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982B1 - 필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982B1
KR102590982B1 KR1020220126407A KR20220126407A KR102590982B1 KR 102590982 B1 KR102590982 B1 KR 102590982B1 KR 1020220126407 A KR1020220126407 A KR 1020220126407A KR 20220126407 A KR20220126407 A KR 20220126407A KR 102590982 B1 KR102590982 B1 KR 102590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rea
attachment
cutt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2226A (ko
Inventor
남필수
조규하
유영오
임기욱
임종성
정옥두
김종표
박지성
여정현
임형오
오창준
정은섭
주원철
류재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3005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5Making large sheets by joining smaller ones or strip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29C66/0224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with removal of material
    • B29C66/02241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s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6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필름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필름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연결 방법에 의하면 필름 절단 시 필름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연결 장치{DEVICE FOR CONNECTING FILM}
본 출원은 필름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필름(Film) 간에 연결은 각각의 필름을 권출(Unwinder) 장치를 통해 권출하고,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테이프를 이용하여 각각의 필름을 서로 부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권출된 필름의 절단 시 필름의 절단면에 버(Burr)가 발생되거나, 필름 조각에 의한 이물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필름의 절단면에 이물이 부착된 상태로 부착이 이루어져, 테이프와 필름의 접합 영역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연결된 후,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서로 연결하는 부착부, 구체적으로, 테이프가 코팅부 통과 시 상기 테이프의 두께로 인해 코팅 노즐을 통과하는 것이 불가하여 코팅 노즐을 점핑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때, 코팅 노즐의 점핑 작업을 위해 코팅 노즐 점핑 후 코팅액의 안정화 시간이 소요되므로, 연결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불량으로 처리되어 원단 로스(Loss)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필름 연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필름 절단 시 필름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는 필름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필름 연결 장치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각각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 필름 공급부를 통해 제1 필름 상에 제2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안착되는 절단 영역 및 절단 영역과 이격된 부착 영역을 갖는 작업 플레이트; 작업 플레이트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 작업 플레이트가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흡입영역을 갖는 하부 흡입부; 작업 플레이트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흡입영역을 갖는 상부 흡입부; 작업 플레이트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부착부재로 연결하기 위한 부착부; 및 상부 및 하부 흡입부, 절단부 및 부착부를 제어하며, 절단 영역에서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 모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 영역에서 부착 영역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모드 및 부착 영역에서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부착을 수행하는 부착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절단 모드에서, 상기 하부 흡입부에 의해 상기 제1 필름을 흡입하고, 상기 상부 흡입부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 흡입부에 의해 상기 제2 필름을 흡입하며, 상기 절단부를 통해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하고, 상기 하부 흡입부를 통해 절단 시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흡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모드에서, 하부 흡입부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영역을 통해 제1 필름을 흡입하고, 또 다른 흡입영역을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상기 필름 연결 장치는 하부 흡입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제1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하기 위한 하부 제거부; 및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2 영역을 갖는 상부 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이송모드에서,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이 절단 영역에 안착되고, 접합 영역 이외에 제거될 제1 필름의 제거 영역이 하부 제거부를 통해 제거되며, 상기 접합 영역 이외에 제거될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이 필름 공급부로 권취되어 제거되고, 상기 상부 흡입부를 통해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흡입하며, 부착 영역이 상부 흡입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작업 플레이트, 하부 흡입부 및 하부 제거부, 또는 절단부, 상부 흡입부 및 부착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송모드에서, 하부 제거부를 회전시켜 제1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상부 흡입부의 제2 영역을 상승시킨 후,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이 필름 공급부로 권취되어 상기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송모드에서, 하부 흡입부는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이 부착영역에 안착되면, 적어도 2개의 흡입영역을 통해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부착모드에서, 부착부를 이동시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에 부착부재를 부착시킴으로써,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부착모드에서, 부착부를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으로 하강시킨 후 회전시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는 부착부재를 흡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홀을 갖는 부착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는 원형 휠 형태 또는 스틱 형태의 나이프로 이루어진 절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흡입부는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흡입부는 하부에 발포실리콘을 포함하는 상부 부착층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부착층은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플레이트는 부착영역에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부착영역에는 상부에 발포실리콘 및 니켈 메쉬의 혼합물 또는 발포실리콘 및 세라믹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부 부착층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착층은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연결 장치는 하부 부착층 상부에 적층된 메쉬층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쉬층은 