구의 내벽과 송풍기의 날개 등에 응축되면서 굳어지고, 배출구에는 수증기가 응축하여 응축수로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증기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휘산물질 및 일산화탄소 등은 그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음식점 주변지역의 사람에게 악취로 인한 불쾌감과 두통, 매스꺼움, 구토 등의 신체반응을 유발시킴으로써 악취관련 민원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전술한 자연식 환기 및 기계식 환기 방법 이외에도, 여과제, 제습제, 선택식물 또는 필터를 이용하여 각종 음식점 내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 유발물질과 각종 유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 왔으나, 여전히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조리장의 배기 시스템의 경우, 배출되는 조리장의 오염공기 내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후드(Hood)에 설치한 교체형 필터를 통해 걸러내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속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의 정화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필터는 짧은 시간내에 각종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어 잦은 교체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고, 필터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각종 음식점 내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 유발가스와 각종 유해물질 및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고 있는 조리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 최종 배출되는 공기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실내공기 오염을 제어하기 위한 렌지후드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1-91517호에는 "쿡탑의 렌지후드 시스템"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렌지 후드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렌지후드 시스템은,
가스렌지 등의 열원의 상측에 배치되며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연기를 1차적으로 흡입하는 제1 배기팬 조립체(10);
제1 배기팬 조립체(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흡입된 연기를 2차적으로 배출하는 제2 배기팬 조립체(13);
제1 배기팬 조립체(10)에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회전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흡입되는 연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무동력 회전체(16);
및 제1 배기팬 조립체(10)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무동력 회전체(16)에 의하여 부착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질 수거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배기팬 조립체(10)는 제1 케이스(11); 제1 케이스(11)의 내측에 구비되며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본체에 장착되어 회전시 흡입력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하는 경우, 블레이드가 회전함으로써 쿡탑(Cook top; 14)에서 발생한 연기를 흡입하게 된다.
제2 배기팬 조립체(13)는 천정에 구비되는 제2 케이스(12); 및 제2 케이스(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배기팬(17)을 포함한다.
이때, 제2 케이스(12)의 내측에는 소화기(15)가 장착되며, 소화기(15)는 쿡탑(14)의 온도센서와 연동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렌지후드 시스템의 경우,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후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2개의 팬을 상하로 배치하여 연기를 2중으로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배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2개의 팬중 하부의 팬에 공회전 가능하게 무동력 회전체를 연결함으로써 연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무동력 회전체를 제1 배기팬 조립체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바람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고, 무동력 회전체의 회전날개의 형상을 곡선형상으로 하고, 이 곡선형상을 전환시킴으로써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하부의 테두리에 이물질 수거통을 장착함으로써 무동력 회전체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분산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렌지후드 시스템의 경우, 렌지후드에 배기팬이 장착되며, 전원이 온(On) 상태에서 무동력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조리중 발생하는 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한편, 실내공기 오염을 제어하기 위한 후드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3-112758호에는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20)은, 하우징(21), 배기팬(22), 회전체(23) 및 배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오염원 발생장치(30)에서 발생하는 오염가스를 적시에 배출하여 실내 공기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치이다.
하우징(21)은 오염원 발생장치(30)의 상단에 배치되며, 하측에 오염원 발생장치(30)로부터 발생한 오염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1a)가 형성된다.
배기팬(22)은 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기구(22a)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 구동기구(22a)인 모터가 회전하면, 회전 구동기구(22a)와 함께 회전하여 오염가스를 강제로 배기시킨다.
회전체(23)는 배기팬(22)과 동축으로 다수의 회전체(23a, 23b, 23c, 23d, 23e) 설치되며, 회전 구동기구(22a)에 의해 배기팬(22)과 함께 회전 운동하여 오염가스를 흡입함으로써 오염가스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회전체(23)는 회전 구동기구(22a)의 축을 연장하고, 연장된 축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23)는 기존의 후드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후드 시스템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배출부(24)는 하우징(21) 윗면에 설치되며, 오염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오염원 발생장치(30)로부터 발생된 오염가스가 회전체(23)에 의해 유입구(21a)로 유입되면, 배기팬(22)은 공급받은 오염가스를 배출부(2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에 따르면, 회전 구동기구의 축을 연장하고, 연장된 축에 회전체를 설치함으로써 오염원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오염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흡입하고, 커튼 효과를 형성하여 오염가스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몸체부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여, 회전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가스를 홀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도 배출함으로써 커튼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체를 기존의 후드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후드 시스템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의 경우, 후드 시스템 내부에 회전체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음식물 조리 시 발생된 오염가스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지만, 조리흄을 포집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실내공기 오염을 제어하기 위한 후드와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8-6641호에는 "후드 및 조리기기"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드는, 흡입된 오염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후드 케이싱(40)을 포함하며, 후드 케이싱(40)은 공기덕트(41) 및 흡입 가이드(41a)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가이드(41a)는 조리기기의 상방으로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상승을 차단하고, 내부로 오염공기가 흡입되며, 공기덕트(41)는 이러한 흡입 가이드(4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오염공기의 차단 효과가 크도록 공기덕트(41)의 수평 단면적보다 흡입 가이드(41a)의 수평 단면적이 클 수 있다.
