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050B1 - 공동구 덮개 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구 덮개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0050B1 KR102590050B1 KR1020230054915A KR20230054915A KR102590050B1 KR 102590050 B1 KR102590050 B1 KR 102590050B1 KR 1020230054915 A KR1020230054915 A KR 1020230054915A KR 20230054915 A KR20230054915 A KR 20230054915A KR 102590050 B1 KR102590050 B1 KR 1025900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s
- adjustment
- piece
- wire
- spacing
- Prior art date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공동구 덮개에서 응력 집중부의 내부 구조 및 형상을 개선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와이어 메쉬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의 단면 손실을 배제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하고,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특징은, 직육면체 형상의 공동구 덮개; 공동구 덮개 내에 배근되고, 공동구 덮개의 너비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3개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와, 길이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너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3개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메쉬; 및 와이어 메쉬와 바닥면 또는 거푸집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형 스페이서;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력 집중부의 내부 구조 및 형상을 개선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조합되어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는 건축 구조물로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우수한 구조의 재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는 기계적인 강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내구성 측면에서도 최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재료로 알려져 있다.
한편, 터널의 가장자리에는 도로의 포장면보다 약간 높이 올라오도록 시공된 공동구가 있다.
여기서, 공동구는 상하수도관, 각종 케이블, 수도관, 가스관 등을 함께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공동구가 설치됨으로써 상하수도관, 소화전, 배수관, 전선, 통신관 등 터널 및 도로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각종 시설물들을 공동으로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각종 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미관을 향상시키고, 도로의 구조를 보존하며, 교통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구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덮개가 설치되고, 유지보수 시 덮개를 개방하여 보수를 진행함으로써 효율적인 터널의 유지관리가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교통소통에 방해되지 않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공동구의 덮개는 공동구 내의 매설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가지도록 덮이게 되며, 작업자가 통행할 때 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대부분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있고,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덮개는 경제성이 우수하고 내화성을 지니고 있어 화재에도 안전한 이점을 갖는다.
일반적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중심부의 너비방향 양측에는 작업자가 점검 및 유지보수 시 손쉽게 손을 삽입시켜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오목홈(200)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은 수로 및 전선 또는 소화라인 등을 매설 및 안내하기 위한 공동구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동구의 덮개 구조물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철근망)를 내부에 매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공동구 덮개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와이어 메쉬(110)가 매립되되, 통상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 100') 내에 매립되는 와이어 메쉬(110, 110')는 너비방향에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길이가 짧은 와이어(111, 111')가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 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 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길이가 긴 와이어(113, 113')가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 100')의 너비방향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730mm의 길이를 갖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에는 길이가 짧은 와이어(111)가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6개 배치되고, 길이가 긴 와이어(113)가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의 너비방향에 대해 2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870mm의 길이를 갖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에는 길이가 짧은 와이어(111')가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9개 배치되고, 길이가 긴 와이어(113')가 공동구 덮개 구조물(100')의 너비방향에 대해 2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존 공동구 덮개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는 너비방향에 2개로 배치되는 길이가 긴 각 와이어 사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안전성에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공동구 덮개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공동구 덮개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길이가 긴 와이어 사이의 간격이 크고, 2개로 배치됨으로써 최대 휨 모먼트가 크게 산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적으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730mm의 길이를 갖는 공동구 덮개의 경우, 휨 모먼트가 1로서, 기준 휨 모먼트인 1에 부합하나, 도 3의 (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870mm의 길이를 갖는 공동구 덮개의 경우, 휨 모먼트가 0.84로서, 기준 휨 모먼트인 1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공동구 덮개 내에 매립설치되는 기존의 와이어 메쉬의 경우, 길이가 길수록 휨 모먼트가 기준 휨 모먼트에 미치지 못하고, 2개의 와이어가 적용되어 최종적으로 휨에 대한 안전성이 1 또는 1 미만이이므로,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제작 시 거푸집에 배근한 와이어 메쉬로 콘크리트 타설 시 와이어 메쉬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와이어 메쉬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휨 모먼트가 기준 휨 모먼트에 미치지 못하여 안전 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거푸집에 와이어 메쉬를 배근한 후 콘크리트 타설 시 와이어 메쉬 사이의 간격이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고, 와이어 메쉬가 매립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피복 두께도 일정 두께로 확보되어야 하나, 거푸집에 배근한 와이어 메쉬에 콘크리트 타설 시 와이어 메쉬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와이어 메쉬가 변형되어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강도 보강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휨 모먼트가 기준 휨 모먼트에 미치지 못하여 공동구 덮개 구조물이 파손 및 손상되는 등 안전 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제작 시 거푸집 내에 배근한 와이어 메쉬가 거푸집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여, 시공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와이어 메쉬가 정위치에서 이탈 및 이동 시 작업자가 다시 일일이 와이어 메쉬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고,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제조 시 거푸집 내에 배근되는 와이어 메쉬의 간격 및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적용된다.
즉,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거푸집(103) 내에 배근되는 와이어 메쉬(104)에 간격 및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페이서(105)를 설치하되, 거푸집(103)의 내벽과 와이어 메쉬(104)의 폭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간격 스페이서(105a) 및 바닥면에서 와이어 메쉬(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 스페이서(105b)가 설치된다.
