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059B1 -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 Google Patents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9059B1 KR102589059B1 KR1020210083266A KR20210083266A KR102589059B1 KR 102589059 B1 KR102589059 B1 KR 102589059B1 KR 1020210083266 A KR1020210083266 A KR 1020210083266A KR 20210083266 A KR20210083266 A KR 20210083266A KR 102589059 B1 KR102589059 B1 KR 1025890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compound
- formula
- photoactive layer
- electrode
- organic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3—Side-chains containing nitr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6—Side-chains containing haloge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4—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perylene, anthracene or pyrene
- C08G2261/3142—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perylene, anthracene or pyrene fluorene-based, e.g. fluorene, indenofluorene, or spirobifluo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 C08G2261/322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thiop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1—Photovoltaic appl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4—Applications in sensors, e.g. biosen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엔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을 광활성층에 포함하여 제조되는 유기 광전소자는 우수한 광전변환 효율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변환소자에 관한 것이다.
광전소자는 빛을 조사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빛이 물질에 부딪힐 때 전자가 방출되는 광전효과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광전소자에는 태양전지, 광검출기 등이 있다.
그 중 광 검출기는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빛을 검출하는 소자로서, 광다이오드 및 광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 검출기는 빛의 양, 물체의 모양, 상태 동작등을 감지할 수 있어 산업뿐만 아니라 가정에도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광 검출기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화된 이미지 처리를 위한 간단하고 경제적인 솔루션이며, 또한 진단 영상 처리를 위한 의학 공학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더욱 다양한 저비용의 전자소자를 제조할 수 있고 무기 화합물에 비하여 재료계가 다양하고 분자 설계에 따라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재료를 합성할 수 있는 유기 반도체성 물질에 기반한 유기 광검출기(Ogarnic Photo Detector, OPD) 개발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신규한 유기 화합물 및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물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퀴녹살린 기반 고분자 화합물은 최근 높은 태양전지 효율을 보이며 광-전 변환에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려된 종래의 기술로, Adv. Mater. 2010, 22, 5240-5244에서는 퀴녹살린 기반의 낮은 밴드갭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를 개시한 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327호에서는 불소기가 도입된 퀴녹살린계 화합물 및 벤조다이싸이오펜계 화합물을 구성단위로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용한 에너지 변환 소자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퀴녹살린 기반 고분자 화합물에 대해 유기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되었을 뿐 유기 광검출기의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가 미비하여 이를 위한 연구가 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유기 광검출기의 성능 향상을 나타내기 위한 신규한 고분자 화합물로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에 플루오로 벤젠을 도입하여 유기 광검출기에 사용시 암전류 억제에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dv. Mater. 2010, 22, 5240-5244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벤젠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는,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아래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0 내지 90 몰%이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잔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7 내지 88 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5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21,000 내지 124,000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아래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
아래의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아래의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5에서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5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이 제공된다.
상기 광활성층은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1:0.5 내지 1:4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가 제공된다.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은 광전변환효율이 우수하여 유기 태양전지에 사요시 태양전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검출기에 사용시 암전류 억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은 상용의 퀴녹살린 모노머에 플루오로 벤젠을 도입하여 제조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도입되는 플루오로 벤젠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반복단위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이고,
도 2는 도 1의 반복단위 화합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 합성된 물질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열중량분석(TGA) 그래프이고,
도 5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6은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광흡수 분광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7 및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XPS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암 전류밀도-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10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전류밀도-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11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전류밀도-전력 특성 그래프이고,
도 12는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의 특성 평가 결과 그래프이고,
도 13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광활성층에 대한 원자힘 현미경(AFM) 및 그레이징 입사 소각 X선 산란(GIWAXS) 분석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복단위 화합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 합성된 물질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열중량분석(TGA) 그래프이고,
도 5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6은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광흡수 분광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7 및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XPS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암 전류밀도-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10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전류밀도-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11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전류밀도-전력 특성 그래프이고,
도 12는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의 특성 평가 결과 그래프이고,
도 13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광활성층에 대한 원자힘 현미경(AFM) 및 그레이징 입사 소각 X선 산란(GIWAXS) 분석 결과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는,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아래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 ~C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5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21,000 내지 124,000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은 플루오로 벤젠 모노머의 함유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고분자 화합물의 평면성 및 용해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기 광검출기의 광전류 형성 및 암전류 억제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0 내지 90 몰%이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잔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0 내지 90몰% 함유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잔부로서, 30 내지 10몰%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7 내지 88몰% 함유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잔부로서, 12 내지 23몰%함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분자 합성이 되지 않거나 또는 플루오로 벤젠 모노머에 의해 유기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 및 유기 광 검출기의 감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아래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
아래의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아래의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5에서의 R1 및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합성하여 얻을 수 있으나, 상용의 물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퀴녹살린 모노머에 플루오로 벤젠 및 티오펜 모노머를 추가 결합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높이고 제조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이 제공된다.
