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328B1 - 시트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328B1
KR102588328B1 KR1020210121782A KR20210121782A KR102588328B1 KR 102588328 B1 KR102588328 B1 KR 102588328B1 KR 1020210121782 A KR1020210121782 A KR 1020210121782A KR 20210121782 A KR20210121782 A KR 20210121782A KR 102588328 B1 KR102588328 B1 KR 10258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lit
rail
seatback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8994A (ko
Inventor
최원석
강제현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3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09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covering more than only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부가 시트쿠션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시트백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백을 회전시키는 연결부; 시트백의 측면에 결합되어 연결부의 타단부을 커버링하며,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가 이동되는 슬릿이 포함된 제1커버; 및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슬릿을 커버링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커버에 연결된 제2커버;를 포함하는 시트 폴딩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 폴딩 장치{SEAT FOLDING DEVICE}
본 발명은 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 폴딩 장치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링 하기 위한 기술이다.
차량의 후석시트는 차량의 트렁크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시트백과 시트쿠션 사이에는 시트 폴딩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시트 폴딩 장치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커버로 구성되며, 커버에는 슬릿이 마련되어 슬릿으로 연결부가 삽입됨에 따라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시트백의 전개시 슬릿을 통해 연결부 및 내부의 기어가 노출되어 외관미가 저하되고, 또한 슬릿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면 시트백이 정상적으로 폴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769829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백과 시트 쿠션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커버링하는 제1커버에 연결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을 커버링하기 위한 제2커버를 마련하여 슬릿을 커버링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는 일단부가 시트쿠션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시트백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백을 회전시키는 연결부; 시트백의 측면에 결합되어 연결부의 타단부을 커버링하며,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가 이동되는 슬릿이 포함된 제1커버; 및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슬릿을 커버링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커버에 연결된 제2커버;를 포함한다.
제1커버에는 슬릿의 측면에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이 포함되고, 제2커버는 일부가 레일에 삽입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레일은 슬릿의 양측방에 마련되고, 제2커버의 양측이 레일에 삽입될 수 있다.
레일에는 단부가 삽입된 슬릿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레일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포함될 수 있다.
레일은 곡선으로 형성되며, 레일의 곡선에 따라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히는 힌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2커버의 측면에는 레일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돌기는 레일에 삽입되어 제2커버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2커버의 일단부에는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가 포함되고, 시트백이 폴딩시 연결부가 만입부로 삽입되며 제2커버를 슬라딩시킴에 따라 슬릿을 개방시켜 연결부가 슬릿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커버의 일단부에는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가 더 포함되고, 연결부에는 시트백이 폴딩시 만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이 포함될 수 있다.
후크가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시트백이 전개됨에 따라 제2커버가 슬릿을 커버링하도록 슬라이딩되며, 전개가 완료시 후크는 삽입홈에서 이탈될 수 있다.
후크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는 삽입홈에 이탈되는 이탈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트백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제1커버부는 브라켓 및 연결부의 타단부를 커버링할 수 있다.
연결부에는 타단부에 회전방향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제1기어가 포함되며,
브라켓에 연결되고, 제1기어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연결부를 커버링하는 제1커버가 마련되고, 시트백이 폴딩시 연결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며, 슬릿을 커버하기 위해 제1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커버가 연결되어 연결부가 슬릿에 삽입시 제2커버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2커버가 슬릿을 커버링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를 커버링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키며, 슬릿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시트백을 정상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커버에는 후크가 마련되고, 연결부에는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에서 전개시 후크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개방된 슬릿을 제2커버의 슬라이딩을 통해 커버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제1커버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제2커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후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후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연결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제1커버(200)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제2커버(300)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후크(340)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후크(340)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에 포함된 연결부(100)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차량의 후석시트는 차량의 트렁크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시트백과 시트쿠션 사이에는 시트 폴딩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시트 폴딩 장치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연결하는 연결부(100) 및 커버로 구성되며, 커버에는 슬릿(210)이 마련되어 슬릿(210)으로 연결부(100)가 삽입됨에 따라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시트백의 전개시 슬릿(210)을 통해 연결부(100) 및 내부의 기어가 노출되어 외관미가 저하되고, 또한 슬릿(21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면 시트백이 정상적으로 폴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는 구체적으로, 일단부가 시트쿠션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시트백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백을 회전시키는 연결부(100); 시트백의 측면에 결합되어 연결부(100)의 타단부을 커버링하며,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100)가 이동되는 슬릿(210)이 포함된 제1커버(200); 및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100)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슬릿(210)을 커버링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커버(200)에 연결된 제2커버(300);를 포함한다.