또한, 흡입 가이드(41a)의 하면에는 오염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 가이드(41a)의 유동홀은 조리기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드는, 공기덕트(41) 내부에 위치하고, 오염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팬 어셈블리(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팬 어셈블리(50)는, 흡입팬(52), 이러한 흡입팬(52)을 회전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51), 및 이러한 흡입팬(52)을 수용하며 흡입팬(52)의 회전 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팬 하우징(5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드는, 흡입 가이드(41a) 내에 위치하고, 후드의 하방에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와류 형성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와류 형성장치(60)는, 구동 모터(61), 이러한 구동 모터(6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월러(swirler: 64) 및 스월러(64)의 회전 과정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62)를 포함하며, 또한, 설치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월러(64)는 회전판(64a) 및 이러한 회전판(64a)의 테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6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류 형성장치(60)를 향하여 상승하는 공기가 회전판(64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판(64a)에는 공기 통과홀(34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64a)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회전판(64a)을 통과하기 전에 공기의 일부를 반경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다수의 날개(64c) 각각은 회전판(64a)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62)는 스월러(64)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62a)을 포함할 수 있다.
스월러(64)는 유동 가이드(62)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고, 유동 가이드(62a)의 관통홀(62a)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유동 가이드(62)는 스월러(64)에 의해서 유동 가이드(62)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가 형성된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월러(6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스월러(64)의 날개(64c)는 회전판(64a)의 공기 통과홀(64b)을 향하여 유동하는 오염공기 중 일부를 회전판(64a)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이때, 반경 방향으로 밀려난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하되, 스월러(64)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여야 유동 가이드(62)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스월러(64)는 구동 모터(61)의 축과 연결되기 위한 축 결합부(64d) 및 이러한 축 결합부(64d)를 회전판(64a)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리브(64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염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공기 통과홀(64b)이 유동 가이드(62)의 관통홀(62a)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축 결합부(64d)는 회전판(64a)의 공기 통과홀(64b)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월러(64)의 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방향 전환 없이 공기 통과홀(64b) 및 관통홀(62a)을 통과할 수 있게 되어 공기 통과홀(64b)과 관통홀(62a) 간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구동 모터(61)는 설치부(63)에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설치부(63)는 유동 가이드(62)에 고정될 수 있다.
설치부(63)는, 유동 가이드(62)에 고정되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63a) 및 이러한 고정부(63a)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며, 구동 모터(61)의 축이 관통하는 축 관통부(63b) 및 이러한 축 관통부(63b)와 고정부(63a)를 연결하는 연결부(6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61)의 축이 스월러(64와 체결되기 위하여 구동 모터(61)의 축은 유동 가이드(62)의 관통홀(62a)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와류 형성장치(63)는 유동홀의 일부를 막아 공기 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부재(65)는 유동홀 중에서 벽에 인접한 부분을 커버하여, 유동 가이드(62)를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는 공기가 벽을 향하여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와류 형성장치(63)는 유동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흡입 필터(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필터(66)는 사각형의 그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 가이드(41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흡입 필터(66)는 오염공기가 통과하는 제1 필터부(66a)와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가 통과하는 제2 필터부(66b)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드에 따르면, 스월러에 의해 하방으로 토출된 공기에 의해서 하방에 위치된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스월러 의해 토출된 공기에 의해서 증기나 열기, 냄새 등이 주방에 퍼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주방 환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1-119770호에는 "주방 환기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방 환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방 환기 시스템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연통되는 덕트부(71);
덕트부(71)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개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72);
본체부(72)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수집된 기름을 저장하는 저장부(73); 및
본체부(72)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부(72)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축연결되어,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부(74)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방 환기 시스템은, 본체부(72) 하부에서 회전샤프트와 축연결을 통해 회전하면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기름입자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회전플레이트(75); 회전샤프트(75)와 축연결되며,
유입되는 공기를 덕트부(71)로 전달하는 임펠러부(76); 회전샤프트와 축연결되며, 임펠러부(76)에 모터부(74)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클러치부(77); 및 저장부(73) 일측에 설치되며,
음식 조리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나 연기 감지시 클러치부(77)에 신호를 송신하여 모터부(74)의 회전동력을 임펠러부(76)에 전달하는 센서부(78)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방 환기 시스템은, 저장부(73) 하부에 설치되며 기름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73a)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방 환기 시스템의 경우,
