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535B1 -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535B1
KR102587535B1 KR1020200168996A KR20200168996A KR102587535B1 KR 102587535 B1 KR102587535 B1 KR 102587535B1 KR 1020200168996 A KR1020200168996 A KR 1020200168996A KR 20200168996 A KR20200168996 A KR 20200168996A KR 102587535 B1 KR102587535 B1 KR 102587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double structure
poly
lactide
co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230A (ko
Inventor
박헌국
김규석
문종필
전진경
박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ublication of KR2021007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61B2017/00915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radioactive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6Vascular grafts; s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을 따라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된 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시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BIODEGRADABLE DOUBLE STRURUCTURE WITH RADIOGRAPHIC FUNCTION}
본 발명은 브레이드(braid) 형태를 적용하여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을 향상시킨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필라멘트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되어있는 코어부 또는 시스부를 갖추고 있으면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여 방사선을 통해 체내에 삽입된 이중구조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원사 자체를 코어시스(core-sheath) 형태로 이종 사출하고, 고분자 수지 내에 방사선 불투과성 입자를 함께 혼합하여 사출하는 기술로, 사출하고자 하는 소재보다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용융점이 높아야 안정적으로 방사선 불투과성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녹는점을 가진 물질이어야 했으므로, 투입되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선택의 폭은 좁아질 수 밖에 없으며, 열적 또는 화학적 결합을 바탕으로 제작된 원사 내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열적 또는 화학적인 변형을 일으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내에서 균일하게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도 발생한다.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평균직경은 생분해성 원사의 직경보다 작아야 하며, 과도하지 않은 범위의 중량을 투입하여야 방사선 불투과성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불균일하게 혼합될 경우에 방사선 불투과성 역시 불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과도한 투입은 생분해성 폴리머의 생분해성 및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시스부에 브레이드(braid) 형태를 적용하여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료적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생분해성 원사 표면에 균일한 방사선 불투과성 부여가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평균입경 및 중량범위를 한정하여 생분해성 폴리머의 생분해성 및 물성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균일한 방사선 불투과성 부여가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부와 시스부의 생분해성 물질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코어부와 시스부의 분해속도(가수분해 속도)에 차이가 있게 설계하여, 생분해성 이중구조체가 원하는 분해기간까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는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을 따라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된 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시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는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을 따라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된 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시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는 상기 브레이드(braid) 형태에서의 피치(pitch) 각도는 30°~9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부의 평균 직경은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평균 직경 대비 40~8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은 상기 멀티필라멘트의 평균 직경 대비 1~2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는 금, 은, 백금, 탄탈, 텅스텐, 스트론튬, 이리듐, 비스무트, 브롬, 요오드, 황산바륨, 바륨 옥사이드, 비스무트 옥사이드, 비스무트 트리옥사이드, 요오드화나트륨, 이오헥솔(iohexol), 이오버솔(ioversol), 이오비트리돌(iobitridol) 및 염화 이테르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부 또는 상기 시스부에 포함되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으로 10~3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의 소재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폴리-D,L-락타이드, 폴리글라이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L-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D-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D,L-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D-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D,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글라이콜라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산온,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글라이콜라이드-co-다이옥산온, 폴리아미드에스터, 폴리펩티드, 폴리오르쏘에스터계, 폴리말레산, 폴리포스파젠,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세바식안하이드라이드, 폴리수산화알카노에이트, 폴리수산화부틸레이트,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도파민, 폴리글루코네이트,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앤하이드라이드, 폴리포스포에스터, 폴리알파하이드록시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젖산, 폴리락트 acid-polyethylene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글리콜산, 