이렇게,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거푸집 내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를 정확하게 배치함과 함께, 거푸집에 콘크리트의 타설 시 와이어 메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에는 간격 스페이서와 받침 스페이서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규격에 따라 규격에 적합한 직경, 크기 또는 길이를 갖는 간격 스페이서 및 받침 스페이서가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위치 및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스페이서가 요구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스페이서를 제작 또는 구매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과도한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거푸집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스페이서가 필요함과 동시에, 바닥면에서 와이어 메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 스페이서가 필요하고, 작업자가 요구하는 거푸집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간격에 따라 크기가 다른 여러 개의 간격 스페이서가 필요함과 동시에, 바닥면과 와이어 메쉬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다른 여러 개의 받침 스페이서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다양한 크기 및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를 준비한 후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 및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에 배근한 와이어 메쉬에 콘크리트 타설 시 와이어 메쉬에 설치된 각 스페이서가 와이어 메쉬에서 분리 및 이탈하여 와이어 메쉬의 위치 및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와이어 메쉬에서 분리 및 이탈된 스페이서가 공동구 덮개의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시공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구 덮개에서 응력 집중부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와이어 메쉬에 고정형 스페이서를 일체로 설치하여 거푸집에 배근한 와이어 메쉬의 위치 및 와이어 메쉬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와이어 메쉬가 매립되는 공동구 덮개의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고정형 스페이서가 비정형적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간격 및 높이에 적합하도록 와이어 메쉬를 배치할 수 있어 구조물의 강도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의 가장자리의 공동구에 설치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의 공동구 덮개; 공동구 덮개 내에 배근되고, 공동구 덮개의 너비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3개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와, 길이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너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3개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메쉬; 및 와이어 메쉬와 바닥면 또는 거푸집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형 스페이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공동구 덮개는, 너비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오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공동구 덮개는, 길이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오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제1 와이어는, 공동구 덮개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센터 와이어와, 제1 센터 와이어의 길이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사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되, 제1 센터 와이어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 사이의 간격은 8 내지 15 : 1 내지 1.5의 간격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제2 와이어는, 공동구 덮개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2 센터 와이어와, 제2 센터 와이어의 너비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사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되, 제2 센터 와이어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의 너비방향 양 단부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 사이의 간격은 1.75 내지 1.25 : 1의 간격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고정형 스페이서는, 좌측 하부와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와 우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전체 형상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간격 조절부; 간격 조절부의 각 간격 조절부재 단부에 각기 다른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위치 조절편, 및 각 위치 조절편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을 상호 연결하여, 비정형적으로 배치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부; 및 간격 조절부와 위치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간격 조절부를 회전시켜 거푸집 또는 바닥면과의 간격을 조절함과 함께, 선택된 어느 한 쌍의 위치 조절편에 와이어 메쉬를 삽입설치하여 와이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공동구 덮개에서 응력 집중부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의 와이어 메쉬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하고,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와이어 메쉬에 고정형 스페이서를 일체로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시 와이어 메쉬에서 고정형 스페이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형 스페이서의 이탈 및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하여 제품의 생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에 배근한 와이어 메쉬의 위치 및 와이어 메쉬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와이어 메쉬가 매립되는 공동구 덮개의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형 스페이서가 비정형적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스페이서로 현장에서 요구하는 간격 및 높이에 적합하도록 와이어 메쉬를 배치할 수 있어 구조물의 강도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의 타설 시 거푸집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작용되는 콘크리트의 압력 및 하중에 의해 와이어 메쉬가 일측으로 기울거나, 하방향으로 처지는 등 와이어 메쉬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와이어 메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모먼트 해석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제조 시 거푸집 내에 간격 스페이서 및 받침 스페이서가 설치된 와이어 메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서 공동구 덮개에 고정형 스페이서를 제외한 와이어 메쉬의 배치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통해 바닥면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높이 간격을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통해 거푸집의 내측면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서 공동구 덮개에 와이어 메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모먼트 해석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와이어 메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모먼트 해석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제조 시 거푸집 내에 간격 스페이서 및 받침 스페이서가 설치된 와이어 메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서 공동구 덮개에 고정형 스페이서를 제외한 와이어 메쉬의 배치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통해 바닥면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높이 간격을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통해 거푸집의 내측면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서 공동구 덮개에 와이어 메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모먼트 해석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기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라는 단어는 단수 및 복수를 지칭할 수 있는 용어로 정의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생략될 수도 있고, 그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제1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서 공동구 덮개에 고정형 스페이서를 제외한 와이어 메쉬의 배치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통해 바닥면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높이 간격을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통해 거푸집의 내측면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은 터널의 가장자리 바닥면에 형성되어 수로, 전선, 통신 케이블, 소화라인 등을 매설 및 안내하기 위한 공동구 또는 배수구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야생동물의 침입으로 인해 각종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1)은 공동구 덮개(6)와 와이어 메쉬(7) 및 고정형 스페이서(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구 덮개(6)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공동구(미도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동구 덮개(6)는 상호 대향하는 각 측면에 형성되는 오목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오목홈(8)은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홈(8)은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형성되되, 공동구 덮개(6)의 중앙부를 향하여 크기가 작아지도록 절개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공동구 덮개(6)에 형성되는 각 오목홈(8)은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보았을 경우,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공동구 덮개(6)를 뒤집어도 설치 및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공공구 덮개(6)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구별하기 위하여, 오목홈(8)의 상부 일측 또는 하부 일측에 연장부(미도시)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는 오목홈(8)에서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근접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메쉬(7)는 