100 mesh 내지 150 mesh의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재는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과 마주하는 방향에 부착면을 가지는 단면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필름 연결 방법은 상기 필름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 단계; 상기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 영역에서 상기 부착 영역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송 단계; 및 상기 부착 영역으로 이동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하는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필름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연결 방법에 의하면 필름 절단 시 필름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레이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 영역, 하부 부착층 및 메쉬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흡입부 및 상부 부착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제어하는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계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절단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절단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이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이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이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부착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부착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필름 연결 장치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필름 연결 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연결 장치는 필름 공급부(미도시), 작업 플레이트(200), 절단부(300), 하부 흡입부(400), 상부 흡입부(600), 부착부(7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는 절단 영역(A) 및 부착 영역(B)을 가진다. 또한, 상기 부착부(700)는 부착부재(710)를 가진다. 본 출원의 필름 연결 장치는 필름 절단 시 필름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이물질」은 목적하는 물질의 형태, 성질, 특성이 다른 물질을 의미한다. 일 구현 예에서, 이물질은 필름 절단 시 발생된 필름 파편일 수 있다.
상기 필름 공급부(미도시)는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공급되는 부분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필름은 제1 필름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고, 제2 필름은 제2 필름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 제1 필름 공급부 및 제2 필름 공급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제1 방향」은 상기 필름 연결 장치가 작동되는 작동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후진방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 연결 장치가 작동되는 작동방향은 제2 방향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진방향(→)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제1 필름」은 제2 필름에 신규로 연결이 필요한 롤 형태의 필름을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제2 필름」은 기존 양산 중인 롤 형태의 필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각각의 제1 필름 공급부 및 제2 필름 공급부로부터 권출되어 공급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필름은 TAC(Tri Acetyl Cellulose) 기재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기재 필름일 수 있고, 상기 제2 필름은 TAC(Tri Acetyl Cellulose) 기재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기재 필름일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레이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플레이트(200)는 필름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및 연결(= 접합)을 수행하는 판으로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 영역(A) 및 상기 절단 영역(A)과 이격되고,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연결을 수행하는 부착 영역(B)을 가진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는 평판일 수 있다.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가 평판임으로써,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간 연결 시 상기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영역(B)은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면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부(700)의 부착부재(710)가 부착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는 알루미늄 판, STS304 스테인레스강 판 또는 SS41 강 판일 수 있다.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로 전술한 판을 이용함으로써, SUS 계열의 스테인레스강 판 대비 무게가 가벼워 설계 하중이 적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하 또는 전후 이동, 및 동작 제어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는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직경이 3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가 전술한 직경을 가지는 홀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불량이 유발되지 않고,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에 대한 흡입력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의 홀이 전술한 직경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 흡착 시 홀 자국이 존재하여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의 홀이 전술한 직경 미만인 경우, 필름의 흡입 압력이 작아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흡입되지 않고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의 절단 영역(A)에는 상기 필름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제1 필름 상에 제2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안착된다. 상기 절단 영역(A)에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전술한 형태로 안착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단부(300)에 의해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동일한 어느 한 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절단 영역(A)에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공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절단 홈(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단 홈(210)은 후술하는 절단 부재로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절단 시,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작업 플레이트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이다. 