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574B1 -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574B1
KR102590574B1 KR1020220059677A KR20220059677A KR102590574B1 KR 102590574 B1 KR102590574 B1 KR 102590574B1 KR 1020220059677 A KR1020220059677 A KR 1020220059677A KR 20220059677 A KR20220059677 A KR 20220059677A KR 102590574 B1 KR102590574 B1 KR 10259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driving
unit
sens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프마이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프마이크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프마이크로
Priority to KR102022005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하여 차량용 부품의 크랙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되,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을 통해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 상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차량용 부품의 크랙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구동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Crack sensor device for simulating driving motion}
본 발명은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실제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한 상황에서 차량용 부품에 발생한 크랙을 감지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한 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2만 개가 넘는 부품을 사용하여 조립해야 하며, 각각의 부피가 사용되는 용도나 위치에 따라 천차만별로 그 부피가 큰 경우에는 손상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지만, 부피가 작은 부품의 경우에는 쉽게 발견하기가 어렵다.
또한, 다수의 홀을 가진 부품들은 이를 육안으로 검사할 경우 작업자의 눈에 피로도를 가중시키므로, 연속적인 작업으로 손상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손상된 부품이 차량 조립에 사용되는 경우 심각한 사고를 불러올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용 부품 검사의 자동화가 이루어지면서, 센서 방식, 카메라 방식, 레이저 방식, 광학 방식 등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검사는 검사환경이 특정되어 있어, 실제 자동차의 주행 중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크랙(Crack)을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검사방법에서는 아주 미세한 크랙을 검출하기 힘든 점이 있는데, 자동차의 주행 상황에서 크랙의 크기가 현저히 성장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내재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제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과 유사한 상황에서 차량용 부품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9722호 "차량부품 불량검사용 초음파 탐상장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을 통해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구동부 및 크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실제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과 유사한 상황에서 차량용 부품의 크랙을 감지함으로써, 평범한 충격이나 진동으로 발생하는 크랙이나 미세한 크랙을 감지할 수 있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는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하여 차량용 부품의 크랙을 감지하는 장치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되,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을 통해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 상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차량용 부품의 크랙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구동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다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되, 상하 구동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 2개의 축을 따라 전후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에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동작모듈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높이 및 각도를 판단하는 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판의 형태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축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수직 축 프레임 사이에 상기 연결판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외부 링, 상기 외부 링 내주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링 및 상기 내부 링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링은 내주면을 따라 기어치가 구비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링은 링의 형태로 상기 외부 링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부 링 프레임, 상기 내부 링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되, 회전 축이 상기 외부 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내부 링 구동모터 및 상기 내부 링 구동모터의 상기 회전 축 끝 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는 외주면이 상기 외부 링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가이드 홈과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링은 링의 형태로 한 쌍의 상기 수직 축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한 쌍의 구동 홈이 형성된 외부 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축 프레임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외부 링 프레임의 상기 구동 홈에 회전 축이 삽입되어 상기 외부 링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한 쌍의 외부 링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는 상기 차량용 부품을 감싸 암막상태로 만들고, 광원을 조사하는 암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막부는 상기 장착부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립 축 프레임, 다수의 상기 기립 축 프레임 상단 내측에 상기 장착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면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을 암막 상태로 만드는 암막 및 상기 고정 프레임 하면에 매립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는 상기 암막부 내부에 공기를 토출하여 바람이 부는 상황을 모사하는 공기 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토출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상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호스 및 내부가 빈 링의 형태로 다수의 상기 기립 축 프레임 중단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기호스와 연결되고,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공기 토출 홀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기 토출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부는 상기 공기 토출 링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토출 홀을 개폐하는 다수의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는 상기 공기 토출 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공기 토출 홀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댐퍼 플레이트 및 상기 댐퍼 플레이트 측면에 축 연결되어 상기 댐퍼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댐퍼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부는 상기 공기펌프와 연결되되, 상기 공기펌프에 고열 또는 저열의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탱크는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 프레임, 상기 공기탱크 프레임의 하면에 내장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 상기 공기탱크 프레임의 상면에 내장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쿨러 및 상기 쿨러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공기탱크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펌프와 연결되는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는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을 통해 실제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모사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용 부품의 크랙을 감지함으로써, 평범한 충격이나 진동으로 발생하는 크랙이나, 미세한 크랙이 현저히 성장하여 발생하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전에 차량용 부품에 대한 손상, 결함, 망실. 