공동구 덮개(6) 내에 배근되어 응력에 대한 공동구 덮개(6)의 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와이어(7a)와 길이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너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와이어(7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와이어(7a)는 제2 와이어(7b)에 비하여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와이어(7a)는 공동구 덮개(6)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센터 와이어(7a1)와 상기 제1 센터 와이어(7a1)의 길이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사이드 와이어(7a2)를 포함하여 3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터 와이어(7a1)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7a2)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7a2) 사이의 간격은 8 내지 15 : 1 내지 1.5의 간격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센터 와이어(7a1)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7a2)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7a2) 사이의 간격은 8 내지 12 : 1 내지 1.5의 간격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공동구 덮개(6)의 길이가 730mm인 경우, 공동구 덮개(6)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센터 와이어(7a1)에서 각 제1 사이드 와이어(7a2)까지의 거리는 각각 3250mm이고,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각 제1 사이드 와이어(7a2) 사이의 간격은 각 40mm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공동구 덮개(6)의 길이가 870mm인 경우, 공동구 덮개(6)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센터 와이어(7a1)에서 각 제1 사이드 와이어(7a2)까지의 거리는 각각 395mm이고,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각 제1 사이드 와이어(7a2) 사이의 간격은 각 40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와이어(7b)는 공동구 덮개(6)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부 제2 센터 와이어(7b1)와 상기 제2 센터 와이어(7b1)의 너비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사이드 와이어(7b2)를 포함하여 3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센터 와이어(7b1)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7b2)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 양 단부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7b2) 사이의 간격은 1.75 내지 1.25 : 1의 간격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터 와이어(7b1)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7b2)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 양 단부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7b2) 사이의 간격은 1.5 내지 1.25 : 1의 간격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공동구 덮개(6)의 길이가 730mm인 경우, 공동구 덮개(6)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2 센터 와이어(7b1)에서 각 제2 사이드 와이어(7b2)까지의 거리는 65mm이고,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 양 단부에서 각 제2 사이드 와이어(7b2) 사이의 간격은 60mm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공동구 덮개(6)의 길이가 870mm인 경우, 공동구 덮개(6)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2 센터 와이어(7b1)에서 각 제2 사이드 와이어(7b2)까지의 거리는 65mm이고,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각 제2 사이드 와이어(7b2) 사이의 간격은 60m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1)은, 기존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비하여 안전성이 향상되고, 공동구 덮개(6) 내에 배근되는 와이어 메쉬(7)를 응력 집중부에 집중 배치함으로써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1)은, 공동구 덮개(6) 내에 제1 와이어(7a)와 제2 와이어(7b)가 3×3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4×4 내지 6×6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도, 응력이 집중되는 공동구 덮개(6) 중앙부의 응력 집중부에 각 센터 와이어(7a1, 7b1)가 교차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안전성을 증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1)에서, 공동구 덮개(6) 내에 제1 와이어(7a) 및 제2 와이어(7b)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어 있으나, 제1 와이어(7a)의 개수가 제2 와이어(7b)의 개수보다 많게 배치되거나, 제2 와이어(7b)가 제1 와이어(7a)의 개수보다 많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는 와이어 메쉬(7)와 바닥면 또는 거푸집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7)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는 간격 조절부(10)와 위치 조절부(30) 및 연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절부(10)와 위치 조절부(30) 및 연결부(50)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는 와이어 메쉬(7)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상기 간격 조절부(10)는 거푸집(3) 내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7)와 바닥면(5)의 높이에 따른 간격, 와이어 메쉬(7)와 거푸집(3)의 내측면 사이의 위치에 따른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으로 연결되어 대략 삼각 형태로 형성되되, 어느 한 부분이 개방형성되는 "ㄱ"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조절부(10)는 개방된 부분이 중심부를 향하도록 좌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간격 조절부재(10a)와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간격 조절부재(10b)와 우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3 간격 조절부재(10c) 및 좌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4 간격 조절부재(1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은 그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과 타측에 형성되는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의 길이가 상호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는 개방된 부분이 중심부를 향하도록 좌측 상부와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 및 우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은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 즉 중심부에서 가장 먼 중앙 꼭짓점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의 길이가 상호 다르도록 비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에서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이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 중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 대비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은 1 : 0.5 내지 0.9의 길이 비율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 각각은 전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상부와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 및 우측 하부에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가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스페이서(9) 또한 전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 각각 또는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거푸집(3) 또는 바닥면(5)과 와이어 메쉬(7)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하부와 우측 하부, 우측 상부와 좌측 상부에 위치하는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d, 10c)들은 수평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되,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들이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하부와 좌측 상부, 우측 하부와 우측 상부에 위치하는 간격 조절부재(10a, 10d, 10b, 10c)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되,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들이 상호 인접되게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하부와 우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간격 조절부재(10a)와 제2 간격 조절부재(10b), 우측 상부와 좌측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간격 조절부재(10c)와 제4 간격조절부재(10d)는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하부와 좌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간격 조절부재(10a)와 제4 간격 조절부재(10d), 우측 하부와 우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간격 조절부재(10b)와 제3 간격 조절부재(10c)는 길이가 짧은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들끼리 상호 인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이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는 원 형태로 라운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이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는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은 그 내측을 항하여 일정부분 인입되도록 커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 내측면 중심부에는 판체로 형성되는 보강편(17)이 형성되되, 상기 보강편(17)은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의 강성 및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부(30)는 거푸집(3) 내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7)와 바닥면(5)의 위치 및 와이어 메쉬(7)와 거푸집(3)의 내측면 사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간격 조절부(10)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 및 상기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을 지지 및 가압하는 지지편(35a, 35b, 35c, 35d)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은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서 연장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의 길이는 상호 