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071B1 -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071B1
KR101340071B1 KR1020130034828A KR20130034828A KR101340071B1 KR 101340071 B1 KR101340071 B1 KR 101340071B1 KR 1020130034828 A KR1020130034828 A KR 1020130034828A KR 20130034828 A KR20130034828 A KR 20130034828A KR 101340071 B1 KR101340071 B1 KR 101340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chamber
hydrolysis
reaction
alkaline hydrolysis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가형
서태일
장윤재
배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13003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80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7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derived products of animal origin or their wastes, e.g. leather, dairy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처리 동물사체를 반응 챔버에 투입하고, 반응 챔버에 소정농도의 가수분해 알카리 용액과 물을 첨가한 반응수를 채운 다음, 밀폐하여 반응수를 가열하여 반응 챔버 내부를 가압하고, 소정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동물사체를 가수분해한다. 가수분해된 사체처리액의 압력과 온도를 낮추어 탄산가스를 주입 폭기하여 1차 중화하고, 저장조로 배수하여 구연산 중화제를 가하여 2차 중화시킨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승온 가압된 반응 챔버 내부에서 알카리 가수분해 용액을 사용하여 동물사체를 액상화시키고, 액상화된 사체처리액을 탄산가스와 구연산으로 중화시킴으로써 환경오염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소각/화장에 대해 처리시간이 1/2 이하로 크게 줄게 되어 처리 에너지가 절감된다. 그리고, 액상화된 사체 처리액은 pH 7.0 정도로 중화처리되어 고부가가치의 유기물 액상비료 등으로 활용된다.

Description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ALKALINE HYDROLYSIS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ANIMAL CARCASSES}
본 발명은 동물사체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경 친화적인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해 동물사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되거나 수명을 다하여 죽음을 맞이하는 반려동물의 사체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현행, 반려동물의 사체는 폐기물관리법 등의 법률에 의해 일반 폐기물로 분류되어,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와 같이 처리되고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사체는 쓰레기 봉투에 담아서 버려지고 있으며, 반려동물의 사체를 쓰레기 봉투에 담아 버리는 경우, 부패하여 악취발생 및 감염우려가 있어 공중 위생상 큰 문제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깊이 정이 든 주인에게는 정신적인 거부감을 주고 있다.
근래에 드물게는 반려동물을 화장 또는 소각처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전용 시설이 없어 대부분의 반려동물 주인들이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각처리하는 데에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에너지가 과다하게 소모되고, 처리과정에서 온실가스, 미세먼지(PM), 다이옥신 등의 환경오염물질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물 사체처리시에 저에너지를 사용함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으로 처리하고, 사체처리 부산물은 유효 자원화할 수 있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처리 동물사체를 반응 챔버에 투입하고, 반응 챔버에 소정 농도의 가수분해 알카리 용액과 물을 첨가하여 반응수를 만들고, 반응수의 하부에서 교반수단으로 강제 교반하는 가수분해 준비단계와, 반응 챔버를 밀폐하여 반응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상승시켜 반응 챔버 내부를 가압하고, 소정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동물사체를 가수분해하여 액상화하는 가수분해 단계와, 반응 챔버를 냉각하여 내부압력과 사체처리액 온도를 강하시킨 다음, 탄산가스를 폭기하여 알카리도를 낮추는 1차 중화단계와, 1차 중화처리한 사체처리액을 저장조로 배수하여 중화제를 가하여 중화시키는 2차 중화단계와, 1차 중화처리하여 사체처리액이 배수된 반응 챔버의 내부를 린스 및 세척하는 반응 챔버 세척단계와, 반응 챔버 세척단계 후, 반응 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회수하는 고형물 회수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알카리 가수분해 단계는, 0.5 ~ 1.2 mol 농도의 수산화 칼륨(KOH) 용액과 물을 첨가하여 반응수를 만들고,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반응수 온도를 80 ~ 200℃로 가열 승온하고 반응 챔버 내부압력을 최고 20 기압으로 상승시켜 소정시간 동안 동물사체를 가수분해하여 액상화시킨다.