상기 절단 영역(A)에 절단 홈(210)이 구비됨으로써, 작업 플레이트(200)의 손상 없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의 부착 영역(B)은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하기 위한 판으로서, 상기 절단 영역(A)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절단 영역(A) 및 부착 영역(B)은 상기 하부 흡입부(400)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전방」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공급되는 방향, 즉, 제1 방향(←)을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 용어 「후방」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제2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 영역, 하부 부착층 및 메쉬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 플레이트의 부착 영역(B)은 상부에 하부 부착층(10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은 발포실리콘 및 니켈 메쉬의 혼합물, 또는 발포실리콘 및 세라믹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영역(B)은 전술한 재료를 포함하는 하부 부착층(1000)을 더 포함함으로써, 필름에 데미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은 두께가 3 mm 내지 8 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부착층의 두께는 4 mm 내지 7 mm 또는 4 mm 내지 6 mm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착층이 전술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가공이 용이하고, 부착력이 우수하며, 필름에 데미지 손상을 방지하는 쿠션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은 두께가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재 자체의 변형이 생겨 가공이 용이하지 않고, 부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은 두께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부착 과정 반복 시 필름에 데미지를 발생시키거나 쿠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은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홀의 직경은 3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은 전술한 직경을 가지는 홀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불량이 유발되지 않고, 상기 하부 흡입부를 통해 우수한 흡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의 홀이 전술한 직경을 초과하는 경우, 필름 흡착 시 홀 자국이 존재하여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의 홀이 전술한 직경 미만인 경우, 필름의 흡입력이 작아 필름이 흡입되지 않고 떨어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하부 부착층(1000)은 상부에 메쉬층(1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착층(1000) 상에 메쉬층(11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흡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홀 자국을 방지할 수 있어 불량률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쉬층(1100)은 100 mesh 내지 150 mesh의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층(1100)은 110 mesh 내지 140 mesh 또는 120 mesh 내지 130 mesh의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쉬층(1100)이 전술한 크기의 홀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부 흡입부를 이용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흡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홀 자국을 방지할 수 있어 불량률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300)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필름 및 제 2 필름을 절단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흡입부(600)의 내부의 중심,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20)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제1 필름 또는 제2 필름의 공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동일한 어느 한 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전술한 부분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300)는 전술한 위치에 배치되어 전술한 방향으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동일한 어느 한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절단되어 형성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112, 121)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후, 절단된 제1 필름은 상기 절단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필름 공급부로부터 제1 필름이 공급되고 있는 부분, 즉 접합 영역(112)이 상기 절단 영역(A)에 안착되고, 상기 접합 영역(112) 이외에 제거될 부분, 즉, 제거 영역(111)이 하부 제거부(500)를 통해 상기 절단 영역(A)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절단된 제2 필름은 절단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필름 공급부로부터 제2 필름이 공급되는 부분의 반대 부분, 즉 접합 영역(121)이 상기 절단 영역(A)에 안착되고, 상기 접합 영역(121) 이외에 제거될 부분, 즉, 제거 영역(122)이 필름 공급부로 권취됨으로써, 상기 절단 영역(A)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정의하면서, 수직, 평행, 직교 또는 수평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실질적인 수직, 평행, 직교 또는 수평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조 오차(error) 또는 편차(variation) 등을 감안한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경우는, 약 ±15° 이내의 오차, 약 ±10° 이내의 오차 또는 약 ±5°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절단부(300)는 원형 휠 형태 또는 스틱 형태의 나이프로 이루어진 절단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300)는 전술한 형태의 절단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각각의 절단면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형 휠 형태의 나이프는 단축 로봇 및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형 휠 형태의 나이프는 상기 단축 로봇에 의해 단축, 구체적으로 높이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도록 구동되고,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휠 형태의 나이프가 등속회전 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원형 휠 형태의 나이프는 전술한 상기 단축 로봇 및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각각의 절단면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틱 형태의 나이프는 이축 로봇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틱 형태의 나이프는 상기 이축 로봇에 의해 구체적으로 높이방향으로 직선 운동한 후, 상기 제1 필름 또는 제2 필름이 공급되는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스틱 형태의 나이프는 전술한 상기 이축 로봇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각각의 절단면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흡입부(400)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시, 제1 필름의 고정을 위한 흡입,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흡입, 및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연결 시,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고정을 위한 흡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작업 플레이트(200)가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흡입영역을 갖는다. 