다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에서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이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되, 길이가 서로 다른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서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이 일체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이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일측의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에 연장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의 길이와 그 타측의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에 연장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1b, 32b, 33b, 34b)의 길이가 상호 다르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이 일체로 연장형성될 경우, 상기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는 어느 한 부분이 개방형성되는 오각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서 연장형성되는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은 길이가 동일한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되, 길이가 서로 다른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 중 상기 제1 간격 조절부재(10a)의 간격 조절편(11a)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1a)과 상기 위치 조절편(31a)에 인접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간격 조절부재(10b)의 간격 조절편(12a)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2a)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간격 조절부재(10b)의 간격 조절편(12b)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2b)과 상기 위치 조절편(32b)에 인접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간격 조절부재(10c)의 간격 조절편(13b)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3b)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간격 조절부재(10c)의 간격 조절편(13a)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3a)과 상기 위치 조절편(33a)에 인접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간격 조절부재(10d)의 간격 조절편(14a)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4a)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4 간격 조절부재(10d)의 간격 조절편(14b)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4b)과 상기 위치 조절편(34b)에 인접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간격 조절부재(10a)의 간격 조절편(11b)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1b)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서 연장형성되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은 편의상, 가장 길이가 긴 위치 조절편(31a, 32a)과 길이가 긴 위치 조절편(32b, 33b)과 길이가 짧은 위치 조절편(33a, 34a) 및 가장 길이가 짧은 위치 조절편(34b, 31b)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좌측 하부와 우측 하부에 배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 및 제2 간격 조절부재(10a, 10b)의 각 간격 조절편(11a, 12a)에는 가장 길이가 긴 위치 조절편(31a, 32a)이 상호 인접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고, 우측 하부와 우측 상부에 배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및 제3 간격 조절부재(10b, 10c)의 각 간격 조절편(12b, 13b)에는 길이가 긴 위치 조절편(32b, 33b)이 상호 인접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며, 우측 상부와 좌측 상부에 배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3 및 제4 간격 조절부재(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3a, 14a)에는 길이가 짧은 위치 조절편(33a, 34a)이 상호 인접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고, 좌측 상부와 좌측 하부에 배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4 및 제1 간격 조절부재(10d, 10a)의 각 간격 조절편(14b, 11b)에는 가장 길이가 짧은 위치 조절편(34b, 31b이 상호 인접되어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서 연장형성되는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은 길이가 가장 긴 위치 조절편(31a, 32a)의 길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위치 조절편(32b, 33b)의 길이는 길이가 가장 긴 위치 조절편(31a, 32a) 대비 2/4 내지 3/4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짧은 위치 조절편(33a, 34a)의 길이는 길이가 긴 위치 조절편(32b, 33b) 대비 2/4 내지 3/4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며, 길이가 가장 짧은 위치 조절편(34b, 31b)의 길이는 길이가 짧은 위치 조절편(33a, 34a) 대비 2/4 내지 3/4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 조절부(1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되, 길이가 서로 다른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 중 상기 제1 간격 조절부재(10a)의 위치 조절편(31a)과 상기 위치 조절편(31a)에 인접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간격 조절부재(10b)의 위치 조절편(32a)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간격 조절부재(10b)의 위치 조절편(32b)과 상기 위치 조절편(32b)에 인접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간격 조절부재(10c)의 위치 조절편(33b)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간격 조절부재(10c)의 위치 조절편(33a)과 상기 위치 조절편(33a)에 인접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간격 조절부재(10d)의 위치 조절편(34a)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4 간격 조절부재(10d)의 위치 조절편(34b)과 상기 위치 조절편(34b)에 인접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간격 조절부재(10a)의 위치 조절편(31b)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등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의 길이는 반시계방향을 향하여 짧아지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의 길이는 시계방향으로 짧아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의 배치가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상기 지지편(35a, 35b, 35c, 35d)은 일부분이 개방형성되어 대략 "C" 형태로 형성되고, 개방형성되는 부분의 양 단부가 상기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이 마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내측면에 각각 맞닿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편(35a, 35b, 35c, 35d)은 상기 제1 간격 조절부재(10a) 및 제2 간격 조절부재(10b)의 각 간격 조절편(11a, 12a)에서 연장형성되되,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편(35a)과 상기 제2 간격 조절부재(10b) 및 제3 간격 조절부재(10c)의 각 간격 조절편(12b, 13b)에서 연장형성되되,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2b, 33b)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편(35b)과 상기 제3 간격 조절부재(10c) 및 제4 간격 조절부재(10d)의 각 간격 조절편(13a, 14a)에서 연장형성되되,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3a, 34a)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 지지편(35c) 및 상기 제4 간격 조절부재(10d) 및 제1 간격 조절부재(10a)의 각 간격 조절편(14b, 11b)에 연장형성되되,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4b, 31b)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4 지지편(35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각 지지편(35a, 35b, 35c, 35d)은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을 지지 및 가압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간격 조절부재(10a)의 간격 조절편(11a)과 상기 제1 간격 조절부재(10a)에 수평방향으로 인접되는 제2 간격 조절부재(10b)의 간격 조절편(12a)에 형성되되,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내측면에 그 양 단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1 지지편(35a), 상기 제2 간격 조절부재(10b)의 간격 조절편(12b)과 상기 제2 간격 조절부재(10b)에 수직방향으로 인접되는 제3 간격 조절부재(10c)의 간격 조절편(13b)에 형성되되,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2b, 33b) 내측면에 그 양 단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편(35b), 상기 제3 간격 조절부재(10c)의 간격 조절편(13a)과 상기 제3 간격 조절부재(10c)에 수평방향으로 인접되는 제4 간격 조절부재(10d)의 간격 조절편(14a)에 형성되되,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3a, 34a) 내측면에 그 양 단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3 지지편(35c), 및 상기 제4 간격 조절부재(10d)의 간격 조절편(14d)과 상기 제4 간격 조절부재(10d)에 수직방향으로 인접되는 제1 간격 조절부재(10a)의 간격 조절편(11b)에 형성되되,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4b, 31b)의 내측면에 그 양 단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4 지지편(35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은 스페이서(9)의 중심부를 향하여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텐션을 부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지지편(35a, 35b, 35c, 35d)으로 삽입되는 와이어 메쉬(7)의 가압하여 와이어 메쉬(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호 인접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은 그 단부가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근접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각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각 지지편(35a, 35b, 35c, 35d)에 안착설치된 와이어 메쉬(7)의 하중을 지지하기가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지지편(35a, 35b, 35c, 35d)의 위치 또한 가변되어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각 지지편(35a, 35b, 35c, 35d) 중 제1 및 제2 간격 조절부재(10a, 10b)의 각 간격 조절편(11a, 12a)에 형성되는 길이가 가장 긴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제1 지지편(35a)은 간격 조절부(10)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 및 제3 간격 조절부재(10b, 10c)의 각 간격 조절편(12b, 13b)에 