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044B1 -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044B1
KR102589044B1 KR1020210182527A KR20210182527A KR102589044B1 KR 102589044 B1 KR102589044 B1 KR 102589044B1 KR 1020210182527 A KR1020210182527 A KR 1020210182527A KR 20210182527 A KR20210182527 A KR 20210182527A KR 102589044 B1 KR102589044 B1 KR 10258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upply
distributor
washer flu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3690A (ko
Inventor
조용국
조형근
나성욱
김태현
전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Priority to KR102021018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0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는, 하나의 제1 공급유로로 공급된 유체를 다수 개의 제1 배출유로로 개별적으로 분배하고, 하나의 제2 공급유로로 공급된 유체를 다수 개의 제2 배출유로로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급유로에 워셔액을 공급하는 워셔액 공급유닛;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급유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블로워;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분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는, 라이다 센서 및 독립 센서의 세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워셔액 공급유닛과 하나의 에어블로워로 라이다 센서 및 독립 센서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Cleaning device of sensor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된 라이다 등의 각종 센서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센서 세척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모듈화되도록 구성되는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 레벨 4의 기능은 고속도로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자율주차와 같은 기능들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거리 분해능이 높은 라이다(LIDAR) 센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라이다 센서는 차량의 전후방을 센싱하여 사물이나 구조물 등을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라이다 센서는 전방 범퍼에 장착되어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라이다 센서를 다른 구조물 (글라스 등) 속에 설치하는 것은 라이다 센서의 감지 성능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라이다 센서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송신부, 레이저 수신부 및 구동부 등을 포함하며,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는 커버가 별도로 존재한다.
이러한 라이다 센서는 빛을 송/수신하는 방식을 통해서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이기 때문에, 커버의 오염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라이다 센서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은 라이다 센서의 성능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라이다 센서를 세정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에는 라이다 센서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후 및 좌우에 여러 종류의 독립 센서가 다수 개 장착되는데, 현재까지는 이러한 독립 센서들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별도의 세척장치가 없으므로 주행 도중에 상기 독립 센서들이 오염되는 경우 정상적인 자율주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언급한 독립 센서들을 세척하기 위해 별도의 세척장치를 추가하는 경우, 라이다 센서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와 독립 센서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를 각각 설치해야 하는바, 전체적인 세척시스템 제작 및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라이다 센서용 세척장치와 독립 센서용 세척장치를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경우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있다.
KR 10-2015-003520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라이다 센서 및 독립 센서의 세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워셔액 공급유닛과 하나의 에어블로워로 라이다 센서 및 독립 센서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는, 하나의 제1 공급유로로 공급된 유체를 다수 개의 제1 배출유로로 개별적으로 분배하고, 하나의 제2 공급유로로 공급된 유체를 다수 개의 제2 배출유로로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급유로에 워셔액을 공급하는 워셔액 공급유닛;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급유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블로워;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분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세척장치는, 상기 분배기와 상기 워셔액 공급유닛과 상기 에어블로워와 상기 제어부가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워셔액 공급유닛은,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는 워셔액 공급탱크와, 상기 워셔액 공급탱크에 장착되어 상기 워셔액 공급탱크에 저장된 워셔액을 상기 제1 공급유로로 공급하는 워셔액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기는, 일측이 개방된 제1 안착공간과, 상기 제1 안착공간과 이격된 지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유로과, 상기 제1 안착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관통유로를 연통시키는 제1 연통유로와, 상기 제1 안착공간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배출유로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유로가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 중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블록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1 관통유로와 연통되는 제1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제1 엔드하우징; 상기 제1 안착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연통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제1 유로개폐유닛; 일측이 개방된 제2 안착공간과, 상기 제2 안착공간과 이격된 지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유로과, 상기 제2 안착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관통유로를 연통시키는 제2 연통유로와, 상기 제2 