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880B1 -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880B1
KR102590880B1 KR1020217009053A KR20217009053A KR102590880B1 KR 102590880 B1 KR102590880 B1 KR 102590880B1 KR 1020217009053 A KR1020217009053 A KR 1020217009053A KR 20217009053 A KR20217009053 A KR 20217009053A KR 102590880 B1 KR102590880 B1 KR 10259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composition
ppm
dendrimer
tire
tire sea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887A (ko
Inventor
와이 퀑 칭
안젤린 위드자자
쿤 펑 램
Original Assignee
액티브 툴스 인터내셔널 (에이치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티브 툴스 인터내셔널 (에이치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액티브 툴스 인터내셔널 (에이치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3Sealing compositions or agents, e.g. combined with propellant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08L7/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3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5Dendritic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1Particle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3/00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81/00
    • C08G83/002Dendritic macromolecules
    • C08G83/003Dendrimers
    • C08G83/004After treatment of dendri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라텍스 에멀젼, 계면활성제, 동결 방지제, 덴드리머 및 물, 및 습윤제 및 다공성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적인 성분(들)을 포함하는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이 개시된다.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은 고온 안정성 및/또는 장기 안정성이 탁월하다.

Description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본 출원은 타이어 수리용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엔 관한 것이고, 더욱 특히 타이어 펑크 수리용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타이어는 도로 위의 단단한 물체에 의해 펑크가 날 수 있고, 펑크 난 타이어는 불안정하게 굴러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차량의 운전자에게 신체적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일종의 액체 실란트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임시 응급 방법으로서, 액체 실란트 조성물은 펑크 난 타이어를 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차량은 수리소에 도착할 때까지 계속 이동할 수 있다.
현재, 시판중인 액체 실란트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밀봉 성능을 제외하고, 액체 실란트 조성물의 안정성은, 특히 천연 라텍스를 포함하는 액체 실란트 조성물에서 또한 중요하다. 액체 실란트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액체 실란트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 실란트 조성물에 첨가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안정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특히 저온에서 액체 실란트의 높은 점도를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WO2018021239A1은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수지 에멀젼, 동결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며, 여기서 킬레이트화제의 함량은 0.1 질량% 이상인 탁월한 주입성(injectability)을 갖는 타이어 펑크 실란트; 및 이 타이어 펑크 실란트를 사용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현재, 그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실란트의 더욱 개선된 안정성을 여전히 필요로 한다.
WO2017070837A1은 타이어 수리용 실란트에 관한 것이고, 더욱 특히, 타이어 펑크 수리용 실란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계면활성제는 라텍스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실란트의 더욱 개선된 안정성을 여전히 필요로 한다.
US20150166848A1은 라텍스 에멀젼, 나노다공성 입자, 계면활성제, 동결 방지제, 습윤제, 및 물을 포함하는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하고, 여기서 습윤제 및 pH-조절제는 실란트 조성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그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실란트의 더욱 개선된 안정성을 여전히 필요로 한다.
US9126375B2는 용해 및 용해되지 않은 천연 바이오-물질, 동결 방지제 및 다른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밸브-관통 타이어 펑크 실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란트 조성물은 몇 가지 장점: 환경 친화적, 미미한 침강, 긴 저장-수명 등을 갖지만, 그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실란트의 더욱 개선된 안정성이 여전히 필요하다.
US20150152302A1은 80-95 wt% 액체 담체, 0.1-10 wt% 수용성 중합체로부터 유래된 겔 물질, 1-10 wt% 라텍스 에멀젼, 0.1-5 wt% 경질 입자, 및 0.1-5 wt%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실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계면활성제는 실란트 조성물의 안정성 및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시 사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실란트 조성물의 더욱 개선된 안정성을 여전히 필요로 한다.