변경 등의 여부를 파악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검사자가 장치 제어를 통해 특정 주행 상황에 대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하여 차량용 부품의 크랙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다양한 주행 상황의 차량 움직임을 모사하고 나아가 특수한 상황까지도 모사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더블 체크를 통해 더욱 신뢰성 있게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a) 내지 (c)는 도 1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외부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내부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동모터 및 구동기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도 5의 장착부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에 암막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암막을 투영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암막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막부가 형성된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에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암막을 투영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공기 토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공기 토출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일부를 절개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공기 토출부에 공기탱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공기탱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a) 내지 (c)는 도 1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는 실제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모사하여 차량용 부품(P)의 크랙을 감지하는 장치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100), 구동부(200), 장착부(300), 센서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부품(P)은 자동차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차량용 부품(P)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0)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의 각 구성들의 하중을 바닥으로 분산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00)는 바람직하게,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수용공간에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하나 이상으로 지지부(100) 상면에 형성되되,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을 통해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0)는 장착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의 구동부(200)는 하나로 연결되어 동일하게 구동되는 것이 아닌, 높이와 각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각각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고정 브라켓(210), 액츄에이터(220) 및 조인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10)은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어 엑츄에이터(2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210)은 용접 접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엑츄에이터(2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220)는 고정 브라켓(210)에 연결되되, 상, 하 구동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엑츄에이터(220)는 상측으로 승강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유압방식, 기어방식 및 나사 축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승강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압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엑츄에이터(220)는 주행상황에 있어서 차량의 상, 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모사할 수 있다.
조인트(230)는 액츄에이터(220)와 장착부(300)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 2개의 축을 따라 전, 후, 좌, 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인트(230)는 유니버셜 조인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조인트(230)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230)는 다수의 엑츄에이터(220)의 높이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조인트(230)는 엑츄에이터(220)의 승하강에 따라 장착부(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구동부(200) 조작을 통해 차량용 부품(P)을 시험하고자 하는 주행 상황의 차량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다.
장착부(300)는 구동부(200) 상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차량용 부품(P)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300)는 하면이 조인트(230)의 상면과 연결되고, 모든 엑츄에이터(220)가 하강된 상태에서, 동일 수평선상으로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어 구동부(200)의 동작에 따라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300)는 차량용 부품(P)을 고정하는 다수의 장착돌기(300A)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300A)는 장착부(300)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돌기(300A)는 차량용 부품(P)의 크기, 모양, 부피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돌기(30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체결되는 형태로 차량용 부품(P)을 고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차량용 부품(P)의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400)는 차량용 부품(P)에 구비되어 장착부(300)에 장착되어 구동부(200)에 의해 모사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차량용 부품(P)상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지 않고, 초음파, 적외선, 전자파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센서부(400)는 진동 감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진동 감지 센서는 차량용 부품(P)상의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의 방향, 주기, 세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감지 센서는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진동 감지 센서는 압력에 따른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진동 감지 센서는 전기 신호가 생성되는 시간 간격에 따라 진동의 주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진동 감지 센서는 복수개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가 생성된 압력 센서의 위치에 따라 진동이 발생한 방향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진동 감지 센서는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진동 감지 센서는 3축 방향 중 위치가 변화하는 방향을 측정하여 진동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진동 감지 센서는 3축 방향으로의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여 진동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진동 감지 센서는 위치 변화가 측정되는 시간 간격에 따라 진동의 주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00)는 생성된 감지정보와 사용자로부터 기입력된 표준정보를 비교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정보는 차량용 부품(P)에 크랙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즉, 실사용 될 수 있는 바람직한 차량용 부품(P)에서 감지될 수 있는 진동에 대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400)는 감지정보와 기입력된 