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064B1 - 도포 대상물 구조 - Google Patents

도포 대상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064B1
KR102591064B1 KR1020220052792A KR20220052792A KR102591064B1 KR 102591064 B1 KR102591064 B1 KR 102591064B1 KR 1020220052792 A KR1020220052792 A KR 1020220052792A KR 20220052792 A KR20220052792 A KR 20220052792A KR 102591064 B1 KR102591064 B1 KR 10259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hole
application object
central axis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진
정회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2005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5/02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 B05C5/021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by relative movement of article and outl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 대상물에 구비되는 안내 구멍; 상기 안내 구멍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구멍; 및 상기 제1 구멍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도포 대상물의 내부를 연결하는 제2 구멍; 을 포함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포 대상물 구조{STRUCTURE OF OBJECT TO BE COATING}
본 발명은 실리콘 등과 같은 도포물의 흐름 지연시킬 수 있는 도포 대상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흡기매니폴드 압력센서 하우징에 커버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와 같이, 흡기매니폴드(intake manifold) 압력센서의 하우징(1)에 커버(2)를 조립 후 하우징(1)과 커버(2)의 접착을 위해 하우징(1)과 커버(2)의 경계에 에폭시(3)를 도포하고 에폭시(3)를 경화시킨다.
도 1의 (b)와 같이, 에폭시(3) 경화 후 커버(2) 및 하우징(1)의 내부 기밀 유지를 위해 커버(2)에 구비된 안내 구멍(2a)에 실리콘(S)을 도포한다.
도 1의 (c)와 같이, 실리콘(S)의 도포 완료 후 자외선(UV, Ultraviolet Ray)으로 실리콘(S)을 경화시킨다. 실리콘(S)의 경화로 인해 실리콘(S)이 안내 구멍(2a)과 안내 구멍(2a)의 중앙에 구비된 관통 구멍(2b)을 밀폐하여 커버(2) 및 하우징(1) 내부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안내 구멍에 실리콘을 투입 시 실리콘의 흐름 지연이 전혀 없이 관통 구멍을 통해 커버의 내부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실리콘에 의해 관통 구멍을 밀폐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0219호(2017.06.21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의 흐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한 도포 대상물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도포 대상물에 구비되는 안내 구멍; 상기 안내 구멍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구멍; 및 상기 제1 구멍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도포 대상물의 내부를 연결하는 제2 구멍; 을 포함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1 구멍보다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에 더 근접하도록 위치하면서 상부 측면 일부분이 상기 제1 구멍의 하부 측면 일부분과 연결통로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안내 구멍의 내부 바닥은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 구멍의 내부 바닥은 가장자리에 쏠림 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2 구멍은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과 간격을 두고 상기 중심축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다.
또한, 상기 안내 구멍을 통해 도포물이 투입된다.
또한, 상기 도포물은 상기 안내 구멍으로 투입되어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구멍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도포물은 실리콘이다.
또한, 상기 도포 대상물은 흡기매니폴드 압력센서의 하우징에 조립되는 커버이다.
또한, 상기 제1, 2 구멍은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상하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안내 구멍의 경사 내부 바닥 및 쏠림 홈, 계단형 구조의 제1 구멍 및 제2 구멍 등과 같은 구조에 의해 도포물의 흐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종래 자외선을 통한 도포물의 경화 전 도포물이 제1 구멍에서 빠져나감으로 인한 기밀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기매니폴드 압력센서 하우징에 커버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대상물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대상물 구조에 도포물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대상물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포물을 지연시킬 수 있는 구멍 구조를 통해 도포물의 흐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포 대상물(100)에 구비되는 안내 구멍(110), 안내 구멍(110)에 구비되는 제1 구멍(121) 및 제1 구멍(121)와 연결되는 제2 구멍(122)을 포함한다. 도포물(S)은 안내 구멍(110)을 통해 투입되어 제1 구멍(121)과 제2 구멍(122)을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서, 도포 대상물(100)은 흡기매니폴드 압력센서의 하우징(미도시)에 조립되는 커버이고, 도포물(S)은 실리콘(silicon)일 수 있다.
