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845B1 -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845B1
KR101761845B1 KR1020160027254A KR20160027254A KR101761845B1 KR 101761845 B1 KR101761845 B1 KR 101761845B1 KR 1020160027254 A KR1020160027254 A KR 1020160027254A KR 20160027254 A KR20160027254 A KR 20160027254A KR 101761845 B1 KR101761845 B1 KR 10176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hydrolysis liquid
combustion chamber
animal
hyd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일
이가형
이영석
김용진
김종우
이상돈
박주왕
이소라
이승일
박길호
권오철
권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16002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01F15/00
    • B01F7/2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3/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3C3/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hamber having an elongated tubular form, e.g. for a radiant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3/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3C3/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hamber being arranged for submerged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03009Elongated tube-shaped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처리 대상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처리 대상물을 가수분해 가능한 가수분해액이 충전되며 처리 대상물이 가수분해액에 잠기도록 수용되는 분해 공간을 포함하는 분해조; 가수분해액을 교반하는 교반 유닛; 및 가수분해액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는 연소 유닛을 포함하며; 연소 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가수분해액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연소실; 및 연소실에 장착되어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연료를 연소실에서 점화 및 연소시키는 버너;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수분해액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서 버너를 사용하므로, 열원의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animal corpse and animal by-products}
본 발명은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처리 대상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축산 농가는 각종 질병이나 전염병 등에 감염되어 폐사되는 가축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받고 있다. 이러한 폐사된 가축으로 인한 피해는, 가축의 폐사로 인한 1차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병원균이 내포된 폐사 가축을 처리함으로 인한 2차적인 피해를 유발함으로써 축산 농가에 이중고를 겪게 하고 있다.
종래에는 폐사 사축을 처리하기 위한 장비가 제시되지 않아 폐사 가축을 땅속에 매장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처리 방법이 없었다. 이로 인해, 폐사 가축의 매장 후에도 폐사 가축에 내포된 병원균이 인근에 위치한 가축이나 사람에게 전염되거나 폐사 가축으로부터 발생한 침출수가 지하수를 오염시켜 인근의 농가에서 지하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폐사 가축 처리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폐사 가축 처리 장비들 중 폐사 가축을 가수분해하는 가수분해 처리 장치의 효용 가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수분해 처리 장치에 의해 액화된 폐사 가축과 잔재물을 퇴비 등으로 재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폐사 가축과 잔재물을 가수분해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된 가수분해액을 이용해 폐사 가축과 잔재물을 가수분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가수분해 처리 장치는, 가수분해액을 가열할 수 있도록 보일러 또는 전기 히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보일러와 전기 히터는 많은 제작 비용을 소요되므로, 종래의 가수분해 처리 장치는 보일러와 전기 히터로 인해 많은 제작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수분해액을 이용해 폐사 가축과 잔재물을 가수분해할 때에는, 폐사 가축과 잔재물에 포함된 유지 성분이 가수분해액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되는 비누화 반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비누화 반응이 일어나면, 지방산으로 인해 가수분해액에 포함된 기포가 가수분해액에 포획되어 거품이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수분해 처리 장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거품으로 인해 가수분해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수분해액을 이용해 폐사 가축과 잔재물을 가수분해하더라도 뼈 기타 일부 조직은 액화되지 않은 채 고체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종래의 가수분해 장치는, 고체 상태로 남은 뼈 기타 일부 조직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가수분해액, 액화된 폐사 가축과 잔재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이 고체 상태로 남은 뼈 기타 일부 조직에 의해 폐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수분해액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의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이 가수분해될 때 발생된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중 가수분해되지 않은 채 고체 상태로 남은 뼈 기타 일부 조직에 의해 가수분해액의 배출구가 폐색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한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처리 대상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물을 가수분해 가능한 가수분해액이 충전되며, 처리 대상물의 가수분해가 진행되는 분해 공간을 포함하는 분해조; 가수분해액을 교반하는 교반 유닛; 및 가수분해액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는 연소 유닛을 포함하며; 연소 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가수분해액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연소실; 및 연소실에 장착되어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연료를 연소실에서 점화 및 연소시키는 버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연소실은,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발생한 화염의 진행을 가로막도록 연소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염의 