상기 광활성층은 억셉터(acceptor) 및 도너(donor)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있는 벌크 이종 접합 구조(bulk heterojunction, BHJ)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광활성층은 도너(donor)물질로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억셉터(acceptor)물질로서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은 아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Y6일 수 있다.
<Y6>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1:0.5 내지 1:4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활성층이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1:1.5 내지 1.25의 몰비로 포함함으로써, 유기 광검출기에 적용시 암 전류 억제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8항의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8항의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가 제공된다.
상기 유기 태양전지 및 유기 광검출기는 정공수송층 및/또는 전자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은 정공수송 물질로서 PEDOT:PSS(Poly(3,4-ethylenediocythiophene) doped with poly(styrenesulfonic acid)), 몰리브데늄 산화물(MoOx), 바나듐 산화물(V2O5), 니켈 산화물(NiO) 및 텅스텐 산화물(WOx)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자수송층은 전자수송 물질로서 8-히드록시퀴놀린의 금속착물; Alq3를 포함한 착물, Liq를 포함한 금속착물, LiF, Ca, 티타늄 산화물(TiOx), 아연 산화물(ZnO), 및 세슘 카보네이트(Cs2CO3)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 및 실험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 예 1 내지 실시 예 5에서 제조한 고분자 화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반복단위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로서, 상측은 퀴녹살린 및 티오펜을 포함하는 반복단위의 화학적 구조이고, 하측은 플르오르 벤젠 및 티오펜을 포함하는 반복단위의 화학적 구조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반복단위 화합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상측은 퀴녹살린 및 티오펜을 포함하는 반복단위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정명도(좌측) 및 측면도(우측)를 나타낸 도면이고, 하측은 플르오르 벤젠 및 티오펜을 포함하는 반복단위 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정명도(좌측) 및 측면도(우측)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
아래의 반응식 1에 따라 고분자 화합물(PQT-10FBT)을 제조하였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에서 x 및 y는 반응하는 모노머의 몰비를 나타낸다)
x | y | |
비교 예 1 (TQ1) | 100 | 0 |
실시 예 1 (PQT-10FBT) | 90 | 10 |
실시 예 2 (PQT-15FBT) | 85 | 15 |
실시 예 3 (PQT-25FBT) | 75 | 25 |
실시 예 4 (PQT-30FBT) | 70 | 30 |
실시 예 5 (PQT-33FBT) | 67 | 33 |
실시 예 6 (PQT-50FBT) | 50 | 50 |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실시 예 1>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10FBT
글러브박스 내 질소분위기에서 1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8-디브로모-2,3-비스(3-(옥틸옥시)페닐)퀴녹살린(0.287 mmol, 0.2 g)과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 (0.0287 mmol, 0.0077 g, 10 mol%), 그리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0.316 mmol, 0.13 g)을 넣고 촉매인 트리(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0.00526 g, 2 mol%)과 리간드인 트리(o-톨릴)포스핀 (0.007 g, 8 mol%)을 첨가한 후 무수 톨루엔(3 ml)을 넣고 마그네틱바를 넣어 주었다. 어뎁터와 컨덴서 설치 후 밀봉하여 글러브박스에서 꺼내고 120 ℃에서 24 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짙은 파란색의 용액이 점성을 가지고 교반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온으로 온도를 낮춘후 메탄올/아세트산 (3:1= v/v)에 침전시켰다. 침전된 고체는 속실렛을 통해 정제하였다. 속실렛은 각각 200 ml의 메탄올 → 아세톤 → n-헥산 →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 클로로포름(chloroform) 순으로 정제하고 최종물질은 클로로포름 분율만 편취하였다. 