많은 실란트 조성물 제품이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실란트 조성물 제품이 사용될 경우, 이들은 안정성 문제, 특히 고온, 예컨대 70℃ 초과에서 불안정함을 야기할 수 있고, 이들은 장기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목적 중 하나는 선행 기술에서 실란트 조성물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을 위한 새로운 안정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은 타이어의 펑크에 대한 양호한 밀봉 성능뿐만 아니라 고온하의 탁월한 안정성을 달성한다. 더욱이,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은 장기간 안정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
상기 확인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라텍스 에멀젼, 계면활성제, 동결 방지제, 덴드리머 및 물, 및 습윤제 및 다공성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적인 성분(들)을 포함하는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동결 방지제의 중량 퍼센트는 20 wt% 내지 95 wt%, 바람직하게는 25 wt% 내지 94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wt% 내지 93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wt% 내지 92 wt%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동결 방지제의 중량 퍼센트는 40 wt%, 50 wt% 또는 90 wt%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동결 방지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및 1,3-프로판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라텍스 에멀젼의 중량 퍼센트는 0.01 wt%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0.05 wt% 내지 1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 wt% 내지 13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0.08 wt% 내지 12 wt%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라텍스 에멀젼의 중량 퍼센트는 1 wt% 내지 10 wt%, 1 wt% 내지 5 wt%, 0.1 wt%, 1 wt% 또는 10 wt%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라텍스 에멀젼 대 계면활성제의 질량비는 1:5 내지 3:1이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덴드리머의 중량 퍼센트는 50 ppm 내지 40000 ppm, 바람직하게는 60 ppm 내지 300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ppm 내지 25000 ppm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덴드리머의 중량 퍼센트는 50 ppm 내지 40000 ppm, 100 ppm 내지 20000 ppm, 1000 ppm 내지 10000 ppm, 100 ppm, 1000 ppm, 2500 ppm, 5000 ppm, 10000 ppm 또는 20000 ppm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덴드리머는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덴드리머,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덴드리머, 및 1급 아민 표면을 갖는 덴드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계면활성제의 중량 퍼센트는 0.1 wt% 내지 10 wt%, 바람직하게는 0.2 wt% 내지 8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wt% 내지 7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wt% 내지 7 wt%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계면활성제의 중량 퍼센트는 0.3 wt%, 1 wt%, 2 wt%, 4 wt% 또는 5 wt%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습윤제의 중량 퍼센트는 0.001 wt% 내지 10 wt%, 바람직하게는 0.005 wt% 내지 8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7 wt% 내지 7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8 wt% 내지 6 wt%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습윤제의 중량 퍼센트는 0.01 wt%, 1 wt% 또는 5 wt%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습윤제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부티레이트 및 디메틸 숙시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다공성 입자는 제올라이트, 실리카 에어로겔, 메조다공성 실리카, 탄소 에어로겔, 메조다공성 탄소, 활성탄, 세노스피어, 규조토, 다공성 금속, 및 유기 킬레이트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다공성 입자의 중량 퍼센트는 0.001 wt% 내지 10 wt%, 바람직하게는 0.005 wt% 내지 8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7 wt% 내지 7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8 wt% 내지 6 wt%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다공성 입자의 중량 퍼센트는 0.01 wt% 내지 5 wt%, 0.01 wt% 내지 2 wt%, 0.1 wt% 내지 2 wt%, 0.5 wt% 내지 1.5 wt%, 0.01 wt%, 1 wt% 또는 5 wt%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은 동결-방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동결-방지 첨가제는 무기 염 및/또는 유기 염을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로서,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은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보조 첨가제는 부식-방지 첨가제, 살곤충제, pH-조절제, 소포제, 보존제, 착색제, 및 부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실란트 조성물을 위한 안정화제로서 덴드리머의 사용 또는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본 출원의 맥락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덴드리머를 포함하는 실란트 조성물을 위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물의 중량 퍼센트는 0.01 wt% 내지 90 wt%, 바람직하게는 0.1 wt% 내지 8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t% 내지 70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wt% 내지 55 wt%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물의 중량 퍼센트는 1.5 wt%, 32.5 wt%, 37.5 wt%, 40 wt%, 41 wt%, 41.5 wt%, 41.9 wt%, 42 wt%, 42.4 wt%, 42.5 wt%, 44.5 wt%, 45.5 wt%, 46.2 wt% 또는 51.5 wt%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덴드리머는 상이한 일련의 세대 및 상이한 표면 관능성 기를 갖는 에틸렌디아민-코어 (EDA-코어)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일 수 있다.