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059B1 -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 Google Patents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059B1
KR102589059B1 KR1020210083266A KR20210083266A KR102589059B1 KR 102589059 B1 KR102589059 B1 KR 102589059B1 KR 1020210083266 A KR1020210083266 A KR 1020210083266A KR 20210083266 A KR20210083266 A KR 20210083266A KR 102589059 B1 KR102589059 B1 KR 10258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und
formula
photoactive layer
electrod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984A (ko
Inventor
이창진
고서진
윤성철
임대희
엄승훈
이승훈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6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3Side-chain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6Side-chains containing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4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perylene, anthracene or pyrene
    • C08G2261/3142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perylene, anthracene or pyrene fluorene-based, e.g. fluorene, indenofluorene, or spirobifluo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 C08G2261/322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thiop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1Photovoltaic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4Applications in sensors, e.g. biosen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엔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을 광활성층에 포함하여 제조되는 유기 광전소자는 우수한 광전변환 효율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Quinoxaline-based polymer compound containing fluorinated-benzene and ogarnic photo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변환소자에 관한 것이다.
광전소자는 빛을 조사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빛이 물질에 부딪힐 때 전자가 방출되는 광전효과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광전소자에는 태양전지, 광검출기 등이 있다.
그 중 광 검출기는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빛을 검출하는 소자로서, 광다이오드 및 광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 검출기는 빛의 양, 물체의 모양, 상태 동작등을 감지할 수 있어 산업뿐만 아니라 가정에도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광 검출기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화된 이미지 처리를 위한 간단하고 경제적인 솔루션이며, 또한 진단 영상 처리를 위한 의학 공학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더욱 다양한 저비용의 전자소자를 제조할 수 있고 무기 화합물에 비하여 재료계가 다양하고 분자 설계에 따라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재료를 합성할 수 있는 유기 반도체성 물질에 기반한 유기 광검출기(Ogarnic Photo Detector, OPD) 개발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신규한 유기 화합물 및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물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퀴녹살린 기반 고분자 화합물은 최근 높은 태양전지 효율을 보이며 광-전 변환에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려된 종래의 기술로, Adv. Mater. 2010, 22, 5240-5244에서는 퀴녹살린 기반의 낮은 밴드갭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를 개시한 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327호에서는 불소기가 도입된 퀴녹살린계 화합물 및 벤조다이싸이오펜계 화합물을 구성단위로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용한 에너지 변환 소자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퀴녹살린 기반 고분자 화합물에 대해 유기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되었을 뿐 유기 광검출기의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가 미비하여 이를 위한 연구가 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유기 광검출기의 성능 향상을 나타내기 위한 신규한 고분자 화합물로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에 플루오로 벤젠을 도입하여 유기 광검출기에 사용시 암전류 억제에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327호
Adv. Mater. 2010, 22, 5240-5244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벤젠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는,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아래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0 내지 90 몰%이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잔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7 내지 88 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5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21,000 내지 124,000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아래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
아래의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아래의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5에서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5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이 제공된다.
상기 광활성층은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1:0.5 내지 1:4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가 제공된다.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은 광전변환효율이 우수하여 유기 태양전지에 사요시 태양전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검출기에 사용시 암전류 억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은 상용의 퀴녹살린 모노머에 플루오로 벤젠을 도입하여 제조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도입되는 플루오로 벤젠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반복단위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이고,
도 2는 도 1의 반복단위 화합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 합성된 물질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열중량분석(TGA) 그래프이고,
도 5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6은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광흡수 분광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7 및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XPS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암 전류밀도-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10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전류밀도-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11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광 검출기의 전류밀도-전력 특성 그래프이고,
도 12는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의 특성 평가 결과 그래프이고,
도 13은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광활성층에 대한 원자힘 현미경(AFM) 및 그레이징 입사 소각 X선 산란(GIWAXS) 분석 결과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는,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아래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 ~C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5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21,000 내지 124,000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은 플루오로 벤젠 모노머의 함유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고분자 화합물의 평면성 및 용해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기 광검출기의 광전류 형성 및 암전류 억제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0 내지 90 몰%이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잔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0 내지 90몰% 함유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잔부로서, 30 내지 10몰%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77 내지 88몰% 함유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잔부로서, 12 내지 23몰%함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분자 합성이 되지 않거나 또는 플루오로 벤젠 모노머에 의해 유기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 및 유기 광 검출기의 감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아래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
아래의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아래의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5에서의 R1 및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합성하여 얻을 수 있으나, 상용의 물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퀴녹살린 모노머에 플루오로 벤젠 및 티오펜 모노머를 추가 결합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높이고 제조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이 제공된다.
