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021B1 - 폐사가축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사가축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021B1
KR102587021B1 KR1020210126693A KR20210126693A KR102587021B1 KR 102587021 B1 KR102587021 B1 KR 102587021B1 KR 1020210126693 A KR1020210126693 A KR 1020210126693A KR 20210126693 A KR20210126693 A KR 20210126693A KR 102587021 B1 KR102587021 B1 KR 10258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waste heat
treatment
wast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3604A (ko
Inventor
서태일
김상진
전구식
윤석훈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21012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21B1/ko
Priority to PCT/KR2021/013550 priority patent/WO2023048322A1/ko
Publication of KR2023004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사가축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처리대상물과 가수분해액이 충진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 의한 가수분해액 및 처리대상물의 가열 시, 발생되는 처리조 내부의 배출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폐열회수부; 및 상기 폐열회수부로부터 회수된 폐열을 상기 처리조 내부로 분사하여 버블을 생성하기 위한 버블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블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버블은 상기 가수분해액 및 처리대상물의 교반작용을 통해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처리조 내부의 가수분해액이 가열되어 배출되는 가스, 즉 폐열을 회수하며, 회수된 폐열을 처리조 내부로 고압 분사하여 버블을 생성함으로써 교반작용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가수분해촉진과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고, 이를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살균 및 멸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폐사가축처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폐사가축처리장치{Dead livestock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처리조 내부의 가수분해액이 가열되어 배출되는 가스, 즉 폐열을 회수하며, 회수된 폐열을 처리조 내부로 고압 분사하여 버블을 생성함으로써 교반작용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가수분해촉진과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고, 이를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살균 및 멸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폐사가축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축산 농가는 각종 질병이나 전염병 등에 감염되어 폐사되는 가축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받고 있다. 이러한 폐사된 가축으로 인한 피해는, 가축의 폐사로 인한 1차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병원균이 내포된 폐사 가축을 처리함으로 인한 2차적인 피해를 유발함으로써 축산 농가에 이중고를 겪게 하고 있다.
종래에는 폐사 가축을 처리하기 위한 장비가 제시되지 않아 폐사 가축을 땅속에 매장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처리 방법이 없었다. 이로 인해, 폐사 가축의 매장 후에도 폐사 가축에 내포된 병원균이 인근에 위치한 가축이나 사람에게 전염되거나 폐사 가축으로부터 발생한 침출수가 지하수를 오염시켜 인근의 농가에서 지하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폐사 가축 처리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폐사 가축 처리 장비들 중 폐사 가축 및 동물성 잔재물을 가수분해하는 가수분해 처리 장치의 효용 가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수분해 처리 장치에 의해 액화된 폐사 가축과 동물성 잔재물을 퇴비 등으로 재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작된 종래의 가수분해 처리장치는, 폐사 가축과 동물성 잔재물이 가수분해액과 고르게 섞이지 못하여 가수분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반장치를 처리장치에 별도로 설치하여 가수분해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교반장치는 구동모터와 교반축 및 교반날개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부품들을 장치에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처리장치에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설치공간에 의하여 처리장치에는 데드존(dead zone) 불필요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공간이 만들어지는 문제 또한 있다.
특히 매몰지의 폐사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폐사체 뿐만 아니라, 폐사체에 의하여 오염된 토사도 함께 처리조에 투입하여 가수분해 처리를 하게 되는데, 토사의 경우 그 성질상 처리조에 침전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토사가 침전되는 경우 기존의 교반장치로 토사를 고르게 교반하여 혼합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반장치에 과부하를 줌으로써 고장이나, 파손의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698호(2017.08.01.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처리조 내부의 가수분해액이 가열되어 배출되는 가스, 즉 폐열을 회수하며, 회수된 폐열을 처리조 내부로 고압 분사하여 버블을 생성함으로써 교반작용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가수분해촉진과 처리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고, 이를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살균 및 멸균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교반장치가 장치에서 차지하는 데드공간을 없앨 수 있고, 이를 통해 장치를 콤팩트하게 제작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사가축처리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처리대상물과 가수분해액이 충진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 의한 가수분해액 및 처리대상물의 가열 시, 발생되는 처리조 내부의 배출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폐열회수부; 및 상기 폐열회수부로부터 회수된 폐열을 상기 처리조 내부로 분사하여 버블을 생성하기 위한 버블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버블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버블은 상기 가수분해액 및 처리대상물의 교반작용을 통해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버블생성부는 상기 처리조의 저면부 또는 상기 처리조의 측면부, 또는 상기 처리조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폐열회수부로부터 폐열을 공급받는 버블생성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버블생성관은 소정 압력 및 소정 온도의 핫에어를 상기 분사공을 통하여 상기 처리조 내부로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처리대상물은 동물 폐사 및 매몰지의 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폐열회수부는 썩션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처리조를 연결하고, 상기 처리조를 일측방향으로 선회시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와, 상기 처리조를 덮는 커버를 선회시켜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로 구성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츨유닛의 틸팅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의 하부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브래킷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처리조의 