형성되는 길이가 긴 한 쌍의 위치 조절편(32b, 33b)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제2 지지편(35b)은 제1 지지편(35a)보다 중심부에서 조금 멀게 위치하며, 제3 및 제4 간격 조절부재(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3a, 14a)에 형성되는 길이가 짧은 한 쌍의 위치 조절편(33a, 34a)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제3 지지편(35c)은 제2 지지편(35b)보다 중심부에서 멀게 위치하고, 제4 및 제1 간격 조절부재(10d, 10a)의 각 간격 조절편(14b, 11b)에 형성되는 길이가 가장 짧은 한 쌍의 위치 조절편(34b, 31b)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제4 지지편(35d)은 제3 지지편(35c)보다 중심부에서 아주 멀게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지지편(35a, 35b, 35c, 35d)의 위치가 각기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편(35a, 35b, 35c, 35d) 중 어느 하나의 지지편(35a, 35b, 35c, 35d)에 와이어 메쉬(7)를 고정설치하는 등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와이어 메쉬(7)에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을 통해 제1 내지 제4 지지편(35a, 35b, 35c, 35d) 중 어느 하나의 지지편(35a, 35b, 35c, 35d)을 결합시켜 설치하여 거푸집(3)과 와이어 메쉬(7) 사이의 위치 및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지지편(35a, 35b, 35c, 35d)에 개방형성되는 부분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와이어 메쉬(7)의 설치 시 상기 지지편(35a, 35b, 35c, 35d)의 양 단부가 맞닿는 한 쌍의 각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이 일정범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각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을 지지 및 가압함으로써 와이어 메쉬(7)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거푸집(3)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7)의 하중을 감당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편(35a, 35b, 35c, 35d)의 폭은 간격 조절부(10)의 폭보다 두껍게 형성되되, 상기 지지편(35a, 35b, 35c, 35d)의 폭은 간격 조절부(10)의 폭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메쉬(7)의 하중을 감당하기 위하여, 상기 각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은 지지편(35a, 35b, 35c, 35d)의 양 단부가 맞닿는 부분까지 상기 지지편(35a, 35b, 35c, 35d)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편(35a, 35b, 35c, 35d)은 일부분이 개방형성되는 대략 "C"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와이어 메쉬(7)의 설치 시 각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의 지지 및 가압이 용이하다면, 상기 지지편(35a, 35b, 35c, 35d)은 일부분이 개방형성되는 사각 형태 또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한편, 상기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과 지지편(35a, 35b, 35c, 35d)이 맞닿는 연결 부위에 스토퍼(36a, 36b)가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스토퍼(36a, 36b)는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과 지지편(35a, 35b, 35c, 35d)이 맞닿는 연결 부위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지지편(35a, 35b, 35c, 35d) 내로 일정 부분 인입되도록 배치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스토퍼(36a, 36b)는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 중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의 경사 각도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를 갖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스토퍼(36a, 36b)는 지지편(35a, 35b, 35c, 35d)의 중심부를 향하여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편(35a, 35b, 35c, 35d) 내로 일정 부분 인입되도록 배치되는 각 스토퍼(36a, 36b)의 단부는 와이어 메쉬(7)의 인입은 용이하되, 외부로 이탈은 어렵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거나,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상기 연결부(50)는 판체로 형성되되, 상기 위치 조절부(30)의 제1 내지 제4 지지편(35a, 35b, 35c, 35d)의 외주연 중심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50)에는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 형성되는 보강편(17)에 연결되도록 바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편(51)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편(51)은 일측 단부가 연결부(50)의 가장자리에 맞닿도록 연결되고, 그 타측 단부가 상기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에 형성되는 보강편(17)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맞닿도록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부(50)가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에 연결편(51)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50)와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 사이에는 연결편(51)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형성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스페이서(9)가 다공 형태로 형성되어 거푸집(3) 내에 스페이서(9)가 설치된 와이어 메쉬(7)의 배근 후 콘크리트(미도시) 타설 시 콘크리트가 각 구멍에 충진되어 유합되면서 공동구 덮개(미도시)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50)가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의 보강편(17)에 연결편(51)으로 연결됨으로써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형성되는 다공 형태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연결부(50)가 각 간격 조절편(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의 보강편(17)에 직접 연결되되, 연결부(50)에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형성되어 다공 형태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50)가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에 각각 하나의 연결편(51)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다수개의 연결편(5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50)와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보강편(17)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고정형 스페이서가 일체로 설치된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는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하기 위한 타설공간(도번 미도시)이 형성된 거푸집(3)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3×3으로 배치된 와이어 메쉬(7)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메쉬(7)는 바닥면(5)과의 높이 및 거푸집(3)과의 간격을 설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된 공동구 덮개(6) 내에 와이어 메쉬(7)가 정위치에 매설되고, 또한 공동구 덮개(6) 외부로 와이어 메쉬(7)가 노출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거푸집(3) 내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에 와이어 메쉬(7)를 설치할 경우, 거푸집(3)의 하부에 위치되는 와이어 메쉬(7)의 일정 위치에 설치된 고정형 스페이서(9)로 와이어 메쉬(7)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는 와이어 메쉬(7)에 설치 및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 및 분리는 어려우나, 회전은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는 와이어 메쉬(7)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메쉬(7)에는 다수개의 고정형 스페이서(9)가 일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가 설치된 와이어 메쉬(7)를 거푸집(3)의 타설공간에 배근한 후 고정형 스페이서(9)를 통해 간격을 설정하거나, 간격을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거푸집(3)의 타설공간에 와이어 메쉬(7)의 설치 시 바닥면(5)과 와이어 메쉬(7)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를 회전시켜 고정형 스페이서(9)의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 중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시키거나,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 중 길이가 짧은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되도록 와이어 메쉬(7)에 고정형 스페이서가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를 회전시켜 고정형 스페이서(9)의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시키는 것보다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길이가 짧은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닥면(5)에서 와이어 메쉬(7)를 보다 높은 위치에 배근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의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고정형 스페이서(9)에서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시킨 후 와이어 메쉬(7)를 배근하는 높이보다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길이가 짧은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시킨 후 와이어 메쉬(7)를 배근하는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닥면(5)과 와이어 메쉬(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거푸집에 배근된 와이어 메쉬(7)의 높이를 낮게 조절할 경우,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에서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시킨 후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을 통해 제1 지지편(35a)으로 와이어 메쉬(7)를 삽입하여 안착설치하거나, 다른 한 쌍의 위치 조절편(33a, 34a)을 통해 제3 지지편(35c)이 와이어 메쉬(7)에 일체로 설치되도록 하여 와이어 메쉬(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편(35a) 또는 제3 지지편(35c)으로 삽입되어 안착설치된 와이어 메쉬(7)는 제1 지지편(35a) 또는 제3 지지편(35c)의 양 단부와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의 연결부위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 스토퍼(36a, 36b)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고정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위치 조절부(30)의 제3 지지편(35c) 또는 제1 지지편(35a) 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3a, 34a, 31a, 32a) 상에 와이어 메쉬(7)를 안착설치하여 와이어 메쉬(7)의 높이를 미세하게 재조절할 수 있다.