본체부(72) 내부면은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되고, 본체부(72) 내부에는 UV광을 발생시키는 UV장치(79)를 포함하며, UV장치(79)에서 조사되는 UV광이 본체부(72) 내부면의 이산화티타늄과 광촉매작용하여 회전플레이트(75)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기름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방 환기 시스템에 따르면, 물리적방식 및 화학적방식에 의해 환기시스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기름입자를 제거하고, 간단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부와 연동하는 클러치부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동력을 필요에 따라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음식 조리시에 발생하는 연기 등으로 인하여 광세서 감지신호에 의해 임펠러부가 작동하여 연기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큰 기름입자뿐만 아니라 미세한 크기의 기름입자까지 제거할 수 있는 구조에 따라, 덕트부나 본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화재발생의 위험 및 위생문제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조리흄 유해방지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488594호에는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안전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후드(91)와 배기덕트(93), 배기용 송풍기(94), 유해물질 검출센서(95), 흡기덕트(98), 흡기용 송풍기(99), 소음저감수단(82) 및 제어부(96)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후드(91)와 배기덕트(93)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배기덕트(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후드(91)는 저면이 트인 원형 뿔 또는 사각 뿔 형태를 갖는 역 호퍼 형상으로, 조리장 내에 구비된 조리기들 상부의 천장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후드(91)들은 조리장 내에 구비되는 조리기들의 평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드(91)들은 조리사들이 해당 조리기를 이용하여 각종 음식물에 대한 가열 조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천장부 측으로 상승하거나 조리기 주변으로 퍼지는 각종 유해가스와 유해물질, 유증기 및 냄새 등이 포함된 조리흄 및 조리장 내 일부 오염공기를 후술하는 배기용 송풍기(94)의 흡입력에 대응하여 빨아들이는 방식을 통해 수집하여 배기덕트(93)로 직접 또는 중계용 후드(91)를 통해 배기덕트(93)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후드(91)는 통상적으로 아연도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투명아크릴판 등과 같은 투명부재를 이용하여 전체를 형성하거나 또는 일부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후드(91) 전체 또는 전면을 투명부재로 형성함으로써, 배기용 송풍기(94)의 작동으로 인해 해당 후드(91)를 통해 배출되고 있는 조리흄의 상태를 조리자 및 관리자 등이 육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배기덕트(92)는 배기용 송풍기(94)의 작동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조리장 내에서 해당 중간 배기덕트(92)와 일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갖는 각각의 후드(91)들을 통해 수집되는 조리흄 등을 배기덕트(93) 측으로 각각 전달해 주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배기덕트(93)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천장 내부에 배치하고, 이와 같은 배기덕트(93)는 배기용 송풍기(94)의 작동에 대응하여 후드(91)들을 통해 수집된 후 중간 배기덕트(92)들을 통해 이송되는 조리장 내 오염공기를 모두 포집하여 배기용 송풍기(94) 측으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은, 배기덕트 또는 배기용 송풍기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배기용 송풍기들에 의해 조리장 내에서 강제로 배출되고 있는 오염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가스와 유해물질, 유증기 및 냄새가 포집 및 탈취되도록 하는 오염공기 정화기(81)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염공기 정화기(81)는,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함체(81a);
함체(81a) 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오염공기 속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불용성 다공질 고체의 음이온교환수지를 통해 포집 및 탈취시켜 주는 복수의 음이온교환수지 필터(81b);
복수의 음이온교환수지 필터(8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이온교환수지 필터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해당 음이온교환수지 필터에 대한 pH 농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pH 검출센서; 및
제어부(9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오염공기 정화기(81) 내 pH 농도를 표시하거나 또는 정해진 pH 농도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pH 농도 표시부 및 pH 농도 경보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염공기 정화기(81)는, 세척액 분사노즐(81c), 세척액 공급용기(81d) 및 세척액 공급펌프(81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수단(82)은 소음감지센서(82a) 및 음파발생기(82b)를 포함하며, 배기덕트 또는 흡기덕트 내에 설치되고, 배기용 송풍기들 또는 흡기용 송풍기의 구동시 및 공기의 배출 또는 유입 중 각각의 덕트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음감지센서(82a)는 송풍기의 구동 및 공기의 흐름 중 발생되는 소음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음파발생기(82b)는 소음감지센서(82a)를 통해 검출되는 소음에 대한 주파수를 분석하고 그에 반대되는 위상의 출력신호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면, 이를 음파로 덕트 내에 출력시켜 소음이 능동적으로 상쇄시킨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에 따르면, 조리장 내 공기질을 대폭 향상시켜 쾌적한 실내 공기질 환경을 자동으로 조성할 수 있어,
조리장 내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이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된 조리흄을 기준량 이상으로 지속해서 흡입함으로 인해 걸릴 수 있는 폐암 등과 같은 산업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조리장 내 근무자들이 흡기 및 배기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받게 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의 경우, 불필요한 소음 및 전력소모를 미연에 방지하고, 조리흄의 상태를 조리자 및 관리자 등이 육안을 통해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공기 정화기 및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드 시스템 또는 환기 시스템의 경우, 조리흄 포집장치를 다양한 형태의 후드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조리흄을 간편하게 포집하는데 한계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튀김, 볶음용 솥등의 전용 후드에 설치되는 조리흄 배기장치로서,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와 같은 후드 형상에 따라 열 저항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 소재로 제작되는 스커트를 가변 설치하여 조리흄 캐처를 후드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리흄 캐처의 타공 회전판의 블레이드에 의해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킴으로써 조리종사자 또는 이용자들의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폐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타공 회전판이 유착 기름때를 시계열적으로 회수하고 추후 일괄 제거 처리함으로써 덕트 내에 축적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의 유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는,
후드 형상에 따라 일체형 또는 가변 설치되는 조리흄 캐처에 있어서, 스커트 부재, 플렉시블 밴드 및 커팅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후드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후드 형상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스커트; 상기 스커트의 하부가 고정되는 하우징으로서, 내주면 측벽을 통해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유착되어 하강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에서 유착되어 하강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축적하여 포집하는 하단 용기; 상기 하단 용기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하단 용기를 상기 커버부에 연결하는 L자형 서포트; 상기 L자형 서포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에서 유착되어 하강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상기 하단 용기에 포집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드레인 튜브; 및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조리흄 캐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 내부 타공 원판 및 외부 타공 원판으로 이루어진 흄유착 회전판으로서,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블레이드(회전핀)가 형성되는 타공 회전판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하단 용기에 결합된 L자형 서포트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스프링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플런저는 스프링 및 스프링 로드핀을 포함하며, 조리시 발생한 조리흄은 회전하는 상기 타공 회전판에 유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조리흄 캐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 내부 타공 원판 및 외부 타공 원판으로 이루어진 흄유착 회전판으로서,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블레이드(회전핀)가 형성되는 타공 회전판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하단 용기에 결합된 L자형 서포트를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스프링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플런저는 스프링 및 스프링 로드핀을 포함하며, 조리시 발생한 조리흄은 회전하는 상기 타공 회전판에 유착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은,