안착공간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배출유로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관통유로가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 중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2 단위블록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2 관통유로와 연통되는 제2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제2 엔드하우징; 상기 제2 안착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연통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제2 유로개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은 각각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단위블록 열과 상기 제2 단위블록 열은 행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제1 공급유로는,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관통유로 및 제2 관통유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공급유로는,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관통유로 및 제2 관통유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엔드하우징은, 상기 제1 공급유로 중 상기 제1 관통유로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2 관통유로와 연결되는 지점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 중단개폐밸브와, 상기 제1 공급유로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제1 입구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엔드하우징은, 상기 제2 공급유로 중 상기 제1 관통유로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2 관통유로와 연결되는 지점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2 중단개폐밸브와, 상기 제2 공급유로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제2 입구개폐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는, 라이다 센서 및 독립 센서의 세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워셔액 공급유닛과 하나의 에어블로워로 라이다 센서 및 독립 센서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장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배기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장착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10)는 라이다(LIDAR) 센서나 독립 센서(3) 등과 같은 각종 센서에 워셔액과 압축공기를 독립적으로 분사하여 세척하는 장치로서, 워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구성요소와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설치 편의성과 활용성이 우수하고, 세척하고자 하는 센서의 형상이나 개수에 따라 워셔액 분사패턴과 압축공기 분사패턴의 개수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 있어 공용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10)는, 하나의 제1 공급유로(131)로 공급된 유체를 다수 개의 제1 배출유로(114)로 개별적으로 분배하고 하나의 제2 공급유로(141)로 공급된 유체를 다수 개의 제2 배출유로(124)로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분배기(100)와, 상기 분배기(10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급유로(131)에 워셔액을 공급하는 워셔액 공급유닛(200)과, 상기 분배기(10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급유로(14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블로워(300)와, 상기 분배기(10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분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배기(100)에 의해 분배되는 워셔액을 라이다 센서(2) 및 독립 센서(3)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배출유로(114) 각각에는 제1 공급라인(500)이 장착되고, 상기 분배기(100)에 의해 분배되는 압축공기를 라이다 센서(2) 및 독립 센서(3)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배출유로(124) 각각에는 제2 공급라인(600)이 장착되는데, 상기 제1 공급라인(500) 및 제2 공급라인(600)의 개수와 배열패턴은 분배기(100)의 규격 및 자율주행 차량(1)의 내부 구성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10)는 워셔액 분사를 위한 각종 구성요소와 압축공기 분사를 위한 각종 구성요소가 하나로 모듈화되어 있는바,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고,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장착 가능하므로 범용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1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주행 차량(1)의 프렁크(4)와 트렁크(5)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고, 프렁크(4)와 트렁크(5)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 차량(1)에 구비된 센서의 수가 많아 분사해야 하는 워셔액 및 압축공기의 유량이 많은 경우,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차량(1)에 두 개의 센서세척장치(10)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10)가 프렁크(4) 또는 트렁크(5)에 장착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10)의 장착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차량범위 내에서의 추가 공간을 확보하여 해당 공간에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10)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라이다 센서(2)나 독립 센서(3)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워셔액을 고압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워셔액 공급유닛(200)은, 상기 분배기(100)와 일체로 결합되는 워셔액 공급탱크(210)와, 상기 워셔액 공급탱크(210)에 장착되어 상기 워셔액 공급탱크(210)에 저장된 워셔액을 상기 제1 공급유로(131)로 공급하는 워셔액 펌프(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워셔액 펌프(220)는 워셔액 공급탱크(210) 내의 워셔액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분배기(100)로 공급하도록 작동되는바, 라이다 센서(2) 및 독립 센서(3)를 매우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워셔액 펌프(220)는 종래의 워셔액 분사장치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워셔액 펌프(220)의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배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배기(100)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배기(100)는 자율주행 차량(1)에 설치되는 센서의 개수에 맞춰 제1 배출유로(114) 및 제2 배출유로(124)의 개수를 증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분배기(10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110) 및 제2 단위블록(120)과, 상기 제1 단위블록(110) 