표준정보의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의 방향, 주기, 세기 등을 기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비교하여, 차량용 부품(P)에 크랙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크랙 발생 여부를 결과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센서부(400)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등의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법을 이용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 학습은 복수개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정보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 가능하도록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임의의 정보를 분류하는 기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계 학습은 관리자에 의해 분류된 복수개의 정보에 따라 임의의 정보를 분류 가능 하도록 학습 모델을 생성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복수개의 정보 자체를 분석하거나, 또는 군집화 과정을 수행하며 학습 모델을 생성하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지도 학습과 비지도 학습을 혼합하여 학습 모델을 생성하는 준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결과정보에는 크랙 위치, 크랙 종류, 크랙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구동부(200)를 구동시키고 구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제어부(500)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에 구비되는 각 구성들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모듈(510) 및 감지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모듈(510)은 구동부(200)에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모듈(510)은 액츄에이터(220)를 동작시키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IC(집적회로), 수동 소자 등 각종 전자소자를 집결, 배열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모듈(510)은 엑츄에이터(220) 하측 즉, 지지부(100)의 수용공간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지지부(1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감지모듈(520)은 구동부(200)의 동작을 감지하여, 구동부(200)의 높이 및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모듈(520)은 엑츄에이터(220)의 동작을 감지하여 차량용 부품(P)의 시험 상황을 판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IC(집적회로), 수동 소자 등 각종 전자소자를 집결, 배열시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감지모듈(520)은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s) 자이로스코프를 탑재하여 단위시간 당 각도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각도의 변화량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방향을 측정함으로써, 엑츄에이터(22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모듈(520)은 장착부(300)의 차량용 부품(P)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차량용 부품(P)이 검사되는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00)는 원격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원격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 받고,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구동부(2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부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의 동작을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a)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의 구동부(200)가 동작되기 전 상태이다.
이때, 장착부(300)에 장착된 차량용 부품(P)은 동일 수평선상으로 평행을 이루며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b)는 구동부(200)가 동작되어 장착부(300)에 장착된 차량용 부품(P)이 도면을 기준으로 후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도면 상에서의 가운데 전측에 위치하는 동작부(200)의 엑츄에이터(220)가 승강하고, 좌, 우 후측에 위치하는 동작부(200)의 엑츄에이터(220)는 동작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도면 상에서의 가운데 전측에 위치하는 동작부(200)의 조인트(230)는 후측으로 각도가 조절되고, 좌, 우 후측에 위치하는 동작부(200)의 조인트(230)는 후측의 내측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300)의 가운데 전측이 상승하고, 후측이 하강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c)는 구동부(200)가 동작되어 장착부(300)에 장착된 차량용 부품(P)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도면 상에서의 왼쪽 후측에 위치하는 동작부(200)의 엑츄에이터(220)가 승강하고, 가운데 전측에 위치하는 동작부(200)의 엑츄에이터(220)가 약간 승강하며, 오른쪽 후측에 위치하는 동작부(200)의 엑츄에이터(220)는 동작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도면 상에서의 가운데 전측 및 좌, 우 후측에 위치하는 동작부(200)의 조인트(230)는 우측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300)의 왼쪽이 상승하고, 오른쪽이 하강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는 구동부(200)가 연속으로 동작함으로써, 실제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용 부품(P)의 크랙을 감지하여, 평범한 충격이나 진동으로 발생하는 크랙이나, 미세한 크랙이 현저히 성장하여 발생하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외부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의 내부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구동모터 및 구동기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의 (a) 내지 (c)는 도 5의 장착부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의 장착부(30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착부(300)는 연결판(310), 수직 축 프레임(320), 외부 링(330), 내부 링(340) 및 장착 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310)은 판의 형태로 구동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판(310)은 하면이 조인트(230)의 상면과 연결되고, 모든 엑츄에이터(220)가 하강된 상태에서, 동일 수평선상으로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어 구동부(200)의 동작에 따라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판(310)은 구동부(200)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구동력을 차량용 부품(P)에 전달할 수 있다.
수직 축 프레임(320)은 한 쌍으로 연결판(310)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수직 축 프레임(320)은 각각 연결판(310)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외부 링(330) 및 내부 링(340)의 크기가 차량용 부품(P)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축 프레임(320)은 상단 내측에 외부 링(330)을 회동시키는 외부 링 구동모터(332)가 매립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직 축 프레임(320)은 외부 링(330) 및 내부 링(340)의 회동 시 회동되는 진동 및 회전력을 버틸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링(330)은 한 쌍의 수직 축 프레임(320) 사이에 연결판(310)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링(330)은 한 쌍의 수직 축 프레임(320) 상단에 형성되어, 연결판(310)과 상,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링(330)은 외부 링 프레임(331) 및 외부 링 구동모터(3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링 프레임(331)은 링의 형태로 한 쌍의 수직 축 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링 프레임(331)은 내주면을 따라 내주면을 따라 기어치가 구비된 가이드 홈(33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331a)은 외부 링 프레임(331)의 내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링 프레임(331)의 가이드 홈(331a)에 후술할 내부 링(340)이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링 프레임(331)은 외주면에 한 쌍의 구동 홈(331b)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구동 홈(331b)은 외부 링 프레임(331)이 수직 축 프레임(320)과 맞닿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구동 홈(331b)은 동일 수평선상으로 평행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홈(331b)에는 후술할 외부 링 구동모터(332)가 삽입된다.