얻은 고체(127.2 mg)는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고분자 화합물(PQT-10FBT)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15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043 mmol, 0.012 g, 15 mol% 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33 mmol, 0.136 g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PQT-15FBT)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3>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25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072 mmol, 0.019 g, 25 mol% 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359 mmol, 0.148 g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PQT-25FBT)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4>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30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086 mmol, 0.023 g, 30 mol% 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373 mmol, 0.154 g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PQT-30FBT)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5>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33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095 mmol, 0.026 g, 33 mol%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382 mmol, 0.157 g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시 예 6>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50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287 mmol, 0.077 g, 50 mol%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574 mmol, 0.236 g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시 예 7> 유기 태양전지
ITO(Indium Tin Oxide) 유리상에, 알콜에 용해된 ZnO 졸-겔 용액을 이용하여 ZnO층을 3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후, 실시 예 1의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Y6를 1:2의 몰비로 혼합 후 클로로포름 용매에 용해하고, 이를 1000 rpm에서 60초간 스핀코팅하여 약 70nm 두께의 광활성층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진공도 3×10-7 torr 이하의 진공 증착기에서 MoO3/Ag를 순차적으로 각각 7nm와 100nm의 두께로 증착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8>
상기 실시 예 7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9>
상기 실시 예 7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3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0>
상기 실시 예 7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4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1>
ITO(Indium Tin Oxide) 유리상에, 알콜에 용해된 ZnO 졸-겔 용액을 이용하여 ZnO층을 3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후 실시 예 1의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Y6를 1:2의 몰비로 혼합 후 클로로포름 용매에 용해하고, 이를 1000 rpm에서 60초간 스핀코팅하여 약 110nm 두께의 광활성층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진공도 3×10-7 torr 이하의 진공 증착기에서 MoO3/Ag를 순차적으로 각각 7nm와 100nm의 두께로 증착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2>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3>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3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4>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4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5>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Y6를 1:1의 몰비로 혼합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6>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Y6를 1:3의 몰비로 혼합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1> 고분자 화합물 제조_TQ1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은 첨가하지 않지 않고, 5,8-디브로모-2,3-비스(3-(옥틸옥시)페닐)퀴녹살린 (0.5 mmol, 0.348 g)와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 (0.5 mmol, 0.206 g)을 넣고 촉매인 트리(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0.00526 g, 2 mol%)와 리간드인 트리(o-톨릴)포스핀 (0.007 g, 8 mol%)을 첨가하는 것으로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TQ1)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3>
상기 실시 예 7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비교 예 1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6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2>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비교 예 1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0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험 예 1> 고분자 합성
실시 예 1 내지 6의 방법으로 고분자 합성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 예 1 내지 4의 경우 고분자 화합물이 합성되었으나 실시 예 5 및 실시 예 6에서는 고분자가 합성되지 못하였다.