및 제2 단위블록(120)으로 워셔액 및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엔드하우징(130) 및 제2 엔드하우징(140)과, 제1 단위블록(110) 및 제2 단위블록(120) 내의 유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제1 유로개폐유닛(150) 및 제2 유로개폐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110)은, 일측이 개방된 제1 안착공간(111)과, 상기 제1 안착공간(111)과 이격된 지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유로(112)과, 상기 제1 안착공간(111)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관통유로(112)를 연통시키는 제1 연통유로(113)와, 상기 제1 안착공간(111)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배출유로(114)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유로(112)가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제1 엔드하우징(130)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110) 중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블록(1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1 관통유로(112)와 연통되는 제1 공급유로(1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유로개폐유닛(150)은 상기 제1 안착공간(111)에 장착되며,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연통유로(113)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밸브(151)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120)은, 일측이 개방된 제2 안착공간(121)과, 상기 제2 안착공간(121)과 이격된 지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유로(122)과, 상기 제2 안착공간(121)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관통유로(122)를 연통시키는 제2 연통유로(123)와, 상기 제2 안착공간(121)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배출유로(124)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유로(122)가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제2 엔드하우징(140)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120) 중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2 단위블록(12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2 관통유로(122)와 연통되는 제2 공급유로(141)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유로개폐유닛(160)은, 상기 제2 안착공간(121)에 장착되며,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연통유로(123)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밸브(16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개폐밸브(151)와 제2 개폐밸브(161)는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작동 신호에 따라 제1 연통유로(113)와 제2 연통유로(123)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밸브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제1 단위블록(110)과 5개의 제2 단위블록(120)이 연결된 상태에서 센서 세척 신호가 인가되면, 제1 공급유로(131)로 공급된 워셔액은 제1 관통유로(112)를 지나 5개의 제1 배출유로(114)로 분기되어 배출되고, 제2 공급유로(141)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제2 관통유로(122)를 지나 5개의 제2 배출유로(124)로 분기되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 단위블록(110)과 제2 단위블록(120)은 레고블록과 마찬가지로 장착 개수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므로, 센서의 개수가 증가하여 워셔액 및 압축공기를 더욱 많은 지점으로 분사시켜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단위블록(110) 및 제2 단위블록(120)의 결합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한 번에 보다 많은 수의 센서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센서 세척장치는, 제작자가 제1 단위블록(110) 및 제2 단위블록(120)의 개수를 증감시켜 워셔액 및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경로의 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유된 센서의 개수 및 종류가 상이한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센서세척장치(10)의 범용화가 가능해지면,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나의 제1 공급유로(131)로 공급된 워셔액이 보다 원활하게 모든 제1 단위블록(11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110)은 일렬로 배열되고, 하나의 제2 공급유로(141)로 공급된 압축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모든 제2 단위블록(120)을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120) 역시 일렬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단위블록(110) 열과 상기 제2 단위블록(120) 열은 행방향(더 명확하게는 관통유로(112, 122)의 폭방향)으로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배기(100)는, 상기 제1 공급유로(131)로 공급된 워셔액이 제1 단위블록(110)과 제2 단위블록(120)으로 모두 공급되어 10 갈래로 분사되고, 상기 제2 공급유로(141)로 공급된 압축공기 역시 제1 단위블록(110)과 제2 단위블록(120)으로 모두 공급되어 10 갈래로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공급유로(131)는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관통유로(112) 및 제2 관통유로(122)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공급유로(141)는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관통유로(112) 및 제2 관통유로(122)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엔드하우징(130)은 상기 제1 공급유로(131) 중 상기 제1 관통유로(112)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2 관통유로(122)와 연결되는 지점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 중단개폐밸브(132)와 상기 제1 공급유로(131)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제1 입구개폐밸브(1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엔드하우징(140)은 상기 제2 공급유로(141) 중 상기 제1 관통유로(112)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2 관통유로(122)와 연결되는 지점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2 중단개폐밸브(142)와 상기 제2 공급유로(141)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제2 입구개폐밸브(14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중단개폐밸브(132)와 제1 입구개폐밸브(133)와 제2 중단개폐밸브(142)와 제2 입구개폐밸브(143)는 제1 공급유로(131)와 제2 공급유로(141)를 개폐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밸브로도 적용될 수 있다.