만약, 거푸집에 배근된 와이어 메쉬(7)의 높이를 높게 조절할 경우, 각 간격 조절 부재(10a, 10b, 10c, 10d)에서 길이가 짧은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시킨 후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b, 34b)를 통해 제4 지지편(35d)으로 와이어 메쉬(7)에 일체로 설치되도록 하거나, 다른 한 쌍의 위치 조절편(32b, 33b)를 통해 제2 지지편(35b)으로 와이어 메쉬(7)에 일체로 설치되도록 하여 와이어 메쉬(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지지편(35b) 또는 제4 지지편(35d)으로 삽입되어 안착설치된 와이어 메쉬(7)는 제2 지지편(35b) 또는 제4 지지편(35d)의 양 단부와 한 쌍의 위치 조절편(32b, 33b, 31b, 34b)의 연결부위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 스토퍼(36a, 36b)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고정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 메쉬(7) 및 상기 와이어 메쉬(7)에 일체로 설치된 고정형 스페이서(9)를 통하여 거푸집(3) 또는 바닥면(5)과 와이어 메쉬(7)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거푸집 또는 바닥면(5)과 와이어 메쉬(7) 사이의 위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및 제2 간격 조절부재(10a, 10b)의 각 간격 조절편(11a, 12a)에 형성되는 길이가 가장 긴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에 형성되는 제1 지지편(35a)과 제2 및 제3 간격 조절부재(10b, 10c)의 각 간격 조절편(12b, 13b)에 형성되는 길이가 긴 한 쌍의 위치 조절편(32b, 33b)에 형성되는 제2 지지편(35b)과 제3 및 제4 간격 조절부재(10c, 10d)의 각 간격 조절편(13a, 14a)에 형성되는 길이가 짧은 한 쌍의 위치 조절편(33a, 34a)에 형성되는 제3 지지편(35c)과 제4 및 제1 간격 조절부재(10d, 10a)의 각 간격 조절편(14b, 11b)에 형성되는 길이가 가장 짧은 한 쌍의 위치 조절편(34b, 31b)에 형성되는 제4 지지편(35d) 중 어느 하나의 지지편(35a, 35b, 35c, 35d)에 와이어 메쉬(7)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거푸집(3) 또는 바닥면(5)과 와이어 메쉬(7) 사이의 위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를 회전시켜 바닥면(5)과 와이어 메쉬(7)의 높이 간격을 조절하고, 고정형 스페이서(9)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부(30)의 어느 한 지지편(35a, 35b, 35c, 35d) 내에 와이어 메쉬(7)를 일체로 설치하여 거푸집(3)의 내측면과 와이어 메쉬(7) 사이의 위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하나의 고정형 스페이서(9)를 통해 기존의 간격 스페이서(미도시) 및 받침 스페이서(미도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9)가 공동구 덮개 구조물(1)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3) 내에 와이어 메쉬(7)의 배근 시 적용되는 일 예를 예시하고 있으나,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 시에도 철근과 조합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형 스페이서(9)는 와이어 메쉬(7)에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시에도 와이어 메쉬(7)에서 이탈 및 분리되지 않고, 와이어 메쉬(7)와 함께 양생됨으로써 공동구 덮개(6) 내에서 와이어 메쉬(7)의 배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서 공동구 덮개에 와이어 메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모먼트 해석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은 오목홈의 배치 및 파지홈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1')은, 공동구 덮개(6')가 그 길이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오목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오목홈(8)을 형성함으로써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오목홈(8)을 형성할 때보다, 60mm의 단면 손실을 배재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오목홈(8)의 내측면 중심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8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홈(8a)에 사용자가 손을 삽입함으로써 공동구 상에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오목홈(8) 내에 파지홈(8a)이 별도로 형성되는 등 이중 구조로 형성되고, 오목홈(8)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전상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메쉬(7)는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와이어(7a)와 길이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너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와이어(7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7a)는 공동구 덮개(6')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센터 와이어(7a1)와 상기 제1 센터 와이어(7a1)의 길이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사이드 와이어(7a2)를 포함하여 3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터 와이어(7a1)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7a2)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7a2)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15 : 1 내지 1.5의 간격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와이어(7b)는 공동구 덮개(6')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2 센터 와이어(7b1)와 상기 제2 센터 와이어(7b1)의 너비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사이드 와이어(7b2)를 포함하여 3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센터 와이어(7b1)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7b2)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6')의 너비방향 양 단부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7b2) 사이의 간격은 1.5 내지 1.25 : 1의 간격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1')은,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 양 측에 오목홈(8)이 형성됨으로써 응력이 집중되는 중앙부의 응력 집중부의 단면 손실을 배재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하고, 공동구 덮개(6')의 길이방향에 와이어를 3개 배치하고, 응력이 집중되는 중앙부의 응력 집중부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모먼트 해석 결과에 따르면, 도 15의 (a)를 참조하면, 730mm의 길이를 갖는 공동구 덮개(6')의 경우, 휨 모먼트가 기준 휨 모먼트인 1보다 큰 1.68로서, 기준 휨 모먼트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15의 (b)를 참조하면, 870mm의 길이를 갖는 공동구 덮개(6')의 경우, 휨 모먼트가 기준 휨 모먼트인 1보다 큰 1.42로서, 종래 대비 월등한 것을 알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은 고정형 스페이서에서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형성되는 고정편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형 스페이서(9')는 각 스토퍼(36a, 36b)의 단부에는 고정부재(37a, 37b)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과 각 지지편(35a, 35b, 35c, 35d)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각 스토퍼(36a, 36b)의 단부에는 고정부재(37a, 37b)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7a, 37b)는 인접하는 다른 고정부재(37b, 37a)와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고정홈(38a, 38b)이 각각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부재(37a, 37b)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상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2a, 33a, 34a, 31b, 32b, 33b, 34b)에 연장형성되는 각 스토퍼(36a, 36b)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의 단부측에 고정부재(37a, 37b)가 일체로 연장형성되되, 고정부재(37a, 37b)에 형성되는 고정홈(38a, 38b)이 상호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37a, 37b)에 원형 샤프트 형태의 와이어 메쉬(7)가 삽입된 후 대략 원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홈(38a, 38b) 상에 안착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고정홈(38a, 38b)의 내주연에 와이어 메쉬(7)의 외주연이 맞닿아 안착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38a, 38b)의 내주연에는 엠보 형태 또는 쐐기 형태의 돌출편(미도시)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돌출편은 고정홈(38a, 38b)의 내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이 고정홈(38a, 38b) 내에 안착설치되는 와이어 메쉬(7)에 맞닿아 상기 와이어 메쉬(7)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각 고정부재(37a, 37b)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의 한 쌍의 고정홈(38a, 38b)은 각 지지편(35a, 35b, 35c, 