후드 형상에 따라 일체형 또는 가변 설치되는 조리흄 캐처의 작동방법으로서, a)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의 후드 형상에 대응하여 가변 설치되고, 열 저항성이 있는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작되는 스커트를 형성하는 단계; b) 제어패널이 형성된 커버부에 상기 스커트를 결합하는 단계; c) 중앙에 모터가 체결된 타공 회전판을 상기 커버부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모터와 커버부 중심 접속면에 상기 모터의 회전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실링재를 설치하는 단계; d) L자형 서포트와 드레인 튜브가 결합된 하단 용기를 상기 커버부 측면에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커버부를 후드에 장착하고, 조리흄 제거를 위한 제어패널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f) 커버부, 드레인 튜브 및 하단 용기를 경유하여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축적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조리시 발생한 조리흄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타공 회전판에 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튀김, 볶음용 솥 전용 후드에 설치되는 조리흄 배기장치로서,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와 같은 후드 형상에 따라 예컨대 열 저항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 소재로 제작되는 스커트를 가변 설치하여 조리흄 캐처를 후드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재 주요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흄 캐처의 타공 회전판의 블레이드에 의해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킴으로써 조리종사자 또는 이용자들의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폐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공 회전판이 유착 기름때를 시계열적으로 회수하고 추후 일괄 제거 처리함으로써 덕트 내에 축적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의 유착량을 감소시키고, 덕트 기름때 세척주기를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렌지 후드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방 환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저면 사시도 및 상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 및 원형 후드용 스커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가 사각형 후드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b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가 원형 후드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사각형 후드에 장착하기 위한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커버부 및 제어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제어패널의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 및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커버부를 사각형 후드에 접속시켜 장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타공 회전판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타공 회전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L자형 서포트, 드레인 튜브 및 하단 용기의 결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L자형 서포트와 커버부를 체결하는 스프링 플런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방 환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저면 사시도 및 상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 및 원형 후드용 스커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가 사각형 후드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b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가 원형 후드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사각형 후드에 장착하기 위한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커버부 및 제어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제어패널의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 및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커버부를 사각형 후드에 접속시켜 장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타공 회전판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타공 회전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L자형 서포트, 드레인 튜브 및 하단 용기의 결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L자형 서포트와 커버부를 체결하는 스프링 플런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저면 사시도 및 상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는, 후드 형상에 따라 일체형 또는 가변 설치되는 조리흄 캐처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시 발생된 다양한 조리흄이 후드(200)에 포집되었다가 덕트(300)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후드(200)와 덕트(300)가 연결되는 인입구(Intake)에 설치된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는, 상기 덕트(300)의 하부에 설치된 후드(200)의 형상, 예를 들면,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에 대응하여 스커트를 가변시킴으로써 후드(200)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시 발생한 조리흄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흄유착 회전판인 타공 회전판(150)에 유착시키는 장치로서,
타공 회전판(150)에 유착된 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은 날아가고, 이후,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유동형 유지성 찌꺼기)가 시간 경과에 따라 다량 축적되면, 점도에 따라서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강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는 원형의 하단 용기(180)에 포집하여 일정량이 모이면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조리흄 또는 기름때는 흐름성, 자중, 원심력, 주변온도 등의 영향으로 타공 회전판(150)의 기울어진 각도를 따라 낙하하게 된다.
이를 커버부(120) 및 원형의 하단 용기(180)에 모아 일정량이 모이면 처리할 수 있는 흄제거 장치로서, 커버부(120)와 하단 용기(180)를 연결하기 위한 L자형 서포트(160) 상단에 상기 커버부(120)와 하단 용기(180)에 포집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원형의 하단 용기(180)로 흘려가게 하는 L자형 드레인 튜브(170)가 하단 용기(180)의 좌우 양쪽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20)에도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생성되므로, 상기 커버부(120)로부터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낙하시에, 상기 커버부(120)와 하단 용기(18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L자형 서포트(160)의 상단에 배치된 L자형 드레인 튜브(170)를 통해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하단 용기(180)로 흘러가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는 팬 블레이드가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120) 상면에 형성되는 예컨대 열 저항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 소재로 형성된 스커트 부재(111)를 통해 화재 주요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는, 스커트(110), 커버부(120), 제어패널(130), 모터(140), 타공 회전판(150), L자형 서포트(160), 드레인 튜브(170) 및 하단 용기(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플런저(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110)는 스커트 부재(111), 플렉시블 밴드(112) 및 커팅라인(113)으로 이루어지며, 후드(200)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후드(200) 형상에 따라 가변 설치된다.
커버부(120)는 상기 스커트(110)의 하부가 고정되는 하우징으로서, 내주면 측벽을 통해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유착되어 하강하게 된다.
제어패널(130)은 상기 커버부(120)에 형성되어 조리흄 캐처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140)는 상기 타공 회전판(15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 회전판(150)을 회전시킨다.
타공 회전판(150)은 내부 타공 원판(151) 및 외부 타공 원판(152)으로 이루어진 흄유착 회전판으로서,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블레이드(회전핀)가 형성된다.
하단 용기(180)는 상기 커버부(12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120)에서 유착되어 하강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축적하여 포집한다.
L자형 서포트(160)는 상기 하단 용기(18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용기(180)를 지지하고, 상기 하단 용기(180)를 상기 커버부(120)에 연결한다.