진행 속도를 조절 가능한 화염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화염 조절 부재는, 연소실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갖고 화염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천공된 화염 안내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화염 조절 부재는, 버너에서 가까운 일측 단부에서 버너에서 먼 타측 단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갖고, 화염 안내구는, 화염 조절 부재의 타측 단부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화염 조절 부재는,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화염 조절 부재들은, 화염 안내구들이 서로 엇갈리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연소실은,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화염이 발생되는 화염 발생실과, 화염 중 일부가 각각 유입되도록 화염 발생실과 각각 연결되며, 가수분해액에 잠기도록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열교환관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교반 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구동 모터와 축 결합되는 샤프트; 및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샤프트와 축 결합되며, 가수분해액을 교반하는 교반 스크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샤프트는, 가수분해액에 잠기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1 구간과, 가수분해액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2 구간을 갖고, 교반 스크류는, 제2 구간과 축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제1 구간은 분해조의 벽면을 관통하여 분해조의 외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구동 모터는 제1 구간과 축 결합되도록 분해조의 외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교반 유닛은, 가수분해액이 가수분해액에 포함된 기포에 포획되어 형성되며 가수분해액의 수면을 부유하는 거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소포기를 더 포함하며, 소포기는, 가수분해액의 수면과 대면하게 마련되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제1 구간과 축 결합되고, 거품을 가수분해액의 수면으로부터 흡입하여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토출하는 흡입 임펠러; 및 흡입 임펠러에서 토출된 거품과 충돌되도록 흡입 임펠러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소포 케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소포 케이스는, 거품이 충돌에 의해 파괴되어 기포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액을 배출하는 회수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분해조는, 가수분해액 및 가수분해액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액화된 처리 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샤프트는 배출구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교반 유닛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샤프트와 축 결합되며, 처리 대상물 중 가수분해되지 못한 채 배출구를 통과하는 잔여물을 분쇄하는 분쇄 스크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가수분해액은, 적어도 알카리 성분과 물이 첨가된 혼합액이다.
바람직하게, 알카리 성분은, 수산화 칼륨(KOH) 및 수산화 나트륨(Na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분해조는, 처리 대상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분해 공간에 설치되는 바스켓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가수분해액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서 버너를 사용하므로, 열원의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연소실을 통과하는 화염을 진행 속도를 조절해 가수분해액의 가열에 사용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열을 감소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가수분해액과 열교환 가능한 연소실의 전열 면적을 증가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처리 대상물 중 가수분해되지 못한 잔여물을 잘게 분쇄한 후 배출 가능하여, 잔여물에 의해 배출구가 폐색되거나 외부의 배출액 처리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내부에서 생성되는 악취는 높은 배출열을 이용하여 연소실의 연도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교반 유닛의 부분 절단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반 유닛의 Ⅲ-Ⅲ’선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소포기에 의해 거품이 제거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Ⅱ-Ⅱ’선 단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연소실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연소실의 Ⅳ-Ⅳ’선 단면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폐열 환수실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폐열 환수실의 Ⅴ-Ⅴ’선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스 조절 부재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연소실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연소실의 Ⅵ-Ⅵ’선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1)(이하, ‘처리 장치(1)’라고 함)는, 가수분해액(H)에 의한 처리 대상물의 가수분해가 진행되는 분해조(10); 가수분해액(H)을 교반하는 교반 유닛(20); 가수분해액(H)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는 연소 유닛(30);을 포함한다.
처리 대상물이란, 처리 장치(1)를 이용해 가수분해 처리하기 위한 동물의 사체 및 동물로부터 파생된 동물성 잔재물을 말한다. 처리 장치(1)를 이용해 가수분해 처리 가능한 동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야생 동물, 애완 동물, 가축 등 다양한 동물의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을 처리 장치(1)를 이용해 가수분해할 수 있다.
먼저, 분해조(10)는, 처리 대상물의 가수분해를 진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분해조(10)는, 처리 대상물을 가수분해 가능한 가수분해액(H)이 충전되며, 처리 대상물의 가수분해가 진행되는 분해 공간(111)과, 분해 공간(111)에 가수분해액(H)을 충전하는 공급관(12, 13)과, 분해 공간(1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 및 가수분해되어 액화된 처리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관(14)과, 적어도 일부분이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분해 공간(111)에 설치되며, 처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바스켓(15)과, 분해 공간(111)의 개구부(11a)를 개폐 가능한 개폐 도어(16)와, 개폐 도어(16)를 구동하는 도어 구동부(17)를 포함한다.