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는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1급 아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및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0.5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실란트 조성물은 상이한 종류의 덴드리머를 함께 혼합함으로써 복합 덴드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덴드리머는 상이한 종류의 표면 관능성 기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덴드리머의 중량 퍼센트는 50 ppm 내지 40000 ppm, 바람직하게는 60 ppm 내지 300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ppm 내지 25000 ppm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덴드리머의 중량 퍼센트는 100 ppm, 1000 ppm, 2500 ppm, 5000 ppm, 10000 ppm 또는 20000 ppm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케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SDS)일 수 있다. SDS는 실란트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실란트 조성물에서 라텍스 에멀젼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실란트 조성물은 상이한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함께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복합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복합 계면활성제를 형성하기 위한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실란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라텍스 에멀젼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복합 계면활성제는 상이한 종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또는 상이한 종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실란트 조성물은 실란트 조성물의 습윤성, 점도, 및 확산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습윤제 (예를 들어, 알콜,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한다. 습윤제는 실란트 조성물이 타이어의 단부 표면 영역으로 보다 쉽게 확산될 수 있도록, 실란트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실란트 조성물은 타이어의 접지면 영역 밖으로 펑크를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습윤제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부티레이트, 디메틸 숙시네이트, 또는 다른 화학 물질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습윤제가 실란트 조성물로 첨가된 경우 실란트 조성물의 표면 장력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이러한 습윤제는 낮은 표면 장력을 갖는다. 본 출원에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습윤제의 중량 퍼센트는 0.01% 내지 5%의 범위이다. 습윤제가 실란트 조성물의 접촉각을 감소시키는 것이 분명하다. 한편, 습윤제는 실란트 조성물의 동결-방지 효과 및 안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단위 "ppm"은 질량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이는 1 wt% = 10000 ppm인 전환 계수를 기준으로 "wt%"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
하기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란트 조성물은 두 파트를 함께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첫 번째 파트, 파트 A는 물/용매, 계면활성제, 나노다공성 입자, 동결 방지제, 습윤제, 및 덴드리머를 함유한다.
두 번째 파트, 파트 B는 물/용매 및 라텍스를 함유한다.
전형적인 제조에서, 파트 A를 파트 B에 첨가한다. 최종 조성물의 pH는 NaOH, KOH, 암모니아, 및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알칼리를 첨가하여 8.5 초과로 조정된다.
<평가>
실란트 조성물 성능은 300 ml의 제조된 실란트 조성물을 고압, 바람직하게는 3-7 bar하에 호스를 통해 195/65 R15 노화된 타이어에 주입함으로써 시험된다. 8mm 미만인 길이를 갖는 스파이크도 타이어에 형성된 펑크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이어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은 20km 미만으로 주행하도록 구동된다. 차량이 2-5km 주행할 때마다, 내부 타이어 압력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공기 누출을 확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란트 조성물에 의해 야기되는, 타이어 펑크에 대한 밀봉 효과를 전술한 방법에 의해 기록할 수 있다. 내부 타이어 압력의 감소가 0.2 bar 미만이면, 실란트 조성물이 타이어 펑크를 성공적으로 밀봉한다는 것, 즉, 실란트 조성물의 밀봉 성능이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타이어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후, 타이어는 타이어 펑크가 위쪽을 향한 채,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밀봉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압력 감소는 24-시간 또는 48-시간 후에 다시 측정될 수 있다.
실란트 조성물의 저장 수명은 정적 노화 시험 및 열 동적 시험에 의해 시험될 수 있다. 정적 노화 시험에서는, 실란트 조성물을 70℃ 이상의 온도에서 40일 초과 동안 오븐에 넣고, 이와 같이 밀봉 성능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공되어 있다.
