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098B1 -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 - Google Patents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098B1
KR102588098B1 KR1020230064170A KR20230064170A KR102588098B1 KR 102588098 B1 KR102588098 B1 KR 102588098B1 KR 1020230064170 A KR1020230064170 A KR 1020230064170A KR 20230064170 A KR20230064170 A KR 20230064170A KR 102588098 B1 KR102588098 B1 KR 10258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heat
evaporator
heat exchanger
main body
dough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인
Original Assignee
(주) 대흥소프트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흥소프트밀 filed Critical (주) 대흥소프트밀
Priority to KR102023006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3/00Provers, i.e. apparatus permitting dough to ris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1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3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생지가 안착되는 적재판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구비된 냉각 모듈; 및 상기 증발기의 전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내부에 냉열원이 수용된 축열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냉동 단계에서 해동 단계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와 축열 열교환부 간의 온도차로 인해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표면에는 결로가 생성되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은 상기 수용 공간부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인 도우 컨디셔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DOUGH CONDITIONER WITH THERMAL STORAG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도우 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지의 자연 상태 저온 발효가 가능하며,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진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은 밀가루와 일정량의 물을 섞어 발효시킨 뒤 굽거나 찐 것으로, 이러한 빵의 주재료는 밀가루, 효모, 소금 및 물이며, 빵의 종류에 따라 당류, 계란 및 식용유지 등과 그 밖의 부재료를 배합하여 만든 빵 반죽을 발효시켜 굽거나 찐 것을 말한다.
이러한 빵을 대량으로 생산하고자 할 때는 많은 양의 생지(빵 반죽)를 동일 조건하에서 동시에 발효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도우 컨디셔너는 많은 양의 생지를 동일 조건하에서 동시에 발효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우 컨디셔너를 이용하여 빵을 제조하는 경우, 도우 컨디셔너는 기 설정된 명령제어에 따라 자동적으로 냉동, 해동 및 발효(1차 저온발효, 2차 고온발효) 단계를 거쳐 생지를 발효시킨다.
이러한 도우 컨디셔너를 통해 빵을 제조함에 있어, 생지에 대한 온도 및 습도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도우컨디셔너는 냉동 → 해동 → 1차 저온발효 → 2차 고온발효의 4단계를 진행하기 위해 온도와 습도 환경을 기계장치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 공급한다. 우선 생지를 냉동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냉동기(Compressor)장치 동작, 본체부내 온도와 습도를 균형있게 배분하기 위한 간접대류 방식의 송풍팬 동작, 발효단계 진입 시 온도 상승용 가열히터 장치동작, 습도를 공급시키는 급수장치 동작 등을 프로그램(펌웨어)에 의해 각 단계별로 설정된 시간내에 동작시켜 요구되는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전술한 도우 컨디셔너의 각 단계별 온도 변화를 살펴보면, 냉동단계는 통상 상온 25℃에서 냉동온도 -5℃ 까지 냉각시킨다. 다음으로, 해동 단계를 거쳐 최종 발효단계 35℃ ~ 40℃까지 광범위한 온도로 급격히 변동시킨다. 또한, 운전(MODE) 단계별 습도변화도 냉동단계 평균습도 65%±3을 시작으로 발효 최종단계 습도 85%±3까지 폭 넓게 변동된다. 이와 같이, 기계장치에 의해 인위적인 온도의 급격한 하강 및 상승과, 급수장치와 히터 가열기에 의해 습도를 발생시켜 각 단계별 필요한 습도를 공급 유지한다. 이러한 과정이 해동 단계에서 발효 단계까지 통상적으로 8시간 연속적으로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된다. 이 결과 제빵용 생지의 표면이 미세한 균열을 가지거나 표피가 거칠거나 마름현상이 상존하여 제빵을 소성(燒成)하면 제빵 특유의 부드러움과 풍미가 저하되어 제품의 고급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체부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정밀하게 유지하며 최대한 자연 상태의 저온발효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도우 컨디셔너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7044호(2009.02.1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체부 내부의 온도 및 습도환경을 기계장치에 의해 인위적으로 급격한 변동 즉 계단식(Step by Step) 변화에서 최대한 전력사용을 억지하면서 냉동생지를 자연상태의 온도, 습도의 변동폭이 적은 직선 아나로그(Analog)형상으로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우 컨디셔너의 첫 운전 출발단계인 냉동 및 냉동 유지단계에서의 냉동 시간동안 냉각된 축열 열교환부를 통해 생지의 자연 상태 발효 및 전력 및 외부 급수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진 도우 컨디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생지가 안착되는 적재판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구비된 냉각 모듈; 및 상기 증발기의 전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내부에 냉열원이 수용된 축열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냉동 단계에서 해동 단계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와 축열 열교환부 간의 온도차로 인해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표면에는 결로가 생성되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은 상기 수용 공간부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인 도우 컨디셔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에바 플레이트; 상기 에바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에바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관통 삽입하는 증발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부측은 상기 에바 플레이트의 전부측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축열 열교환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 내 상기 본체부의 바닥으로 낙하된 물을 수용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물받이 이동 안내홀이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부; 