드레인 튜브(170)는 상기 L자형 서포트(16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120)에서 유착되어 하강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상기 하단 용기(180)에 포집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의 경우,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구성된 타공 회전판(150) 및 내부와 외부 타공 원판의 블레이드를 각각 형성하며, 조리시 발생한 조리흄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 유착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120)로부터 기름때가 낙하시, 상기 커버부(120)와 원형의 하단 용기(180)를 일체화시키는 L자형 서포트(160) 상단에 형성된 L자형 드레인 튜브(170)를 통해서 원형의 하단 용기(180)로 흘러가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L자형 서포트(160)는 상기 커버부(120)와 하단 용기(18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L자형 서포트(160)에 형성된 L자형 드레인 튜브(170)를 통해서, 상기 커버부(120)에 생성된 기름때가 원형의 하단 용기(180)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120) 상면에 예컨대 열 저항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 소재로 형성된 스커트(110)를 통해 화재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 및 원형 후드용 스커트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0a는 조리흄 캐처가 사각형 후드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0b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가 원형 후드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사각형 후드에 장착하기 위한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에서, 스커트(110)는,
도 9의 a)에 도시된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110a) 또는 도 9의 b)에 도시된 원형 후드용 스커트(110b)일 수 있으며 예컨대 각각 열 저항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도 9의 a)에 도시된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110a)를 뒤집어 반전시킴으로써 원형 후드용 스커트(110b)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흄 캐처의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110a)가 사각형 후드(210)에 장착되거나,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후드용 스커트(110b)가 원형 후드(2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후드 형상에 따라 스커트(110)는 예컨대 사각형 후드(210) 또는 원형 후드(22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스커트(110)는 스커트 부재(111), 플렉시블 밴드(112) 및 커팅라인(1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칼집 형성부인 커팅라인(113)은, 도 11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커팅라인(113a), 상부 측면 커팅라인(113b), 하부 측면 커팅라인(113c) 및 하향 커팅라인(113d)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팅라인(113)은 사전에 스커트 부재(11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커팅라인(113) 중에서 상부 측면 커팅라인(113b)은 그냥 둔 상태에서 사각형 후드(210) 안쪽과 접촉될 스커트(110) 상부의 상향 커팅라인(113a)을 전부 자르고, 하부 측면 커팅라인(113c) 부분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밴드(112)는 예컨대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고무밴드일 수 있고, 상기 플렉시블 밴드(112)는 상기 커버부(120)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커트(110)가 상기 커버부(12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에서, 칼집 형성부인 커팅라인(113)이 사전에 형성된 스커트(110)를 반전시킴으로써 예컨대 사각형 후드(210) 또는 원형 후드(220)에 각각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커버부 및 제어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제어패널의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 및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130)은, 전원 스위치(131),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132), RGB LED 라인(133), LED 디스플레이(134), 스피커(135) 및 조리흄 센서(13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패널(130)은 상기 커버부(12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리흄 센서(136) 등을 포함한 제어패널(130)은 상기 커버부(120)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흄 센서(136)에 의해 조리흄 발생 정도를 센싱하면, 그 정도에 따라 제어패널(130)에 의해 상기 모터(140)의 회전수 제어, RGB LED 라인(133)의 발광색 변화, LED 디스플레이(134)의 표식 문구 표출 및 스피커(135)를 통한 음성 표출 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리흄 센서(136)는 조리흄 발생 정도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이온화식, 광전식 등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패널(130)은 발광정전식 터치 패널로서 전원 스위치(131)를 눌러 전원을 온(On)시키면, 하단 용기(180)에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일정량에 도달했을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용기(180)에 설치된 접촉센서(181)가 작동하여 연동되어 발광 작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LED 디스플레이(134)의 표식 문구 표출 또는 스피커(135)의 음성 표출이 이루어지어, 이에 따라, 하단 용기(180)의 교환 시점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130)의 경우, 65~70℃에 도달하면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어패널(130)에 외부 온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열커버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130)은 외부로 이격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패널(130)을 후드 외측에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132)는 상기 하단 용기(180)에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일정량에 도달였을 때 접촉센서(181)가 작동하면 연동되어 발광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132)를 터치하여 정상 상태로 전환시킨 후, 상기 L자형 서포트(160)와 커버부(120)의 연결을 해제하고, 하단 용기(180)에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청소한 후 재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132)에 의해 발광 작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LED 디스플레이(134)의 표식 문구 표출과 스피커(135)의 음성 표출 등이 연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심력에 의해서 타공 회전판(150)에 축척된 조리흄(400) 또는 기름때가 커버부(120) 안쪽 벽면에 유착된 후 하강하여 축적된 조리흄(400) 또는 기름때는,
도 1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콕(171)과 드레인 튜브(170)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상기 하단 용기(180)에 축적 포집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커버부를 사각형 후드에 접속시켜 장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후드(210) 내부에 커버부(120)를 설치시, 상기 커버부(120) 상면에 상기 사각형 후드(210)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유연소재의 캡너트(121), 조정발(122) 및 피스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접속방향으로 피스 등을 사용하여 접속함으로써 상기 커버부(120)를 후드(200) 내부에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캡너트(121), 조정발(122) 및 피스로 구성되는 연결장치를 통해 후드(200) 내부에 커버부(1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정발(122)은,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PVC 등의 유연소재로 형성되며, 모터(140) 구동에 의한 진동 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조정발(122)의 뒷받침 소재를 고무 등의 유연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타공 회전판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타공 회전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의 경우,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 회전판(150)은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이 서로 교차하도록 타공(천공) 형성되며, 내부 및외부 타공 원판(151, 152)에는 소정 간격으로 팬 블레이드가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고, 이때,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유착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소정 각도로 한번에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을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와 같이 소정각도 절곡 형성하고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을 땜 또는 리벳으로 접합하여 타공회전판(15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공 회전판(150)의 원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타공 면적을 점진적으로 넓게 타공된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조리흄 또는 기름때의 일정 량을 회전속도에 맞게 골고루 상기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에 유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유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 회전판(150)은, 도 15의 b) 및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되도록 타공되어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유착하는 면적을 넓히며, 이때, 상기 타공 회전판(15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타공 표면적이 넓게 타공시켜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효율적으로 유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서,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은 교차하게 타공하고, 각각 블레이드로 사용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제거한다.