시트쿠션은 차량의 플로워측에 고정되고, 연결부(100)의 일단부는 시트쿠션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00)의 타단부에는 시트백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시트백은 차량의 전방을 향해 폴딩되어 차량의 후석시트의 후방에 위치한 트렁크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제1커버(200)는 연결부(100)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커버링하며 시트백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200)의 전방에는 슬릿(210)이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시 연결부(100)가 슬릿(210)을 따라 슬릿(2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커버(2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하였으나 제1커버(200)는 실질적으로 외측을 모두 커버링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제1커버(200)가 시트백이 회전하더라도 연결부(100)를 지속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다.
제2커버(300)는 제1커버(200)의 슬릿(210)을 커버링하도록 제1커버(200)에 결합되며, 시트백이 전개시 슬릿(210)을 커버링하며, 시트백이 폴딩시 연결부(100)가 슬릿(210)으로 삽입됨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슬릿(210)을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트백이 전개시에 제2커버(300)가 슬릿(210)을 커버링하여 슬릿(210)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슬릿(210)을 커버링함에 따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커버(200)에는 슬릿(210)의 측면에 슬릿(210)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220)이 포함되고, 제2커버(300)는 일부가 레일(220)에 삽입되어 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300)는 슬릿(210)이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해 제1커버(200)의 내부의 측면에서 슬릿(210)과 인접한 위치에 제2커버(300)가 삽입되도록 연장된 레일(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커버(300)는 레일(220)로 삽입되어 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제2커버(300)는 슬릿(210)을 정확하게 커버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레일(220)은 슬릿(210)의 양측방에 마련되고, 제2커버(300)의 양측이 레일(22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커버(200)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220)을 따라 제2커버(300)의 양측이 삽입되어 제2커버(300)는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레일(220)의 단부는 삽입된 슬릿(2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레일(220)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21)가 포함될 수 있다.
레일(220)에는 단부가 레일(220)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21)가 형성되어 제2커버(300)가 레일(2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시 레일(220)의 단부에서 절곡부(221)가 제2커버(300)를 지지하여 제2커버(300)가 레일(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커버(300)가 외력에 의해 레일(220)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더 이동되려고할 때 절곡부(221)가 이를 저지하고 제2커버(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레일(220)은 곡선으로 형성되며, 레일(220)의 곡선에 따라 제2커버(300)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히는 힌지부(31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200)에 형성된 레일(220)은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슬릿(210)을 따라 연장되고, 제2커버(300)가 곡선형태의 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제2커버(300)의 면에는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힌지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3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곡선으로 형성된 레일(220)을 따라 제2커버(300)가 슬라이딩시 힌지부(310)가 접히게 되면서 제2커버(300)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커버(3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부(310)는 제2커버(300)의 일부를 압축하여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커버(300)의 측면에는 레일(220)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320)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돌기(320)는 레일(220)에 삽입되어 제2커버(30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300)의 측면에는 돌출된 돌기(320)가 형성되며, 돌기(32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레일(2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기(320)가 레일(220) 내부에 이동됨에 따라 제2커버(300)가 슬릿(210)을 커버 또는 개방시키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레일(220)과 슬릿(21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힌지부(310) 사이마다 돌기(320)가 마련되어 힌지부(310)가 곡선의 레일(220)에 따라 적절하게 접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커버(300)의 일단부에는 제2커버(300)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330)가 포함되고, 시트백이 폴딩시 연결부(100)가 만입부(330)로 삽입되며 제2커버(300)를 슬라딩시킴에 따라 슬릿(210)을 개방시켜 연결부(100)가 슬릿(2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300)의 단부에는 제2커버(30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330)가 형성되며, 시트백이 폴딩되도록 회전시 연결부(100)가 만입부(33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제2커버(300)가 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제1커버(200)의 슬릿(210)이 개방되고, 슬릿(210)이 개방됨과 동시에 연결부(100)가 슬릿(210)으로 삽입되어 시트백이 폴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커버(300)의 만입부(330)로 연결부(100)가 삽입되어 제2커버(300)가 술라이딩될 수 있다.