분해 공간(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조(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11a)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분해 공간(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대상물의 가수분해액(H)에 활용되지 못하는 데이 스페이스(dead space)를 줄일 수 있도록 모서리부(11b)가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급관(12, 13)은, 일단이 외부의 가수분해액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고 또한 타단이 분해 공간(111)과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가수분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수분해액(H)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수분해액(H)은, 수산화 칼륨(KOH) 및 수산화 나트륨(Na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알카리 성분과 물이 첨가된 혼합액일 수 있다.
공급관(12, 13)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해조(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공급관(12)과, 분해조(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공급관(13) 등 한 쌍의 공급관(12, 13)들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공급관(12)과 제2 공급관(13)은 각각, 분해 공간(11)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공급관(12)과 제2 공급관(13)에는 각각, 제1 공급관(12)과 제2 공급관(13)을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12a, 13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급관(12)과 제2 공급관(13)은 각각, 외부의 가수분해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가수분해액(H)을 분해 공간(11)에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분해 공간(11)에는, 가수분해액(H)을 미리 정해진 수위만큼 충전할 수 있도록 가수분해액(H)의 수위의 측정 가능한 수위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관(14)은, 일단이 분해 공간(11)과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의 배출액 처리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배출관(14)은 분해 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배출관(14)에는, 배출관(14)을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14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14)은, 분해 공간(11)에서 배출된 가수분해액(H) 및 가수분해되어 액화된 처리 대상물을 외부의 배출액 처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배출액 처리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출액 처리 장치는, 액화된 처리 대상물을 이용해 퇴비를 제조 가능한 퇴비 제조 장치일 수 있다.
바스켓(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분해 공간(11)에 설치된다. 바스켓(15)의 벽면은, 가수분해액(H) 및 액화된 처리 대상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격자 구조를 갖는다. 바스켓(15)의 상부는, 처리 대상물을 바스켓(15)에 투입하거나 바스켓(15)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러한 바스켓(15)이 마련됨에 따라, 처리 대상물은 이러한 바스켓(15)에 수용된 상태로 가수분해액(H)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액화될 수 있다.
개폐 도어(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a)의 둘레부에 힌지 결합되며, 분해 공간(11)의 개구부(11a)의 어느 일부분을 개폐 가능한 제1 개폐 도어(16a)와, 제1 개폐 도어(16a)에 힌지 결합되며, 개구부(11a)의 나머지 일부분을 개폐 가능한 제2 개폐 도어(16b)를 포함한다. 즉, 개폐 도어(16)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다.
도어 구동부(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17a)와, 제1 개폐 도어(16a) 및 제2 개폐 도어(16b)를 각각 실린더부(17a)와 접속하는 접속부(17b)를 포함한다. 실린더부(17a)는, 에어 실리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어 구동부(17)는, 제1 개폐 도어(16a)와 제2 개폐 도어(16b)를 이용해 분해 공간(11)의 개구부(11a)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개폐 도어(16a)와 제2 개폐 도어(16b)를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교반 유닛의 부분 절단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반 유닛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소포기에 의해 거품이 제거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교반 유닛(20)은,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을 교반하기 위한 장치이다.
교반 유닛(2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교반 유닛(20)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1)와, 구동 모터(21)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미리 정해진 비율로 조절하는 감속기(22)와, 구동 모터(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감속기(22)와 축 결합되는 샤프트(23)와, 구동 모터(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샤프트(23)와 축 결합되며,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을 교반하는 교반 스크류(24)를 포함한다.
교반 유닛(20)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장치(1)는 한 쌍의 교반 유닛(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유닛(20)들 중 어느 하나는 분해 공간(11)의 어느 한쪽 모서리부(11b)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교반 유닛(20)들 중 나머지 하나는 분해 공간(11)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상기 어느 하나의 교반 유닛(20)과 마주보도록 분해 공간(11)의 다른 한쪽 모서리부(11b)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교반 유닛(20)들을 분해 공간(11)을 대각적으로 가로질러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유닛(20)들을 이용해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에 와류(V)를 형성함으로써 가수분해액(H)을 더욱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구동 모터(21)는, 분해조(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속기(22)는, 분해조(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속기(22)는, 구동 모터(21)와 축 결합되는 입력축(미도시)과, 샤프트(23)와 축 결합되는 출력축(미도시)과, 출력축의 회전 속도가 입력축의 회전 속도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감속되도록 입력축과 출력축을 연결하는 다수의 기어들을 포함한다. 감속기(22)는, 샤프트(23)의 회전 속도를 전술한 비율만큼 감속시킴과 동시에, 샤프트(23)에 전달되는 구동력 즉, 토크를 전술한 비율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감속기(22)는 처리 장치(1)에 있어서 필수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이러한 감속기(22)를 생략하고, 구동 모터(21)와 샤프트(23)를 직접 축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샤프트(23)는, 구동 모터(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감속기(22)의 출력축과 축 결합된다. 이러한 샤프트(23)는 어느 일부분만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가수분해액(H)에 잠기지 않도록 배치되는 샤프트(23)의 어느 일 구간을 제1 구간(23a)이라고 명명하고,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샤프트(23)의 나머지 일 구간을 제2 구간(23b)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제1 구간(23a)은 분해조(10)의 벽면을 관통해 분해조(10)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감속기의 출력축과 축 결합된다. 제2 구간(23b)은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의 미리 정해진 깊이까지 연장되며, 분해 공간(11)의 내측면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샤프트(23)는, 교반 스크류(24)를 감속기(22)에 의해 조절된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하고, 감속기(22)에 의해 조절된 구동력을 교반 스크류(24)에 전달한다.