상기 하부 흡입부(400)는 전술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업 플레이트의 이동을 간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필름 절단 시 제1 필름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우수할 수 있고, 필름 연결 시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흡입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영역을 통해 제1 필름을 흡입하고, 또 다른 흡입영역을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영역은 제1 필름이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상가 다른 흡입영역은 제1 필름과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흡입부(400)는 전술한 위치에 전술한 흡입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시 상기 제1 필름을 흡입하여 고정시키고, 절단 시 필름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연결 장치는 하부 제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제거부(500)는 상기 절단부(300)를 통해 절단된 제1 필름의 제거 영역(111)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하부 흡입부(4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제거부(500)는 회전을 통해 상기 절단된 제1 필름의 제거 영역(111)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제거부(500)의 회전은 후술하는 상부 전후 조절부(810)의 이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제거부(500)의 회전 방향은 필름 연결 장치의 우측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부(600)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시, 제2 필름의 고정을 위한 흡입 및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이동 시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고정을 위한 흡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작업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흡입영역을 갖는다.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상부 흡입부(6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은 상기 상부 흡입부(6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7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상부 흡입부(600)는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610)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및 절단 후 제2 필름의 제거 영역 제거 시, 상기 절단부(300)를 통해 절단된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흡입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및 절단 후 제2 필름의 제거 영역 제거 시, 상기 제1 영역(610)을 통해, 상기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상부 흡입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620)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시, 상기 절단부(300)를 통해 절단된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시키기 위한 영역으로서, 상기 제1 영역(610)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시, 상기 제1 영역(610)에 대하여 제2 영역(620)을 상승시킨 후, 상기 필름 공급부, 구체적으로, 제2 필름 공급부로 권취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영역의 상승 또는 하강은 제2 영역의 상하 조절부(62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영역의 상하 조절부(621)로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부(600)는 알루미늄 판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부(600)로 전술한 판을 이용함으로써, SUS 계열의 스테인레스강 판 대비 무게가 가벼워 설계 하중이 적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하 또는 전후 이동 및 동작 제어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흡입부(600)는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하는 흡입영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직경이 3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부가 전술한 흡입영역을 가짐으로써, 불량이 유발되지 않고, 절단 시 제2 필름에 대한 우수한 흡입력, 및 이동 시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에 대한 우수한 흡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흡입부의 홀이 전술한 직경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절단 시 제2 필름, 및 흡착 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에 홀 자국이 존재하여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흡입부의 홀이 전술한 직경 미만인 경우, 필름의 흡입 압력이 작아 상기 절단 시 제2 필름이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고정되지 않고 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복수 개」는 2 개 이상을 의미하고, 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흡입부 및 상부 부착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흡입부(600)는 하부에 상부 부착층(9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착층(900)은 발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부(600)는 전술한 재료를 포함하는 상부 부착층(900)을 더 포함함으로써, 필름에 데미지 손상을 방지하는 쿠션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부착층(900)은 두께가 3 mm 내지 8 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부착층(900)의 두께는 4 mm 내지 7 mm 또는 4 mm 내지 6 mm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부착층(900)이 전술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가공이 용이하고, 부착력이 우수하며, 필름에 데미지 손상을 방지하는 쿠션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부착층(900)은 두께가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재 자체의 변형이 생겨 가공이 용이하지 않고, 부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부착층(900)은 두께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부착 과정 반복 시 필름에 데미지를 발생시키거나 쿠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부착층(900)은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홀의 직경은 3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부착층은 전술한 직경을 가지는 홀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진공을 구성하여 흡입력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700)는 상기 부착 영역(B)에 안착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112, 121)을 부착부재(710)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부착부(700)는 상기 부착부재(710)를 흡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홀을 갖는 부착롤(72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착부(700)는 상기 부착부재(710)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112, 121)에 맞닿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상부 전후 조절부(810)의 이동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부착부재(710)는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과 마주하는 방향에 부착면을 가지는 단면 테이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착부재(710)는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112, 121)과 마주하는 방향의 일면에 부착면을 갖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의 일면에 부착면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710)로 전술한 방향에 부착면을 가지는 단면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710)에 의해 연결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상에 코팅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부재(710)는 상기 부착롤(720)의 흡입에도 불구하고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각각의 접합 영역에 부착이 가능하면 부착력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착롤(720)은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각각의 