외부 링 구동모터(332)는 한 쌍으로 수직 축 프레임(320) 내부에 매립되고 외부 링 프레임(331)의 구동 홈(331b)에 회전 축이 삽입되어 외부 링 프레임(331)을 회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링 구동모터(332)는 전원부(6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자체적인 전력 공급원이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외부 링(330)은 수직 축 프레임(320)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내부 링(340)은 외부 링(330) 내주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내부 링(340)은 내부 링 프레임(341), 내부 링 구동모터(342) 및 구동기어(34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링 프레임(341)은 링의 형태로 외부 링(330)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링 프레임(341)은 외부 링 프레임(331)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고, 직경은 외부 링 프레임(331)의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부 링 프레임(331)의 내주면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링 구동모터(34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내부 링 프레임(341) 내부에 내장되되, 회전 축이 외부 링(33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내부 링 구동모터(342)는 동일 수평선상으로 평행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링 구동모터(342)의 축은 외부 링 프레임(331)의 가이드 홈(331a)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홈(331a)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링 구동모터(342)는 전원부(6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자체적인 전력 공급원이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구동기어(343)는 내부 링 구동모터(342)의 회전 축 끝 단에 결합되되, 가이드 홈(331a)에 삽입되고, 가이드 홈(331a)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기어(343)은 내부 링 구동모터(342)의 회전 축이 관통하여 결합되고, 외주면이 외부 링 프레임(331)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가이드 홈(331a)과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모터(342)가 회전하여 구동기어(343)가 가이드 홈(331a)을 따라 회동할 때, 구동기어(343)의 기어치가 가이드 홈(331a)의 기어치와 어긋나지 않고 온전하게 맞물려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링(340)은 외부 링(330)의 가이드 홈(331a)을 따라 외부 링(330) 내주면으로 회동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350)은 내부 링(340) 내주면에 형성되되, 차량용 부품(P)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프레임(350)은 내부 링(340)의 지름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 프레임(350)은 차량용 부품(P)을 고정하는 다수의 장착돌기(300A)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300A)는 장착 프레임(35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돌기(300A)는 상기에서 설명한 장착돌기(3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이에 장착부(500)는 외부 링(330)링이 수직 축 수직 프레임(320)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동되고, 내부 링(340)이 외부 링(330)의 가이드 홈(331a)을 따라 외부 링(330) 내주면으로 회동됨으로써, 급커브 상황, 급경사 상황, 미끄러짐 상황 등 더욱 다양한 주행 상황에서의 차량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500)의 동작을 도 12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a)는 장착부(300)의 내부 링(340)이 회동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내부 링(340)의 내부 링 구동모터(342)가 동작되어, 구동기어(343)가 회전하고, 구동기어(343)의 기어치가 가이드 홈(331a)의 기어치와 맞물려 가이드 홈(331a)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부 링 프레임(341)이 기울어지도록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내부 링(340) 내주면에 형성되는 장착 프레임(350)의 각도 또한 내부 링(340)과 동일하게 조절됨으로써, 차량용 부품(P) 또한 동일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2의 (b)는 도 12의 (a) 상태에서 구동모터(342)가 더 동작되어 내부 링(340)이 기립된 상태이다.
