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269B1 -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269B1
KR900000269B1 KR1019830005095A KR830005095A KR900000269B1 KR 900000269 B1 KR900000269 B1 KR 900000269B1 KR 1019830005095 A KR1019830005095 A KR 1019830005095A KR 830005095 A KR830005095 A KR 830005095A KR 900000269 B1 KR900000269 B1 KR 90000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drying
heater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173A (ko
Inventor
시이찌로오 우찌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카이샤 쇼오네쓰가꾸 겐큐쇼
시이찌로오 우찌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카이샤 쇼오네쓰가꾸 겐큐쇼, 시이찌로오 우찌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카이샤 쇼오네쓰가꾸 겐큐쇼
Publication of KR84000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26B23/005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using a closed cycle heat pump system ; using a heat pip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2Heat recovery pumps, i.e. heat pump based systems or units able to transfer the thermal energy from one area of the premises or part of the facilities to a different one,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및 장치
제1도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의 개략을 표시한 설명도.
제2도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종단 정면도.
제4도 제3도의 건조장치의 평판을 절제한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제5도 본 발명의 건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 제5도에 나타낸 열교환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7도 건조 고내의 온도 상승과 시간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제8도 제습 가열 유니트 내에 있어서의 건조
제9도 고내공기의 온도 변화를 표시한 그래프, 건조고내에 부하를 부여하였을 경우의 건조 고내온도, 건조고내습도 및 제습수량의 경시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압축기 B : 증발기
C : 응축기 C' : 보조응축기
D : 열교환기 E : 제습가열유니트
10 : 하우징(housing) 11 : 흡기구
12 : 통기로 13 : 배기구
14 : 흡기팬 20 : 건조고
21 : 도어(door) 22 : 단열판넬
23 : 건조물 배치선발 24 : 망상형판
25 : 통풍로 26 : 환류판
30, 40 : 알루미늄파형판 35 : 칸막이 평판
본 발명의 곡류, 농산물, 해산물, 목재등을 비교적 고온에서 효율적으로 건조하는 건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동기가 공기중의 습기를 제습건조하는 능력이 탁월한 점에 착안하여 냉동기를 쌀, 보리, 콩, 고구마, 표고버섯, 연초, 약초, 어패류, 목재와 각종 물품의 건조장치로서 이용하는 예가 증가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건조장치는 모두 단순히 냉동기 그 자체를 건조고의 내외에 설치하여서 건조고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제습건조하고 이 건조공기를 전기 히이터 또는 응축기 등으로 적절하게 가온한 후 건조 고내로 되돌려 건조하는 것이다.
냉동기를 건조기로 이용하였을 경우 확실하게 제습효과가 탁월하며 또한 냉각건조된 공기를 히이터등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는데에도 용이하지만 건조고내의 공기온도는 최고 30-40℃ 정도가 한계였다.
따라서 30-40℃ 정도의 비교적 저온의 건조에서 냉동기는 장기간 연속운전을 하여도 손상될 염려도 없는 유효한 건조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 있어서 상술한 피건조물의 이상적인 건조에는 상술한 것 보다도 고온인 60-80℃ 정도의 온도를 장시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냉동기를 이용한 종래 장치의 낮은 온도로서는 그다지 효과가 없다.
그래서 히이터등을 강력하게 하여서 건조고내 온도를 목적하는 60-80℃의 고온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이 경우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간단하지만 하이터에 의하여 가열된 고온의 건조고내 공기가 냉동기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흡입량이 제한되지않고 무제한으로 흡입되게 되면 건조고내의 공기는 증발기의 냉각능력을 훨씬 상회하는 고온이므로 증발기에 의한 건조고내의 공기의 냉각기능이 저하되어 냉각될 수 없는 고온공기가 그대로 응축기에 도달되어 재차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 고내의 온도는 상승되지만 제습효과는 저하되어 증발기의 고온화로 인하여 압축기가 오버로오드 되어서 냉동기 전체가 능력의 한계를 넘어 전력만 소비하고 결국은 냉동기를 손상시키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통상 냉동기가 그 능력을 유효하게 발휘하면서 장시간 연속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연히 조건의 제약이 따르게 되는데 즉, 증발기에 흡입되는 공기의 적정온도는 약 40℃ 이하이며 그 이상의 고온으로 되면 상술한 상태의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증발기에 의한 제습은 30-4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온도의 공기가 흡입되어 0-5℃ 정도로 냉각되었을 경우에 그 공기의 결로점과의 온도차이(즉, 이 경우는 30-35℃)가 클수록 이슬이 맺혀 떨어지는 수분의 부착이 효과적으로 행하여진다.