이때, 타공시 블레이드로 사용할 부분은 단지 1면을 남기고 나머지 면을 절단한 후 일정 각도로 절곡할 수 있다.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공 회전판(150)은 각속도를 고려한 크기로 교차 타공되고, 상기 타공 회전판(150)이 회전하면서 조리흄을 제거할 경우,
같은 크기의 지름의 평형 원판보다 상기 타공 회전판(150)은 조리흄을 유착하게 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보다 많은 양의 조리흄을 유착시켜 제거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타공 회전판(15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 각속도에 상응하도록 타공 면적을 점진적으로 넓게 타공해주면 발생한 조리흄의 일정 양을 속도에 맞게 골고루 원판에 유착시켜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모아 제거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 각각의 블레이드(회전핀)는 발생된 조리흄을 빠르게 빨아들이기 위한 회전핀으로서 외부 타공 원판(152)과 내부 타공 원판(151)에 적정한 수로 교차로 형성된다.
이후, 모터(140)의 구동에 의한 회전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상기 커버부(120) 안쪽 벽면에 유착된 후 하강하여 포집되고, 이후 상기 포집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로 드레인 콕(171)과 드레인 튜브(172)를 거쳐 최종적으로 하단 용기(180)에 축적되어 포집된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L자형 서포트, 드레인 튜브 및 하단 용기의 결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에서 L자형 서포트와 커버부를 체결하는 스프링 플런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용기(180)에 접촉센서(181)가 구비되어 유착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포집될 경우, 상기 접촉센서(181)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패널(130)과 연동되어 발광 작동하게 되며,
예를 들면, LED 디스플레이(134)의 표식 문구 표출 또는 스피커(135)의 음성 표출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하단 용기(180)의 교환 시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의 커버부(120)와 L자형 서포트(160) 연결시 스프링 로드핀(192)이 구비된 스프링 플런저(190)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프링(191) 및 스프링 로드핀(192)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플런저(190)를 통해 상기 커버부(120)와 L자형 서포트(160)의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로드핀(192)을 눌러서 상기 커버부(120)와 L자형 서포트(160)를 체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튀김이나 볶음용 솥 전용 후드에 설치되는 조리흄 배기장치로서,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와 같은 후드 형상에 따라, 예컨대 열 저항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 소재로 형성된 스커트를 가변 설치하여 조리흄 캐처를 후드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재 주요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타공 회전판이 유착 기름때를 시계열적으로 회수하고 추후 일괄 제거 처리함으로써 덕트 내에 축적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의 유착량을 감소시키고, 덕트 기름때 세척주기를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은, 후드 형상에 따라 일체형 또는 가변 설치되는 조리흄 캐처의 작동방법으로서,
먼저, 예컨대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의 후드(200) 형상에 대응하여 가변 설치되고, 열 저항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 소재로 제작되는 스커트(110)를 형성한다(S110).
구체적으로, 스커트(110)는 유연한 플렉시블 밴드(112)가 구비되고, 그 외주면으로 스커트 부재(111)가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 부재(111)는 칼집 형성부인 커팅라인(113)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어,
예컨대 사각형 후드(210) 또는 원형 후드(220)에 적용시, 사각형 후드(210) 또는 원형 후드(220)의 후드 형상에 따라 미리 형성된 커팅라인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부분은 제거하여 사용하며, 사각형 후드와 원형 후드에 따라 스커트 방향을 반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패널(130)이 형성된 커버부(120)에 상기 스커트(110)를 결합한다(S120).
다음으로, 중앙에 모터(140)가 체결된 타공 회전판(150)을 상기 커버부(120)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모터(140)와 커버부(120) 중심 접속면에 상기 모터(140)의 회전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실링재를 설치한다(S130).
구체적으로, 상기 타공 회전판(150)은 내부 타공 원판(151) 및 외부 타공 원판(15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공 회전판(150)은 내부 타공 원판(151) 및 외부 타공 원판(152)을 포함하며,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 유착된 조리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은 날아가고,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시간 경과에 따라 다량 축적되면, 점도에 따라서 아래로 하강하며,
상기 하강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는 원형의 하단 용기(180)에 포집하여 일정량이 모이면 처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L자형 서포트(160)와 드레인 튜브(170)가 결합된 하단 용기(180)를 상기 커버부(120) 측면에 결합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120)를 후드(200)에 장착하고, 조리흄 제거를 위한 제어패널(130)를 작동시킨다(S15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100)의 커버부(120)에 조리흄 센서(136)가 탑재되어 상기 조리흄 센서(136)에 따라 조리흄 발생 정도를 센싱하면,
그 정도에 따라 모터(140)의 회전수 제어, RGB LED 라인(133)의 발광색 변화, LED 디스플레이(134)의 표식 문구 표출 또는 스피커(135)의 음성 표출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부(120), 드레인 콕(171), 드레인 튜브(170) 및 하단 용기(180)를 경유하여 조리흄(400) 또는 기름때를 축적 및 제거한다(S160).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120)에 제어패널(130)이 형성되고, 하단 용기(180)의 접촉센서(181)와 연동되어 하단 용기(180)에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일정 부분 쌓여서 포집된 경우, 접촉센서(181)에 접촉되면 제어패널(130)의 LED 디스플레이(134)의 표식 문구 표출 또는 스피커(135)의 음성 표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하단 용기(180)의 교환 시점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흄 캐처의 타공 회전판의 블레이드에 의해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킴으로써 조리종사자 또는 이용자들의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폐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리흄 캐처