상기 광활성층은 억셉터(acceptor) 및 도너(donor)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있는 벌크 이종 접합 구조(bulk heterojunction, BHJ)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광활성층은 도너(donor)물질로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억셉터(acceptor)물질로서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은 아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Y6일 수 있다.
<Y6>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1:0.5 내지 1:4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활성층이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1:1.5 내지 1.25의 몰비로 포함함으로써, 유기 광검출기에 적용시 암 전류 억제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8항의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8항의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가 제공된다.
상기 유기 태양전지 및 유기 광검출기는 정공수송층 및/또는 전자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은 정공수송 물질로서 PEDOT:PSS(Poly(3,4-ethylenediocythiophene) doped with poly(styrenesulfonic acid)), 몰리브데늄 산화물(MoOx), 바나듐 산화물(V2O5), 니켈 산화물(NiO) 및 텅스텐 산화물(WOx)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자수송층은 전자수송 물질로서 8-히드록시퀴놀린의 금속착물; Alq3를 포함한 착물, Liq를 포함한 금속착물, LiF, Ca, 티타늄 산화물(TiOx), 아연 산화물(ZnO), 및 세슘 카보네이트(Cs2CO3)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 및 실험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 예 1 내지 실시 예 5에서 제조한 고분자 화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반복단위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로서, 상측은 퀴녹살린 및 티오펜을 포함하는 반복단위의 화학적 구조이고, 하측은 플르오르 벤젠 및 티오펜을 포함하는 반복단위의 화학적 구조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반복단위 화합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상측은 퀴녹살린 및 티오펜을 포함하는 반복단위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정명도(좌측) 및 측면도(우측)를 나타낸 도면이고, 하측은 플르오르 벤젠 및 티오펜을 포함하는 반복단위 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정명도(좌측) 및 측면도(우측)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
아래의 반응식 1에 따라 고분자 화합물(PQT-10FBT)을 제조하였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에서 x 및 y는 반응하는 모노머의 몰비를 나타낸다)
x y
비교 예 1 (TQ1) 100 0
실시 예 1 (PQT-10FBT) 90 10
실시 예 2 (PQT-15FBT) 85 15
실시 예 3 (PQT-25FBT) 75 25
실시 예 4 (PQT-30FBT) 70 30
실시 예 5 (PQT-33FBT) 67 33
실시 예 6 (PQT-50FBT) 50 50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실시 예 1>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10FBT
글러브박스 내 질소분위기에서 1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8-디브로모-2,3-비스(3-(옥틸옥시)페닐)퀴녹살린(0.287 mmol, 0.2 g)과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 (0.0287 mmol, 0.0077 g, 10 mol%), 그리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0.316 mmol, 0.13 g)을 넣고 촉매인 트리(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0.00526 g, 2 mol%)과 리간드인 트리(o-톨릴)포스핀 (0.007 g, 8 mol%)을 첨가한 후 무수 톨루엔(3 ml)을 넣고 마그네틱바를 넣어 주었다. 어뎁터와 컨덴서 설치 후 밀봉하여 글러브박스에서 꺼내고 120 ℃에서 24 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짙은 파란색의 용액이 점성을 가지고 교반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온으로 온도를 낮춘후 메탄올/아세트산 (3:1= v/v)에 침전시켰다. 침전된 고체는 속실렛을 통해 정제하였다. 속실렛은 각각 200 ml의 메탄올 → 아세톤 → n-헥산 →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 클로로포름(chloroform) 순으로 정제하고 최종물질은 클로로포름 분율만 편취하였다. 