하부 타측부에 상기 제1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힌지 겹합되는 제2 힌지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가축처리장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유닛의 개폐부는 상기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힌지브래킷과, 상기 제3 힌지브래킷과 힌지 결합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연결브래킷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제4 힌지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사가축처리장치는 처리조 내부의 가수분해액이 가열되어 배출되는 가스, 즉 폐열을 회수하며, 회수된 폐열을 처리조 내부로 고압 분사하여 버블을 생성함으로써 교반작용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가수분해촉진과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고, 이를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살균 및 멸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교반장치가 장치에서 차지하는 데드공간을 없앨 수 있고, 이를 통해 장치를 콤팩트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조 내부에서 발생하여 버려지는 폐열을 재사용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오염원을 없앨 수 있고, 이를 통해 친환경적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의 폐사뿐만 아니라, 매몰지의 토사까지 포함되더라도 고압으로 분사되어 생성된 버블에 의하여 교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반 및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사가축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사가축처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사가축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조의 또 다른 구현례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유닛의 틸팅부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유닛의 개폐부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사가축처리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 처리조(20), 가열유닛(30), 폐열회수부(40) 및 버블생성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은 상부에 처리조(20)가 배치되어 이를 지지하고, 지면에 설치되어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유지하는 골격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에는 다양한 부대시설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팅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에는 컨트롤패널(미도시)이 설치되어 장치의 가동 및 가동 조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이동이나 운반을 위해 베이스프레임(10)에는 이동구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운반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리조(20)는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 배치되어 그 내부에 가수분해액(HL)이 충진되고, 가수분해액(HL)에 의하여 처리대상물을 분해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한 처리조(20)에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21)이 구비되어 가수분해액(HL)이 충진되고, 처리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처리조(20)에서 분해 처리하기 위한 처리대상물은 동물사쳬 내지 폐사가축은 물론이고, 매몰지의 경우 폐사체와 토사(E)도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매몰지에서 폐사체를 처리조(20)에 투입하는 경우 폐사체만을 추출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토사(E) 역시 폐사체에 의하여 오염되어 있어 분해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가수분해액(HL)은 수산화칼륨(KOH) 및 수산화나트륨(Na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알칼리 성분과 물이 첨가된 혼합액일 수 있으나, 이러한 조성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처리조(20)의 수용공간(21)에 충진되는 가수분해액(HL)은 처리조(20) 일측에 공급관(55)이 구비되고, 이 공급관(55)으로 가수분해액(HL)을 공급하기 위한 가수분해액(HL) 공급부(미도시)에 의하여 처리조(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수분해액(HL)의 충진된 처리조(20)의 수용공간(21)에는 그물망 형태의 바스켓(23)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수분해액(HL)에 의하여 처리대상물인 동물사체 내지 폐사체의 조직은 대부분 분해되어 액화되지만, 뼈와 같은 처리대상물의 일부 조직(이하 '잔재물'이라 함)은 분해되지 않고, 고체 상태로 잔존하게 된다. 이 경우 처리조(20)의 수용공간(21) 내부에 배치된 바스켓(23)에 의하여 잔재물이 걸러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바스켓(23)의 경우 가수분해액(HL) 및 분해된 조직은 투과하고, 잔재물은 배출되지 않는 정도의 기공을 갖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매물지의 동물사쳬나 폐사체를 처리하는 경우 바스켓(23)에 형성된 기공은 토사(E)가 포함될 수 있어 이를 걸러낼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처리조(20)에서 일정 시간 가수분해작용을 통해 분해되어 액화된 처리액은 가수분해액(HL)과 함께 배출부를 통해 처리조(20)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바스켓(23)에 잔존하는 잔재물(매물지의 경우 토사(E) 포함)은 처리대상물의 처리량에 따라 다르지만, 일정 정도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경우 크레인 등과 같은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바스켓(23)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가수분해액(HL)과의 접촉에 의하여 부상의 위험이 있어 바스켓(23)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크레인과 같은 인용장치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처리조(20)는 그 사이즈나 처리대상물의 처리량에 따라 섹터를 나누어 분할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4의 도시와 같이 처리조(20)의 내벽면과 저면에 결합부(25)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25)에 분할판(27)을 삽입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25)는 슬라이드홈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기밀부재가 구비되어 가수분해액(HL)이나 조직의 분해액이 처리조(20)의 다른 섹터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처리조(20)를 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스켓(23) 역시 분할 공간상에 투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열원을 처리조(20)에 공급함으로써 가수분해액(HL)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가열유닛(30)은 열원을 처리조(20)에 공급하기 위해 처리조(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관이나, 로 또는 열선 형태의 가열부(3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열유닛(30)은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료로서 가스나, 기름, 전기 등을 사용하는 버너나, 보일러, 전기히터 등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처리조(20)에는 가열유닛(30)에 의하여 가열된 가수분해액(HL)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열온도와 가수분해액(HL)의 온도를 컨트롤패널에 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열유닛(30)에 의하여 가수분해액(HL) 내지 처리대상물이 가열되면서 배출되는 가스는 별도의 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렇게 배출되는 가스는 280℃ 이상이다.