교반 스크류(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샤프트(23)의 제2 구간(23b)과 축 결합된다. 교반 스크류(24)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교반 스크류(24)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 스크류(24)는, 샤프트(23)를 따라 회전 구동되어,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을 교반할 수 있다. 그러면, 가수분해액(H)의 유동이 증가되어, 처리 대상물의 가수분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처리대상물이 가수분해될 때에는 가수분해액(H)에 포함된 기포에 가수분해액(H)이 포획되어 거품(F)이 발생될 수 있다. 거품(F)은, 가수분해액(H)에 비해 낮은 비중을 가지므로, 가수분해액(H)의 수면까지 부상되어 가수분해액(H)의 수면을 부유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거품(F)의 양이 증가하면 처리 대상물의 가수분해 효율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반 유닛(20)은, 가수분해액(H)의 수면을 부유하는 거품(F)을 흡입하여 제거 가능한 소포기(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포기(25)는, 가수분해액(H)의 수면과 대면하게 마련되며, 구동 모터(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샤프트(23)와 축 결합되고, 거품(F)을 가수분해액(H)의 수면으로부터 흡입하여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토출하는 흡입 임펠러(27)와, 흡입 임펠러(27)에서 토출된 거품(F)과 충돌되도록 흡입 임펠러(27)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소포 케이스(28)를 포함한다.
흡입 임펠러(27)는, 거품(F)을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 가능한 원심형 임펠러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흡입 임펠러(2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F)과 축 방향으로 대면하도록 샤프트(23)의 제1 구간(23a)에 축 결합된다.
소포 케이스(28)는, 흡입 임펠러(27)에서 토출된 거품(F)을 후술할 회수 플레이트(28e)로 안내하는 제1 안내 플레이트(28a) 및 제2 안내 플레이트(28b)와, 소포 케이스(28)를 분해 공간(11)의 내측면에 고정하는 고정 플레이트(28c)와, 안내 플레이트(28a, 28b)들과 고정 플레이트(28c)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28d)를 포함한다.
제1 안내 플레이트(28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임펠러(27)의 하부를 둘러싸게 마련된다. 제1 안내 플레이트(28a)는 흡입 임펠러(27)와 거품(F)이 대면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개방 형성된 흡입구(28f)를 포함하며, 샤프트(23)는 이러한 흡입구(28f)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임펠러(27)의 흡입력은 흡입구(28f)를 통해 거품(F)에 전달되며, 흡입 임펠러(27)에 의해 흡입된 거품(F)은 흡입구(28f)를 통해 흡입 임펠러(27)로 유입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28f)를 제외한 흡입 임펠러(27)의 하부는 제1 안내 플레이트(28a)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므로, 제1 안내 플레이트(28a)는 흡입 임펠러(27)에서 토출된 거품(F)을 흡입 임펠러(27)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안내 플레이트(28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임펠러(27)의 상부를 둘러싸게 마련된다. 제2 안내 플레이트(28b)는 샤프트(23)가 관통하도록 중심부에 개방 형성된 중공을 포함한다. 제2 안내 플레이트(28b)의 중공은, 거품(F)이 이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제1 안내 플레이트(28a)의 흡입구(28f)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 안내 플레이트(28b)는, 흡입 임펠러(27)에서 토출된 거품(F)을 흡입 임펠러(27)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8c)는, 제2 안내 플레이트(28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28c)는, 분해 공간(1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28g)과, 샤프트(23)가 관통하도록 중심부에 개방 형성된 중공을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28c)의 중공은, 거품(F)이 이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제1 안내 플레이트(28a)의 흡입구(28f)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28c)는, 분해 공간(1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소포기(25)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체결 부재(28d)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플레이트(28a, 28b)들과 고정 플레이트(28c)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체결한다. 체결 부재(28d)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8d)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회수 플레이트(28e)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을 갖고, 흡입 임펠러(27)에서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 거품(F)과 충돌되도록 흡입 임펠러(27)의 외주부를 둘러싸게 설치된다. 