제조된 실란트 조성물의 실시예 및 그의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ㆍ 실시예 1
실란트 조성물은: 42.4 wt% 물, 1 wt% 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4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실리카 에어로겔,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글리세린, 1 wt% n-프로판올, 및 0.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2
실란트 조성물은: 32.5 wt% 물, 1 wt% 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4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실리카 에어로겔,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글리세린, 1 wt% n-프로판올, 및 10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3
실란트 조성물은: 41.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1 wt% 메조다공성 실리카, 5000 ppm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디에틸렌 글리콜, 1 wt% 에탄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4
실란트 조성물은: 46.2 wt% 물, 0.3 wt%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1 wt% 메조다공성 실리카, 5000 ppm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디에틸렌 글리콜, 1 wt% 에탄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5
실란트 조성물은: 51.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탄소 에어로겔, 5000 ppm 1급 아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4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6
실란트 조성물은: 1.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탄소 에어로겔, 5000 ppm 1급 아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9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7 (습윤제 없음)
실란트 조성물은: 42.5 wt% 물, 5 wt% 폴리옥시알킬렌 알케닐 에테르, 1 wt% 메조다공성 탄소,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1,3-프로판디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8
실란트 조성물은: 42.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메조다공성 탄소,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1,3-프로판디올, 0.01 wt% n-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9
실란트 조성물은: 37.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메조다공성 탄소,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1,3-프로판디올, 5 wt% n-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0 (나노다공성 입자 없음)
실란트 조성물은: 42.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5000 ppm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에탄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1
실란트 조성물은: 42.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0.01 wt% 실리카 에어로겔, 5000 ppm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에탄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2
실란트 조성물은: 37.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5 wt% 실리카 에어로겔, 5000 ppm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에탄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3 (나노다공성 입자 및 습윤제 없음)
실란트 조성물은: 43.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5000 ppm 1급 아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4
실란트 조성물은: 42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코코알킬 아민, 1 wt% 활성탄, 1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5
실란트 조성물은: 41.9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활성탄, 1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6
실란트 조성물은: 41.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실리카 에어로겔,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7
실란트 조성물은: 41 wt% 물, 5 wt%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이트, 1 wt% 실리카 에어로겔, 10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8
실란트 조성물은: 40 wt% 물, 5 wt%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이트, 1 wt% 세노스피어, 20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19 (비교: 덴드리머, 나노다공성 입자, 및 습윤제 없음)
실란트 조성물은: 44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20
실란트 조성물은: 41.5 wt% 물, 5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실리카 에어로겔, 25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2500 ppm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21
실란트 조성물은: 42.5 wt% 물, 4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실리카 에어로겔,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22
실란트 조성물은: 44.5 wt% 물, 2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실리카 에어로겔,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ㆍ 실시예 23
실란트 조성물은: 45.5 wt% 물, 1 wt%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wt% 실리카 에어로겔, 5000 ppm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EDA-코어 G2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50 wt% 프로필렌 글리콜, 1 wt% 이소프로판올, 및 1 wt% 천연 라텍스를 포함한다.
표 1: 평가 결과
Figure 112021035595903-pct00001
Figure 112021035595903-pct00002
표 1에 나타낸 결과에 따르면, 덴드리머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19 (비교)의 실란트 조성물의 고온하의 밀봉 성능은 좋지 않았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덴드리머를 갖는 실시예 1-18 및 20의 실란트 조성물의 고온하의 밀봉 성능은 상기 실시예 19 (비교)보다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덴드리머가 선행 기술에서 실란트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입증하고 실란트 조성물을 위한 안정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여, 본 출원의 실란트 조성물은 타이어의 펑크에 대한 양호한 밀봉 성능뿐만 아니라 고온하의 탁월한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결과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덴드리머가 실란트 조성물을 위한 안정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입증한다.
또한, 실시예 16을 실시예 21-22와 비교함으로써, 덴드리머의 사용이 고온하의 실란트 조성물의 밀봉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명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계면활성제의 양은 1 wt%, 2 wt%, 또는 4 wt%로 감소될 수 있어, 계면활성제의 양은 가능한 최소로 유지될 수 있지만 고온하의 실란트 조성물의 밀봉 성능은 여전히 유지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것은 덴드리머가 실란트 조성물을 안정화하기 위한 안정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덴드리머가 본 발명의 실란트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를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추가 증거이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계면활성제 대신 덴드리머의 사용은, 특히 저온에서 계면활성제,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야기되는 액체 실란트의 고 점도의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란트 조성물에 더 적은 양의 계면활성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본 출원의 실란트 조성물은 타이어의 펑크에 대한 양호한 밀봉 성능을 달성한다. 또한, 실란트 조성물은 장기적으로 더욱 적합하고, 사용하기 쉽고 부패하지 않으며, 긴 저장 수명을 갖고, 이것은 실란트 조성물에 좋은 시장 전망을 부여한다.