통상적으로 처리조(20) 내부에서 가수분해액(HL) 및 처리대상물의 가열 시, 발생하는 배출가스는 외부로 배출되어 버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버려지는 고온의 배출가스를 활용하여 교반작용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즉 가수분해액(HL)의 가열 시 발생하는 배출가스를 배출장치를 통해 배출시키기 않고, 처리조(20)에서 바로 회수하여 교반작용을 위한 버블(B)생성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폐열회수부(40)와 버블생성부(5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부(40)는 처리조(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처리조(20) 내부의 배출가스를 흡입하여 버블생성부(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폐열회수부(40)는 처리조(20) 내의 배출가스, 즉 폐열을 흡입하기 위한 처리조(20) 상부에 배치되는 흡입관(41)과, 이 흡입관(41)으로 처리조(20) 내의 폐열을 흡입하기 위한 썩션펌프(43)로 구성된다.
따라서 썩션펌프(43)의 흡입력에 의하여 처리조(20) 내의 폐열은 흡입관(41)을 통해 흡입되고, 이렇게 흡입된 폐열은 버블생성부(50)로 공급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블생성부(50)는 폐열회수부(40)에 의하여 공급된 폐열을 처리조(20) 내부로 고압 분사하여 가수분해액(HL) 중에 버블(B)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버블생성부(50)는 처리조(20)의 저면부 또는 처리조(20)의 측면부, 또는 처리조(20)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분사공(53)이 형성되어 폐열회수부(40)로부터 폐열을 공급받는 버블생성관(5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처리조(20)의 측면부는 처리조(20)의 저면부를 제외하고, 내측 전후 및 좌우 측면을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버블생성부(50)는 폐열회수부(40)의 썩션펌프(43)에 공급관(55)이 연결되고, 이 공급관(55)으로부터 버블생성관(51)이 분지되어 처리조(20)의 저면, 측면부로 배치된다. 이렇게 처리조(20)에 설치된 버블생성관(51)은 분사공(53)을 통해 폐열회수부(40)로부터 공급되는 폐열을 처리조(20) 내부의 가수분해액(HL)에 고압 분사함으로써 버블(B)을 생성하게 된다.
가수분해액(HL) 중에 고압 분사를 통해 생성된 버블(B)은 가수분해액(HL)과 처리대상물을 교반 및 혼합함으로써 가수분해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처리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절감되는 처리시간은 기존 교반장치를 도입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대략 30%정도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폐열의 온도는 대략 280℃ 이상의 고온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고온의 폐열이 공급되어 생성되는 버블(B) 역시 이에 상응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조(20) 내부에서 생성되는 버블(B)은 교반작용 이외에도 고열에 의한 멸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이는 가수분해작용을 통한 멸균효과에 더한 것으로 멸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블생성부(50)는 각 분지관이 버블생성관(51)을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폐열이 공급될 수 있도록 레귤레이터가 장착되거나, 또는 밸브를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폐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사가축처리장치는 폐열회수부(40)와 버블생성부(50)에 의하여 버려지는 배출가스를 재활용하고, 이러한 폐열을 버블(B)생성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촉진을 통해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을 열을 가수분해액(HL) 중으로 분사함으로써 멸균효과 또한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기존의 교반장치와 달리 폐열회수부(40)나 버블생성부(5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처리장치에서 데드존을 없애고, 이를 통해 콤팩트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토사(E)에 매몰된 폐사체를 처리하기 위해 처리대상물에 토사(E)가 포함되는 경우 기존 교반장치의 경우 처리조(20) 내부에 침전된 토사(E)에 의하여 교반축이나 교반날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교반이 어려운 문제와, 이에 의한 교반장치 파손될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즉 고압으로 분사되어 생성된 버블(B)은 침전된 토사(E)에도 파고들어 토사(E)를 부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수분해액(HL)과 토사(E)가 효과적으로 교반되고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교반장치를 도입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사가축처리장치에는 가수분해에 의하여 처리된 잔재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닛(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유닛(60)은 베이스프레임(10)과 처리조(20)를 연결하고, 처리조(20)를 일측방향으로 선회시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61)와, 처리조(20)를 덮는 커버(29)를 선회시켜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닛(60)의 틸팅부(61)는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20)의 하부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브래킷(61a)과,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실린더(61b)와, 처리조(20)의 하부 타측부에 제1 실린더(61b)의 피스톤로드가 힌지 겹합되는 제2 힌지브래킷(6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틸팅부(61)는 제1 실린더(61b)의 피스톤로드가 인출되면서 처리조(20)를 제1 힌지브래킷(61a)을 회전 중심으로 일측방향, 즉 도 4의 도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90정도 선회시켜 처리조(20)를 기울일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출유닛(60)의 개폐부(63)에 의하여 커버(29)를 개방하게 된다.