셀루로오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즈 트리아세테이트, 개질 셀룰로오즈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의 소재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폴리-D,L-락타이드, 폴리글라이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L-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D-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D,L-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D-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D,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글라이콜라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산온,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글라이콜라이드-co-다이옥산온, 폴리아미드에스터, 폴리펩티드, 폴리오르쏘에스터계, 폴리말레산, 폴리포스파젠,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세바식안하이드라이드, 폴리수산화알카노에이트, 폴리수산화부틸레이트,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도파민, 폴리글루코네이트,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앤하이드라이드, 폴리포스포에스터, 폴리알파하이드록시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젖산, 폴리락트 acid-polyethylene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글리콜산, 셀루로오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즈 트리아세테이트, 개질 셀룰로오즈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부 또는 상기 시스부는 폴리옥살레이트 공중합체(PVAX)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옥살레이트 공중합체(PVAX)는 1~20 중량%로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부 또는 시스부는 수산화마그네슘(Mg(OH)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Mg(OH)2)은 10~30 중량%로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는 코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시스부에 브레이드(braid)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내에서 안정적으로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에서 시스부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제작되므로 열적 또는 화학적인 결합에 의해 제작되는 이중구조체에 비하여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료적 손실이 적으므로 경제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시스부가 브레이드(braid) 형태의 물리적 결합을 바탕으로 제작되므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열적 또는 화학적 변형을 야기하지 않아 생분해성 원사 표면에 균일한 방사선 불투과성 부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에서는 코어부와 시스부의 생분해성 물질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코어부와 시스부의 분해속도(가수분해 속도)에 차이가 있게 설계하여, 생분해성 이중구조체가 원하는 분해기간까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수술용 봉합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수술용 봉합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사용한 방사팩(노즐팩)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브레이드(braid)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브레이딩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구현할 수 있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구현할 수 있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표면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피치(pitch) 각도의 개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사진 및 요오드화나트륨(NaI)으로 처리한 부분과 처리하지 않은 부분을 X-ray로 분석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는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스캐폴더 또는 수술용 봉합사와 같은 의료용 물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는 코어부와 시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어부와 시스부를 포함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평균 직경에 명확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는 100㎛ 이상의 범위 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평균직경이 100㎛ 미만일 경우에는 직경 대비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기계적 물성을 충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코어부 및 시스부 중 하나 이상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시스부는 코어부의 외주면을 따라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시스부의 브레이드(braid) 형태는 물리적 결합을 바탕으로 제작되므로, 열적 또는 화학적 변형을 야기하지 않아 생분해성 원사 표면에 균일한 방사선 불투과성 부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피치(pitch) 각도는 시스부의 브레이드(braid) 형태에서 필라멘트가 교차하는 각도로 90° 이하의 범위로 형성되며, 브레이드(braid) 형태의 촘촘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브레이드(braid) 장치를 이용한 공정에서 각도, 속도에 따라 브레이드(braid) 형태에서의 피치(pitch) 각도는 조절될 수 있고, 브레이드(braid) 형태를 한층 이상으로 하여 투입되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피치(pitch) 각도가 좁아질수록 상기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브레이드(braid) 형태에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흡수되는 표면적이 향상되어, 단위면적당 존재하는 방사선 물질의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피치(pitch) 각도는 30°~90° 범위 일 수 있는데, 30° 미만일 경우는 필라멘트 간에 과도한 인장력을 받게 되어 필라멘트가 비틀어지거나 끊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의 시스부를 브레이드(braid)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적은 양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투입하더라도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내에서 높은 효율로 균일한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시스부에만 적용되고, 코어부는 방사선 불투과성을 띄지 않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면서도 분해속도가 다른 생분해성 물질로 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폴리-D,L-락타이드, 