회수 플레이트(28e)는, 제2 안내 플레이트(28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회수 플레이트(28e)의 하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 구조를 갖고, 제1 안내 플레이트(28a)와 미리 정해진 간격(28h)만큼 이격된다. 이러한 회수 플레이트(28e)가 마련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임펠러(27)에서 반경 반향으로 토출된 거품(F)은 회수 플레이트(28e)의 내측면에 충돌되어 파쇄된다. 또한, 거품(F)이 파쇄되어 기포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액(H)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플레이트(28e)와 제1 안내 플레이트(28a) 사이에 형성된 간격(28h)을 통해 배출되어,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과 다시 합류하게 된다. 따라서, 회수 플레이트(28e)와 제1 안내 플레이트(28a) 사이의 간격(28h)은, 거품(F)으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액(H)을 다시 회수하여 사용하기 위한 회수구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처럼 교반 유닛(20)은, 가수분해액(H)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 스크류(24)와, 가수분해액(H)으로부터 거품(F)을 제거하기 위한 소포기(25)를 단일의 구동 모터(21)를 이용해 구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교반 유닛(20)은, 교반 스크류(24)와 소포기(25)를 각각 별도의 구동 모터(21)를 이용해 구동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 비용 및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연소실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연소실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폐열 환수실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폐열 환수실의 Ⅴ-Ⅴ’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스 조절 부재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연소 유닛(30)은,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을 가열하기 위한 부재이다.
연소 유닛(30)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연소실(32)과, 연소실(32)에 장착되어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연료를 연소실(32)의 내부에서 점화 및 연소시키는 버너(34)와,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 가스로부터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실(36)과, 폐열 회수실(36)을 통과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38)을 포함한다.
연소실(3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개방 형성되며, 버너(34)가 장착되는 유입구(32a)와,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발생한 화염(B)의 진행 속도를 조절 가능한 화염 조절 부재(32b, 32c)와, 타측 단부에 개방 형성되며, 폐열 회수실(36)이 장착되는 배출구(32d)를 포함한다.
연소실(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2a)가 마련된 일측 단부는 분해조(10)의 벽면을 관통해 분해조(10)의 외부까지 연장되고 일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분해 공간(11)의 내부에 설치된다. 특히, 연소실(32)은, 분해 공간(11)의 바닥면 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소실(3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소실(32)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수분해액(H)과 열교환 가능한 전열면적이 확대되도록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소실(32)은, 이를 통과하는 화염(B)에 의해 가열되며,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과 열교환된다. 따라서,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은 연소실(32)로부터 전달받은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분해 공간(11)에는, 가수분해액(H)을 미리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도록 가수분해액(H)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온도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너는 보일러나 전기 히터에 비해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버너는, 화염의 진행 속도가 빨라 화염의 열을 가두어두기가 어려우므로, 가열 대상물의 가열에 실직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열이 많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종래의 가수분해 장치는, 가수분해액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서 보일러나 전기 히터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연소실(32)은, 이러한 버너(34)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버너(34)에 의해 발생된 화염(B)의 진행 속도를 조절 가능한 화염 조절 부재(32b, 32c)를 포함한다.