이를 위한 배출유닛(60)의 개폐부(6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9)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브래킷(63a)과, 처리조(20)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힌지브래킷(63b)과, 제3 힌지브래킷(63b)과 힌지 결합되는 제2 실린더(63c)와, 연결브래킷(63a)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실린더(63c)의 피스톤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제4 힌지브래킷(6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의 (c) 상태, 즉 처리조(20)가 틸팅부(61)에 의하여 선회된 상태에서 제2 실린더(63c)의 피스톤로드가 인입되면서 연결부재의 타측 단부, 즉 제4 힌지브래킷(63d)은 당겨지고, 이때 도 5의 도시와 같이 커버(29)와 처리조(20)의 타측부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29a)를 회전 중심으로 커버(29)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유닛(60)의 틸팅부(61)에 의하여 처리조(20)가 선회하여 기울여지고, 개폐부(63)에 의하여 커버(29)가 개방되면 처리조(20) 내부의 잔재물을 배출하여 수거하는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처리조(20)가 지면으로 기울어져 개방되면 지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완전히 개방되어 있어 처리조(20) 내부의 잔재물이나 고착된 이물질 등을 청소 및 세척 등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처리조(20)를 선회시켜 지면으로 기울일 수 있는 경우에는 처리조(20)의 세척과 같은 유지보수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처리장치에 올라가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고, 세척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 세척수의 배출 등을 위한 배출구와 같은 별도의 시설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유닛(60)은 기존의 처리조(20)와 달리 처리조(20)를 지면으로 기울여 잔재물을 배출시키고, 세척 등의 유지보수작업을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유닛(60)을 작동시켜 잔재물의 배출과 유지보수작업이 종료되면 역으로 틸팅부(61)와 개폐부(63)를 작동시켜 처리조(20)의 커버(29)를 닫고, 처리조(20)를 역방향으로 선회시켜 원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HL : 가수분해액
E : 토사
B : 버블
10 : 베이스프레임
20 : 처리조
21 : 수용공간 23 : 바스켓
25 : 결합부 27 : 분할판
29 : 커버 29a : 힌지결합부
30 : 가열유닛
31 : 가열부
40 : 폐열회수부
41 : 흡입관 43 : 썩션펌프
50 : 버블생성부
51 : 버블생성관 53 : 분사공
55 : 공급관
60 : 배출유닛
61 : 틸팅부 61a : 제1 힌지브래킷
61b : 제1 실린더 61c : 제2 힌지브래킷
63 : 개폐부 63a : 연결브래킷
63b : 제3 힌지브래킷 63c : 제2 실린더
63d : 제4 힌지브래킷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21)에 처리대상물과 가수분해액(HL)이 충진되는 처리조(20);
    상기 처리조(20)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30);
    상기 가열유닛(30)에 의한 가수분해액(HL) 및 처리대상물의 가열 시, 발생되는 처리조(20) 내부의 배출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폐열회수부(40); 및
    상기 폐열회수부(40)로부터 회수된 폐열을 상기 처리조(20) 내부로 분사하여 버블(B)을 생성하기 위한 버블생성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블생성부(50)에 의하여 생성된 버블(B)은 상기 가수분해액(HL) 및 처리대상물의 교반작용을 통해 가수분해를 촉진시키고,
    상기 버블생성부(50)는 상기 처리조(20)의 저면부 또는 상기 처리조(20)의 측면부, 또는 상기 처리조(20)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분사공(53)이 형성되어 상기 폐열회수부(40)와 연결된 공급관(55)을 통해 폐열을 공급받는 버블생성관(51)으로 구성되되,
    상기 버블생성관(51)은 소정 압력 및 소정 온도의 핫에어를 상기 분사공(53)을 통하여 상기 처리조(20) 내부로 분출하며,
    상기 폐열회수부(40)는 상기 처리조(20) 상부에 배치되는 흡입관(41)과, 상기 흡입관(41)으로부터 처리조(20) 내의 폐열을 흡입하고, 상기 공급관(55)과 연결되는 썩션펌프(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가축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대상물은 동물 폐사 및 매몰지의 토사(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가축처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처리조(20)를 연결하고, 상기 처리조(20)를 일측방향으로 선회시켜 기울이기 위한 틸팅부(61)와,
    상기 처리조(20)를 덮는 커버(29)를 선회시켜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63)로 구성되는 배출유닛(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가축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60)의 틸팅부(6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20)의 하부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브래킷(61a)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실린더(61b)와,
    상기 처리조(20)의 하부 타측부에 상기 제1 실린더(61b)의 피스톤로드가 힌지 겹합되는 제2 힌지브래킷(6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가축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60)의 개폐부(63)는