그러나 60-80℃ 정도의 고온의 공기가 직접 증발기에 흡입되면 냉각에 의해 가령 60-80℃로부터 40℃의 온도로 저하되어 그 온도차가 크더라도 저하온도자체가 가령 40℃ 정도의 고온이라면 거의 결로가 생기기않기 때문에 제습이 되지 않는다.
상술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건조기를 사용할 경우는 그 장치를 주야 24시간 동안 그리고 1년중 쉬지않고 연속운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종래의 석유연소 에너지를 이용하는 연소열 건조장치에서는 장치운전 경비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그것이 가능하였으나, 냉동기 시스템을 이용한 건조장치에서 주된 장치인 냉동기는 약간의 연속운전에서도 오버로오드가 되지 때문에 연속 사용운전을 위한 건조장치로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건조용의 고내 공기를 건조고 내부가 무부하의 상태로 되고, 60-80℃ 전후의 고온을 유지하면서 냉동기가 오버로오드되지 않는 상태로 장기간 연속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최대의 과제로 되어왔다.
본 발명은 냉동기 시스템을 이용한 종래의 건조장치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내의 건조 공기를 고온으로 유지하면서 장시간 연속적으로 냉동기 운전을 하여도 냉동기가 손상될 염려없이 연속운전이 가능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없었던 매우 우수한 특징이 있는 건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고내의 공기만을 순환시켜서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이나, 배출을 일체시키지 않으며, 제습에 의하여 드레인 파이프로 수분만을 건조고외로 배출하며, 냉동기의 열 에너지를 전부 고내에서 이용하여 에너지 절약효율이 매우 좋으며, 장치 운전 경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건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동기를 그 능력의 범위내에서 건조장치로서 무리없이 장기간 연속가동시키기 위한 필요조건은 증발기에 고온의 건조 고내공기를 직접 대량으로 흡입시키지 않아야 된다는 원리에 의거 건조고내의 공기를 증발기에 흡입하기 전에 냉동기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약 40℃ 이하의 적정온도까지 사전에 저하시키는 동시에 대량의 건조고내의 공기를 증발기에 무제한으로 흡입시키지 않고 흡입공기량을 제한하고 건조고내의 건조공기를 고온으로 유지하면서 냉동장치를 이상상태로 장기간 연속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건조물을 넣은 단열구조의 고온의 건조고내 공기의 일부를 흡기 또는 송기 수단으로 열교환기를 지나게 해서 열교환을 하여 온도를 저하시킨 다음, 증발기를 통과시켜서 냉각제습 건조하며, 이 증발기를 지나서 냉각건조된 공기를 재차 전술한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냉각제습 건조하며, 이 증발기를 지나서 냉각건조된 공기를 재차 전술한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그 냉각건조공기를 건조 고내의 공기로 가온하는 열교환을 하며, 이 가온공기를 가열기로 통과시켜서 목적하는 건조 고내의 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재차 건고조 내로 되돌려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조고내에 있는 피건조물의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변형으로써 건조고내의 공기 온도가 고온으로 될 필요가 없이 성온으로 되어도 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방법에서 상기 가열기가 없이 열교환기에 가열된 공기가 건조고내로 바로 되돌아 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구조의 건조고의 내부에 단열구조의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우징 내에는 냉동기의 증발기와 가열기가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열교환기의 한쪽에 면하는 하우징의 벽면에는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의 다른쪽과 증발기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통기로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열기의 후방에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흡기 또는 송기 수단으로 고내의 공기 일부를 건조고내→ 하우징의 흡기구→ 열교환기→ 통기로→ 증발기→ 열교환기→ 가열기→ 배기구→ 건조고내의 순서로 순환시키는 건조고내의 피건조물의 건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기로 냉동기의 응축기(이 응축기는 냉동 사이클에서 냉매자체가 열을 빼앗겨 냉매자체가 응축되지만 열교환하는 상대물질에 열을 주어 상대물질을 가열하여 가열기로 기능을 하므로 실제로는 상대물질을 가열하는 가열기이나 냉매 자신이 응축되므로 응축기(condenser)라고도 한다)가 사용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기로 전기 히이터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로는 상기 언급된 냉동기의 응측기와 전기히이터가 같이 사용될 수도 있다.