폴리글라이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L-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D-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D,L-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D-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D,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글라이콜라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산온,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글라이콜라이드-co-다이옥산온, 폴리아미드에스터, 폴리펩티드, 폴리오르쏘에스터계, 폴리말레산, 폴리포스파젠,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세바식안하이드라이드, 폴리수산화알카노에이트, 폴리수산화부틸레이트,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도파민, 폴리글루코네이트,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앤하이드라이드, 폴리포스포에스터, 폴리알파하이드록시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젖산, 폴리락트 acid-polyethylene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글리콜산, 셀루로오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즈 트리아세테이트, 개질 셀룰로오즈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코어부는 폴리락타이드계 중합체, 폴리글리콜라이드계 중합체, 폴리(α-하이드록시 에스테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롤락톤), 폴리(p-디옥사논),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폴리(옥사에스테르), 폴리(옥사아미드), 폴리(락타이드)-PLLA,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카프롤락톤)(75/25), 폴리(글리콜라이드/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티로신 유래 폴리아미노산, 폴리(DTH 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인 함유 중합체, 폴리(포스포에스테르) 및 폴리(포스파젠), 폴리(에틸렌 글리콜)계 블록 공중합체, PEG-PLA, PEG-폴리(프로필렌 글리콜), PEG-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α-말산),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알카노에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HB), 폴리(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HV) 공중합체, DLPLA; PLA/PGA 공중합체(95/5; 85/15); 흡수 시간이 PLLA보다 더 신속한 PLA-PCL 공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스부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α-하이드록시 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카복시페녹시 헥산-세박산), 폴리(푸마르산-세박산), 폴리(카복시페녹시 헥산-세박산), 폴리(이미드-세박산)(50-50), 폴리(이미드-카복시페녹시 헥산)(33-67), 티로신 유래 폴리아미노산, 폴리오르토에스테르(디케텐 아세탈계 중합체), 인 함유 중합체, PGA/PLA(90/10); PGA/PCL(75/25, 50/50, 65/35); 흡수 시간이 PGA보다 더 긴 폴리(p-디옥사논)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시트레이트 에스테르 및 용해되어 보다 신속한 흡수를 위한 고표면적을 제공하는 기타 수용성 재료,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 형태로, 코어부가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일 경우에 모노필라멘트는 생분해성 금속사일 수 있으며, 생분해성 금속사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높은 인장강도와 높은 인장신도 및 높은 탄성율을 가지는 마그네슘 합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그네슘 합금에는 알루미늄, 아연, 망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그네슘 합금은 알루미늄 1~5 중량%, 아연 0.5~2 중량%, 마그네슘 93~98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코어부의 평균 직경은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평균 직경 대비 40~80% 일 수 있는데,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평균 직경 대비 40% 미만일 경우 생분해성 이중구조체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힘인 탄성회복력이 저하되어 형태 유지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80%를 초과할 경우 시스부 표면의 불규칙함을 야기하여 크랙 등으로 인한 원사의 안정적인 물성을 얻기 어려워 생분해의 속도 제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코어부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코어부가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된 경우,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은 전체 멀티필라멘트 대비 1~20% 범위 일 수 있는데, 1 % 미만일 경우 투입되어야 하는 필라멘트의 개수가 많아져 필라멘트 간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기공 및 계면의 증가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가 원통형 의료기기일 경우 방사력 또는 팽창력과 관련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기 어려우며, 20%를 초과할 경우 투입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과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폴리머 사이의 계면 발생으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스부에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된 멀티필라멘트에서,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은 멀티필라멘트 대비 1~20% 범위 일 수 있는데, 1 % 미만일 경우 투입되어야 하는 필라멘트의 개수가 많아져 기공 및 계면의 증가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가 원통형 의료기기일 경우 방사력 또는 팽창력과 관련된 원하는 물성을 얻기 어려우며, 20%를 초과할 경우 투입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과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폴리머 사이의 계면 발생으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로 분해속도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에서는 코어부와 시스부의 생분해성 물질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코어부와 시스부의 분해속도(가수분해 속도)에 차이가 있게 설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코어부와 시스부의 분해속도에 차이가 있게 설계함으로써, 생분해성 이중구조체가 원하는 분해기간까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시스부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코어부의 생분해성 물질에 비하여 훨씬 더 느린 분해속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 시스부에 적합한 재료는 PLLA, 코어부에 적합한 재료는 PGA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스부의 분해 속도는 3~48개월, 코어부의 분해속도는 1일~3개월이 바람직하다.