35d)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스페이서(9')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닥면(5)과 와이어 메쉬(7)의 높이를 조절하되, 각 간격 조절부재(10a, 10b, 10c, 10d)의 길이가 긴 간격 조절편(11a, 12a, 13a, 14a)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5)에 맞닿게 위치시키거나, 길이가 짧은 간격 조절편(11b, 12b, 13b, 14b)들끼리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부분을 바닥면에 맞닿게 위치시킨 후 각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의 스토퍼(36a, 36b)에 형성된 고정부재(37a, 37b)의 고정홈(38a, 38b) 상에 와이어 메쉬(7)를 안착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메쉬(7)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공동구 덮개 구조물은 고정형 스페이서에서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형성되는 고정편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고정형 스페이서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형 스페이서(9")는 각 스토퍼(36a, 36b)에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7a, 37b)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고정편(39a, 39b)이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편(39a, 39b)은 한 쌍의 각 고정부재(37a, 37b)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각 고정홈(38a, 38b) 상에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39a, 39b)은 고정부재(37a, 37b)의 고정홈(38a, 38b)에서 와이어 메쉬(7)가 삽입을 위하여 이동하는 입구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메쉬(7)는 중심부를 향하여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과 스토퍼(36a, 36b) 및 고정부재(37a, 37b)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한 후 상기 고정부재(37a, 37b)에 형성되는 고정홈(38a, 38b) 상에 돌출형성되는 고정편(39a, 39b)을 가압하고, 이때 각 고정편(39a, 39b)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며, 고정편(39a, 39b)을 통과한 와이어 메쉬(7)는 고정홈(38a, 38b) 상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메쉬(7)의 통과 후 상기 각 고정편(39a, 39b)은 텐션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고정홈(38a, 38b) 상에 안착된 와이어 메쉬(7)를 고정하여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편(39a, 39b)은 와이어 메쉬(7)의 인입은 용이하되, 인출 및 이탈은 어렵도록 고정홈(38a, 38b)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되,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딩처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고정편(39a, 39b)은 와이어 메쉬(7)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고정편(39a, 39b)은 와이어 메쉬(7)의 인입은 용이하되, 인출 및 이탈은 어렵도록 고정홈(38a, 38b)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고정편(39a, 39b)은 고정홈(38a, 38b)의 단부를 향하여 쐐기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홈(38a, 38b)의 내측에는 설치된 와이어 메쉬(7)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편(39a, 39b)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한 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는 엠보형태일 수 있으나, 쐐기형태일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9")가 공동구 덮개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3) 내에 와이어 메쉬(7)의 배근 시 와이어 메쉬(7)에서 이탈되지 않고, 공동구 덮개 구조물 내에 함께 고정되어 양생됨으로써 와이어 메쉬(7)가 항상 공동구 덮개 구조물의 중심부 또는 요구하는 부위에 배근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1' : 공동구 덮개 구조물
3 : 거푸집
5 : 바닥면
6, 6' : 공동구 덮개
7 : 와이어 메쉬
7a : 제1 와이어
7a1 : 제1 센터 와이어
7a2 : 제1 사이드 와이어
7b : 제2 와이어
7b1 : 제2 센터 와이어
7b2 : 제2 센터 와이어
8 : 오목홈
8a : 파지홈
9, 9', 9" : 고정형 스페이서
10 : 간격 조절부
10a : 제1 간격 조절부재
10b : 제2 간격 조절부재
10c : 제3 간격 조절부재
10d : 제4 간격 조절부재
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 : 간격 조절편
17 : 보강편
30 : 위치 조절부
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 : 위치 조절편
35a, 35b, 35c, 35d : 제1 내지 제4 지지편
36a, 36b : 스토퍼
37a, 37b : 고정부재
38a, 38b : 고정홈
39a, 39b : 고정편
50 : 연결부
51 : 연결편
3 : 거푸집
5 : 바닥면
6, 6' : 공동구 덮개
7 : 와이어 메쉬
7a : 제1 와이어
7a1 : 제1 센터 와이어
7a2 : 제1 사이드 와이어
7b : 제2 와이어
7b1 : 제2 센터 와이어
7b2 : 제2 센터 와이어
8 : 오목홈
8a : 파지홈
9, 9', 9" : 고정형 스페이서
10 : 간격 조절부
10a : 제1 간격 조절부재
10b : 제2 간격 조절부재
10c : 제3 간격 조절부재
10d : 제4 간격 조절부재
11a, 11b, 12a, 12b, 13a, 13b, 14a, 14b : 간격 조절편
17 : 보강편
30 : 위치 조절부
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 : 위치 조절편
35a, 35b, 35c, 35d : 제1 내지 제4 지지편
36a, 36b : 스토퍼
37a, 37b : 고정부재
38a, 38b : 고정홈
39a, 39b : 고정편
50 : 연결부
51 : 연결편
Claims (6)
- 터널의 가장자리의 공동구에 설치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의 공동구 덮개;
상기 공동구 덮개 내에 배근되고, 공동구 덮개의 너비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3개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와, 길이방향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되, 너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3개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메쉬; 및
상기 와이어 메쉬와 바닥면 또는 거푸집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형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구 덮개는,
너비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오목홈 또는 길이방향 양 측면 중심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오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스페이서는,
좌측 하부와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와 우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간격 조절부;
상기 각 간격 조절부재 단부에 각기 다른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위치 조절편, 및 상기 각 위치 조절편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을 상호 연결하여, 비정형적으로 배치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간격 조절부와 위치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를 회전시켜 거푸집 또는 바닥면과의 간격을 조절함과 함께, 선택된 어느 한 쌍의 위치 조절편에 와이어 메쉬를 삽입설치하여 와이어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는 다수의 간격 조절편으로 연결되어 어느 한 부분이 개방형성되는 삼각 형태로 형성되되, 개방된 부분이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각 간격 조절편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간격 조절편과 타측에 형성되는 간격 조절편의 길이가 상호 다르게 형성되되, 길이가 동일한 간격 조절편들끼리 상호 인접하도록 각 간격 조절부재가 배치되어 고정형 스페이서의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간격 조절부재의 개방된 부분 단부에는 위치 조절편이 일체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은 제1 및 제2 간격 조절부재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에 연결되는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및 제3 간격 조절부재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에 연결되는 제2 지지편과, 상기 제3 및 제4 간격 조절부재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에 연결되는 제3 지지편, 및 상기 제4 및 제1 간격 조절부재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에 연결되는 제4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과 상기 위치 조절편에 대향하는 제2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은 서로 길이가 동일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가장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장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위치 조절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편은 중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과 상기 위치 조절편에 대향하는 제3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은 서로 길이가 동일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길이가 길게 형성되되, 가장 길이가 길게 형성된 위치 