종래의 냉동기를 사용한 고온건조기에서는 건조고내의 공기 60-80℃ 전후의 고온으로 유지된 냉동기를 운전하면 압축기에서의 부하가 너무커서 압축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와, 전기 히이터 또는 응축기 같은 가열기 사이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약 80℃ 전후의 건조고내 고온공기를 흡기구를 통하게 함으로서 공기흐름의 양을 무제한으로 하지 않고 제한적으로 흐름양을 조절하여 열교환기를 통하게 하여 열교환기에 의해 35-10℃ 전후로 온도를 저하시켜 증발기로 통하게 하고, 증발기에서 15-5℃ 전후로 냉각제습건조하여 이 공기를 재차 열교환기를 통하여 건조고 냉공기와 열교환시켜 약 20-50℃로 가열하고, 이 가열기를 가열기를 통하여 60-80℃ 전후의 목적하는 건조고내의 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다시 건조고내로 되돌려 보내는데 상기와 같이 증발기 앞에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약 80℃ 전후의 건조고내 공기를 35-10℃ 전후로 온도저하시켜 증발기를 통하기 때문에 증발기에는 항상 35-10℃ 전후로 냉각된 공기가 주입되고, 또 열교환기 앞에 설치된 흡기구로 인해 열교환기로 주입 되는 양이 무제한으로 되지 않고 흐름양이 조절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냉동기가 오버로우드되지 않고 장기간 연속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고내의 온도가 60-80℃ 전후의 고온에 있어서의 장기간 연속적인 건조운전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장치와 같이 5-15℃ 전후의 저온 내지 15-40℃ 전후의 상온의 연속 건조 운전도 가능한데 이와 같이 건조고내의 온도가 고온이 아니고 15-40℃의 상온인 경우에는 가열기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증발기와 열교환기의 상호작용만으로 본 발명의 피건조물의 건조가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어 연속건조운전이 가능하지만 응축기 또는 적절한 히이터등의 가열기를 설치하여 이것을 조정하므로서 미세한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열기를 제습 가열유니트 내에 설치하지 않고 건조고내의 적절한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압축식 냉동기나 흡수식 냉동기 등 기타의 종래 구성의 각종 냉동기를 응용해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방식으로 부호 "A"는 압축기, "B"는 증발기, 그리고 "C"는 응축기 또는 전기 히이터 또는 이것들을 조립구성한 가열기를 표시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B)와 가열기(C)는 단열구조의 하우징(10)내에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증발기(B)와 가열기(C)와의 사이에는 적절한 구성의 열교환기(D)가 설치된다.