코어부의 분해가 시스부의 분해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므로 시스부에 크랙 등의 부분적 결함이 생겨 코어부가 노출되면 코어부의 분해가 빠르게 진행되어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는 기계적 물성의 저하로 기능을 상실해 버릴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코어부 및 시스부 중 하나 이상에 코팅되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침지(dip-coating), 전자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무(electrospray), 3차원 인쇄(3D Printing) 등 후공정의 방법으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코어부 및 시스부 중 하나 이상에 코팅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기본적으로 필라멘트 사출 시 방사선 불투과성을 함께 사출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필라멘트를 제작한 후 후공정을 통해 코어부의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에 방사선 불투과성을 부여하고, 시스부에 멀티필라멘트가 브레이드(braid) 형태를 갖추게 한 구성을 통해 방사선 불투과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킨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발명에서 활용 가능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금, 은, 백금, 탄탈, 텅스텐, 스트론튬, 이리듐, 비스무트, 브롬, 요오드, 황산바륨, 바륨 옥사이드, 비스무트 옥사이드, 비스무트 트리옥사이드, 요오드화나트륨, 이오헥솔(iohexol), 이오버솔(ioversol), 이오비트리돌(iobitridol) 및 염화 이테르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원사 제작 공정 시에는 녹는 점을 고려해야 하므로, 본 발명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시스부 및 코어부의 소재와 녹는점이 유사하거나 그 이상인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되도록 수산기(-OH)와 같은 친수성기를 많이 함유할수록 독성이 낮아지므로 친수성인 물질이 바람직하며, 이오헥솔(iohexol), 이오버솔(ioversol), 이오비트리돌(iobitridol)과 같은 친수성 요오드 계열 조영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인 황산바륨에 에탄올, 물, 메탄올과 같은 친수성 용매를 혼합함으로써,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체내에서 낮은 독성과 높은 용해도를 갖는 친수성 물질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평균 입경은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평균 입경보다 작은 크기로 투입되어야 하며, 평균 입경이 작을수록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폴리머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 사이의 계면 발생이 최소화되어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기계적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평균 입경은 0.5~20㎛ 범위일 수 있는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평균 입경이 0.5㎛ 미만일 경우 불투과성을 나타내기 위해 더 많은 양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첨가해야 하고 이로 인한 독성 및 물성저하를 야기할 수 있고, 20㎛를 초과할 경우 투입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과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폴리머 사이의 계면 발생으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으로 10~35 중량%가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방사선 불투과성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35 중량%를 초과하면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표면이 불규칙하고 매끄럽지 못하게 되어 체내에 삽입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코어부 또는 시스부는 폴리옥살레이트 공중합체(PVAX)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폴리옥살레이트 공중합체는 세포손상의 원인인 과산화수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활성산소종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에 일정량 투입할 경우 도관이 삽입되는 부위 근처의 생체 조직의 세포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폴리옥살레이트 공중합체(PVAX)는 바닐릴 알코올과 퍼옥살레이트 에스테르(peroxalate ester)를 공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으로 폴리옥살레이트 공중합체(PVAX)은 1~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세포 손상 방지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기공 증가 등으로 인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물성 저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코어부 또는 시스부는 수산화마그네슘(Mg(OH)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수산화마그네슘(Mg(OH)2)은 삽입된 도관 주위 조직의 pH를 중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고분자의 분해 또는 외부물질 삽입에 따른 염증 생성시에는 산성물질이 생성되어 주변 조직의 pH가 낮아지는데, 염기성 성분인 수산화마그네슘(Mg(OH)2)의 화학반응을 통해 pH를 중화시켜 주위 조직의 염증반응을 9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Mg(OH)2)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투입하게 되면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생체 내 효용성 및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으로 수산화 마그네슘(Mg(OH)2)은 10~3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염증반응의 감소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기계적 강도 부여가 어려워지고, 생분해성 수지의 분산성이 크게 저하되거나 가공되는 필라멘트의 결정화가 저해되어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수술용 봉합사를 나타낸 개략도로 상기 수술용 봉합사는 크게 코어부(10)와 시스부(20)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도 1에서의 상기 수술용 봉합사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1)는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코어부(10)와;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코어부(10)의 외주면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감싸여 있는 시스부(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부(20)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수술용 봉합사를 나타낸 개략도로 상기 수술용 봉합사는 크게 코어부(10)와 시스부(20)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도 2에서의 상기 수술용 봉합사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1)는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코어부(10)와;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코어부(10)의 외주면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감싸여 있는 시스부(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부(20)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제작공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기(3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폴리머를 용융시키기 위한 압출기(31), 압출된 폴리머를 라인 형태로 뽑아내기 위한 다이헤드(32) 및 스핀팩(33), 스핀팩(33)을 통과한 폴리머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34) 및 냉각수(34)를 통과한 모노필라멘트의 물성 향상을 위한 통상의 연신장치(35)와, 와인더(36)로 구성된다.
상기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의 제조과정에서는 상기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적용시키는 방법은 침지(dip-coating), 전자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무(electrospray), 3차원 인쇄(3D Printing) 등의 방법이 있지만, 전자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무(electrospray) 방식이 바람직하다.