화염 조절 부재(32b, 32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B)의 진행을 가로막도록 연소실(32)의 내부에 설치되며, 버너(34)와 가까운 일측 단부에서 버너(34)와 먼 타측 단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깔대기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화염 조절 부재(32b, 32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32)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갖고 화염(B)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타측 단부에 천공된 화염 안내구(32e, 32f)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염 조절 부재(32b, 32c)는, 연소실(32)을 진행하는 화염(B)을 가로막아 화염(B)의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고, 화염(B)이 화염 안내구(32e, 32f)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화염(B)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 조절 부재(32b, 32c)는, 가수분해액(H)의 가열에 사용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열을 감소시켜, 처리 장치(1)의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염 조절 부재(32b, 32c)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화염 조절 부재(32b, 32c)들이 유입구(32a)와 배출구(32d)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화염 조절 부재(32b, 32c)들이 설치되는 경우에, 화염 조절 부재(32b, 32c)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 안내구(32e, 32f)들이 서로 엇갈리게 마련된다. 화염 안내구(32e, 32f)들이 서로 엇갈리게 마련되는 양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염 안내구(32e, 32f)들은 화염(B)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진행하거나 지그 재그로 이동하면서 진행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화염(B)의 진행 속도를 더욱 감소시켜, 처리 장치(1)의 열 효율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버너(3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32)의 유입구(32a)에 장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버너(34)는, 미리 정해진 연료를 유입구(32a)를 통해 연소실(32)의 내부에 분출하고, 연소실(32)의 내부에 분출된 연료를 점화 및 연소시킨다. 연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또는 오일이 연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폐열 회수실(36)은, 연소실(32)의 배출구(32d)와 연통되며, 연소실(32)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36a)와, 폐열 회수실(36)을 통과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36b, 36c)와, 폐열 회수실(36)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진행 속도를 조절 가능한 가스 조절 부재(36d)를 포함한다. 폐열 회수실(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폐열 회수실(36)은, 이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되며,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과 열교환된다. 따라서, 분해 공간(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은 연소실(32)뿐만 아니라 이러한 폐열 회수실(36)에 의해서도 가열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폐열 회수실(36)을 통해 배기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여 처리 장치(1)의 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유입구(36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열 회수실(36)의 정면에 형성되며, 연소실(32)의 배출구(32d)와 연결된다. 따라서, 연소실(32)의 배출구(32d)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는 유입구(36a)로 유입된다.
배출구(36b, 36c)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열 회수실(36)의 상면에 형성되며, 배기관(38)과 연결되어 폐열 회수실(36)을 통과한 배기 가스를 배기관(38)에 전달할 수 있다. 배출구(36b, 36c)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출구(36b, 36c)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배기관(38)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조절 부재(36d)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열 회수실(36)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진행을 가로막도록 폐열 회수실(36)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스 조절 부재(36d)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열 회수실(36)을 통과하는 배스 가스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가스 안내구(36e)들을 포함한다. 그러면, 폐열 회수실(36)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는, 가스 조절 부재(36d)의 가스 안내구(36e)들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이러한 가스 가스 조절 부재(36d)에 의해 진행 속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가스 조절 부재(36d)는, 가수분해액(H)에 전달되지 못한 채 소실되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감소시켜, 처리 장치(1)의 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배기관(3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출구(36b, 36c)와 연통되며, 분해조(10)의 벽면을 관통하여 외부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배기관(38)은 폐열 회수실(36)을 통과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처리 장치의 평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연소실의 정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연소실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2)는(이하, ‘처리 장치(2)’라고 함)은 전술한 처리 장치(1)와 비교하여, 교반 유닛(120)과 연소 유닛(130)에 있어서 주요한 구성의 차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처리 장치(1)와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만 언급하거나 설명을 생략하고, 전술한 구성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처리 장치(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교반 유닛(120)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121)와, 구동 모터(121)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미리 정해진 비율로 조절하는 감속기(123)와, 구동 모터(1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감속기(123)와 축 결합되는 샤프트(125)와, 구동 모터(1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샤프트(125)와 축 결합되며, 분해 공간(1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을 교반하는 교반 스크류(127)와, 구동 모터(1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샤프트(125)와 축 결합되며, 가수분해액(H)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못한 채 고체로 남은 뼈 기타 일부 조직을 분쇄하는 분쇄기(12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교반 유닛(120)은, 분쇄기(129)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교반 유닛(20)과 주요한 차이점을 갖는다.
샤프트(12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분해조(110)의 배출구(113)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분쇄기(129)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배출구(113)에 삽입되도록 샤프트(125)의 하단과 축 결합된다. 분쇄기(129)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분쇄기(129)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쇄 스크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처리 대상물 중 뼈 기타 일부 조직(이하, ‘잔여물’이라고 함)은 그 특성상 가수분해액(H)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고 고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잔여물이 가수분해액(H) 및 액화된 처리 대상물과 함께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면, 이러한 잔여물에 의해 배출구(113)가 폐색되거나 배출관(115)을 통해 잔여물을 전달받은 외부의 배출액 처리 장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배출구(113)에는 교반 유닛(120)의 분쇄기(129)가 배치되므로, 배출구(113)를 통과하는 잔여물은 분쇄기(129)에 의해 잘게 분쇄된다. 따라서, 잔여물은 잘게 분쇄된 상태로 배출구(113)에서 배출되므로, 잔여물에 의해 배출구(113)가 폐색되거나 배출액 처리 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소 유닛(1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분해 공간(1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연소실(132)과, 연소실(132)에 장착되어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연료를 연소실(132)의 내부에서 점화 및 연소시키는 버너(134)와,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136)을 포함한다. 연소 유닛(130)은, 연소실(132)의 구조가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전술한 연소 유닛(30)과 주요한 차이점을 갖는다.