얻은 고체(127.2 mg)는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고분자 화합물(PQT-10FBT)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15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043 mmol, 0.012 g, 15 mol% 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33 mmol, 0.136 g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PQT-15FBT)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3>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25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072 mmol, 0.019 g, 25 mol% 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359 mmol, 0.148 g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PQT-25FBT)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4>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30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086 mmol, 0.023 g, 30 mol% 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373 mmol, 0.154 g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PQT-30FBT)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5>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33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095 mmol, 0.026 g, 33 mol%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382 mmol, 0.157 g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시 예 6> 고분자 화합물 제조_PQT-50FBT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을 0.287 mmol, 0.077 g, 50 mol%사용하고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을 0.574 mmol, 0.236 g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시 예 7> 유기 태양전지
ITO(Indium Tin Oxide) 유리상에, 알콜에 용해된 ZnO 졸-겔 용액을 이용하여 ZnO층을 3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후, 실시 예 1의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Y6를 1:2의 몰비로 혼합 후 클로로포름 용매에 용해하고, 이를 1000 rpm에서 60초간 스핀코팅하여 약 70nm 두께의 광활성층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진공도 3×10-7 torr 이하의 진공 증착기에서 MoO3/Ag를 순차적으로 각각 7nm와 100nm의 두께로 증착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8>
상기 실시 예 7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9>
상기 실시 예 7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3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0>
상기 실시 예 7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4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1>
ITO(Indium Tin Oxide) 유리상에, 알콜에 용해된 ZnO 졸-겔 용액을 이용하여 ZnO층을 3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후 실시 예 1의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Y6를 1:2의 몰비로 혼합 후 클로로포름 용매에 용해하고, 이를 1000 rpm에서 60초간 스핀코팅하여 약 110nm 두께의 광활성층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진공도 3×10-7 torr 이하의 진공 증착기에서 MoO3/Ag를 순차적으로 각각 7nm와 100nm의 두께로 증착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2>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3>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3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4>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4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5>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Y6를 1:1의 몰비로 혼합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6>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Y6를 1:3의 몰비로 혼합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1> 고분자 화합물 제조_TQ1
상기 실시 예 1에서, 1,4-디브로모-2,5-디플로로벤젠은 첨가하지 않지 않고, 5,8-디브로모-2,3-비스(3-(옥틸옥시)페닐)퀴녹살린 (0.5 mmol, 0.348 g)와 2,5-비스(트리메틸스타닐)티오펜 (0.5 mmol, 0.206 g)을 넣고 촉매인 트리(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0.00526 g, 2 mol%)와 리간드인 트리(o-톨릴)포스핀 (0.007 g, 8 mol%)을 첨가하는 것으로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TQ1)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3>
상기 실시 예 7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비교 예 1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6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2>
상기 실시 예 11에서, 광활성층의 고분자 화합물을 비교 예 1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0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유기 광검출기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험 예 1> 고분자 합성
실시 예 1 내지 6의 방법으로 고분자 합성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 예 1 내지 4의 경우 고분자 화합물이 합성되었으나 실시 예 5 및 실시 예 6에서는 고분자가 합성되지 못하였다.