및 상기 트레이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물받이 이동 안내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 트레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열 열교환부는, 전면부, 제1 측면부, 제2 측면부, 후면부 및 저면부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냉열원을 수용하는 수조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부; 및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착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열 열교환부가 삽입 공간부에 삽입될 시, 상기 안착 고정부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후면부는 상기 에바 플레이트의 전부측과 접촉되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열원의 어는점은 -15℃ 미만으로 이루어지고, 냉동 단계 이후 상기 냉열원은 발효 단계까지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로 상승하며 상기 수용 공간부의 온도를 높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이격된 복수개의 돌출 접촉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 접촉부는 이격된 상기 에바 플레이트의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에바 플레이트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U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낙하 방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전면부의 수평 방향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이웃하게 상, 하로 배치되는 상기 낙하 방지부는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우 컨디셔너에는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는 본체부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기계장치를 통해 인위적으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지 않고, 축열 열교환부를 통해 생지의 자연 상태 저온발효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축열 열교환부는 예를 들어 냉동 단계에서 해동 단계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수용 공간부와 축열 열교환부 간의 온도차로 인해 축열 열교환부의 표면에 생성된 결로가 본체부 내부의 습도를 요구되는 습도로 조절하게 되고, 축열 열교환부 내에 구비된 냉열원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별도의 열에너지 공급없이 본체부 내부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열 열교환부를 통해 해동 및 발효가 이루어지는 생지는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를 통해 제조되는 생지에 비해 생지의 표면이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게 되어 제빵 고유의 부드러운 풍미를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는 축열 열교환부를 통해 종래의 기계 방식의 습도 조절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사용을 최소화하기에,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는 외부 수도관 등에 연결된 급수장치가 해동 단계, 발효 단계에 필요한 본체부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고속 스프레이 전동장치에 의해 분사된 물 분자를 통한 습도 조절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는 축열 열교환부를 통해 본체부 내부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기에, 별도의 고속 스프레이 전동장치와 같은 분무장치가 없더라도 습도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비해 급수계통 분무부 및 배수계통을 간편하게 이동식 포터블장치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와 축열 열교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열 열교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와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각 단계별 온도 제어를 위한 각 구성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비교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와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각 단계별 습도 상태를 나타낸 비교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동 단계에서의 축열 열교환부와 본체부 내부의 온도 상태를 나타낸 실험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와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전력 사용량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와 축열 열교환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축열 열교환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와 축열 열교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열 열교환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우 컨디셔너(1000)는 본체부(100), 가습 가열부(200), 냉각 모듈(300), 축열 열교환부(400) 및 배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우 컨디셔너(1000)는 생지(빵 반죽)를 냉동, 해동, 1차 발효 및 2차 발효 단계를 거쳐 빵으로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100)는 도우 컨디셔너(10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부(10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용 공간부(101)에는 생지가 안착되는 적재판(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공간부(101)는 본체부(100)에 1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수용 공간부(101)의 개수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에 2개의 수용 공간부(101)가 형성된 경우라면, 하나의 수용 공간부(101)에는 냉동 과정을 진행하고, 다른 하나의 수용 공간부(101)에는 해동 및 발효 과정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조작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부(110)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창(11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창(111)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각 단계별 제빵 과정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부(110)를 통해 각 단계별 온도 및 습도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창(111)에는 수용 공간부(101) 내부의 온도 상태와 습도 상태, 전력 공급 상태 및 예상 완료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표시창(111)을 통해 제조되는 빵의 상태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가습 가열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습 가열부(200)는 가열 