이때, 장착부(300)는 도 12의 (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동되어 기립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는 상, 하측으로 원을 그리며 회동하는 상황에서 차량용 부품(P)의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2의 (c)는 도 12의 (b) 상태에서 장착부(300)의 외부 링(330)이 회동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외부 링(330)의 외부 링 구동모터(332)가 동작되어, 외부 링 프레임(341)이 수직 축 프레임(320)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동됨으로써,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외부 링(3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부 링(340)의 각도 또한 외부 링(330)과 동일하게 조절됨으로써, 내부 링(3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장착 프레임(350)에 장착된 차량용 부품(P) 또한 동일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외부 링(330)과 내부 링(340)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는 입체적인 구를 그리며 회동하는 상황에서 차량용 부품(P)의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에 암막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암막을 투영한 예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암막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는 암막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막부(700)는 차량용 부품(P)을 감싸 암막상태로 만들고, 광원을 조사하여 차량용 부품(P)의 광원에 대한 크랙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400)는 수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용 부품(P)에 반사되는 광원을 받아들여 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센서부(400)의 진동 감지 센서와 수광센서는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진동 감지 센서가 1차로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수광센서가 2차로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각각의 감지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센서부(400)는 수광센서를 구비하여 크랙에 대한 감지정보를 더블체크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암막부(700)는 기립 축 프레임(710), 고정 프레임(720), 암막(730) 및 광원(7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립 축 프레임(710)은 다수 개로 장착부(300)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기립 축 프레임(710)은 각각 장착부(300)의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고정 프레임(720), 암막(730) 및 광원(7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프레임(720)은 다수의 기립 축 프레임(710) 상단 내측에 장착부(3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프레임(720)은 다수의 기립 축 프레임(710) 상단에 형성되어, 장착부(300)와 상,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프레임(720)은 장착부(300)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암막(730)은 고정 프레임(720)의 하면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차량용 부품(P)을 암막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암막(730)은 천, 시트지, 블라인드 등의 암막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 빛을 차단하는 모든 물체나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암막(730)은 구동부(200)의 구동 시 움직이지 않도록 장착부(300)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광원(740)은 고정 프레임(720) 하면에 매립되어 차량용 부품(P) 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광원(740)은 Visible LED, Infrared LED, UV LED 등 광을 조사하는 LED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빛을 내는 모든 물체일 수 있다.
이러한 광원(740)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차량용 부품(P)에 반사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센서부(400)로 수광될 수 있다.
이에, 암막부(700)는 센서부(400)가 크랙에 대한 감지정보를 더블체크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막부가 형성된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에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암막을 투영한 예시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공기 토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공기 토출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일부를 절개한 예시도이고, 도 22는 도 17의 공기 토출부에 공기탱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공기탱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막부(700)가 형성된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1)는 공기 토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00)는 암막부(700) 내부에 공기를 토출하여 바람이 부는 상황을 모사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공기 토출부(800)는 공기펌프(810), 공기호스(820), 공기 토출 링(830) 및 댐퍼(8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펌프(810)는 고정 프레임(720) 상측, 즉 상면에 구비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공기펌프(81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의 부상력을 이용하여 토출하는 것으로, 피스톤식, 전자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기펌프(810)는 전원부(6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자체적인 전력 공급원이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공기펌프(8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구동여부 및 공기 토출 세기 등이 제어될 수 있다.
공기호스(820)는 공기펌프(810)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호스(820)는 공기펌프(810)의 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절곡되되, 고정 프레임(720)을 관통하여 기립 축 프레임(7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공기 토출 링(830)은 내부가 빈 링의 형태로 다수의 기립 축 프레임(710) 중단 내측에 형성되되, 공기호스(820)와 연결되고,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 토출 홀(831)이 형성되어 차량용 부품(P)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공기 토출부(800)는 공기를 토출하고 공기가 토출되는 세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속도의 주행 상황에서 공기 압력이 차량용 부품(P)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모사할 수 있다.
댐퍼(840)는 다수 개로 공기 토출 링(83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토출 홀(831)을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댐퍼(840)는 댐퍼 플레이트(841) 및 댐퍼모터(842)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플레이트(841)는 공기 토출 홀(831)과 대응되는 형태로 공기 토출 홀(83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댐퍼 플레이트(841)는 후면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이 형성될 수 있다.