침지(dip-coating) 방식은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압출기(31)의 주변에 배치시켜 폴리머를 용융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자방사(electrospinning) 및 전기분무(electrospray) 방식은, 연신장치(35)의 주변에 스프레이 장치(미도시)를 배치하여 연신장치(35)에서 방사된 상기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에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기(4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복합 방사는 두 대의 압출기(41)를 이용하여 각각의 폴리머를 용융시킨다. 용융된 폴리머는 정량 펌프(42)를 통해 원하는 양만큼 토출시키는 것으로, 이를 조절함으로써 복합방사시 각 폴리머의 성분비를 조절할 수 있다.
정량펌프(42)를 통해 나온 용융된 폴리머는 도 5a 와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되어 방사블록(43)을 통해 한가닥의 실(44)로 복합 방사된다.
도 4에는 단순화하여 보여지는 단일 필라멘트이지만, 그 방사구는 의도된 수의 방출구를 가질 수 있으며, 복합 방사된 실(44)은 냉각조(45)에서 고화(固化) 및 결정화가 이루어진다.
방사구와 냉각조 사이에는 공냉구간(air gap)이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0.5~100c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30cm일 수 있다.
고화된 실(44)은 배향에 의한 물성 향상을 얻기 위해 통상의 연신 장치(46)를 통해 연신된 다음, 권취기(47)에 권취된다.
봉합사의 물성 향상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고화된 실(44)를 바로 연신하지 않고 미연신사의 형태로 권취한 후 적정 조건에서 숙성(aging)을 시킨 후 연신 장치(46)을 통해 연신하여 연신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연신공정한 봉합사의 물성 개선을 위해서 연신사(44)를 적정한 조건에서 열처리하기도 한다. 고화된 실(44) 또는 연신사(44)는 상기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의 제조과정에서는 상기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적용시키는 방법은 침지(dip-coating), 전자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무(electrospray), 3차원 인쇄(3D Printing) 등의 방법이 있지만, 전자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무(electrospray) 방식이 바람직하다.
침지(dip-coating) 방식은 방사기의 내부에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두 대의 압출기(41)의 주변에 배치시켜 폴리머를 용융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자방사(electrospinning) 및 전기분무(electrospray) 방식은, 연신장치(46)의 주변에 스프레이 장치(미도시)를 배치하여 연신장치(46)에서 방사된 상기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에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방사블록(43)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과 분배판으로 구성된 방사팩(5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압출기를 통해 용융된 각각의 제 1폴리머 및 제 2폴리머는 분배판(51, 56)을 통해 노즐(52)로 각각 흘러 들어와 노즐을 통해 상기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를 생성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5a는 해도형 봉합사(70)를 얻기 위한 방사팩으로 도 7a의 성분을 만들기 위해 다공핀(53)으로 구성된 분배판(51)을 통해 제 2 폴리머가 흐르고, 분배판(51)의 해 성분용 유로(54)를 통해 흘러 나온 용융된 제 1폴리머가 제 2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분배판(51)의 다공핀(53)의 수는 얻고자 하는 최종 필라멘트의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일 핀의 수가 1개이면 도 7b에서와 같은 시스/코어형 봉합사(73)가 된다.