히터부(210)와 분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히터부(210)는 선택적인 가열을 통해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높이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무부(220)는 가열 히터부(210)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분무부(220)는 가열 히터부(210)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본체부(1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열 히터부(210)와 분무부(220)를 갖는 가습 가열부(200)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인 바, 구체적인 내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축열 열교환부(400)의 구성을 통해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를 작동함에 있어, 가열 히터부(210)와 분무부(220)의 작동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는 냉동 단계에서 해동 단계로 진입함에 있어, 가열 히터부(210)의 작동을 통해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즉, 가열 히터부(210)는 미리 정해진 본체부(100) 내부의 설정 온도값을 유지하기 위해 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열 히터부(210)는 기계 장치이기에 설정 온도값을 유지하도록 온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해당 설정 온도값을 초과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 히터부(210)가 일시적으로 해당 설정 온도값을 초과하면, 냉각 모듈이 작동되어 온도를 낮춤으로써, 해당 설정 온도값을 유지하도록 일시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는 본체부(100) 내부의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값을 유지하기 위해 가열 히터부(210)와 냉각 모듈이 반복적으로 작동되는 ON/OFF 단절 방식의 작동 구조로 전력 사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값으로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본체부(10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값을 초과하여 냉각 모듈이 일시적으로 작동되는 경우, 냉각 모듈의 작동으로 인해 본체부(100) 내부의 습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냉각 모듈의 작동으로 인해 본체부(100) 내부의 습도가 급격히 낮아지면 분무부(220)에서 습도 조절을 위해 안개 형태의 물 분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해동 단계에서 발효 단계까지 이와 같이 분무부(220)를 통한 물 분사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질 경우, 제빵용 생지의 표면에 미세한 균열을 가지거나 표피가 거칠거나 마름현상이 상존하여 제빵을 소성하면 제빵 특유의 부드러움과 풍미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제품 고급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축열 열교환부(400)를 통해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작동상 문제점이었던 인위적인 기계장치를 통한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최소화하여 제빵의 풍미를 높이며, 도우 컨디셔너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한편, 냉각 모듈(300)은 압축기(310), 응축기(320) 및 증발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31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압축기(310)는 유입되는 냉매를 미리 정해진 고온, 고압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축기(310)의 작동은 중앙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기(310)는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주파수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압축기(310)는 단절됨없이 연속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전력 소비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310)는 본체부(100)의 내부를 미리 지정된 온도범위로 제어함에 있어서도 본체부(100)의 내부 온도 오차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빵을 제조함에 있어, 각 공정 단계별 정확한 온도 범위에서 빵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310)는 인버터 방식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응축기(32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압축기(310)로부터 전달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춘 상태에서 해당 냉매를 증발기(33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증발기(33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증발기(330)는 응축기(320)로부터 전달된 냉매의 기화를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 온도를 요구되는 온도로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증발기(330)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는 요구되는 온도 범위로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330)는 에바 플레이트(331), 고정 플레이트(332) 및 증발 배관(3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바 플레이트(331)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332)는 에바 플레이트(331)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에바 플레이트(331)를 지지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증발 배관(333)은 에바 플레이트(331)와 고정 플레이트(332)를 관통 삽입하며, 증발 배관(333)의 내부로 이동되는 냉매는 복수개의 에바 플레이트(331)를 냉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에바 플레이트(331)는 축열 열교환부(400)에 구비된 후면부(414)와 접촉된 상태에서 축열 열교환부(400)를 냉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에바 플레이트(331)와 축열 열교환부(400)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축열 열교환부(400)는 증발기(330)의 전부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축열 열교환부(400)는 증발기(330)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증발기(330)에 의해 축열 열교환부(400) 내에 수용된 냉열원(미도시)은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축열 열교환부(400)는 도우 컨디셔너(1000)가 냉동 단계에서 해동 단계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가열 히터부(210)의 작동 없이도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해동 단계 및 발효 단계까지 각 단계별 요구되는 온도로 자연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축열 열교환부(400)는 증발기(330)에 의해 냉각되어 있던 냉열원이 증발기(330)로부터의 냉각 과정이 중단된 이후, 냉열원은 축열에 의해 열매로 작용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도우 