    상기 커버(29)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브래킷(63a)과,
    상기 처리조(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힌지브래킷(63b)과,
    상기 제3 힌지브래킷(63b)과 힌지 결합되는 제2 실린더(63c)와,
    상기 연결브래킷(63a)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실린더(63c)의 피스톤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제4 힌지브래킷(63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가축처리장치.
KR1020210126693A 2021-09-24 2021-09-24 폐사가축처리장치 KR102587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693A KR102587021B1 (ko) 2021-09-24 2021-09-24 폐사가축처리장치
PCT/KR2021/013550 WO2023048322A1 (ko) 2021-09-24 2021-10-04 폐사가축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693A KR102587021B1 (ko) 2021-09-24 2021-09-24 폐사가축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604A KR20230043604A (ko) 2023-03-31
KR102587021B1 true KR102587021B1 (ko) 2023-10-11

Family

ID=8571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693A KR102587021B1 (ko) 2021-09-24 2021-09-24 폐사가축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7021B1 (ko)
WO (1) WO202304832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270B1 (ko) * 1997-11-07 2000-08-01 백운학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1741005B1 (ko) * 2015-06-10 2017-05-29 대한민국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18A (ja) * 1996-07-27 1998-02-10 Shinyou Sangyo Kk 廃棄物処理装置
KR101088095B1 (ko) * 2011-04-18 2011-11-29 주식회사 에코그린텍 유기물의 분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유기물의 분해 방법
JP6385912B2 (ja) * 2015-11-19 2018-09-05 有限会社野中ファーム 加水分解処理システム
KR20170088176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열가수분해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혐기소화 시스템
KR101761845B1 (ko) * 2016-03-07 2017-08-04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101765698B1 (ko) 2016-03-07 2017-08-2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101890385B1 (ko) * 2016-11-22 2018-08-21 현대건설 주식회사 유기성 슬러지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270B1 (ko) * 1997-11-07 2000-08-01 백운학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1741005B1 (ko) * 2015-06-10 2017-05-29 대한민국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8322A1 (ko) 2023-03-30
KR20230043604A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856B1 (ko) 가축사체, 음식물쓰레기 기타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처리를 위한 이동식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0844291B1 (ko) 감염 동물의 자동처리장치
MXPA03006946A (es) Aparato para tratar residuos, particularmente residuos medicos, para facilitar su eliminacion.
KR20120046076A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104182B1 (ko) 폐사 가축의 친환경 처리 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ES2303752A1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residuos.
KR102587021B1 (ko) 폐사가축처리장치
CN108435788A (zh) 一种污染土壤的修复治理装置
KR200470568Y1 (ko)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210621657U (zh) 一种海洋垃圾收集处理装置
KR102162875B1 (ko) 유닛화된 동물사체 처리장치
CN104557157B (zh) 一种病死动物尸体无害化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212681999U (zh) 垃圾处理站
KR101741005B1 (ko)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PT846016E (pt) Processo e instalacao para o tratamento de lixos contendo amianto
KR101870175B1 (ko) 이동식 가축의 살처분 장비
CN216262694U (zh) 一种防治农药残留的土地修复装置
KR101023011B1 (ko) 가축 살처분 장치
KR102138424B1 (ko)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동물의 렌더링 시스템
KR102302186B1 (ko) 의료폐기물을 수열탄화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1913064B1 (ko) 폐 가금류 소각 처리장치
CN111659695B (zh) 垃圾处理站及湿垃圾处理方法
KR101124743B1 (ko)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