이는, 플루오로 벤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현저히 낮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응식 1에서, x는 67을 초과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67몰% 초과하여,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 함유해야함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2> 고분자 화합물의 특성 분석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의 기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특성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 및 비교 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의 기본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시 예 1 및 2, 비교 예 1의 고분자 화합물에 대해 질소분위기에서 10℃/min의 승온속도로 가열하며 열중량분석(TGA)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고, 질소분위기에서 10℃/min 속도로 2회 가열 및 냉각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분해온도(Td)값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론적 B3LYP / 6-311G ++ (d, p) 레벨에서 계산된 퀴녹살린-티오펜(도 1의 좌) 및 플루오로 벤젠-티오펜(도1의 우)에 대해 HOMO, LUMO 및 에너지밴드갭(Eg)을 계산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Polymers | Mn (g·mol-1) |
Mw (g·mol-1) |
Mw/Mn | Td (℃) |
HOMO (eV) |
LUMO (eV) |
Eg opt (eV) |
비교 예 1 (TQ1) |
40k | 152k | 3.7 | 430.5 | -5.58 | -3.82 | 1.78 |
실시 예 1 (PQT-10FBT) |
46k | 124k | 2.7 | 430.5 | -5.73 | -3.96 | 1.77 |
실시 예2 (PQT-15FBT) |
27k | 121k | 4.4 | 430.5 | -5.73 | -3.98 | 1.75 |
Td: TGA에 의해 결정된 N2의 5 % 중량 손실에 해당하는 분해 온도
HOMO: Ferrocene 반전위(약-4.8 eV)로 계산됨
LUMO: HOMO 레벨 및 광학 밴드갭으로 계산됨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 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는 비교 예 1의 고분자와 유사한 분자량을 갖는 것을 알 수 있고, 유기전자소자를 작동 시 구동 온도 범위 내에서 열적 안정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광흡수 특성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 및 비교 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의 광흡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 예 1(TQ1), 실시 예 1(PQT-10FBT), 실시 예 2(PQT-15FBT)의 고분자를 클로로포름 용매에 용해한 용액(TQ1 solution, PQT-10FBT solution, PQT-15FBT solution), 및 이의 용액을 ITO 기판상에 스핀코팅하여 형성한 필름(TQ1 film, PQT-10FBT film, PQT-15FBT film)에 대해 각각 광흡수 분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예 1, 실시 예 1 및 2의 고분자의 흡수의 최고점과 흡수의 가장자리가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결과로부터, 유기 광검출기 중에서도 X-ray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파장의 흡수를 가지는 비교 예 1 고분자의 장점을 실시 예 1 및 2의 고분자들이 그대로 유지하는 에너지 레벨 및 흡수 파장대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XPS 분석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의 물질 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 예 1(PQT-10FBT) 및 실시 예 2(PQT-15FBT)에서 제조한 고분자 화합물에 대해 x-선 광전자 분광(XPS)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 예2의 고분자 화합물은 실시 예 1 대비 보다 많은 양의 불소(F)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2> 유기 광검출기 성능 평가
도너(donor) 및 억셉터(acceptor) 비율에 따른 특성 비교
일 측면에 따른 유기 광검출기에서, 도너(donor) 및 억셉터(acceptor) 비율에 따른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도너(donor) 및 억셉터(acceptor)의 혼합비를 달리한 실시 예 12(1:2), 15(1:1) 및 16(1:3)의 유기 광검출기에 대해 암전류 밀도를 측정하여 도 9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혼합비 (PQT-15FBT:Y6) |
1:1 | 1:2 | 1:3 |
Voltage (V) | Jd (A/cm2) | ||
0 | 7.83 x 10-11 | 8.4 x 10-11 | 1.30 x 10-10 |
-1 | 2.76 x 10-8 | 5.2 x 10-9 | 2.45 x 10-8 |
-2 | 5.62 x 10-7 | 7.39 x 10-8 | 4.01 x 10-7 |
-3 | 5.36 x 10-6 | 9.94 x 10-8 | 3.86 x 10-6 |