본 출원은 상기-언급된 특정 구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 상기-언급된 특정 구현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의 영감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주제 및 청구범위의 보호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을 또한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은 본 출원의 보호에 속한다.

Claims (14)

  1. 라텍스 에멀젼, 계면활성제, 동결 방지제, 덴드리머 및 물을 포함하고, 추가로 습윤제 및 다공성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임의적인 성분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이며,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동결 방지제의 중량 퍼센트가 20 wt% 내지 95 wt%, 25 wt% 내지 94 wt%, 30 wt% 내지 93 wt%, 또는 35 wt% 내지 92 wt%의 범위이고,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라텍스 에멀젼의 중량 퍼센트가 0.01 wt% 내지 20 wt%, 0.05 wt% 내지 15 wt%, 0.06 wt% 내지 13 wt%, 또는 0.08 wt% 내지 12 wt%의 범위이고,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덴드리머의 중량 퍼센트가 50 ppm 내지 40000 ppm, 60 ppm 내지 30000 ppm, 또는 70 ppm 내지 25000 ppm의 범위이고,
    여기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계면활성제의 중량 퍼센트가 0.1 wt% 내지 10 wt%, 0.2 wt% 내지 8 wt%, 0.2 wt% 내지 7 wt%, 또는 0.2 wt% 내지 5 wt%의 범위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동결 방지제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및 1,3-프로판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라텍스 에멀젼 대 계면활성제의 질량비가 1:5 내지 3:1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덴드리머가, 숙신아미드산 표면을 갖는 덴드리머,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표면을 갖는 덴드리머, 및 1급 아민 표면을 갖는 덴드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습윤제의 중량 퍼센트가 0.001 wt% 내지 10 wt%, 0.005 wt% 내지 8 wt%, 0.007 wt% 내지 7 wt%, 또는 0.008 wt% 내지 6 wt%의 범위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습윤제가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부티레이트 및 디메틸 숙시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공성 입자가 제올라이트, 실리카 에어로겔, 메조다공성 실리카, 탄소 에어로겔, 메조다공성 탄소, 활성탄, 세노스피어, 규조토, 다공성 금속, 및 유기 킬레이트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란트 조성물에서의 다공성 입자의 중량 퍼센트가 0.001 wt% 내지 10 wt%, 0.005 wt% 내지 8 wt%, 0.007 wt% 내지 7 wt%, 또는 0.008 wt% 내지 6 wt%의 범위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결-방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동결-방지 첨가제는 무기 염 및/또는 유기 염을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보조 첨가제는 부식-방지 첨가제, 살곤충제, pH-조절제, 소포제, 보존제, 착색제, 및 부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17009053A 2018-08-30 2018-08-30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KR102590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3211 WO2020042075A1 (en) 2018-08-30 2018-08-30 Tire sealant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887A KR20210049887A (ko) 2021-05-06
KR102590880B1 true KR102590880B1 (ko) 2023-10-19

Family

ID=6964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053A KR102590880B1 (ko) 2018-08-30 2018-08-30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993036B2 (ko)
EP (1) EP3844222B1 (ko)
JP (1) JP7208357B2 (ko)
KR (1) KR102590880B1 (ko)
CN (1) CN112930373A (ko)
AU (1) AU2018438788B2 (ko)
CA (1) CA3110919A1 (ko)
ES (1) ES2965885T3 (ko)
PL (1) PL3844222T3 (ko)
WO (1) WO2020042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0358A (zh) 2015-12-31 2018-11-06 聚合物胶粘剂密封胶系统公司 用于具有密度改性剂的柔性密封剂的系统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4895A (zh) 2009-03-26 2009-09-09 上海大学 超支化聚合物接枝无机纳米粉体增强工程轮胎胎面胶性能的方法
CN103333346A (zh) * 2013-06-14 2013-10-02 华南理工大学 一种可自愈合的超支化弹性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403109A (zh) 2014-11-28 2015-03-11 华南理工大学 一种反应性树状聚酰胺胺橡胶防老剂的制备方法
CN104725885A (zh) 2013-12-18 2015-06-24 精联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胶组合物