제습가열 유니트(E)의 구조는 열교환기(D)의 한쪽에 면하는 하우징(10)의 벽면에는 흡기구(11)가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의 다른쪽과 증발기(B)의 전면과의 사이에 통기로(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가열기(C)의 후방에 배기구(13)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door)(21)를 구비한 단열 패널(22)로 구성된 단열구성의 건조고(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제습가열 유니트(E)를 적절히 설치하고 예를 들어 유니트(E)내의 열교환기(D)와 가열기(C) 사이에 설치한 흡기팬(14)등에 의한 적절한 흡기 또는 송기장치로 건조고내의 공기 일부를 건조고(20)→ 내부제습가열 유니트(E)의 흡기구 (11)→ 열교환기(D)→ 통기로(12)→ 증발기(B)→ 열교환기(D)→ 가열기(C)→ 배기구(13)→ 건조고(20) 내부의 순서로 순환시켜서 건조고내에 내장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즉 실온의 건조고내의 공기를 상술한 경로로 순환시키므로써 에를 들어 60-80℃ 전후의 목적하는 건조고내의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이 고온의 건조고 내의 공기를 열교환기(D)를 통해서 증발기(B)를 통과한 냉각건조공기와 열교환 시켜서 냉동기 능력에 맞는 적당한 온도 예를 들면, 35-25℃ 전후로 온도를 낮춘 후 증발기(B)를 통과시켜서 15-5℃ 전후로 냉각제습건조하고, 이 증발기(B)를 통해서 냉각건조된 공기를 재차 전술한 열교환기(D)를 통과해 시켜서 열교환기를 지나는 고온의 건조 고내 공기와 열교환시켜 그 공기를 약 35-50℃로 가온한다.
이 가온 공기를 응축기 또는 전기 히이터등의 가열기(C)를 통과시켜서 60-80℃ 전후의 원하는 건조 고내의 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고 또 다시 건조고(20)내로 되돌리며, 또다시 상술한 공기순환에 의하여 건조고내에 있는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또한 가열기의 한 예로서 상술한 응축기는 저온내지 상온에서의 건조의 경우에는 제습가열 유니트(E)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건조고의 내측 또는 외측의 적절한 곳에 설치하고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D)에서 열교환된 가온공기를 가열기를 통하지 않고 건조고내로 되돌려 보내도 좋다.
또한 도시한예는 제습가열 유니트(E)를 건조고(20)내의 천장부에 설치한 것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제습가열 유니트(E)를 건조고(20)의 외부 예를 들어, 건조고의 외부 상부면 또는 측면등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건조고와 분리해서 설치하여도 상기 흡기구(11)와 배기구(13)를 건조고(20) 내부와 연속적으로 통합하게 되면 역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냉동기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압축기 냉동기에 있어서의 압축기(A), 리시버탱크, 어큐무레이터(accumulator) 및 보조응축기(C')등은 제습가열 유니트(E)에 가깝게 접속하여서 건조고(20)의 외부 상부면 등에 적절하게 설치한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 상술한 증발기(B)는 일반적인 냉동기에 있어서의 냉각기 부분 즉, 압 축시 냉동기, 흡수식 냉동기 기타의 각종 냉동기의 증발기, 냉각코일 냉각관, 유니트 쿨러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증발기(B)는 냉각기 라고 말하여도 좋다.
열교환기(D)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기구(11)로부터 증발기(B) 전면으로 통하는 고온의 건조고내의 공기와 증발기(B)를 통과한 냉각공기를 열교환하는 것뿐이므로 종래 구성의 소위 열교환기라면 가능한 것이어서 그 구체적 구성은 완전히 임의 이지만 예를 들어 제5도 및 6도에 표시된 것은 작은 간격으로 평행하게 된 파형을 형성한 여러장의 얇은 알루미늄 파형판(30), (40)에 중간에 간막이 평판(35)을 개재시켜서 직각방향으로 서로 교차하여 적충시켜 장방형 블록형상으로 구성된 열교환기(D)의 실시예이다.