조절편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위치 조절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편은 제1 지지편보다 중심부에서 멀게 배치되며, 상기 제3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과 상기 위치 조절편에 대향하는 제4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은 서로 길이가 동일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길이가 짧게 형성되되,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위치 조절편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짧게 형성된 한 쌍의 위치 조절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 지지편은 제2 지지편보다 중심부에서 멀게 배치되며, 상기 제4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과 상기 위치 조절편에 대향하는 제1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편은 서로 길이가 동일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되, 길이가 짧게 형성된 한 쌍의 위치 조절편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된 한 쌍의 위치 조절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4 지지편은 제3 지지편보다 중심부에서 멀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편 중 어느 하나의 지지편에 와이어 메쉬를 결합시켜 거푸집과 와이어 메쉬 사이의 위치 및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공동구 덮개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센터 와이어와, 상기 제1 센터 와이어의 길이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사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센터 와이어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제1 사이드 와이어 사이의 간격은 8 내지 15 : 1 내지 1.5의 간격 비율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공동구 덮개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2 센터 와이어와, 상기 제2 센터 와이어의 너비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사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센터 와이어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 사이의 간격과 공동구 덮개의 너비방향 양 단부에서 제2 사이드 와이어 사이의 간격은 1.75 내지 1.25 : 1의 간격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판체로 형성되되, 상기 각 지지편의 외주연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각 간격 조절부재의 간격 조절편에 연결되기 위한 바 형태의 연결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간격 조절부재와 연결부 사이에는 연결편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간격 조절부재의 내부가 다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편은 일부분이 개방형성되는 "C"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형성되는 부분의 양 단부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의 단부와 맞닿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각 간격 조절편에서 연장형성되되, 상호 인접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절편과 각 지지편의 연결 부위에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지지편의 중심부를 향하여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스토퍼의 단부에 고정부재가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인접하는 다른 고정부재와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고정홈이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고,
한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와이어 메쉬가 안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의 각 고정홈 상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고정편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덮개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4915A KR102590050B1 (ko) | 2023-04-26 | 2023-04-26 | 공동구 덮개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4915A KR102590050B1 (ko) | 2023-04-26 | 2023-04-26 | 공동구 덮개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0050B1 true KR102590050B1 (ko) | 2023-10-13 |
Family
ID=8828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4915A KR102590050B1 (ko) | 2023-04-26 | 2023-04-26 | 공동구 덮개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005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619U (ja) * | 1991-10-30 | 1994-02-18 | 株式会社大鹿商事 |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スペーサブロック |
JP3053678U (ja) * | 1998-04-30 | 1998-11-04 | 株式会社ユハラコーポレーション | 鉄筋支持用スペーサー |
KR20160023370A (ko) * | 2014-08-22 | 2016-03-03 | 김동근 | 공동구 덮개용 탄성 완충구 및 그를 이용한 공동구 덮개 시공 방법 |
KR20170137324A (ko) * | 2016-06-03 | 2017-12-13 | 주식회사 청진이엔씨 | 건식공법에 의한 공동구 뚜껑의 제조방법 |
KR102098570B1 (ko) | 2019-08-30 | 2020-04-08 |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철근 스페이서 |
KR102512349B1 (ko) | 2022-04-22 | 2023-03-22 | 주식회사 혁우이노베이션 | 공동구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
-
2023
- 2023-04-26 KR KR1020230054915A patent/KR1025900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619U (ja) * | 1991-10-30 | 1994-02-18 | 株式会社大鹿商事 |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スペーサブロック |
JP3053678U (ja) * | 1998-04-30 | 1998-11-04 | 株式会社ユハラコーポレーション | 鉄筋支持用スペーサー |
KR20160023370A (ko) * | 2014-08-22 | 2016-03-03 | 김동근 | 공동구 덮개용 탄성 완충구 및 그를 이용한 공동구 덮개 시공 방법 |
KR20170137324A (ko) * | 2016-06-03 | 2017-12-13 | 주식회사 청진이엔씨 | 건식공법에 의한 공동구 뚜껑의 제조방법 |
KR102098570B1 (ko) | 2019-08-30 | 2020-04-08 |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철근 스페이서 |
KR102512349B1 (ko) | 2022-04-22 | 2023-03-22 | 주식회사 혁우이노베이션 | 공동구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65374B2 (en) |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frame structure | |
JPS6346820B2 (ko) | ||
JP2009509072A (ja) | タワー構造体 | |
US9909265B2 (en) | Concrete slab panel forming, reinforcing, joint sealing and edge protecting framing system | |
JP4339695B2 (ja) | 建築パネル並びに建築方法 | |
JP4707410B2 (ja) | トンネル用インバート、インバートブロックおよび該インバ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インバートの築造方法 | |
KR102590050B1 (ko) | 공동구 덮개 구조물 | |
KR20080004691U (ko) | 유형 측구 제조용 거푸집 | |
CA2191384A1 (en) | Structure members and a method of jointing the same | |
KR101549418B1 (ko) | 쐐기 형상의 지수판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매립형 신축이음매 거푸집 | |
JP6576095B2 (ja) | 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一体型鋼製セグメント | |
JP4461914B2 (ja) | 仮締切構造体および仮締切工法 | |
KR101567422B1 (ko) | 수평 및 수직 구조적 일체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제작된 수직구 및 그 시공방법 | |
CN107988994B (zh) | 万向预应力生态景观组合护岸 | |
JP7557948B2 (ja) | セグメント | |
KR102150402B1 (ko) | 지하 건축구조물의 배수로용 관로 트렌치 | |
JP4657667B2 (ja) | 止栓 | |
KR101650856B1 (ko) | 상단에 슬래브 블록이 일체로 구성되는 i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KR20200002362U (ko) |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 |
NO313021B1 (no) | Ledning for sirkulasjon av et fluidum og fremgangsmåte ved bygging av en rörledning | |
KR101190129B1 (ko) |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박스의 조립식 낙차부 접속구 | |
KR20200001802U (ko) | 타설막이 | |
KR101934803B1 (ko) |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 조립식 박스형구조체 | |
KR20180061456A (ko) |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 |
KR20110139990A (ko) | 암거용 보강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