110: 스커트
110a: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
110b: 원형 후드용 스커트 111: 스커트 부재
112: 플렉시블 밴드
113: 커팅라인(칼집 형성부)
113a: 상향 커팅라인
113b: 상부 측면 커팅라인
113c: 하부 측면 커팅라인
113d: 하향 커팅라인
120: 커버부
121: 캡너트 122: 조정발
130: 제어패널
131: 전원 스위치 132: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
133: RGB LED 라인 134: LED 디스플레이
135: 스피커 136: 조리흄 센서
140: 모터
150: 타공 회전판
151: 내부 타공 원판 152: 외부 타공 원판
151a: 내부 타공부 152a: 외부 타공부
160: L자형 서포트
170: 드레인 튜브 171: 드레인 콕
180: 하단 용기 181: 접촉센서
190: 스프링 플런저
191: 스프링 192: 스프링 로드핀
200: 후드
210: 사각형 후드 220: 원형 후드 300: 덕트 400: 조리흄(또는 기름때)
110: 스커트
110a: 사각형 후드용 스커트
110b: 원형 후드용 스커트 111: 스커트 부재
112: 플렉시블 밴드
113: 커팅라인(칼집 형성부)
113a: 상향 커팅라인
113b: 상부 측면 커팅라인
113c: 하부 측면 커팅라인
113d: 하향 커팅라인
120: 커버부
121: 캡너트 122: 조정발
130: 제어패널
131: 전원 스위치 132: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
133: RGB LED 라인 134: LED 디스플레이
135: 스피커 136: 조리흄 센서
140: 모터
150: 타공 회전판
151: 내부 타공 원판 152: 외부 타공 원판
151a: 내부 타공부 152a: 외부 타공부
160: L자형 서포트
170: 드레인 튜브 171: 드레인 콕
180: 하단 용기 181: 접촉센서
190: 스프링 플런저
191: 스프링 192: 스프링 로드핀
200: 후드
210: 사각형 후드 220: 원형 후드 300: 덕트 400: 조리흄(또는 기름때)
Claims (10)
- 후드 형상에 따라 일체형 또는 가변 설치되는 조리흄 캐처에 있어서,
스커트 부재(111), 플렉시블 밴드(112) 및 커팅라인(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후드(200)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후드(200) 형상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스커트(110);
상기 스커트(110)의 하부가 고정되는 하우징으로서, 내주면 측벽을 통해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유착되어 하강하는 커버부(120);
상기 커버부(12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120)에서 유착되어 하강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축적하여 포집하는 하단 용기(180);
상기 하단 용기(18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용기(180)를 지지하고, 상기 하단 용기(180)를 상기 커버부(120)에 연결하는 L자형 서포트(160);
상기 L자형 서포트(16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120)에서 유착되어 하강하는 조리흄 또는 기름때를 상기 하단 용기(180)에 포집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드레인 튜브(170); 및
상기 커버부(120)에 형성되어 조리흄 캐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130); 내부 타공 원판(151) 및 외부 타공 원판(152)으로 이루어진 흄유착 회전판으로서, 조리흄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블레이드(회전핀)가 형성되는 타공 회전판(15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 회전판(150)을 회전시키는 모터(140); 상기 하단 용기(180)에 결합된 L자형 서포트(160)를 상기 커버부(120)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스프링 플런저(190)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플런저(190)는 스프링(191) 및 스프링 로드핀(192)을 포함하며, 조리시 발생한 조리흄은 회전하는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 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110)는 사각형 후드(210) 또는 원형 후드(220)의 형상에 따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열 저항성이 있는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스커트(110)의 커팅라인(113)은 칼집 형성부로서, 상향 커팅라인(113a), 상부 측면 커팅라인(113b), 하부 측면 커팅라인(113c) 및 하향 커팅라인(113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팅라인(113)은 사전에 스커트 부재(1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회전판(150)은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이 서로 교차하도록 타공 형성되며, 상기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 각각은 간격을가지고 팬 블레이드가 절곡 형성하되,
한번에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을 각각 절곡 형성하고 내부 타공 원판(151)과 외부 타공 원판(152)을 땜 또는 리벳으로 접합하여 타공회전판(150)을 형성하며, 상기 타공 회전판(150)의 원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타공 면적이 넓게 타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 유착된 조리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은 날아가고,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시간 경과에 따라 다량 축적되면, 점도에 따라서 아래로 하강하며, 상기 하강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는 상기 하단 용기(180)에 포집하여 모이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130)은 전원 스위치(131),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132), RGB LED 라인(133), LED 디스플레이(134), 스피커(135) 및 조리흄 센서(1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리흄 센서(136)에 의해 조리흄 발생 정도를 센싱하면, 상기 제어패널(130)에 의해 상기 모터(140)의 회전수 제어, RGB LED 라인(133)의 발광색 변화, LED 디스플레이(134)의 표식 문구 표출 및 스피커(135)를 통한 음성 표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 용기(180)의 교환 시점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어패널(130)에 외부 온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열커버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상기 제어패널(130)을 외부로 이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정전식 터치 스위치(132)는 상기 하단 용기(180)에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일정량에 도달였을 때 접촉센서(181)가 작동하면 연동되어 발광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 후드 형상에 따라 일체형 또는 가변 설치되는 조리흄 캐처의 작동방법으로서,