이는, 플루오로 벤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현저히 낮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응식 1에서, x는 67을 초과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67몰% 초과하여,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 함유해야함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2> 고분자 화합물의 특성 분석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의 기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특성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 및 비교 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의 기본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시 예 1 및 2, 비교 예 1의 고분자 화합물에 대해 질소분위기에서 10℃/min의 승온속도로 가열하며 열중량분석(TGA)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고, 질소분위기에서 10℃/min 속도로 2회 가열 및 냉각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분해온도(Td)값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론적 B3LYP / 6-311G ++ (d, p) 레벨에서 계산된 퀴녹살린-티오펜(도 1의 좌) 및 플루오로 벤젠-티오펜(도1의 우)에 대해 HOMO, LUMO 및 에너지밴드갭(Eg)을 계산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Polymers Mn
(g·mol-1)
Mw
(g·mol-1)
Mw/Mn Td
(℃)
HOMO
(eV)
LUMO
(eV)
Eg opt
(eV)
비교 예 1
(TQ1)
40k 152k 3.7 430.5 -5.58 -3.82 1.78
실시 예 1
(PQT-10FBT)
46k 124k 2.7 430.5 -5.73 -3.96 1.77
실시 예2
(PQT-15FBT)
27k 121k 4.4 430.5 -5.73 -3.98 1.75
Td: TGA에 의해 결정된 N2의 5 % 중량 손실에 해당하는 분해 온도
HOMO: Ferrocene 반전위(약-4.8 eV)로 계산됨
LUMO: HOMO 레벨 및 광학 밴드갭으로 계산됨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 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는 비교 예 1의 고분자와 유사한 분자량을 갖는 것을 알 수 있고, 유기전자소자를 작동 시 구동 온도 범위 내에서 열적 안정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광흡수 특성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 및 비교 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의 광흡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 예 1(TQ1), 실시 예 1(PQT-10FBT), 실시 예 2(PQT-15FBT)의 고분자를 클로로포름 용매에 용해한 용액(TQ1 solution, PQT-10FBT solution, PQT-15FBT solution), 및 이의 용액을 ITO 기판상에 스핀코팅하여 형성한 필름(TQ1 film, PQT-10FBT film, PQT-15FBT film)에 대해 각각 광흡수 분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예 1, 실시 예 1 및 2의 고분자의 흡수의 최고점과 흡수의 가장자리가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결과로부터, 유기 광검출기 중에서도 X-ray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파장의 흡수를 가지는 비교 예 1 고분자의 장점을 실시 예 1 및 2의 고분자들이 그대로 유지하는 에너지 레벨 및 흡수 파장대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XPS 분석
일 측면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의 물질 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 예 1(PQT-10FBT) 및 실시 예 2(PQT-15FBT)에서 제조한 고분자 화합물에 대해 x-선 광전자 분광(XPS)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 예2의 고분자 화합물은 실시 예 1 대비 보다 많은 양의 불소(F)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2> 유기 광검출기 성능 평가
도너(donor) 및 억셉터(acceptor) 비율에 따른 특성 비교
일 측면에 따른 유기 광검출기에서, 도너(donor) 및 억셉터(acceptor) 비율에 따른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도너(donor) 및 억셉터(acceptor)의 혼합비를 달리한 실시 예 12(1:2), 15(1:1) 및 16(1:3)의 유기 광검출기에 대해 암전류 밀도를 측정하여 도 9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혼합비
(PQT-15FBT:Y6)
1:1 1:2 1:3
Voltage (V) Jd (A/cm2)
0 7.83 x 10-11 8.4 x 10-11 1.30 x 10-10
-1 2.76 x 10-8 5.2 x 10-9 2.45 x 10-8
-2 5.62 x 10-7 7.39 x 10-8 4.01 x 10-7