안내 구멍(110)은 도포물(S)의 안정적인 투입을 위해 제1 구멍(121)보다 더 큰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구멍(110)의 내부 바닥(112)은 중심축(111)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내 구멍(110)의 내부 바닥(112)이 중심축(111)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 구조이기 때문에 안내 구멍(110)을 통해 도포물(S)을 투입 시 도포물(S)이 바로 제1 구멍(121)으로 흐르지 않고 중심축(111)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도포물(S)의 흐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내부 바닥(112)의 가장자리에 쏠림 홈(113)이 구비될 수 있다. 안내 구멍(110)에 투입된 도포물(S)은 경사 구조의 내부 바닥(112)을 따라 쏠림 홈(113)에 모여서 제1 구멍(121)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도포물(S)의 흐름을 지연시킬 수 있다.
경사 내부 바닥(112) 및 쏠림 홈(113)에 의해 도포물(S)의 흐름이 제1 구멍(121)에 집중되지 않고 경사 내부 바닥(112)과 쏠림 홈(113)으로 분산되어 제1 구멍(121)으로 향하는 도포물(S)의 흐름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제1 구멍(121)은 안내 구멍(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4개의 제1 구멍(121)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 2, 3과 같이, 제1, 2 구멍(121, 122)은 안내 구멍(110)의 중심축(111)과 간격을 두고 중심축(1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1 구멍(121)은 안내 구멍(110)의 중심축(111)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멍(122)은 제1 구멍(121)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제2 구멍(122)은 제1 구멍(121)과 제1 구멍(121)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포 대상물(100)의 내부(114)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구멍(122)은 제1 구멍(121)보다 안내 구멍(110)의 중심축(111)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의 바람직하다. 제2 구멍(122)의 상부 측면 일부분과 제1 구멍(121)의 하부 측면 일부분은 연결통로(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안내 구멍(110)으로 투입된 도포물(S)은 계단형 구조의 제1 구멍(121)과 제2 구멍(1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흐름 방향이 변경되어 흐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하여 도포물(S)의 이동 거리가 더 길기 때문에 도포물(S)의 흐름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다음은 본 발명의 도포물의 밀폐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대상물 구조에 도포물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안내 구멍(110)을 통해 도포물(S)을 투입한다. 안내 구멍(110)에 투입된 도포물(S)은 안내 구멍(110)의 내부 바닥(112)이 경사 구조이기 때문에 안내 구멍(110)의 내부 바닥(112)을 따라 쏠림 홈(11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포물(S)은 쏠림 홈(113)에 가득 차 밖으로 밀려나올 수 있다. 쏠림 홈(113)에서 밀려나온 도포물(S)은 제1 구멍(121)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도포물(S)은 제1 구멍(1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구멍(121) 내부로 수직 낙하할 수 있다.
제1 구멍(121)의 하부 측면과 제2 구멍(122)의 상부 측면은 연결통로(130)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구멍(121)로 낙하한 도포물(S)은 연결통로(130)를 통해 수평 이동하여 제2 구멍(122) 내부로 수직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멍(121)과 제2 구멍(122)는 계단형 구조이기 때문에 도포물(S)의 흐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안내 구멍(110)에 도포물(S) 투입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흐름이 지연되어 제1 구멍(121)에 남아 있는 도포물(S)이 경화되면서 제1 구멍(121)을 막아 밀폐시킬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내 구멍의 경사 내부 바닥 및 쏠림 홈, 계단형 구조의 제1 구멍 및 제2 구멍 등과 같은 구조에 의해 도포물의 흐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종래 자외선을 통한 도포물의 경화 전 도포물이 제1 구멍에서 빠져나감으로 인한 기밀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포 대상물 110 : 안내 구멍
111 : 중심축 112 : 내부 바닥
113 : 쏠림 홈 121 : 제1 구멍
122 : 제2 구멍 130 : 연결통로
S : 도포물