댐퍼모터(842)는 댐퍼 플레이트(841) 측면에 축 연결되어 댐퍼 플레이트(841)를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모터(842)는 공기 토출 링(830) 내부에 안착되고 댐퍼 플레이트(841) 측면으로 돌출된 회동 축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댐퍼모터(842)는 제어부(5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 개별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840)는 댐퍼 플레이트(841)가 공기 토출 홀(831)을 완전히 폐쇄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댐퍼 플레이트(841)가 공기 토출 홀(841)을 막는 정도를 조절하여 공기 토출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댐퍼(840)는 댐퍼모터(842)가 개별 제어됨으로써, 공기를 토출시킬 공기 토출 홀(841)만 개방하고, 토출시키지 않을 공기 토출 홀(841)은 폐쇄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향에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토출부(8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만 공기를 토출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주행 상황에서 공기 압력이 차량용 부품(P)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모사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공기토출부(800)는 공기탱크(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탱크(850)는 공기펌프(810)와 연결되되, 공기펌프(810)에 고열 또는 저열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3을 참조하면, 공기탱크(850)는 공기탱크 프레임(851), 열선(852), 쿨러(853) 및 배관(85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탱크 프레임(851)은 내부에 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탱크 프레임(851)은 공기펌프(810)와 인접하도록 고정 프레임(720)의 상측, 즉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기펌프(810)와 이격되어 바닥에 구비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탱크 프레임(851)에 저장되는 공기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열선(852)은 공기탱크 프레임(851)의 하면에 내장되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열선(852)은 전원부(6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자체적인 전력 공급원이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력이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열된 공기가 공기토출부(800)를 통해 차량용 부품(P)으로 토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뜨거운 공기가 차량용 부품(P)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모사할 수 있다.
쿨러(853)는 공기탱크 프레임(851)의 상면에 내장되어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쿨러(853)는 냉매 저장조(853a), 냉매 이동관(853b), 냉매 차단밸브(853c) 및 쿨링관(853d)를 포함하는 수냉식 쿨러를 사용할 수 있다.
냉매 저장조(853a)는 냉매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냉매는 물, 오일, 가스를 응축시킨 액체 등 일반적으로 수냉식 쿨러에 사용되는 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냉매 저장조(853a)는 내부에 구비되는 펌프에 의해 저장된 냉매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냉매 이동관(853b)은 냉매 저장조(833a)에 저장된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이동관(853b)은 냉매 저장조(833a)와 공기탱크 프레임(851)을 관통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쿨링관(853d)을 연결할 수 있다.
냉매 차단밸브(853c)는 냉매 이동관(853b)에 연결되어, 냉매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차단밸브(853c)는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밸브, 글로브 밸브 등 전동 또는 수동으로 냉매를 차단하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쿨링관(853d)은 공기탱크 프레임(851) 상측의 상면에 내장되되, 냉매 저장조(853a)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공기탱크 프레임(851)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냉각된 공기가 공기토출부(800)를 통해 차량용 부품(P)으로 토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가운 공기가 차량용 부품(P)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모사할 수 있다.
배관(854)은 쿨러(853)와 인접하는 위치에 공기탱크 프레임(851)을 관통하여 공기펌프(8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차가운 공기는 부피가 작아져 무게가 무거워지고, 뜨거운 공기는 무거워진 차가운 공기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위쪽으로 이동하는 대류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배관(854)이 쿨러(853)와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야, 차가운 공기가 용이하게 공기펌프(810)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공기탱크(850)를 이용하여 뜨거운 공기 또는 차가운 공기가 차량용 부품(P)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모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기탱크(850) 내부에 액체를 투입하여 습도가 높은 상황, 결빙상황 등 더욱 다양한 상황을 모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 그 장치에 포함된 구성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100 : 지지부
200 : 구동부
210 : 고정 브라켓
220 : 액츄에이터
230 : 조인트
300 : 장착부
300A : 장착돌기
310 : 연결판
320 : 수직 축 프레임
330 : 외부 링
331 : 외부 링 프레임
331a : 가이드 홈
331b : 구동 홈
332 : 외부 링 구동모터
340 : 내부 링
341 : 내부 링 프레임
342 : 내부 링 구동모터
343 : 구동기어
350 : 장착 프레임
400 : 센서부
500 : 제어부
510 : 동작모듈
520 : 감지모듈
600 : 전원부
700 : 암막부
710 : 기립 축 프레임
720 : 고정 프레임
730 : 암막
740 : 광원
800 : 공기 토출부
810 : 공기펌프
820 : 공기호스
830 : 공기 토출 링
831 : 공기 토출 홀
840 : 댐퍼
841 : 댐퍼 플레이트
842 : 댐퍼모터
850 : 공기탱크
851 : 공기탱크 프레임
852 : 열선
853 : 쿨러
853a : 냉매 저장조
853b : 냉매 이동관
853c : 냉매 차단밸브
853d : 쿨링관
854 : 배관
P : 차량용 부품

Claims (12)

  1.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하여 차량용 부품의 크랙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바닥과 맞닿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되,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을 통해 주행 시 차량의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 상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차량용 부품의 크랙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구동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다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되, 상하 구동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구비되되,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 2개의 축을 따라 전후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에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동작모듈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높이 및 각도를 판단하는 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판의 형태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축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수직 축 프레임 사이에 상기 연결판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외부 링;