제2커버(300)의 일단부에는 제2커버(300)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340)가 더 포함되고, 연결부(100)에는 시트백이 폴딩시 만입부(3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3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3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11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의 폴딩시 연결부(100)는 만입부(330)로 삽입되며, 만입부(330)가 형성된 제2커버(300)의 일단부에는 연결부(100)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3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0)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후크(340)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트백이 폴딩시 연결부(100)가 만입부(330) 내부로 삽입되게 되면, 제2커버(300)의 단부에 위치된 후크(340)가 삽입되어 제2커버(300)가 슬라이딩되어 슬릿(210)을 개방시 후크(340)가 삽입홈(110)에 삽입됨에 따라 제2커버(300)는 연결부(100)에 고정되고 제1커버(200)가 시트백과 함께 회전되어 제2커버(300)가 제1커버(200)의 레일(220)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후크(340)가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태로 시트백이 전개됨에 따라 제2커버(300)가 슬릿(210)을 커버링하도록 슬라이딩되며, 전개가 완료시 후크(340)는 삽입홈(110)에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에서 전개시 삽입홈(110) 내부에 후크(34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백 및 제1커버(200)가 회전되어 제2커버(300)가 슬릿(210)을 커버링하도록 슬라이딩되며, 시트백이 완전히 전개시 후크(340)는 삽입홈(110)을 이탈하여 슬릿(210)을 커버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커버(300)는 제1커버(200)의 회전에 따라 슬릿(210)을 개방하거나 또는 커버링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폴딩 장치의 폴딩 작동을 도시하였으며, 시트백의 전개시 도 7의 역순으로 작동될 수 있다.
후크(340)는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삽입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40)는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삽입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시트백이 폴딩시에 후크(340)가 삽입홈(110)으로 삽입되게 되면 연결부(100)가 삽입면의 경사를 따라 후크(340)가 삽입홉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크(340)의 마모를 감소시키며, 후크(340)가 삽입홈(110)에 삽입될 때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후크(340)는 삽입홈(110)에 이탈되는 이탈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40)는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이탈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시트백이 전개시에 후크(340)가 삽입홈(110)에서 이탈되게 되면 이탈면의 경사를 따라 후크(340)가 삽입홉에 이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크(340)의 마모를 감소시키며, 후크(340)가 삽입홈(110)에서 이탈될 때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시트백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연결부(1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400);을 더 포함하고, 제1커버(200)는 브라켓(400) 및 연결부(100)의 타단부를 커버링할 수 있다.
브라켓(400)은 시트백의 측면에 결합되고, 연결부(1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시트백이 폴딩되거나 또는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200)는 연결부(100)의 일부 및 브라켓(400)의 외측을 커버하여 차량 내부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100)에는 타단부에 회전방향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제1기어(120)가 포함되며, 브라켓(400)에 연결되고, 제1기어(12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0)의 타단부에는 외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제1기어(120)가 마련되고, 브라켓(400)에 연결되어 제1기어(120)와 치합되는 고정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500)는 외부의 조작래버 또는 조작버튼과 연결되어 조작래버 또는 조작버튼의 작동에 의해 제1기어(120)와 치합되거나 치합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부(500)와 제1기어(120)가 치합됨에 따라 시트백이 폴딩되거나 전개시 시트백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500)와 제1기어(120)의 치합을 해제하여 시트백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연결부
110 : 삽입홈
120 : 제1기어
200 : 제1커버
210 : 슬릿
220 : 레일
221 : 절곡부
300 : 제2커버
310 : 힌지부
320 : 돌기
330 : 만입부
340 : 후크
400 : 브라켓
500 : 고정부

Claims (13)

  1. 일단부가 시트쿠션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시트백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백을 회전시키는 연결부;
    시트백의 측면에 결합되어 연결부의 타단부을 커버링하며,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가 이동되는 슬릿이 포함된 제1커버; 및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슬릿을 커버링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커버에 연결된 제2커버;를 포함하되,
    제1커버에는 슬릿의 측면에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이 포함되고, 제2커버는 일부가 레일에 삽입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레일은 슬릿의 양측방에 마련되고, 제2커버의 양측이 레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레일의 단부는 삽입된 슬릿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레일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레일은 곡선으로 형성되며, 레일의 곡선에 따라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히는 힌지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6. 일단부가 시트쿠션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시트백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백을 회전시키는 연결부;