접합 영역(112, 12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부착되는 부착부재(710)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상기 부착부재(710)를 흡입하여 일부 영역에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부착롤(720)을 통해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각각의 접합 영역(112, 121)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롤(720)은 전술한 부착부(700)의 회전을 통해 구동되며, 상기 회전 방향이 필름 연결 장치의 우측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부착롤(720)은 상기 부착부재(710)를 흡입하기 위하여 홀을 복수 개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착롤(720)은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직경이 3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부착롤(720)이 전술한 직경을 가지는 홀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710)를 흡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부착롤(720)은 롤 형태의 알루미늄 판일 수 있다. 상기 부착롤(720)로 전술한 형태의 판을 이용함으로써, SUS 계열의 스테인레스강 판 대비 무게가 가벼워 설계 하중이 적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하 또는 전후 이동 및 동작 제어에 유리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부착부(700)는 상기 부착롤(720) 상에 메쉬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롤(720) 상에 메쉬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710)의 흡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홀 자국을 방지할 수 있어 불량률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쉬층은 100 mesh 내지 150 mesh의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층은 110 mesh 내지 140 mesh 또는 120 mesh 내지 130 mesh의 홀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쉬층이 전술한 크기의 홀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상기 부착롤(720)을 이용한 상기 부착부재(710)의 흡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홀 자국을 방지할 수 있어 불량률을 억제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필름 연결 장치는 이동 조절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부 상하 조절부(820), 상부 전후 조절부(810), 하부 상하 조절부(840) 및 하부 전후 조절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상하 조절부(820)는 상기 필름 연결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각각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절단부(300) 및 상부 흡입부(6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는 제1 상부 상하 조절부(821), 및 부착부(7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는 제2 상부 상하 조절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상하 조절부(820)는 상기 필름 연결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단부(300), 상부 흡입부(600) 및 부착부(700)를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상하 조절부(820)는 상기 제1 상부 상하 조절부(821) 및 제2 상부 상하 조절부(822)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상부 상하 조절부(821)에 의해 조절되는 절단부(300) 및 상부 흡입부(600)를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상부 상하 조절부(822)에 의해 조절되는 부착부(700)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연결 장치는 상기 상부 상하 조절부(8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 시 제1 필름을 흡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흡입부(600)의 하강 및 상승, 및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300)의 하강 및 상승을 제어할 수 있고,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흡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흡입부(600)의 하강 및 상승, 및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부착부(700)의 하강 및 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상하 조절부(820)로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전후 조절부(810)는 상기 필름 연결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전진 또는 후진을 각각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절단부(300), 상부 흡입부(600) 및 부착부(70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전후 조절부(810)는 상기 필름 연결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단부(300), 상부 흡입부(600) 및 부착부(700)를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연결 장치는 상기 상부 전후 조절부(81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절단부(300), 상부 흡입부(600) 및 부착부(70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전후 조절부(810)로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상하 조절부(840)는 상기 필름 연결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각각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상하 조절부는 상기 필름 연결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가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연결 장치는 상기 하부 상하 조절부(840)를 더 포함함으로써, 절단 후 상기 상부 흡입부(600)에 고정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상기 부착 영역(B)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상하 조절부(840)로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전후 조절부(830)는 상기 필름 연결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전진 또는 후진을 각각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전후 조절부(830)는 상기 하부 상하 조절부(8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필름 연결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가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연결 장치는 상기 하부 전후 조절부(83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절단 후 상기 상부 흡입부(600)에 고정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과 대응되는 하부에 상기 부착 영역(B)이 위치하도록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전후 조절부(830)로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제어하는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계략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절단 모드, 이송 모드 및 부착 모드를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필름 공급부, 절단부, 하부 흡입부, 상부 흡입부, 부착부, 상부 상하 조절부, 상부 전후 조절부, 하부 상하 조절부 및 하부 전후 조절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하부 제거부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름 공급부, 절단부, 하부 흡입부, 상부 흡입부, 부착부, 상부 상하 조절부, 상부 전후 조절부, 하부 상하 조절부 및 하부 전후 조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하부 제거부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단 모드는 절단 영역에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절단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절단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절단모드에서, 