컨디셔너(1000)에는 축열 열교환부(400)가 구비됨에 따라 앞서 언급된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가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요구되는 온도로 높임에 있어, 가열 히터부(210)와 냉각 모듈을 반복적으로 작동시키며 요구되는 온도로 서서히 온도를 높이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종래의 가열 히터부(210)와 냉각 모듈이 반복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계단식 온도 상승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빵의 표피가 거칠어지거나 제빵 특유의 부드러움 및 풍미를 저해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에는 축열 열교환부(400)가 구비됨에 따라 해동 단계 및 발효 단계까지 각 단계별 요구되는 온도로 직선형의 아날로그 형태로 온도 상승이 이루지기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빵은 제빵 특유의 부드러움 및 풍미가 높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우 컨디셔너(1000)에 구비된 축열 열교환부(4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빵은 고급형 빵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 내부 온도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진 축열 열교환부(400)는 수조부(410)와 안착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조부(410)는 내부에 냉열원을 수용되는 수조 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냉열원은 수조 공간내 수용된다. 이와 같은 냉열원은 예를 들어 액체 상태를 유지하며 수조 공간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조부(410)는 전면부(411), 제1 측면부(412), 제2 측면부(413), 후면부(414) 및 저면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부(411), 제1 측면부(412), 제2 측면부(413), 후면부(414) 및 저면부(415)는 연결 형성되며, 내부에 수조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면부(411)는 후면부(414)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을 이룬다. 이러한 후면부(414)는 축열 열교환부(400)가 증발기(330)와 결합될 시, 증발기(330)에 구비된 에바 플레이트(331)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축열 열교환부(400)는 에바 플레이트(331)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부(412)는 제2 측면부(413)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내부에 수조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저면부(415)는 전면부(411), 제1 측면부(412), 제2 측면부(413) 및 후면부(414)와 연결 형성되며, 수조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수조부(410)에 수용되는 냉열원은 예를 들어 물과 부동액이 포함된 용액일 수 있다. 이러한 냉열원의 어는점은 예를 들어 -15℃ 미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냉열원은 특정 용액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냉동 단계 이후 발효 단계까지 미리 정해진 요구되는 온도 범위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진다면 다양한 용액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안착 고정부(420)는 수조부(4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착 고정부(420)는 축열 열교환부(400)를 증발기(330)의 전부측에 결합함에 있어, 고정 플레이트(33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증발기(330)에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332)의 전부측은 에바 플레이트(331)의 전부측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축열 열교환부(40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334)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축열 열교환부(400)는 삽입 공간부(334)에 삽입되어 축열 열교환부(400)와 증발기(330)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축열 열교환부(400)에 구비된 안착 고정부(420)의 양단부는 고정 플레이트(332)의 상단에 지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축열 열교환부(400)와 증발기(330)는 단순한 결합 구조를 가지며, 축열 열교환부(400)는 증발기(330)로부터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축열 열교환부(400)의 후면부(414)는 에바 플레이트(331)의 전부측에 접촉되고, 축열 열교환부(400)의 제1 측면부(412)와 제2 측면부(413)는 고정 플레이트(332)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축열 열교환부(400)는 증발기(330)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우 컨디셔너(1000)의 하부에는 배수부(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수부(500)는 트레이 가이드부(510) 및 물받이 트레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 가이드부(510)는 도우 컨디셔너(10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물받이 트레이(520)의 인입 또는 인출시, 물받이 트레이(5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트레이 가이드부(510)의 상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물받이 이동 안내홀(511)이 형성된다. 이에, 예를 들어 수용 공간부(101) 내 본체부(100)의 바닥으로 낙하된 물은 트레이 가이드부(510)에 형성된 물받이 이동 안내홀(511)을 통해 물받이 트레이(520)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0)의 바닥면은 배수부(500)를 향하도록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본체부(100)의 바닥으로 낙하 또는 이동된 물은 경사면을 따라 배수부(50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받이 트레이(520)에 일정 이상의 물이 채워진 경우, 사용자는 슬라이딩 인출을 통해 물받이 트레이(520)를 트레이 가이드부(510)로부터 분리한 후, 해당 물받이 트레이(52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는 하부에 간편 이동식 물받이 트레이(520)가 구비됨에 따라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에 구비되는 배수관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는 배수관의 설치가 불필요하기에, 예를 들어 도우 컨디셔너(1000)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시, 사용자는 도우 컨디셔너(1000)를 요구되는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우 컨디셔너(1000)의 위치 이동시, 종래와 달리 배수관의 분리 및 재설치 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에, 배수관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다양한 장소로도 도우 컨디셔너(100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와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각 단계별 온도 제어를 위한 각 구성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비교예이다.