그리고 "36"은 간막이 평판(36)의 돌출된 단부를 약간 하부방향의 각도를 굽게하여, 만든 이슬이 맺혀 떨어지는 부분이며 열교환 냉각으로 생긴 수분이 각 하부의 통기구를 막지 않고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C"는 보조 응축기로써 제습 가열유니트 외부에 적절히 설치하고 제습 가열 유니트(E)내의 응축기가 주로 습기가 제거된 공기 가온용의 가열용으로서 작용할 경우에 냉동기 본래의 응축작용의 부족을 보충하는 것을 주로 하도록 한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건조교(20)내는 건조효율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건조물 배치 선반(23)의 주위를 망상형판(24)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구획하여 통로로(25)를 형성하며 또한 환류팬(26)을 설치하여 건조 고내의 공기가 건조 고내의 전체를 빈틈없이 환류하여 고온의 건조된 공기가 피건조물에 고루 접촉되어서 균일한 건조가 되도록 한다.
제7도는 AC 200V로 구동하는 출력 2HP의 냉동기를 약 4.3ms의 건조고에 설치하고 건조고내를 무부하고해서 냉동기를 작동시켰을 경우의 건조고내의 온도상승과 그 소요시간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건조고내의 온도는 대략 상온의 25℃ 정도로부터 1시간 조금 못되어 80℃에 도달되며 그 이후는 80-85℃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조고내의 온도를 80-85℃로 유지하고 냉동기를 10일간 이상 연속적으로 운전하여도 냉동기에 하등의 악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제8도는 상술한 건조고의 제습가열 유니트(E)내에 있어서의 온도변화를 표시한 그래프이며 새로축은 온도를 표시하고 가로축은 제습가열 유니트(E)내에서의 제1에 표시된 P1-P5의 각 위치를 나타낸다.
제9도는 부하 실험예로서 10×10m의 모포조각 10매에 물을 흡수시켜서 물을 포함한 무게가 100kg로 한 것을 건조고(20)내의 선반(23)위에 대략 균등하게 늘어 놓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건조 고내의 온도(X), 건조고내의 습도(Y) 및 제습량(Z)을 나타내는데 이는 즉, 증발기(B)와 열교환기(D)에 의한 냉각 작용시 이슬이 되어 떨어지는 수분의 건조고외로 배출한 양의 경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가열기(C)에서 가열되어 고내로 순환류되는 공기의 온도는 80℃ 전후이지만 피건조물에 접촉되어서 온도가 저하되므로 당초 40℃ 정도로부터 점점 상승하여 15시간 경과하게 되면 약 50℃로 되며 모포조각이 완전히 건조되는 약 20시간 경과된 시점에서는 70-80℃로 된다.
또한 건조고내의 습도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저하되며 제습 배출 수량은 5시간-10시간이 경과할때에는 매시간당 6000CC 이상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에는 냉동기의 장기간의 연속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적정온도의 건조 고내의 공기가 적정량씩 공급되게 되어 그 공기가 증발기에서 효율적으로 제습건조되어 통과된 다음 열교환기를 지나서 가온되고 이 가온 공기가 응축기 또는 전기 히이터등의 가열기에 의해서 목적하는 고내의 공기온도까지 가열되어서 건조고내로 공급되어 이 고온의 건조 공기가 건조고내의 공기에 혼입되어 건조고내의 공기 전체를 건조화 및 고온화 시킴으로서 피건조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하고 건조고내의 공기의 일부가 또 다시 상술한 유니트에 흡입되어서 상술한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장시간 고온으로 건조할 필요가 있는 각종 물품의 건조에 매우 유용하여서 농산물, 수산물, 목재 또는 공업제품등의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약한다면 냉동기의 냉동 싸이클을 이용한 건조방법 및 그 장치로서 냉동기의 증발기와 가열기와의 사이에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건조고내의 고온공기를 일단 열교환기를 통해서 온도를 저하시켜서 증발기로 냉각제습건조시키고 이 냉각제습 건조한 공기를 또 다시 열교환기를 통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가열기로 가열하여 이 건조되고 고온으로된 공기를 건조고내로 순환시켜 건조고 전체를 건조시키고 다시 이 건조고내의 공기 일부가 다시 상기 사이클을 반복하여 건조고의 공기를 건조시킨는 것이다.