제1 필름(110) 상에 제2 필름(120)이 적층된 형태로 상기 절단 영역(A)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 흡입부(400)에 의해 상기 제1 필름(110)을 흡입하며, 상기 제1 상부 상하 조절부(821)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흡입부(600), 구체적으로, 상부 흡입부(600) 및 절단부(300)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 상하 조절부(840)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 및 하부 흡입부(400), 구체적으로,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를 상승시켜 상기 상부 흡입부(600)에 의해 상기 제2 필름(120)을 흡입하고, 상기 절단부(300)를 통해 상기 제1 필름(110) 및 제2 필름(120)을 절단하며, 상기 하부 흡입부(400)를 통해 절단 시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흡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필름(110) 및 제2 필름(120)의 절단 부위는 각 필름의 중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름(110) 및 제2 필름(120)의 절단 부위는 상기 절단부(300)가 위치하는 상부 흡입부(600)의 중심, 즉,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20)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연결 장치를 통해 절단모드를 수행함으로써, 필름 절단 시 필름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절단모드에서, 하부 흡입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영역을 통해 제1 필름을 흡입하고, 또 다른 흡입영역을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단모드에서 하부 흡입부의 흡입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 모드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작업 플레이트의 절단 영역에서 부착 영역으로 이송시키는 모드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이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이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이송모드에서, 상부 흡입부(600) 및 하부 흡입부(400)의 흡입을 중지하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112, 121)이 절단 영역(A)에 안착되고, 상기 접합 영역(112, 121) 이외에 제거될 제1 필름의 제거 영역(미도시)이 하부 제거부를 통해 제거되며, 상기 접합 영역 이외에 제거될 제2 필름의 제거 영역(미도시)이 필름 공급부로 권취되어 제거되고, 상기 상부 흡입부(600)를 통해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112, 121)을 흡입하고, 제1 상부 상하 조절부(821)에 의해 상기 절단부(300), 상부 흡입부(600) 및 부착부(7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후,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전후 조절부(810)에 의해 상기 상부 흡입부(600)가 부착 영역(B)과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절단부(300), 상부 흡입부(600) 및 부착부(700)를 이동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상부 흡입부(600)가 부착 영역(B)과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하부 전후 조절부(830)에 의해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 모드를 통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이동시킴으로써,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송모드에서, 상기 하부 제거부(500)를 회전시켜 제1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상부 흡입부(600)의 제2 영역(620)을 상승시킨 후,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이 필름 공급부로 권취되어 상기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흡입부(600)의 제1 영역(610)은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흡입하므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이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모드에서, 제1 상부 상하 조절부(821)에 의해 상기 상부 흡입부(600)를 하강시키거나, 및/또는, 하부 상하 조절부(840)에 의해 작업 플레이트(200) 및 하부 흡입부(400)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 흡입부(600)의 흡입을 중지하여,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이 부착영역(B)에 안착되면, 상기 하부 흡입부(400)는 적어도 둘의 흡입영역을 통해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구체적으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흡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부착모드는 부착 영역에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부착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도 13 내지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부착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부착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름 연결 장치를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부착모드에서, 제1 상부 상하 조절부(821)에 의해 상기 상부 흡입부(600)를 상승시키거나, 및/또는 하부 상하 조절부(840)에 의해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부착모드에서, 상기 부착부(700)가 부착영역(B)과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전후 조절부(810)에 의해 상기 상부 흡입부(600) 및 부착부(700)를 이동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부착부(700)가 부착영역(B)과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전후 조절부(830)에 의해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부착모드에서, 상기 제2 상부 상하 조절부(822)를 하강시켜 상기 부착부(700)를 부착영역(B)으로 이동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하부 상하 조절부(840)를 상승시켜 상기 작업 플레이트(200), 하부 흡입부(400) 및 하부 제거부(500)를 상승시켜 상기 부착영역(B)을 부착부(700)로 이동시키고, 상기 부착영역(B)에 안착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 각각의 접합 영역(112, 121)에 부착부재(7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부착모드에서, 부착부(700)를 회전시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112, 121)에 부착부재(710)를 부착시킴으로써,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부착모드를 통해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함으로써,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름 연결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제1 필름의 접합 영역(112)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121)이 부착부재(7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필름 및 제 2 필름의 절단면(1121, 121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름 간 절단 시, 제1 필름 및 제 2 필름의 절단면(1121, 1211)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710)와 접합 영역(112, 121)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이 개선된걸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필름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필름 연결 방법은 전술한 필름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필름 연결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필름 연결 장치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필름 연결 방법은 절단 단계, 이송 단계 및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필름 연결 방법에 의하면 필름 절단 시 필름 절단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필름 