도 7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는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에 비해 각 단계별 온도 제어가 이루어짐에 있어, 각 구성들의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는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요구되는 온도로 높임에 있어, 축열 열교환부(400)에 의해 온도 상승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기에,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와 같이 가열 히터부(210) 및 냉각 모듈을 주기적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우 컨디셔너(1000)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와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각 단계별 습도 상태를 나타낸 비교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동 단계에서의 축열 열교환부와 본체부 내부의 온도 상태를 나타낸 실험예이다.
도 8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의 각 단계별 습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각 단계별 습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를 보면, 냉동 단계의 평균 습도는 65%±3을 시작으로 발효 단계 평균 습도는 85%±3 까지 폭 넓게 습도가 변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열 히터부(210)의 온/오프(ON/OFF) 제어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에서 예를 들어 온도습도 센서가 초과 온도로 인식하여 냉각 모듈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일시 동작할 경우, 냉각 모듈의 일시적 작동으로 인해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는 물론 습도가 급격하게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1000)는 해동 단계에서 발효 단계까지 통상적으로 8시간 연속적으로 일정 주기를 가지며 가열 히터부(210)와 분무부(220)의 작동이 교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빵용 생지의 표면이 미세한 균열을 가지거나 표피가 거칠거나 마름현상이 상존하여 제빵을 소성하면 제빵 특유의 부드러움과 풍미가 저하된다.
이와 달리, 도 8의 (a)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는 축열 열교환부(400)에 의해 아날로그 방식의 자연적인 온도 상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축열 열교환부(400)의 외면에 발생된 결로로 인해 본체부(100) 내부의 습도는 해동 단계에서 발효 단계까지 예를 들어 85%의 평균 습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동 단계에서 해동 단계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수용 공간부(101)와 축열 열교환부(400) 간의 온도차로 인해 축열 열교환부(400)의 표면에는 결로가 생성된다. 이러한 축열 열교환부(400) 표면에 맺힌 물방울은 수용 공간부(101)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지속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축열 열교환부(400) 표면에 맺힘 물방울은 수용 공간부(101) 내부의 공기를 간접 대류 방식으로 순환시키는 송풍부(600)에 의해 해동 단계 이후로, 생지의 표면에는 요구되는 충분한 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생지의 전체적인 표면은 원형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축열 열교환부(400)가 구비되는 도우 컨디셔너(1000)는 균일한 습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생지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와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의 전력 사용량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열 열교환부(400)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1000)는 가열 히터부(210), 분무부(220) 및 냉각 모듈(300)의 작동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지기에, 냉동, 해동, 1차 발효 및 2차 발효 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에 비해 약 30%의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0)는 생지의 고급화를 이룸과 동시에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와 축열 열교환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열 열교환부(400')의 후면부(414)에는 이격된 복수개의 돌출 접촉부(4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접촉부(416)는 축열 열교환부(400')와 증발기(330)의 결합 시, 이격된 에바 플레이트(331)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에바 플레이트(331)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증발기(330)에 의해 축열 열교환부(400')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축열 열교환부(400')의 냉각 효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축열 열교환부의 사시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열 열교환부(400")의 전면부(411)에는 낙하 방지부(41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낙하 방지부(417)는 전면부(411)에 맺힌 물방울이 전면부(411)로부터 하부로 낙하는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낙하 방지부(417)는 예를 들어 완만한 U자 형상을 이루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낙하 방지부(417)는 상부에서 하부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이웃하게 상, 하로 배치되는 낙하 방지부(417)는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부에 배치되는 낙하 방지부(417)로부터 하부로 흐르는 물방울이 전면부(411)의 하부로 낙하되지 않고, 하부에 배치되는 낙하 방지부(417)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낙하 방지부(417)의 형상은 반드시 U자 형상으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부
101: 수용 공간부
110: 조작부
111: 표시창
200: 가습 가열부
210: 가열 히터부
220: 분무부
300: 냉각 모듈
310: 압축기
320: 응축기
330: 증발기
331: 에바 플레이트
332: 고정 플레이트
333: 증발 배관
334: 삽입 공간부
400, 400', 400": 축열 열교환부
410: 수조부
411: 전면부
412: 제1 측면부
413: 제2 측면부
414: 후면부
415: 저면부
416: 돌출 접촉부
417: 낙하 방지부
420: 안착 고정부
500: 배수부
600: 송풍부
1000: 도우 컨디셔너

Claims (7)

  1. 생지가 안착되는 적재판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구비된 냉각 모듈; 및