Claims (6)

  1. 피건조물을 넣은 단열구조의 고온의 건조고내 공기의 일부를 흡기 또는 송기수단으로 열교환기를 지나게 해서 열교환을 하여 온도를 저하시킨 다음 증발기를 통과시켜서 냉각제습 건조하며, 이 증발기를 지나서 냉각 건조된 공기를 재차 전술한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그 냉각건조 공기를 건조고내의 공기로 가온하는 열교환을 하며, 이 가온공기를 가열기로 통과시켜서 목적하는 건조고내의 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재차 건조고내로 되돌려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고내에 있는 피건조물의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를 설치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가 건조고로 바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단열구조의 건조고의 내부에 단열구조의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우징 내에는 냉동기의 증발기와 가열기가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고, 그 열교환기의 한쪽에 면하는 하우징의 벽면에는 흡인구가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의 다른쪽과 증발기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통기로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열기의 후방에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흡기 또는 송기수단으로 건조고내의 공기 일부를 건조고내→ 하우징의 흡기구→ 열교환기→ 통기로→ 증발기→ 열교환기→ 가열기→ 배기구→ 건조고 내의 순서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고내의 있는 피건조물의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공기 흐름이 열교환기에서 배기구로 바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5. 단열구조의 하우징내에 냉동기의 증발기와 가열기 사이에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그 열교환기의 한쪽에 면하는 하우징의 벽면에는 흡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의 다른쪽과 증발기의 전면과의 사이에 통기로를 설치하고 또한 가열기의 후방에 배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제습 가열 유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공기의 흐름이 열교환기에서 바로 건조고내로 되돌아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가열 유니트.
KR1019830005095A 1982-11-02 1983-10-25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및 장치 KR900000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072 1982-11-02
JP57193072A JPS5981488A (ja) 1982-11-02 1982-11-02 冷凍機と熱交換器による乾燥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173A KR840007173A (ko) 1984-12-05
KR900000269B1 true KR900000269B1 (ko) 1990-01-24

Family

ID=1630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095A KR900000269B1 (ko) 1982-11-02 1983-10-25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32720A (ko)
JP (1) JPS5981488A (ko)
KR (1) KR900000269B1 (ko)
AU (1) AU574671B2 (ko)
CA (1) CA1211934A (ko)
DE (1) DE3416056A1 (ko)
FR (1) FR2563618B1 (ko)
GB (1) GB2158212B (ko)
IL (1) IL70053A (ko)
IN (1) IN162142B (ko)
IT (1) IT1201925B (ko)
MX (1) MX157755A (ko)
NZ (1) NZ206027A (ko)
PH (1) PH214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4547B (it) * 1986-05-02 1989-03-03 Whittaker Ltd Forno di pre-essiccazione per legname
DE3637737A1 (de) * 1986-11-05 1988-05-19 Waldner Gmbh & Co Hermann Trockner, insbesondere fuer die chemische industrie
DE3839554A1 (de) * 1988-11-24 1990-06-13 Wilfried Wiesenborn Trocknungsvorrichtung
FR2665828A1 (fr) * 1990-08-20 1992-02-21 Pulver Beat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concentrer les grains de raisins avant pressurage.