간 연결 시 부착부재와 접합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연결 방법은 전술한 필름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필름 연결 장치에 포함된 구성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절단 단계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절단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절단 모드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절단 모드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 단계는 상기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 영역에서 상기 부착 영역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송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이송 모드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이송 모드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부착 단계는 상기 부착 영역으로 이동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부착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부착 모드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부착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부착 모드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110: 제1 필름
111: 제1 필름의 제거 영역
112: 제1 필름의 접합 영역
1121: 제1 필름의 절단면
120: 제2 필름
121: 제2 필름의 접합 영역
122: 제2 필름의 제거 영역
1211: 제 2 필름의 절단면
200: 작업 플레이트
300: 절단부
400: 하부 흡입부
500: 하부 제거부
600: 상부 흡입부
610: 제1 영역
620: 제2 영역
621: 제2 영역의 상하 조절부
700: 부착부
710: 부착부재
720: 부착롤
800: 이동 조절부
810: 상부 전후 조절부
820: 상부 상하 조절부
821: 제1 상부 상하 조절부
822: 제2 상부 상하 조절부
830: 하부 전후 조절부
840: 하부 상하 조절부
900: 상부 부착층
1000: 하부 부착층
1100: 메쉬층
A: 절단 영역
B: 부착 영역
←: 후진방향, 제1 방향, 전방
→: 전진방향, 제2 방향, 후방

Claims (20)

  1.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각각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
    필름 공급부를 통해 제1 필름 상에 제2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안착되는 절단 영역 및 절단 영역과 이격된 부착 영역을 갖는 작업 플레이트;
    작업 플레이트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
    작업 플레이트가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흡입영역을 갖는 하부 흡입부;
    작업 플레이트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흡입영역을 가지며,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2 영역을 갖는 상부 흡입부;
    하부 흡입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제1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하기 위한 하부 제거부;
    작업 플레이트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부착부재로 연결하기 위한 부착부; 및
    상부 및 하부 흡입부, 절단부 및 부착부를 제어하며, 절단 영역에서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 모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 영역에서 부착 영역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모드 및 부착 영역에서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부착을 수행하는 부착 모드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이송모드에서,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이 절단 영역에 안착되고, 접합 영역 이외에 제거될 제1 필름의 제거 영역이 하부 제거부를 통해 제거되며, 상기 접합 영역 이외에 제거될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이 필름 공급부로 권취되어 제거되고, 상기 상부 흡입부를 통해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을 흡입하며, 부착 영역이 상부 흡입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작업 플레이트, 하부 흡입부 및 하부 제거부, 또는 절단부, 상부 흡입부 및 부착부를 이동시키는 필름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절단 모드에서, 상기 하부 흡입부에 의해 상기 제1 필름을 흡입하고, 상기 상부 흡입부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 흡입부에 의해 상기 제2 필름을 흡입하며, 상기 절단부를 통해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하고, 상기 하부 흡입부를 통해 절단 시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흡입을 수행하는 필름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절단 모드에서, 하부 흡입부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영역을 통해 제1 필름을 흡입하고, 또 다른 흡입영역을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 필름 연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송모드에서, 하부 제거부를 회전시켜 제1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상부 흡입부의 제2 영역을 상승시킨 후,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이 필름 공급부로 권취되어 상기 제2 필름의 제거 영역을 제거하는 필름 연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모드에서, 하부 흡입부는 접합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이 부착영역에 안착되면, 적어도 2개의 흡입영역을 통해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흡입하는 필름 연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부착모드에서, 부착부를 이동시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에 부착부재를 부착시킴으로써,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하는 필름 연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부착모드에서, 부착부를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접합 영역으로 하강시킨 후 회전시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하는 필름 연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부착부는 부착부재를 흡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홀을 갖는 부착롤을 포함하는 필름 연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절단부는 원형 휠 형태 또는 스틱 형태의 나이프로 이루어진 절단 부재를 포함하는 필름 연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흡입부는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하는 필름 연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흡입부는 하부에 발포실리콘을 포함하는 상부 부착층이 마련되는 필름 연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부 부착층은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하는 필름 연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 플레이트는 부착영역에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하는 필름 연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영역에는 상부에 발포실리콘 및 니켈 메쉬의 혼합물, 또는 발포실리콘 및 세라믹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부 부착층이 마련되는 필름 연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하부 부착층은 직경이 2 mm 내지 6 mm인 홀을 복수 개 구비하는 필름 연결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하부 부착층 상부에 적층된 메쉬층이 마련되는 필름 연결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메쉬층은 100 mesh 내지 150 mesh의 홀을 복수 개 구비하는 필름 연결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부재는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과 마주하는 방향에 부착면을 가지는 단면 테이프인 필름 연결 장치.