-3 5.36 x 10-6 9.94 x 10-8 3.86 x 10-6
도 9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너(donor) 및 억셉터(acceptor)를 1:2의 비율로 혼합했을 때 암전류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플루오로 벤젠 도입 비율에 따른 특성 비교
일 측면에 따른 유기 광검출기에서, 플루오로 벤젠 도입 비율에 따른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플루오로 벤젠 도입 비율을 달리한 비교 예 2, 실시 예 11 및 실시 예 12의 유기 광검출기에 대해 전류밀도(current density)-전압(Voltage) 특성, 전류밀도(current density)-전력(power)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고 이로부터 얻은 전류-전압 특성값 및 유기광검출기 특성값을 아래의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전류밀도(current density)-전압(Voltage) 그래프는 0.09cm2의 활성 영역에서 암전류 및 3μW 미만의 녹색 LED 조명(530nm)을 사용하여 측정된 결과 그래프이고, 전류밀도(current density)-전력(power) 그래프는 다양한 역방향 바이어스(0V~-3.0V)에서의 광전류 밀도 및 광 강도(30-1110μW)값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전압
(V)
Jph
(A/cm2)
반응도
(A/W)
α
비교 예 2
(TQ1)
0.0 8.82349E-6 0.27 0.9978
-1.0 9.51462E-6 0.29 0.9982
-2.0 1.14928E-5 0.34 0.9978
실시 예 11
(PQT-10FB T)
0.0 9.51028E-6 0.29 0.9978
-1.0 1.00079E-5 0.30 0.9984
-2.0 1.05748E-5 0.32 0.9984
실시 예 12
(PQT-15FB T)
0.0 9.9726E-6 0.30 0.9997
-1.0 1.043E-5 0.31 0.9996
-2.0 1.13232E-5 0.34 0.9994
Jph:0.09cm2의 활성 영역에서 3μW 미만의 LED 조명하에서의 전류밀도
α: 편극률
전압
(V)
Jd
(A/cm2)
감광성
(Jones)
비교 예 2
(TQ1)
0.0 4.30E-10 7.13 x 1011
-1.0 4.38E-7 2.41 x 1010
-2.0 2.43E-6 1.23 x 1010
실시 예 11
(PQT-10FBT)
0.0 2.09E-10 1.10 x 1012
-1.0 4.29E-8 8.10 x 1010
-2.0 2.36E-7 3.62 x 1010
실시 예 12
(PQT-15FBT)
0.0 1.70 E-10 1.28 x 1012
-1.0 6.58E-9 2.16 x 1011
-2.0 5.67E-8 8.26 x 1010
실시 예 13
(PQT-25FBT)
0.0 1.71 E-8 1.29 x 109
-1.0 6.59E-7 8.17 x 108
-2.0 5.68E-5 3.27 x 108
실시 예 14
(PQT-30FBT)
0.0 41.33E-8 7.33 x 109
-1.0 4.41E-7 2.61 x 107
-2.0 2.46E-5 1.43 x 107
Jd: 전류밀도
상기 표 4 및 표 5의 결과로부터 비교 예 2 대비 실시 예 11 내지 12의 유기 광검출기의 경우 암전 상태에서 -2.0 V일 때 전류밀도가 낮으며, 감광성(Detectivity) 또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특히 실시 예 12의 경우 암전 상태에서 -2.0 V일 때 전류밀도가 비교 예 2의 유기 광검출기 대비 2승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이는 감광성 (Detectivity)에서 8배의 차이만큼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3> 유기 태양전지 성능 평가
일 측면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의 특성값을 측정하여, 도 12 및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도너 억셉터 용매 첨가제 Annealing
(110°C/5m)
JSC
(mAcm-2)
VOC
(V)
FF PCE
(%)
비교 예 3
(TQ1)
Y6 CF 1% CN x 19.26 0.61 0.44 5.25
o 20.97 0.65 0.51 6.81
실시 예 7
(PQT-10FBT)
Y6 CF 1% CN x 17.29 0.68 0.43 5.01
o 20.97 0.62 0.51 6.70
실시 예 8
(QT-15FBT)
Y6 CF 1% CN x 17.10 0.66 0.44 5.02
o 20.82 0.61 0.58 7.35
CN: 클로로나프탈렌 (Chloronaphthalene)
JSC: 단락전류밀도(short circuit current)
VOC: 개방전압(open circuit voltage)
FF: 충진계수(fill factor)
PCE: 광전변환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
도 12 및 상기 표 6에 나타난 봐와 같이, 실시 예 8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의 경우 비교 예 3 및 실시 예 7에 의해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 대비 우수한 광전변환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4> 광활성층의 AFM 및 GIWAXS 평가
일 측면에 따른 광활성층 박막의 미세 구조 및 결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교 예 1, 실시 예 11 및 12의 광활성층 박막에 대해, 원자힘 현미경(AFM) 및 그레이징 입사 소각 X선 산란(GIWAXS)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의 우측 이미지는 AFM이미지이고 좌측 이미지는 GIWAXS 분석결과이다.