도 5b는 시스/코어형 봉합사(73)를 만드는 방법으로 중심부에 코어용 제 2폴리머가 분배판(56)의 코어 핀(57)을 통해 흐르고, 그 주위를 제 1폴리머가 분배판(56)을 통해 흘러 노즐(52)에서 한 가닥으로 합쳐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봉합사는 탄성계수, 강력 또는 융점 등이 서로 상이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각 폴리머의 성분비를 조절함으로써 매듭 안정성, 매듭 강력 및 유연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브레이딩 장치(60)의 일반적인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코어부(10)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62) 및 시스부(20)를 구성하는 멀티필라멘트(63)를 도시된 캐리어(61)나 보빈에 각각 권치시켜 설치한 다음 일정한 순서로 공급하면서 감싸 직조하여 코어부(10)가 중앙이 되고, 시스부(20)가 주변이 되도록 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구조로 직조하도록 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63)가 코어부(1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구현 가능한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해도사 형태로 복합 방사된 형태인 해도형 필라멘트(70)로 도성분(71)을 해성분(72)이 감싸고 있는 형태, 도 7b는 시스코어 형태로 복합 방사된 시스코어형 필라멘트(73)로 코어 성분(74)를 시스 성분(75)이 감싸고 있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필라멘트(70, 73)는 각각이 이루는 성분 및 그 구조가 전체 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통상의 코팅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구현할 수 있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된 코어부에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코팅하여 층을 형성한 후, 이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된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를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되지 않은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된 코어부를 형성한 후, 이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된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를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c는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된 코어부에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코팅하여 층을 형성한 후, 이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된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를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d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된 코어부를 형성한 후, 이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된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를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방사선 물질의 함량에 따른 표면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대비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20 중량% 포함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대비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35 중량% 포함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과도하게 포함되면 표면이 불규칙해지고 매끄럽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피치(pitch) 각도의 개념을 나타낸 개략도로, 도 10a는 피치(pitch) 각도가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도, 도 10b는 피치(pitch) 각도가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시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들 제조예 및 시험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조예: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제조
1. 상기 도 3 내지 도 5의 설명에 따른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알루미늄 3 중량%, 아연 1 중량%, 마그네슘 96 중량%인 마그네슘 합금으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코어부를 구성하는 직경 200㎛인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2. 상기 도 3 내지 도 5의 설명에 따른 통상의 방법에 따라 직경 380㎛인 PGA 섬유로 구성된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3. 요오드화나트륨(NaI)의 물에서의 용해도를 참조하여 요오드화나트륨(NaI) 분말 84g과 증류수 100g을 25°C에서 교반하여 물에 용해하여 요오드화나트륨(NaI) 용액을 제조하였다.
4. 도 6에 따른 통상의 브레이딩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상기 과정 1에서 제조된 모노필라멘트 및 상기 과정 2에서 제조된 멀티필라멘트를 캐리어나 보빈에 각각 권치시켜 설치한 다음 상기 모노 필라멘트를 감싸 직조함으로써, 중앙에 코어부를 형성하고 코어부의 주변에 시스부를 형성하여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를 완성하였다.
5. 상기 과정 4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를 상기 과정 3에서 제조된 요오드화나트륨(NaI) 용액을 딥코팅(dip-coating)한 후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진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를 완성하였다.
시험예: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 확인
상기 제조예에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일부만 딥코팅(dip-coating)하여 딥코팅 된 부분과 처리하지 않은 부분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X-ray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X-ray 분석 결과는 도 11b에 나타냈으며 (A)는 금속지지대가 포함된 부분, (B)는 제조된 요오드화나트륨(NaI) 용액을 딥코팅(dip-coating)한 부분, (C)는 제조된 요오드화나트륨(NaI) 용액을 딥코팅(dip-coating) 처리하지 않은 부분이다.
1: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10: 코어부
20: 시스부
30: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기
31: 압출기
32: 다이헤드
33: 스핀팩
34: 냉각수
35: 연신장치
36: 와인더
40: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기
41: 두 대의 압출기
42: 정량펌프
43: 방사블록
44: 고화된 실
46: 연신장치
50: 방사팩
51: 분배판
52: 노즐
53: 다공핀
54: 해성분용 유로
55: 방사팩 몸통부
56: 분배판
57: 코어핀
60: 브레이딩 장치
61: 캐리어
62: 모노필라멘트
63: 멀티필라멘트
70: 해도형 필라멘트
71: 도성분
72: 해성분
73: 시스코어형 필라멘트
74: 코어 성분
75: 시스 성분
80a, 80b, 80c, 80d: 코어
81a, 81b, 81c, 81d: 브레이드 형태가 형성된 시스
82a, 82b, 82c, 82d: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층

Claims (13)

  1. 생체 내 삽입이 가능한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에 있어서,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을 따라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가 브레이드(braid) 형태로 형성된 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시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상기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 10 내지 35중량% 포함하며,