Claims (10)

  1. 도포 대상물에 구비되는 안내 구멍;
    상기 안내 구멍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구멍; 및
    상기 제1 구멍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도포 대상물의 내부를 연결하는 제2 구멍;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1 구멍보다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에 더 근접하도록 위치하면서 상부 측면 일부분이 상기 제1 구멍의 하부 측면 일부분과 연결통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구멍의 내부 바닥은,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구멍의 내부 바닥은,
    가장자리에 쏠림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구멍은,
    상기 안내 구멍의 중심축과 간격을 두고 상기 중심축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구멍을 통해 도포물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물은,
    상기 안내 구멍으로 투입되어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구멍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물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대상물은,
    흡기매니폴드 압력센서의 하우징에 조립되는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구멍은,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상하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대상물 구조.
KR1020220052792A 2022-04-28 2022-04-28 도포 대상물 구조 KR10259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792A KR102591064B1 (ko) 2022-04-28 2022-04-28 도포 대상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792A KR102591064B1 (ko) 2022-04-28 2022-04-28 도포 대상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064B1 true KR102591064B1 (ko) 2023-10-17

Family

ID=8855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792A KR102591064B1 (ko) 2022-04-28 2022-04-28 도포 대상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353A (ja) * 1995-11-22 1997-06-06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KR100465775B1 (ko) * 2001-12-18 2005-01-13 강신갑 몰드를 이용한 실리콘 접착방법
KR100674349B1 (ko) * 2001-09-27 2007-01-24 산에이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열경화성 수지조성물과 구멍을 막은 프린트배선(기)판의 제조방법 및 구멍을 막은 프린트배선(기)판
KR100784057B1 (ko) * 2005-06-24 2007-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 방법
KR20170070219A (ko) 2014-12-02 2017-06-21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코팅 구조,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353A (ja) * 1995-11-22 1997-06-06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KR100674349B1 (ko) * 2001-09-27 2007-01-24 산에이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열경화성 수지조성물과 구멍을 막은 프린트배선(기)판의 제조방법 및 구멍을 막은 프린트배선(기)판
KR100465775B1 (ko) * 2001-12-18 2005-01-13 강신갑 몰드를 이용한 실리콘 접착방법
KR100784057B1 (ko) * 2005-06-24 2007-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 방법
KR20170070219A (ko) 2014-12-02 2017-06-21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코팅 구조,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717B1 (ko) 실런트 경화용 마스크와 그것을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CN104364158A (zh) 可注射螺帽盖
DE50210203D1 (de) Optoelektronische bauelement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anordnung
KR102591064B1 (ko) 도포 대상물 구조
US9472692B2 (en) Process of fabr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with a double encapsulation ring
RU2011147916A (ru) Органическое электролюминесцентное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2008113227A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барьерной прокладкой
BR102019005987A2 (pt) Tampa para formação de uma cavidade selada em torno de uma extremidade de um fixador compreendendo uma junta e método de montagem da referida junta
KR102455919B1 (ko) 서로 광학적으로 분리된 영역들을 갖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광전 모듈들
US20230131268A1 (en) Acoustic attenu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W201619673A (zh) 顯示面板
TWI408453B (zh) 基板組及液晶顯示面板
US11841167B2 (en) Air curtai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379933B (zh) 显示基板及显示基板的制备工艺
CN107002453A (zh) 浮体式铰链闸门
KR101704770B1 (ko) 조립형 유리창
EP3936635A3 (en) Mask assembly
US20200370713A1 (en) Lens assembly for led light fixture
CN106545136A (zh) 一种木塑墙、瓦板
KR200402822Y1 (ko) 싸이클로트론실용 방사선 차폐도어
KR200402823Y1 (ko) 싸이클로트론실용 방사선 차폐도어
KR200165236Y1 (ko) 플러그밸브
JPS6238866B2 (ko)
KR101935251B1 (ko) 칸막이용 패널의 몰딩구조
CN210123755U (zh) Oled封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