연소실(132)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개방 형성되며, 버너(134)가 장착되는 유입구(132a)와,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화염(B)이 발생되는 화염 발생실(132b)과, 화염(B)이 각각 유입되도록 화염 발생실(132b)과 각각 연결되며, 분해 공간(1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에 잠기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열교환관(132c)들과, 타측 단부에 개방 형성되며, 배기관(136)이 장착되는 배출구(132d)를 포함한다.
화염 발생실(132b)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34)가 장착된 유입구(132a)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화염 발생실(132b)의 내부에서는, 버너(134)에서 분출된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화염(B)이 발생한다.
열교환관(132c)들은 각각,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는 화염 발생실(132b)과 연결되고 또한 타측 단부는 배출구(132d)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관(132c)들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열교환관(132c)들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가 용이하도록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관(132c)들에는 각각,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 발생실(132b)에서 발생한 화염(B) 중 일부가 유입된다. 이러한 열교환관(132c)들은, 분해 공간(111)에 충전된 가수분해액(H)과 열교환 가능한 연소실(132)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관(132c)들은, 가수분해액(H)의 가열에 사용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열을 감소시켜, 처리 장치(2)의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10 : 분해조
11 : 분해 공간
12, 13 : 공급관
14 : 배출관
15 : 바스켓
16 : 개폐 도어
17 : 도어 구동부
20 : 교반 유닛
21 : 구동 모터
22 : 감속기
23 : 샤프트
24 : 교반 스크류
25 : 소포기
26 : 지지 브라켓
27 : 흡입 임펠러
28 : 소포 케이스
28a : 제1 안내 플레이트
28b : 제2 안내 플레이트
28c : 고정 플레이트
28d : 체결 부재
28e : 회수 플레이트
28f : 흡입구
28g : 고정 브라켓
28h : 회수구
30 : 연소 유닛
32 : 연소실
32a : 유입구
32b, 32c : 화염 조절 부재
32d : 배출구
32e, 32f : 화염 안내구
34 : 버너
36 : 폐열 회수실
38 : 배기관
2 :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110 : 분해조
111 : 분해 공간
113 : 배출구
115 : 배출관
120 : 교반 유닛
121 : 구동 모터
123 : 감속기
125 : 샤프트
127 : 분쇄기
130 : 연소 유닛
132 : 연소실
132a : 유입구
132b : 화염 발생실
132c : 열교환관
132d : 배출구
134 : 버너
136 : 배기관

Claims (14)

  1.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처리 대상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을 가수분해 가능한 가수분해액이 충전되며, 상기 처리 대상물의 가수분해가 진행되는 분해 공간을 포함하는 분해조;
    상기 가수분해액을 교반하는 교반 유닛; 및
    상기 가수분해액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는 연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 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수분해액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연소실; 및
    상기 연소실에 장착되어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연료를 상기 연소실에서 점화 및 연소시키는 버너;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실은,
    상기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발생한 화염의 진행을 가로막도록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염의 진행 속도를 조절 가능한 화염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 조절 부재는 상기 연소실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갖고 상기 화염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천공된 화염 안내구를 포함하며,
    화염 조절 부재는, 상기 버너에서 가까운 일측 단부에서 상기 버너에서 먼 타측 단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고,
    복수의 화염 조절 부재들은, 상기 복수의 화염 조절 부재들의 화염 안내구들 각각이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유닛은 연료의 점화와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로부터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폐열 회수실은,
    상기 연소실의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연소실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폐열 회수실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진행 속도를 조절 가능한 가스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조절 부재는,
    가스의 진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배기 가스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가스 안내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조절 부재는 깔대기 형상을 갖고,
    상기 화염 안내구는, 상기 화염 조절 부재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조절 부재는,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은,
    상기 연료가 점화 및 연소되어 화염이 발생되는 화염 발생실과, 상기 화염 중 일부가 각각 유입되도록 상기 화염 발생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수분해액에 잠기도록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열교환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와 축 결합되는 샤프트; 및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샤프트와 축 결합되며, 상기 가수분해액을 교반하는 교반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가수분해액에 잠기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1 구간과, 상기 가수분해액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2 구간을 갖고,