분배기(100)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되면, 제1 중단개폐밸브(132)와 제1 입구개폐밸브(133)를 열고 제2 입구개폐밸브(143)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급유로(131)로 워셔액을 공급하였을 때, 상기 제1 공급유로(131)로 공급된 워셔액은 제1 관통유로(112)와 제2 관통유로(122) 양측으로 모두 공급되는바, 제1 배출유로(114)와 제2 배출유로(124) 전체에 걸쳐 워셔액이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2 중단개폐밸브(142)와 제2 입구개폐밸브(143)를 열고 제1 입구개폐밸브(133)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급유로(14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였을 때, 상기 제2 공급유로(141)로 공급된 압축공기 역시 제1 관통유로(112)와 제2 관통유로(122) 양측으로 모두 공급되는바, 제1 배출유로(114)와 제2 배출유로(124) 전체에 걸쳐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센서세척장치(10)는 제1 단위블록(110)과 제2 단위블록(120)의 개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워셔액과 압축공기를 각각 10갈래로 분사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개수의 센서를 한 번에 세척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제1 중단개폐밸브(132)와 제2 중단개폐밸브(142)는 닫고 제1 입구개폐밸브(133)와 제2 입구개폐밸브(143)를 연 상태에서는, 제1 공급유로(131)로 공급된 워셔액은 제1 관통유로(112)로만 전달되고 제2 공급유로(141)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제2 관통유로(122)로만 전달되므로, 워셔액과 압축공기는 각각 5갈래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워셔액과 압축공기가 각각 5갈래로 분사되도록 고정 세팅되는 경우, 상기 제1 공급유로(131)는 제1 관통유로(112)와만 연통되고 제2 공급유로(141)는 제2 관통유로(122)와만 연통되도록 각 공급유로(131, 14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공급유로(131, 141)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언급한 제1 중단개폐밸브(132)와 제1 입구개폐밸브(133)와 제2 중단개폐밸브(142)와 제2 입구개폐밸브(143)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엔드하우징(130)과 제2 엔드하우징(140)의 내부 구성이 보다 단순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자율주행 차량 2 : 라이다 센서
3 : 독립 센서 4 : 프렁크
5 : 트렁크 10 : 센서세척장치
100 : 분배기 110 : 제1 단위블록
111 : 제1 안착공간 112 : 제1 관통유로
113 : 제1 연통유로 114 : 제1 배출유로
120 : 제2 단위블록 121 : 제2 안착공간
122 : 제2 관통유로 123 : 제2 연통유로
124 : 제2 배출유로 130 : 제1 엔드하우징
131 : 제1 공급유로 132 : 제1 중단개폐밸브
133 : 제1 입구개폐밸브 140 : 제2 엔드하우징
141 : 제2 공급유로 142 : 제2 중단개폐밸브
143 : 제2 입구개폐밸브 150 : 제1 유로개폐유닛
151 : 제1 개폐밸브 160 : 제2 유로개폐유닛
161 : 제2 개폐밸브 200 : 워셔액 공급유닛
210 : 워셔액 탱크 220 : 워셔액 펌프
300 : 에어블로워 400 : 제어부
500 : 제1 공급라인 600 : 제2 공급라인

Claims (7)

  1. 하나의 제1 공급유로로 공급된 유체를 다수 개의 제1 배출유로로 개별적으로 분배하고, 하나의 제2 공급유로로 공급된 유체를 다수 개의 제2 배출유로로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급유로에 워셔액을 공급하는 워셔액 공급유닛;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급유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블로워;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분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와 상기 워셔액 공급유닛과 상기 에어블로워와 상기 제어부가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공급유닛은,
    상기 분배기와 일체로 결합되는 워셔액 공급탱크와, 상기 워셔액 공급탱크에 장착되어 상기 워셔액 공급탱크에 저장된 워셔액을 상기 제1 공급유로로 공급하는 워셔액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일측이 개방된 제1 안착공간과, 상기 제1 안착공간과 이격된 지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유로과, 상기 제1 안착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관통유로를 연통시키는 제1 연통유로와, 상기 제1 안착공간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배출유로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유로가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 중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블록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1 관통유로와 연통되는 제1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제1 엔드하우징;
    상기 제1 안착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연통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제1 유로개폐유닛;
    일측이 개방된 제2 안착공간과, 상기 제2 안착공간과 이격된 지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유로과, 상기 제2 안착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관통유로를 연통시키는 제2 연통유로와, 상기 제2 안착공간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배출유로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관통유로가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 중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2 단위블록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2 관통유로와 연통되는 제2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제2 엔드하우징;