    코어부 및 시스부의 생분해성 물질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코어부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는 마그네슘을 93 내지 98중량%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금속사이며,
    시스부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의 소재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폴리-D,L-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L-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폴리-D-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D,L-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D-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D,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글라이콜라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산온,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글라이콜라이드-co-디옥사논, 폴리아미드에스터, 폴리펩티드, 폴리오르쏘에스터계, 폴리말레산, 폴리포스파젠,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세바식안하이드라이드, 폴리수산화알카노에이트, 폴리수산화부틸레이트,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도파민, 폴리글루코네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앤하이드라이드, 폴리포스포에스터, 폴리알파하이드록시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젖산, 폴리락트 acid-polyethylene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셀루로오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즈 트리아세테이트, 개질 셀룰로오즈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드(braid) 형태에서의 피치(pitch) 각도는 3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평균 직경은 생분해성 이중구조체의 평균 직경 대비 4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은 상기 멀티필라멘트의 평균 직경 대비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금, 은, 백금, 탄탈, 텅스텐, 스트론튬, 이리듐, 비스무트, 브롬, 요오드, 황산바륨, 바륨 옥사이드, 비스무트 옥사이드, 비스무트 트리옥사이드, 요오드화나트륨, 이오헥솔(iohexol), 이오버솔(ioversol), 이오비트리돌(iobitridol) 및 염화 이테르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 또는 상기 시스부는 폴리옥살레이트 공중합체(PVAX)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살레이트 공중합체(PVAX)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으로 1~20 중량% 포함되는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 또는 시스부는 수산화마그네슘(Mg(OH)2)을 추가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Mg(OH)2)은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기준으로 10~30 중량% 포함되는 생분해성 이중 구조체.
KR1020200168996A 2019-12-04 2020-12-04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KR102587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9993 2019-12-04
KR1020190159993 2019-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230A KR20210070230A (ko) 2021-06-14
KR102587535B1 true KR102587535B1 (ko) 2023-10-13

Family

ID=7641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996A KR102587535B1 (ko) 2019-12-04 2020-12-04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5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460A1 (en) * 2018-01-23 2019-08-01 Kuraray America, Inc. Small diameter fiber braid with central cor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4488B2 (en) * 2006-10-06 2013-03-12 Cordis Corporation Bioabsorbable device having composite structure for accelerating degradation
KR101324170B1 (ko) * 2010-09-16 2013-11-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 개질된 금속 입자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생체 이식물, 이의 염증 억제용으로서의 용도 및 그 제조 방법
WO2013029571A1 (en) * 2011-08-26 2013-03-07 Ella-Cs, S.R.O. Self-expandable biodegradable stent made of clad radiopaque fibers covered with biodegradable elastic foil and therapeutic agent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460A1 (en) * 2018-01-23 2019-08-01 Kuraray America, Inc. Small diameter fiber braid with central cor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230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91167B (zh) 可吸收封堵器
EP2826894B1 (en) Superfine polyester fiber and tubular seamless fabric
US7927529B2 (en) Method of forming bioabsorbable drug delivery devices
JP5030773B2 (ja) X線造影糸、x線造影被覆糸、前記x線造影糸および、またはx線造影被覆糸を用いた繊維構造体
US10953097B2 (en) Electrospun fibers having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363025B2 (ja) X線造影性モノフィラメント
JP5294578B2 (ja) X線造影性複合糸及びx線造影性繊維構造体
JP5189005B2 (ja) X線造影性複合モノフィラメント
CN106491240B (zh) 可吸收封堵器
KR102587535B1 (ko) 방사선 불투과성 기능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이중구조체
KR20080030545A (ko) (원착)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
US20070158880A1 (en) Methods of making bioabsorbable drug delivery devices comprised of solvent cast tubes
KR102587534B1 (ko)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포함된 생분해성 튜브
TWI638919B (zh) Fiber with phase separa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359714B1 (en) Endless core-sheath fibers on the basis of hyaluronan or c11-c18 acylated derivatives thereof,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staple fibers, yarn and textiles made of these fibers and use thereof
JP4695431B2 (ja) 撚糸および撚糸の製造方法
JP6484948B2 (ja) 海島複合繊維
US20070160672A1 (en) Methods of making bioabsorbable drug delivery devices comprised of solvent cast films
JP2010216030A (ja) X線造影性複合糸
CN112022234B (zh) 植入式器械及其制备方法
JP2000336521A (ja) 造影剤を内包する医療用高分子材料
JP2008163492A (ja) スクリーン紗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
JP2007089653A (ja) 縫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56382A (ja) 高比重複合繊維の製造方法
JPH0959822A (ja) 定置網用高比重複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