JP2015129216A (ja) 2014-01-07 2015-07-16 トップ アライアンス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シーラント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47B1 (ko) * 2000-11-28 2003-09-2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알킬렌글리콜로 치환된 다가반응성(multi-reactive)규소화합물 및 그제조방법
FR2946051B1 (fr) 2009-06-02 2012-12-28 Michelin Soc Tech Composition elastomere a base d'un copolymere thermoplastique,objet pneumatique pourvu d'une couche etanche aux gaz constituee d'une telle composition
US8138128B2 (en) * 2009-08-25 2012-03-2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Radiation-induced thickening for set-on-command sealant compositions
HK1145125A2 (en) 2010-11-11 2011-04-01 Top Alliance Technology Ltd A seal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it
JP2013006949A (ja) * 2011-06-24 2013-01-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EP2951220B1 (en) 2013-02-04 2020-11-25 Pilot Polymer Technologies, Inc. Salt-tolerant star macromolecules
US9260642B2 (en) 2013-12-04 2016-02-16 Top Alliance Technology Limited Seal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10174227B2 (en) 2013-12-18 2019-01-08 Top Alliance Technology Limited Sealant composition
KR102199045B1 (ko) 2014-01-21 2021-01-08 탑 얼라이언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실란트 조성물
US10479926B2 (en) 2015-02-17 2019-11-1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olyamino-functionalized nanoparticles as hardeners for particulate consolidation
EP3294535B1 (en) 2015-05-15 2020-07-08 Bridgestone Corporation Tyre sealant layer
JP6945919B2 (ja) 2015-10-27 2021-10-06 トップ アライアンス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タイヤ修理用シーラント
MX2018005552A (es) 2015-11-06 2018-11-09 Trydel Res Pty Ltd Composicion sellante.
JP6658380B2 (ja) 2016-07-25 2020-03-0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4895A (zh) 2009-03-26 2009-09-09 上海大学 超支化聚合物接枝无机纳米粉体增强工程轮胎胎面胶性能的方法
CN103333346A (zh) * 2013-06-14 2013-10-02 华南理工大学 一种可自愈合的超支化弹性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725885A (zh) 2013-12-18 2015-06-24 精联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胶组合物
JP2015129216A (ja) 2014-01-07 2015-07-16 トップ アライアンス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シーラント組成物
CN104403109A (zh) 2014-11-28 2015-03-11 华南理工大学 一种反应性树状聚酰胺胺橡胶防老剂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4222A4 (en) 2022-04-13
EP3844222B1 (en) 2023-09-06
AU2018438788B2 (en) 2023-07-20
EP3844222C0 (en) 2023-09-06
US20210252810A1 (en) 2021-08-19
WO2020042075A1 (en) 2020-03-05
KR20210049887A (ko) 2021-05-06
EP3844222A1 (en) 2021-07-07
PL3844222T3 (pl) 2024-03-04
ES2965885T3 (es) 2024-04-17
AU2018438788A1 (en) 2021-05-06
JP2022502523A (ja) 2022-01-11
JP7208357B2 (ja) 2023-01-24
US11993036B2 (en) 2024-05-28
CN112930373A (zh) 2021-06-08
CA3110919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6298B2 (ja) シーラント組成物
WO2014158676A1 (en) Antifreeze agent for tire sealants
US10174227B2 (en) Sealant composition
KR102590880B1 (ko) 타이어 실란트 조성물
KR102199045B1 (ko) 실란트 조성물
CN114574160A (zh) 一种密封胶组合物
AU2013273741B2 (en) Sealant Composition
KR102510367B1 (ko) 타이어 수리용 실란트
US20140221535A1 (en) Tire Seal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WI567179B (zh) 一種密封膠組合物
JP2015117331A (ja) シーラント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101598759B1 (ko) 자동차 타이어용 실란트 조성물
CA2836978A1 (en) Sealant composition
KR20140106913A (ko) 타이어 실란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72115A (ja) パンクシーリング剤
WO2015066901A1 (zh) 一种密封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9099659A (ja) パンクシーリング剤
AU2013200613A1 (en) Tire Seal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