a) 사각형 후드 또는 원형 후드의 후드(200) 형상에 대응하여 가변 설치되고, 열 저항성이 있는 실리콘, 합성고무(EPDM),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메탈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작되는 스커트(110)를 형성하는 단계;
b) 제어패널(130)이 형성된 커버부(120)에 상기 스커트(110)를 결합하는 단계;
c) 중앙에 모터(140)가 체결된 타공 회전판(150)을 상기 커버부(120)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모터(140)와 커버부(120) 중심 접속면에 상기 모터(140)의 회전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실링재를 설치하는 단계;
d) L자형 서포트(160)와 드레인 튜브(170)가 결합된 하단 용기(180)를 상기 커버부(120) 측면에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커버부(120)를 후드(200)에 장착하고, 조리흄 제거를 위한 제어패널(130)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f) 커버부(120), 드레인 튜브(170) 및 하단 용기(180)를 경유하여 조리흄(400) 또는 기름때를 축적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조리시 발생한 조리흄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 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110)는 플렉시블 밴드(112)가 구비되고, 그 외주면으로 스커트 부재(111)가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 부재(111)는 칼집 형성부인 커팅라인(113)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어 사각형 후드(210) 또는 원형 후드(220)에 적용시, 사각형 후드(210) 또는 원형 후드(220)의 후드 형상에 따라 미리 형성된 커팅라인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부분은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회전판(150)은 내부 타공 원판(151) 및 외부 타공 원판(152)을 포함하며, 상기 타공 회전판(150)에 유착된 조리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은 날아가고, 축적된 조리흄 또는 기름때가 시간 경과에 따라 축적되면, 점도에 따라서 아래로 하강하며, 상기 하강된 조리흄 또는 원형의 하단 용기(180)에 포집하여 모이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의 작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7957A KR102591116B1 (ko) | 2023-04-12 | 2023-04-12 |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7957A KR102591116B1 (ko) | 2023-04-12 | 2023-04-12 |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1116B1 true KR102591116B1 (ko) | 2023-10-17 |
Family
ID=8855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7957A KR102591116B1 (ko) | 2023-04-12 | 2023-04-12 |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1116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7930Y1 (ko) | 2001-12-26 | 2002-03-12 | 주식회사 엘.지.에이 | 후드의 배기덕트 구조 |
JP2013029264A (ja) * | 2011-07-29 | 2013-02-07 | Iwao Yuasa | 膨張式台所換気装置 |
KR20130112758A (ko) | 2012-04-03 | 2013-10-14 | 주식회사트라이애드 |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 |
KR20180006641A (ko) | 2016-07-11 | 2018-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후드 및 조리기기 |
KR20210091517A (ko) | 2020-01-14 | 2021-07-22 | 주식회사 가나테크 | 쿡탑의 렌지후드 시스템 |
KR20210119770A (ko) | 2020-03-25 | 2021-10-06 | 주식회사 기림엔지니어링 | 주방 환기 시스템 |
KR20220021394A (ko) * | 2020-08-13 | 2022-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레인지 후드 |
KR102488594B1 (ko) | 2022-07-28 | 2023-01-12 | 이석훈 |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안전 시스템 |
-
2023
- 2023-04-12 KR KR1020230047957A patent/KR1025911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7930Y1 (ko) | 2001-12-26 | 2002-03-12 | 주식회사 엘.지.에이 | 후드의 배기덕트 구조 |
JP2013029264A (ja) * | 2011-07-29 | 2013-02-07 | Iwao Yuasa | 膨張式台所換気装置 |
KR20130112758A (ko) | 2012-04-03 | 2013-10-14 | 주식회사트라이애드 |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 |
KR20180006641A (ko) | 2016-07-11 | 2018-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후드 및 조리기기 |
KR20210091517A (ko) | 2020-01-14 | 2021-07-22 | 주식회사 가나테크 | 쿡탑의 렌지후드 시스템 |
KR20210119770A (ko) | 2020-03-25 | 2021-10-06 | 주식회사 기림엔지니어링 | 주방 환기 시스템 |
KR20220021394A (ko) * | 2020-08-13 | 2022-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레인지 후드 |
KR102488594B1 (ko) | 2022-07-28 | 2023-01-12 | 이석훈 |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안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11675A (en) |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gases | |
CN212408779U (zh) | 具备涡轮风扇的抽油烟机 | |
JP2005305268A (ja) | レンジフードファン用脱臭材及びその脱臭材を具備するレンジフードファン | |
KR102591116B1 (ko) | 후드 형상에 따른 스커트를 구비한 조리흄 캐처 및 그 작동 방법 | |
CN208907648U (zh) | 拢烟装置及吸油烟机 | |
JP5215694B2 (ja) | ダクト閉塞装置及び此を備えた無煙ロースター | |
KR100608704B1 (ko) |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 |
TWI849491B (zh) | 集塵罩裝置 | |
CN205481226U (zh) | 一种易清洁抽油烟机 | |
KR100445402B1 (ko) | 주방용 환기시스템 | |
CN1419082A (zh) | 处理烹调油烟、异味气体和其它有害物质的装置及方法 | |
JPH0439550A (ja) | 加熱調理装置 | |
CN115638454A (zh) | 一种动态微粒捕集的吸油烟机 | |
ES1258715U (es) | Campana de extraccion de humos autolimpiante | |
JPS61202032A (ja) | 調理用排気装置 | |
KR200278251Y1 (ko) | 실내공기 배출용 후드 | |
KR100556835B1 (ko) | 주방용 배기후드 | |
KR102522380B1 (ko) | 친환경 학교 급식소 전용 급배기 시스템 및 작동방법 | |
CN214198778U (zh) | 集成灶 | |
CN219868020U (zh) | 一种动态微粒捕集的吸油烟机 | |
CN219572021U (zh) | 具有后倾高速气流的吸油烟机 | |
KR102611747B1 (ko) | 공기정화형 후드 시스템 | |
CN214198779U (zh) | 集成灶 | |
KR200495257Y1 (ko) | 주방 스마트 후드 | |
CN214949262U (zh) | 一种烟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