    상기 제2 안착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연통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제2 유로개폐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은 각각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단위블록 열과 상기 제2 단위블록 열은 행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블록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위블록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유로는,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관통유로 및 제2 관통유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공급유로는,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관통유로 및 제2 관통유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엔드하우징은, 상기 제1 공급유로 중 상기 제1 관통유로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2 관통유로와 연결되는 지점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1 중단개폐밸브와, 상기 제1 공급유로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제1 입구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엔드하우징은, 상기 제2 공급유로 중 상기 제1 관통유로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2 관통유로와 연결되는 지점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2 중단개폐밸브와, 상기 제2 공급유로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제2 입구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KR1020210182527A 2021-12-20 2021-12-20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KR10258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527A KR102589044B1 (ko) 2021-12-20 2021-12-20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527A KR102589044B1 (ko) 2021-12-20 2021-12-20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690A KR20230093690A (ko) 2023-06-27
KR102589044B1 true KR102589044B1 (ko) 2023-10-13

Family

ID=8694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527A KR102589044B1 (ko) 2021-12-20 2021-12-20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0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33B1 (ko) 2013-10-01 2014-04-28 훈 최 분사노즐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2유체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204A (ko) 2013-09-27 2015-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거리측정센서의 오염제거장치 및 방법
JP6665982B2 (ja) * 2016-07-25 2020-03-13 Smc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装置
KR20210119166A (ko) * 2020-03-24 2021-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KR20210150034A (ko) * 2020-06-03 2021-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워셔액 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33B1 (ko) 2013-10-01 2014-04-28 훈 최 분사노즐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2유체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690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817B2 (en) Sensor cleaning system for vehicles
EP3481683B1 (en) Sensor cleaning system for vehicles
US20180015907A1 (en) Sensor cleaning system for vehicles
CN110740907A (zh) 用于清洁光学或光电设备的透明盖的清洁设备
JP4513889B2 (ja) ウォッシャノズル付カメラおよびウォッシャノズル
KR20190133241A (ko) 자동차용 자율 세정 시스템
US20110292212A1 (en) Washer nozzle for vehicle mounted camera, vehicle mounted camera, and washer device for vehicle
US11298710B2 (en) Dual media nozzle
JP5456680B2 (ja) インク供給システムのフィルタ
JP5461412B2 (ja) インクジェットモジュール
EP2321161B1 (en) Device for cleaning vehicle surfaces
US20200180566A1 (en) Device for cleaning in-vehicle sensor
CN110770096B (zh) 车辆用清洁系统及具有车辆用清洁系统的车辆
US7127158B1 (en) Water sprayer and heater assembly for windshield wiper
KR102589044B1 (ko)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CN114308800A (zh) 用于传感器的清洁设备
US7793381B2 (en) Blade-mountable windshield wiper spray device
US7413133B2 (en) Washing device for a glass pane in a motor vehicle
US5444991A (en) Engine cooling apparatus
US20230182689A1 (en) Spray structure for cleaning a sensor
CN217094686U (zh) 一种雷达清洗装置及雷达系统
KR102521823B1 (ko) 차량용 센서 세척장치
JP4140116B2 (ja) 路面清掃車
US20210051846A1 (en) Spraying Systems and Vehicles
WO2022033859A1 (en) Cleaning device, cleaning device system and vehicle with a sensoric system comprising at least a sensor for automated driving and method of spray cleaning of a sensor surface with the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