DE4228699C2 (de) * 1991-12-02 1997-04-24 Neumann Rodolfo J Vorrichtung zum chargenweisen Trocknen von Schnittholz
US5456022A (en) * 1992-01-13 1995-10-10 Jwi, Inc. Batch-type sludge drier
US6203859B1 (en) 1993-09-24 2001-03-20 Optimum Air Corporation Method of drying substrates and use thereof
US5709038A (en) * 1993-09-24 1998-01-20 Optimum Air Corporation Automated air filtration and drying system for waterborne paint and industrial coatings
US6035551A (en) * 1993-09-24 2000-03-14 Optimum Air Corporation Automated air filtration and drying system for waterborne paint and industrial coatings
AUPM601794A0 (en) * 1994-05-31 1994-06-23 Pjc Airconditioning Manufacturers Pty Ltd Drying process
AU691924B2 (en) * 1994-05-31 1998-05-28 Pjc Airconditioning Manufacturers Pty Ltd Drying process
US5675906A (en) * 1996-09-20 1997-10-14 Li; Tsung Li Enclosed type air circulation drying mechanism for low temperature, normal temperature and low heat conditions
DE29711315U1 (de) 1997-06-28 1997-08-28 Gerl Bernhard Vorrichtung zum Trocknen
SE9801215L (sv) * 1998-04-03 1999-10-04 Flaekt Ab Ventilationssystem
JP2004116899A (ja) * 2002-09-26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EP1614976A4 (en) * 2003-04-02 2006-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Y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7028930B2 (en) * 2004-02-19 2006-04-18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Kitchen appliance with a safety interlock
WO2005088003A1 (en) * 2004-03-16 2005-09-22 By For The Cleaners Co Ltd Low-temperature humiditv eliminate drier
FR2907884B1 (fr) * 2006-10-25 2012-12-21 Giat Ind Sa Procede de traitement thermique d'un materiau, notamment du bois, et unite de traitement thermique mettant en oeuvre un tel procede
US20100275621A1 (en) * 2007-12-10 2010-11-04 Oliveira Jr Jose Vilani Dehumidification or dehydration unit for apicultural use
EP2674527A1 (en) * 2012-06-12 2013-12-1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exchanger unit
SE1551688A1 (sv) * 2015-12-21 2017-06-22 Valutec Ab Förfarande vid torkning och en torkanordning
NO343722B1 (en) * 2016-02-19 2019-05-20 Float Biopro As System and process for drying loose bulk material, and a drying unit therefore
CN106802068A (zh) * 2017-01-23 2017-06-06 广州能之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式木材单板干燥装置
CN108645195A (zh) * 2018-04-27 2018-10-12 湖州新元素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干电池原料用烘干装置
CN108548402B (zh) * 2018-05-18 2023-12-05 江西省食品发酵研究所 一种生物工程用环保的干燥设备
CN111664670A (zh) * 2020-06-27 2020-09-15 台州弘霖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器皿用电热烘干箱
RU203367U1 (ru) * 2020-07-06 2021-04-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троительной физик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ных наук" (НИИСФ РААСН)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сушки твердых материалов
CN112075656B (zh) * 2020-10-22 2021-12-24 中国农业科学院烟草研究所 闭式循环热泵烟叶烤房辅助排湿智能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352C (ko) * 1915-12-08 1900-01-01
US2392405A (en) * 1941-12-16 1946-01-08 Phipps Charles Albert Hair drying process
US2418239A (en) * 1942-06-10 1947-04-01 Maytag Co Drum clothes drier includ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drying gas over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of a refrigerating device
US3190011A (en) * 1960-12-05 1965-06-22 Noubar S Abdalian Clothes drier with vapor removal
FR2304045A1 (fr) * 1975-03-13 1976-10-08 Ventilation Ind Miniere Procede et installations pour le sechage en etuve de produits tels notamment que des carreaux de platre
US4205456A (en) * 1976-04-30 1980-06-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Heat pump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terial drying system
JPS5336067A (en) * 1976-09-14 1978-04-04 Sharp Corp Clothing dryer
DE2802907A1 (de) * 1978-01-24 1979-07-26 Frings Naberschulte Gerd Anlage zur waermerueckgewinnung an malzdarren
DE2902369A1 (de) * 1979-01-22 1980-08-07 Happel Kg Einrichtung zum entfeuchten und temperieren der in einer trocknungskammer fuer die holztrocknung bewegten kammerluft
US4250629A (en) * 1979-02-21 1981-02-17 Lewis Donald C Lumber conditioning kiln
FR2466728A1 (fr) * 1979-10-01 1981-04-10 Saint Ignan Auguste Dispositif de deshumidification d'un fluide gazeux pour le sechage en cellule de materiaux ou produits
GB2064099A (en) * 1979-11-29 1981-06-10 Prestcold Ltd Dehumidifier; Air Conditioner; Drier
AU537354B2 (en) * 1979-12-13 1984-06-21 Brown & Dureau Building Materials Pty. Ltd. Wood drying kiln
IT1209790B (it) * 1980-01-03 1989-08-30 Zambelli Alessio Depuratore a condensazione a circuito chiuso di scarichi gassosi di solventi clorurati impiegati nei laboratori di lavatura a secco ed in genere di solventi impiegati in piccoli impianti.