GIWAXS 분석 결과, 비교 예 1 대비 실시 예 11의 광활성층 박막에서, 실시 예 11 대비 실시 예 12의 광활성층 박막에서 단분자와 함께 고분자 또한 결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out-of-plane 방향에서의 (010) 픽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기판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전하 이동이 원활히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는 실시 예 2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및 유기 광검출기 소자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이 나타난 원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85 내지 90몰%의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10 내지 15몰%의 아래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C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인, 고분자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5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인, 고분자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21,000 내지 124,000인, 고분자 화합물.
  7. 아래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
    아래의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아래의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반응시켜 제1항의 고분자 화합물을 제조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5에서의 R1 및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8. 제1항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은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고분자 화합물 및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을 1:1.5 내지 1:2.5의 몰비로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광활성층.
  11.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8항의 광활성층;을 포함하되,
    상기 광활성층이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85몰% 포함하고,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15몰%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12.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8항의 광활성층;을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
KR1020210083266A 2020-11-05 2021-06-25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KR102589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6638 2020-11-05
KR1020200146638 2020-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984A KR20220060984A (ko) 2022-05-12
KR102589059B1 true KR102589059B1 (ko) 2023-10-13

Family

ID=8159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266A KR102589059B1 (ko) 2020-11-05 2021-06-25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30488A (ko) 2023-02-22 2024-08-29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고분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전변환소자용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하는 광전변환소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931B1 (ko) * 2006-10-30 201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고분자 반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성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KR20150130192A (ko) * 2014-05-13 2015-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KR101736556B1 (ko) * 2014-12-24 2017-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 전지
KR101777327B1 (ko) 2016-02-22 2017-09-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소기가 도입된 퀴녹살린계 화합물 및 벤조다이싸이오펜계 화합물을 구성단위로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소자
KR102159624B1 (ko) * 2017-05-11 2020-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활성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984A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37B1 (ko) 공중합체, 이를 이용한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EP3473627B1 (en)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10075512A1 (en) Polymers with bodipy-based backbone for solar cells
KR101798597B1 (ko) 신규한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소자
KR101853395B1 (ko) 전자 공여체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EP3018160B1 (en) Copolymer and organic solar cell comprising same
US20160329162A1 (en) Hole transporting and light absorbing material for solid state solar cells
KR20190036189A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KR20190001335A (ko) 유기 태양 전지
KR101595147B1 (ko) 방향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KR102589059B1 (ko) 플루오로 벤젠을 함유한 퀴녹살린계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KR101748465B1 (ko)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KR102375334B1 (ko)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0153B1 (ko) 혼성 금속 산화물 및 그 형성 방법과 상기 혼성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KR102053616B1 (ko) 메틸렌 싸이오펜 카르복실레이트와 벤조다이싸이오펜을 함유하는 공액형 삼원 공중합체와 이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KR101278511B1 (ko) 신규한 폴리알킬비올로겐계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소자
KR102719627B1 (ko) 신규 벤조비스옥사졸계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
KR102314981B1 (ko) 플루오린 알킬 말단을 가지는 공액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및 광검출기
KR102655205B1 (ko) 그래프트형 공액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소자
KR102228274B1 (ko) 저온공정을 위한 공액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KR101633261B1 (ko) 전도성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KR102486961B1 (ko) 신규 화합물 및 그의 정공 전달층으로의 용도
CN110325566B (zh) 共聚物和包含其的有机太阳能电池
KR101637058B1 (ko) 함질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KR20230091519A (ko) 신규 벤조비스옥사졸계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검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