    상기 교반 스크류는, 상기 제2 구간과 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분해조의 벽면을 관통하여 상기 분해조의 외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 구간과 축 결합되도록 상기 분해조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유닛은,
    상기 가수분해액이 상기 가수분해액에 포함된 기포에 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수분해액의 수면을 부유하는 거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소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포기는,
    상기 가수분해액의 수면과 대면하게 마련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제1 구간과 축 결합되고, 상기 거품을 상기 가수분해액의 수면으로부터 흡입하여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토출하는 흡입 임펠러; 및
    상기 흡입 임펠러에서 토출된 거품과 충돌되도록 상기 흡입 임펠러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소포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 케이스는, 상기 거품이 상기 충돌에 의해 파괴되어 상기 기포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액을 배출하는 회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는, 상기 가수분해액 및 상기 가수분해액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액화된 처리 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배출구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교반 유닛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샤프트와 축 결합되며, 상기 처리 대상물 중 가수분해되지 못한 채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잔여물을 분쇄하는 분쇄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액은, 적어도 알카리 성분과 물이 첨가된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카리 성분은, 수산화 칼륨(KOH) 및 수산화 나트륨(Na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는,
    상기 처리 대상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분해 공간에 설치되는 바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1020160027254A 2016-03-07 2016-03-07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10176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254A KR101761845B1 (ko) 2016-03-07 2016-03-07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254A KR101761845B1 (ko) 2016-03-07 2016-03-07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845B1 true KR101761845B1 (ko) 2017-08-04

Family

ID=5965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254A KR101761845B1 (ko) 2016-03-07 2016-03-07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8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43B1 (ko) * 2017-11-20 2018-12-18 (주)멘토티앤씨 IoT 융합지능형 가축 살처분용 저장탱크
CN111228806A (zh) * 2020-01-08 2020-06-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操作对象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178329B1 (ko) * 2019-11-01 2020-11-13 (주)우리비앤비 도축 부산물의 처리 방법
WO2023048322A1 (ko) * 2021-09-24 2023-03-30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폐사가축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71B1 (ko) * 2013-03-29 2013-12-11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71B1 (ko) * 2013-03-29 2013-12-11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43B1 (ko) * 2017-11-20 2018-12-18 (주)멘토티앤씨 IoT 융합지능형 가축 살처분용 저장탱크
KR102178329B1 (ko) * 2019-11-01 2020-11-13 (주)우리비앤비 도축 부산물의 처리 방법
CN111228806A (zh) * 2020-01-08 2020-06-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操作对象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228806B (zh) * 2020-01-08 2022-07-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操作对象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23048322A1 (ko) * 2021-09-24 2023-03-30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폐사가축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845B1 (ko)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CN101365548B (zh) 对有机材料进行热处理的设备及所用的方法
KR20160018281A (ko) 다층 고온 열분해 소각 장치
CN203725476U (zh) 无害化处理动物尸体的设备
JP5630714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KR100701887B1 (ko)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건조장치
KR101659814B1 (ko) 디스크 건조기
CN104107827A (zh) 无害化处理动物尸体的设备及方法
CN210688289U (zh) 一种节能环保燃料炉
CN210345872U (zh) 卧式内置双燃烧室的生物质、燃汽换热锅炉
CN214700718U (zh) 一种半固态危险废物焚烧前预处理装置
CN115738971A (zh) 一种二氯异氰尿酸钠的生产系统
CN104841684A (zh) 一体化餐厨垃圾的饲料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212511194U (zh) 一种废液废气蓄热焚烧装置
KR101913064B1 (ko) 폐 가금류 소각 처리장치
KR201001168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09934531U (zh) 一种化工物料搅拌混合反应罐
KR101740719B1 (ko) 왕겨 연소로 원료 공급 장치, 이를 활용한 곡물 건조기 및 곡물 건조방법
KR102138424B1 (ko)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동물의 렌더링 시스템
KR19990046522A (ko) 유기성폐기물을원료로하는토지개량제(劑)및그제조장치
CN212805682U (zh) 催化燃烧设备
KR102355030B1 (ko) 믹싱유닛이 구비된 동물 사체 처리장치
CN213172092U (zh) 一种多功能病死动物酵解机
CN212925048U (zh) 一种超声波多功能酶解提取装置
CN216203290U (zh) 一种病毒鸡胚灭活处理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