도 9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너(donor) 및 억셉터(acceptor)를 1:2의 비율로 혼합했을 때 암전류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플루오로 벤젠 도입 비율에 따른 특성 비교
일 측면에 따른 유기 광검출기에서, 플루오로 벤젠 도입 비율에 따른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플루오로 벤젠 도입 비율을 달리한 비교 예 2, 실시 예 11 및 실시 예 12의 유기 광검출기에 대해 전류밀도(current density)-전압(Voltage) 특성, 전류밀도(current density)-전력(power)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고 이로부터 얻은 전류-전압 특성값 및 유기광검출기 특성값을 아래의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전류밀도(current density)-전압(Voltage) 그래프는 0.09cm2의 활성 영역에서 암전류 및 3μW 미만의 녹색 LED 조명(530nm)을 사용하여 측정된 결과 그래프이고, 전류밀도(current density)-전력(power) 그래프는 다양한 역방향 바이어스(0V~-3.0V)에서의 광전류 밀도 및 광 강도(30-1110μW)값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전압 (V) |
Jph (A/cm2) |
반응도 (A/W) |
α | |
비교 예 2 (TQ1) |
0.0 | 8.82349E-6 | 0.27 | 0.9978 |
-1.0 | 9.51462E-6 | 0.29 | 0.9982 | |
-2.0 | 1.14928E-5 | 0.34 | 0.9978 | |
실시 예 11 (PQT-10FB T) |
0.0 | 9.51028E-6 | 0.29 | 0.9978 |
-1.0 | 1.00079E-5 | 0.30 | 0.9984 | |
-2.0 | 1.05748E-5 | 0.32 | 0.9984 | |
실시 예 12 (PQT-15FB T) |
0.0 | 9.9726E-6 | 0.30 | 0.9997 |
-1.0 | 1.043E-5 | 0.31 | 0.9996 | |
-2.0 | 1.13232E-5 | 0.34 | 0.9994 |
Jph:0.09cm2의 활성 영역에서 3μW 미만의 LED 조명하에서의 전류밀도
α: 편극률
전압 (V) |
Jd (A/cm2) |
감광성 (Jones) |
|
비교 예 2 (TQ1) |
0.0 | 4.30E-10 | 7.13 x 1011 |
-1.0 | 4.38E-7 | 2.41 x 1010 | |
-2.0 | 2.43E-6 | 1.23 x 1010 | |
실시 예 11 (PQT-10FBT) |
0.0 | 2.09E-10 | 1.10 x 1012 |
-1.0 | 4.29E-8 | 8.10 x 1010 | |
-2.0 | 2.36E-7 | 3.62 x 1010 | |
실시 예 12 (PQT-15FBT) |
0.0 | 1.70 E-10 | 1.28 x 1012 |
-1.0 | 6.58E-9 | 2.16 x 1011 | |
-2.0 | 5.67E-8 | 8.26 x 1010 | |
실시 예 13 (PQT-25FBT) |
0.0 | 1.71 E-8 | 1.29 x 109 |
-1.0 | 6.59E-7 | 8.17 x 108 | |
-2.0 | 5.68E-5 | 3.27 x 108 | |
실시 예 14 (PQT-30FBT) |
0.0 | 41.33E-8 | 7.33 x 109 |
-1.0 | 4.41E-7 | 2.61 x 107 | |
-2.0 | 2.46E-5 | 1.43 x 107 |
Jd: 전류밀도
상기 표 4 및 표 5의 결과로부터 비교 예 2 대비 실시 예 11 내지 12의 유기 광검출기의 경우 암전 상태에서 -2.0 V일 때 전류밀도가 낮으며, 감광성(Detectivity) 또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특히 실시 예 12의 경우 암전 상태에서 -2.0 V일 때 전류밀도가 비교 예 2의 유기 광검출기 대비 2승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이는 감광성 (Detectivity)에서 8배의 차이만큼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3> 유기 태양전지 성능 평가
일 측면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의 특성값을 측정하여, 도 12 및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도너 | 억셉터 | 용매 | 첨가제 | Annealing (110°C/5m) |
JSC (mAcm-2) |
VOC (V) |
FF | PCE (%) |
비교 예 3 (TQ1) |
Y6 | CF | 1% CN | x | 19.26 | 0.61 | 0.44 | 5.25 |
o | 20.97 | 0.65 | 0.51 | 6.81 | ||||
실시 예 7 (PQT-10FBT) |
Y6 | CF | 1% CN | x | 17.29 | 0.68 | 0.43 | 5.01 |
o | 20.97 | 0.62 | 0.51 | 6.70 | ||||
실시 예 8 (QT-15FBT) |
Y6 | CF | 1% CN | x | 17.10 | 0.66 | 0.44 | 5.02 |
o | 20.82 | 0.61 | 0.58 | 7.35 |
CN: 클로로나프탈렌 (Chloronaphthalene)
JSC: 단락전류밀도(short circuit current)
VOC: 개방전압(open circuit voltage)
FF: 충진계수(fill factor)
PCE: 광전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
도 12 및 상기 표 6에 나타난 봐와 같이, 실시 예 8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의 경우 비교 예 3 및 실시 예 7에 의해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 대비 우수한 광전변환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4> 광활성층의 AFM 및 GIWAXS 평가
일 측면에 따른 광활성층 박막의 미세 구조 및 결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교 예 1, 실시 예 11 및 12의 광활성층 박막에 대해, 원자힘 현미경(AFM) 및 그레이징 입사 소각 X선 산란(GIWAXS)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의 우측 이미지는 AFM이미지이고 좌측 이미지는 GIWAXS 분석결과이다.