  20. 제 1 항에 따른 필름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 단계;
    상기 절단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 영역에서 상기 부착 영역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송 단계; 및
    상기 부착 영역으로 이동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하는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 연결 방법.
KR1020220126407A 2021-10-12 2022-10-04 필름 연결 장치 KR102590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998 2021-10-12
KR20210134998 2021-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26A KR20230052226A (ko) 2023-04-19
KR102590982B1 true KR102590982B1 (ko) 2023-10-19

Family

ID=8614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407A KR102590982B1 (ko) 2021-10-12 2022-10-04 필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981B1 (ko) 2023-07-21 2023-10-27 주식회사제이에스텍 이차전지 전극 제조공정용 언와인딩 장치
KR102661167B1 (ko) 2023-10-23 2024-04-26 주식회사제이에스텍 이차전지 전극 제조공정용 언와인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962B1 (ko) 2011-09-27 2013-05-02 주식회사수성기술 필름 스플라이서
KR101705191B1 (ko) * 2016-09-21 2017-02-10 (주) 씨오텍 맞대기 이음 방식의 원단 자동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524B1 (ko) * 2016-10-20 2020-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연결 장치
KR20180064605A (ko) * 2016-12-05 2018-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가공용 워크 테이블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962B1 (ko) 2011-09-27 2013-05-02 주식회사수성기술 필름 스플라이서
KR101705191B1 (ko) * 2016-09-21 2017-02-10 (주) 씨오텍 맞대기 이음 방식의 원단 자동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26A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982B1 (ko) 필름 연결 장치
JP2010284772A (ja) シート材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07284A (ko) 점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의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US10475676B2 (en) Workpiece processing method
JP2009194064A (ja) 基板への接着フィルム貼付け装置及び貼付け方法
JP5015857B2 (ja) 保護テープ貼付け装置
JP2001135840A (ja) 光電変換モジュールのトリミ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4746017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US20020178883A1 (en) Semiconductor wafer cutting method
JP6386866B2 (ja) 離間装置および離間方法
WO2016186192A1 (ja) フィルムを貼り合せる装置
JP6298381B2 (ja) 基板貼合せ方法および基板貼合せ装置
TWI495531B (zh) Laser processing device and laser processing method
JP2021108402A (ja) 粘着テープ貼付け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JP2008066522A (ja) 基板貼合せ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2018006618A (ja) 拡張装置及び拡張方法
JP5554100B2 (ja) シート切断方法およびシート切断装置
JP2020068322A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JP2007088038A (ja) 貼替装置及び貼替方法
WO2023085074A1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JP2019046982A (ja) テープ貼着装置およびテープ貼着方法
JP2019197805A (ja) Dafの破断起点形成装置及びdaf貼着装置
JP7285133B2 (ja) シート材貼付け方法およびシート材貼付け装置
JP2011073872A (ja) シート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JP6706979B2 (ja) 拡張装置及び拡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