US4447965A (en) * 1980-06-04 1984-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with latent heat recovery
US4326343A (en) * 1980-06-10 1982-04-27 Rathmell Richard K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volatile compounds
IT1194684B (it) * 1980-09-05 1988-09-22 Ivo Coppa Procedimento e impianto per l'essiccazione di prodotti e materiali quali il legno
FR2495749A1 (fr) * 1980-12-04 1982-06-11 Sendra Gilles Armoire isotherme destinee notamment au sechage, en particulier pour les produits alimentaires tels que saucissons, jambons, fromages
FR2499831A1 (fr) * 1981-02-18 1982-08-20 Muller Jean Marc Economiseur d'energie pour sechoirs a tabac
JPS58130983A (ja) * 1982-01-29 1983-08-04 大日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木材の乾燥方法とその装置
DD239463A1 (de) * 1983-05-31 1986-09-24 Eckhold Karl Heinz Waermepumpenanordnung fuer trockner von natuerlichen guetern
NZ205803A (en) * 1983-09-29 1988-05-30 Jack W & R Ltd Drying timber using heat pump unit: temperature raised before humidity is lowe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11934A (en) 1986-09-30
GB2158212A (en) 1985-11-06
NZ206027A (en) 1986-09-10
DE3416056A1 (de) 1985-10-31
FR2563618B1 (fr) 1988-07-29
IT8368125A0 (it) 1983-10-28
FR2563618A1 (fr) 1985-10-31
AU574671B2 (en) 1988-07-14
IT1201925B (it) 1989-02-02
JPS5981488A (ja) 1984-05-11
US4532720A (en) 1985-08-06
IL70053A (en) 1990-09-17
MX157755A (es) 1988-12-13
KR840007173A (ko) 1984-12-05
IN162142B (ko) 1988-04-02
GB8410830D0 (en) 1984-06-06
AU2621784A (en) 1985-10-03
IL70053A0 (en) 1984-01-31
GB2158212B (en) 1988-06-08
PH21426A (en) 1987-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269B1 (ko)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및 장치
US4505328A (en) System for conditioning air
CN201555424U (zh) 热泵循环除湿烤房
CN207113065U (zh) 室外机以及空调装置
US4138859A (en) Split heat pump outdoor fan arrangement
CN108278810A (zh) 冰箱
RU2716444C1 (ru) Холодильник компрессионный бифункциональный
EP1384963B1 (en) Built-in refrigerator
CN201223191Y (zh) 恒温展示柜
US4242876A (en) Rooftop type air conditioner
Khattar et al. Separating the V in HVAC: A dual-path approach
KR200408403Y1 (ko) 측면 혹은 배면에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직립형 냉난방기
CN206160297U (zh) 一种空调机
CN204787622U (zh) 热泵干燥装置
CN205119682U (zh) 一种双温型封闭式热泵干燥装置
CN206919441U (zh) 制冷装置及自动售货机
CN114777465B (zh) 一种热泵干燥系统
KR20050074107A (ko) 히트 펌프식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40040034A (ko) 제습장치
CN217504180U (zh) 一种热泵烘干设备及热泵烤房
CN216897600U (zh) 一种双系统组合式高效除湿机
KR100871116B1 (ko) 히트 펌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냉난방기
KR200176060Y1 (ko) 일체형 항온 항습장치
WO20010967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ir conditioning using waste heat
CN215571590U (zh) 一种调温调湿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