GIWAXS 분석 결과, 비교 예 1 대비 실시 예 11의 광활성층 박막에서, 실시 예 11 대비 실시 예 12의 광활성층 박막에서 단분자와 함께 고분자 또한 결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out-of-plane 방향에서의 (010) 픽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기판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전하 이동이 원활히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는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및 유기 광검출기 소자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이 나타난 원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 85 내지 90몰%의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10 내지 15몰%의 아래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다).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인, 고분자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5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인, 고분자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21,000 내지 124,000인, 고분자 화합물.
- 아래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
아래의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아래의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반응시켜 제1항의 고분자 화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5에서의 R1 및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 제1항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은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1:1.5 내지 1:2.5의 몰비로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
-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8항의 광활성층;을 포함하되,
상기 광활성층이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85몰% 포함하고,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15몰%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8항의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46638 | 2020-11-05 | ||
KR1020200146638 | 2020-11-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984A KR20220060984A (ko) | 2022-05-12 |
KR102589059B1 true KR102589059B1 (ko) | 2023-10-13 |
Family
ID=8159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3266A KR102589059B1 (ko) | 2020-11-05 | 2021-06-25 |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90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0488A (ko) | 2023-02-22 | 2024-08-29 | 한국화학연구원 | 신규한 고분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전변환소자용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하는 광전변환소자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4931B1 (ko) * | 2006-10-30 | 2013-10-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고분자 반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성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
KR20150130192A (ko) * | 2014-05-13 | 2015-1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
KR101736556B1 (ko) * | 2014-12-24 | 2017-05-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 전지 |
KR101777327B1 (ko) | 2016-02-22 | 2017-09-11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불소기가 도입된 퀴녹살린계 화합물 및 벤조다이싸이오펜계 화합물을 구성단위로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소자 |
KR102159624B1 (ko) * | 2017-05-11 | 2020-09-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활성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
2021
- 2021-06-25 KR KR1020210083266A patent/KR10258905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984A (ko) | 2022-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0737B1 (ko) | 공중합체, 이를 이용한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EP3473627B1 (en) |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WO2010075512A1 (en) | Polymers with bodipy-based backbone for solar cells | |
KR101798597B1 (ko) | 신규한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소자 | |
KR101853395B1 (ko) | 전자 공여체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 |
EP3018160B1 (en) | Copolymer and organic solar cell comprising same | |
US20160329162A1 (en) | Hole transporting and light absorbing material for solid state solar cells | |
KR20190036189A (ko) |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 |
KR20190001335A (ko) | 유기 태양 전지 | |
KR101595147B1 (ko) | 방향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 |
KR102589059B1 (ko) |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 |
KR101748465B1 (ko) |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 |
KR102375334B1 (ko) |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80153B1 (ko) | 혼성 금속 산화물 및 그 형성 방법과 상기 혼성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 |
KR102053616B1 (ko) | 메틸렌 싸이오펜 카르복실레이트와 벤조다이싸이오펜을 함유하는 공액형 삼원 공중합체와 이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 |
KR101278511B1 (ko) | 신규한 폴리알킬비올로겐계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소자 | |
KR102719627B1 (ko) | 신규 벤조비스옥사졸계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 | |
KR102314981B1 (ko) | 플루오린 알킬 말단을 가지는 공액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및 광검출기 | |
KR102655205B1 (ko) | 그래프트형 공액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소자 | |
KR102228274B1 (ko) | 저온공정을 위한 공액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 |
KR101633261B1 (ko) | 전도성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 |
KR102486961B1 (ko) | 신규 화합물 및 그의 정공 전달층으로의 용도 | |
CN110325566B (zh) | 共聚物和包含其的有机太阳能电池 | |
KR101637058B1 (ko) | 함질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 |
KR20230091519A (ko) | 신규 벤조비스옥사졸계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