    시트백의 측면에 결합되어 연결부의 타단부을 커버링하며,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가 이동되는 슬릿이 포함된 제1커버; 및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슬릿을 커버링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커버에 연결된 제2커버;를 포함하되,
    제1커버에는 슬릿의 측면에 슬릿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이 포함되고, 제2커버는 일부가 레일에 삽입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제2커버의 측면에는 레일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돌기는 레일에 삽입되어 제2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7. 일단부가 시트쿠션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시트백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백을 회전시키는 연결부;
    시트백의 측면에 결합되어 연결부의 타단부을 커버링하며,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가 이동되는 슬릿이 포함된 제1커버; 및
    시트백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슬릿을 커버링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커버에 연결된 제2커버;를 포함하되,
    제2커버의 일단부에는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가 포함되고,
    시트백이 폴딩시 연결부가 만입부로 삽입되며 제2커버를 슬라딩시킴에 따라 슬릿을 개방시켜 연결부가 슬릿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커버의 일단부에는 제2커버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가 더 포함되고,
    연결부에는 시트백이 폴딩시 만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후크가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시트백이 전개됨에 따라 제2커버가 슬릿을 커버링하도록 슬라이딩되며, 전개가 완료시 후크는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후크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후크는 삽입홈에 이탈되는 이탈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12. 청구항 1, 청구항 6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백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제1커버는 브라켓 및 연결부의 타단부를 커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연결부에는 타단부에 회전방향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제1기어가 포함되며,
    브라켓에 연결되고, 제1기어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폴딩 장치.
KR1020210121782A 2021-09-13 2021-09-13 시트 폴딩 장치 KR10258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82A KR102588328B1 (ko) 2021-09-13 2021-09-13 시트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82A KR102588328B1 (ko) 2021-09-13 2021-09-13 시트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94A KR20230038994A (ko) 2023-03-21
KR102588328B1 true KR102588328B1 (ko) 2023-10-11

Family

ID=8580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782A KR102588328B1 (ko) 2021-09-13 2021-09-13 시트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3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953B1 (ko) * 2012-11-28 2014-03-10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사이드 커버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922Y1 (ko) * 1997-05-16 1999-08-02 허재건 트럭 센터시트 장착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0571348B1 (ko) * 2004-08-20 2006-04-24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자동차 시트의 접이장치 덮개
KR100769829B1 (ko)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953B1 (ko) * 2012-11-28 2014-03-10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사이드 커버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94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119B2 (en) Sunshade device
DE112012002485B4 (de) Sonnenschutzvorrichtung
DE60019694T2 (de) Öffnungs/Schließ-Struktur einer rückwärtigen Komponente eines Fahrzeugs
EP1717105B1 (de) Rollo eben zur Umgebungsfläche
DE102015102896A1 (de) Aufbewahrung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9937867B2 (en) Deployable, expandable storag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DE102015119283A1 (de) Zweiseitige Fahrgastraumabdeckung mit einem ebenen, nach vorn ausziehbaren Abdeckelement
DE69923399T2 (de) Kraftfahrzeug mit einem in einer querliegenden Hintertür versenkbaren Dach
KR102588328B1 (ko) 시트 폴딩 장치
DE102008036898A1 (de) Faltdachanordnung
DE19846030C1 (de) Armlehne
DE102007042596A1 (de) Fahrzeugsitz
DE102004030882B3 (de) 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DE10215966B4 (de)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EP1655163B1 (de) Cabriolet-Fahrzeug mit einem Dachbezug
DE4040254C1 (ko)
EP1963121A1 (de) Fahrzeugdach und fahrzeug mit einem fahrzeugdach
DE102006053884B4 (de) Cabriolet-Fahrzeug mit zumindest einem Verkleidungsteil
DE3817258C2 (ko)
KR102634400B1 (ko)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DE102013007422B4 (de) Verkleidungselement für eine Kofferraumseitenverkleidung eines Fahrzeugs
DE102008053078A1 (de) Fahrzeugsitz mit integriertem Airbag
DE102007019964B4 (de) Verdeck eines Cabriolet-Fahrzeugs
JPH0248226A (ja) 車両のキャンバストップ構造
JP4478523B2 (ja)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車のトノカバ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