    상기 외부 링 내주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링 및
    상기 내부 링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차량용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링은,
    내주면을 따라 기어치가 구비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링은,
    링의 형태로 상기 외부 링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부 링 프레임;
    상기 내부 링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되, 회전 축이 상기 외부 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내부 링 구동모터 및
    상기 내부 링 구동모터의 상기 회전 축 끝 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는,
    외주면이 상기 외부 링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가이드 홈과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링은,
    링의 형태로 한 쌍의 상기 수직 축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한 쌍의 구동 홈이 형성된 외부 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축 프레임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외부 링 프레임의 상기 구동 홈에 회전 축이 삽입되어 상기 외부 링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한 쌍의 외부 링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는,
    상기 차량용 부품을 감싸 암막상태로 만들고, 광원을 조사하는 암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막부는,
    상기 장착부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립 축 프레임;
    다수의 상기 기립 축 프레임 상단 내측에 상기 장착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면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을 암막 상태로 만드는 암막 및
    상기 고정 프레임 하면에 매립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는,
    상기 암막부 내부에 공기를 토출하여 바람이 부는 상황을 모사하는 공기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상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호스 및
    내부가 빈 링의 형태로 다수의 상기 기립 축 프레임 중단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기호스와 연결되고,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공기 토출 홀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기 토출 링을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부는,
    상기 공기 토출 링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토출 홀을 개폐하는 다수의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공기 토출 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공기 토출 홀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댐퍼 플레이트 및
    상기 댐퍼 플레이트 측면에 축 연결되어 상기 댐퍼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댐퍼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부는,
    상기 공기펌프와 연결되되, 상기 공기펌프에 고열 또는 저열의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탱크는,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 프레임;
    상기 공기탱크 프레임의 하면에 내장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
    상기 공기탱크 프레임의 상면에 내장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쿨러 및
    상기 쿨러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공기탱크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펌프와 연결되는 배관을 포함하는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KR1020220059677A 2022-05-16 2022-05-16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KR10259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677A KR102590574B1 (ko) 2022-05-16 2022-05-16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677A KR102590574B1 (ko) 2022-05-16 2022-05-16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574B1 true KR102590574B1 (ko) 2023-10-19

Family

ID=8850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677A KR102590574B1 (ko) 2022-05-16 2022-05-16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5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918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카프마이크로 크랙 센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918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카프마이크로 크랙 센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9973B (zh) 用于检查涡轮叶片的检验系统
KR101490921B1 (ko) 자동차 부품의 품질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6188065B2 (ja) エレベータ用点検装置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JP5997761B2 (ja) 水中ロボット式ベント及び検査システム
CN113091698B (zh) 一种地面沉降监测装置以及监测方法
EP3489184A1 (en) Hoistway inspection device
KR102590574B1 (ko) 차량주행 모사 크랙센서 장치
JP698924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CN102812327B (zh) 旋转激光照射系统与旋转激光系统
JP2018039075A (ja) 建築物点検ロボット
JP6760601B2 (ja) 天井制気口用測定装置
CN216112795U (zh) 一种管道智能巡检机器人
KR20170074519A (ko) Lng 탱크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543531B1 (ko) 원자로 이물질 제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원자로
JP4626561B2 (ja) レーザ墨出し器
KR100596334B1 (ko) 기판 외관 검사 장치
KR101922215B1 (ko)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JP7274208B2 (ja) 光学系設計情報管理システム
KR100530267B1 (ko) 원판그래스의 마크로 검사장치
CN213546982U (zh) 一种全自动封网/拆网伸缩式跨越架
CN220854122U (zh) 一种投影装置的测试设备及其测试系统
KR102474556B1 (ko) 신도시 지중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감시 시스템
CN205558668U (zh) 消防模拟火灾现场移动窗
CN213780590U (zh) 液晶玻璃显示面板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