    상기 증발기의 전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내부에 냉열원이 수용된 축열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냉동 단계에서 해동 단계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 공간부와 축열 열교환부 간의 온도차로 인해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표면에는 결로가 생성되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은 상기 수용 공간부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는, 전면부, 제1 측면부, 제2 측면부, 후면부 및 저면부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냉열원을 수용하는 수조 공간을 형성하는 수조부; 및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착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열 열교환부가 삽입 공간부에 삽입될 시, 상기 안착 고정부의 양단부는 상기 증발기에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후면부는 상기 증발기에 구비된 에바 플레이트의 전부측과 접촉되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의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도우 컨디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에바 플레이트;
    상기 에바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에바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관통 삽입하는 증발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부측은 상기 에바 플레이트의 전부측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축열 열교환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 내 상기 본체부의 바닥으로 낙하된 물을 수용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물받이 이동 안내홀이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부; 및
    상기 트레이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물받이 이동 안내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 트레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열원의 어는점은 -15℃ 미만으로 이루어지고,
    냉동 단계 이후 상기 냉열원은 발효 단계까지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로 상승하며 상기 수용 공간부의 온도를 높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이격된 복수개의 돌출 접촉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 접촉부는 이격된 상기 에바 플레이트의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에바 플레이트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U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낙하 방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낙하 방지부는 상기 전면부의 수평 방향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이웃하게 상, 하로 배치되는 상기 낙하 방지부는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KR1020230064170A 2023-05-18 2023-05-18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 KR10258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170A KR102588098B1 (ko) 2023-05-18 2023-05-18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170A KR102588098B1 (ko) 2023-05-18 2023-05-18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098B1 true KR102588098B1 (ko) 2023-10-16

Family

ID=8850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170A KR102588098B1 (ko) 2023-05-18 2023-05-18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0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044A (ko) 2007-08-13 2009-02-18 지종민 도우컨디셔너의 습열분배구조
KR20090121901A (ko) * 2008-05-23 2009-11-26 최정자 제빵용 발효장치
JP2013202045A (ja) * 2012-03-27 2013-10-07 Kyoritsu Plant Kogyo Kk 冷凍パン生地の解凍装置
KR20170053501A (ko) * 2015-11-06 2017-05-16 (주) 대흥소프트밀 도우 컨디셔너 발효기용 가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044A (ko) 2007-08-13 2009-02-18 지종민 도우컨디셔너의 습열분배구조
KR20090121901A (ko) * 2008-05-23 2009-11-26 최정자 제빵용 발효장치
JP2013202045A (ja) * 2012-03-27 2013-10-07 Kyoritsu Plant Kogyo Kk 冷凍パン生地の解凍装置
KR20170053501A (ko) * 2015-11-06 2017-05-16 (주) 대흥소프트밀 도우 컨디셔너 발효기용 가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68308B (zh) 可变容积型冷冻冷藏库双机组联合运行装置及其运行方法
KR900000269B1 (ko)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및 장치
JP5174521B2 (ja) 冷凍パン生地の解凍装置
CN109869968B (zh) 一种具有风道结构的冰箱
KR101593367B1 (ko) 축냉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
CN201143036Y (zh) 一种酒柜
KR102588098B1 (ko) 축열 열교환부가 구비된 도우 컨디셔너
CN113280402B (zh) 分区控制的室内机以及空调
KR101212538B1 (ko) 온습도 조절 장치
CN106871543A (zh) 一种全变温风冷冰箱
JP3977125B2 (ja) 冷凍パン生地のホイロ装置
CN208519869U (zh) 室外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1782255A (zh) 一种可调温冷风机
CN211298252U (zh) 一种冷藏发酵箱
CN113465259A (zh) 制冷设备、制冷设备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存储介质
CN209210824U (zh) 一种节能电热恒温培养箱
CN115013932B (zh)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CN217357156U (zh) 室内机及空调器
CN212378360U (zh) 一种制冷加热一体式机组
US20230210118A1 (en) Dough proofing compartment in a refrigerator appliance
CN221229083U (zh) 一种冷暖切换式饮料陈列柜
CN109708358A (zh) 用于冰箱的制冷装置及具有其的冰箱
CN215571590U (zh) 一种调温调湿箱
CN117570545B (zh) 一种暖通空调的环保节能自动调节系统
CN221146932U (zh) 冷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