준비단계에서의 교반수단은 알카리 가수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반응 챔버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에서 공기를 분출시키고, 임펠러를 강제 회전시킨다.
알카리 가수분해가 완료되어 액상화된 사체처리액은 2단계에 걸쳐 중화처리를 한다. 1차 중화단계에서는 반응 챔버의 냉각 재킷에 냉각수를 흘려서 내부압력을 1 ~ 2 기압으로 하강시키고, 환경공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체처리액에 탄산가스를 폭기하여 알카리도를 pH 9.5 ~ 10.5까지 조절한 다음, 저장조로 배수시킨다.
2차 중화단계에서는 저장조로 배수된 사체처리액을 유효자원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성에 가깝게 처리한다. 이때, 환경 공해물질 발생을 억제하고 취급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중화제는 구연산을 사용하며, 반응수의 산도를 pH 7.0 ~ 7.5 까지 조절한다.
상술한 알카리 가수분해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알카리 가수분해 장치는, 피처리 동물사체를 수용하여 반응시키는 반응 챔버와, 피처리 동물사체를 수용하는 동물사체 수용 바스켓과, 반응 챔버 내의 반응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부와. 반응 챔버 내의 반응수를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반응 챔버의 외부를 둘러싼 냉각 재킷과, 반응 챔버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 재킷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열교환하는 열교환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반응 챔버는 내부 압력과 밀폐를 고려하여 원통형으로 한쪽 단부에는 용접고정된 고정 측판과, 다른 한쪽 단부에는 플랜지부를 마련한다.
또한, 반응 챔버 내부에 동물사체가 수용된 바스켓을 용이하게 반출입시키기 위하여 플랜지부가 마련된 상기 반응 챔버의 단부에는 힌지가 부착되어 개폐가 가능한 힌지 도어를 장착시키며, 고압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힌지 도어와 플랜지부의 어느 한쪽 접촉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형성시키고, 요홈에는 O-링을 삽입시킨다.
가열부는 반응 챔버 내의 반응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와, 전원 단자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 측판에 장착하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로부터 반응 챔버의 내부로 연장되는 발열부가 어 반응수에 침적된다. 그리고 반응수 온도와 반응 챔버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반응 챔버 내의 상부공간 온도와 반응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열전대와, 상기 열전대와 상기 전원공급선에 연결되어 설정된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한다.
교반수단은 알카리 가수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 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로 연장되어 반응수에 초음파 진동에너지를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장치가 장착되지만, 동물사체 수용 바스켓 하부에 설치되며, 압축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임펠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은 외부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반응수 등을 반응 챔버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사 공급하기 위하여, 반응 챔버 내부로 연장되어 상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관은 반응수에 탄산가스나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반응 챔버의 내부 바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급기관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물사체가 수용된 바스켓을 용이하게 반응챔버에 반출입시키기 위하여 반응 챔버의 내벽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바스켓 설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ㅂ바람직하며, 바스켓 설치대는 분사되는 세척수 등이 벽체를 균일하게 흐르도록 반응 챔버와 접촉되는 쪽에 소정 간격으로 요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장치는 반응 챔버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반응수 등이 중력에 의해 배수되도록 열교환장치의 상단부는 냉각 재킷의 최저 수위보다 3 ~ 5 cm 낮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승온 가압된 반응 챔버 내부에서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하여 동물사체를 액상화시키고, 액상화된 사체처리액을 탄산가스와 구연산으로 중화시킴으로써 환경오염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소각/화장에 대해 처리시간이 1/2 이하로 줄게 되어 처리 에너지가 절감된다. 그리고, 처리부산물로 회수되는 액상화된 사체 처리액은 pH 7.0 정도로 중화처리되어 고부가가치의 유기물 액상비료 등으로 활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른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의 전체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반응 챔버와 주변장치에 연결된 유로도.
도 5는 도 2의 반응 챔버 내부 및 외부와 연결된 배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반수단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임펠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반응 챔버 내부에 장착되는 바스켓 설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알카리 가수분해 처리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처리방법의 실시공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처리공정은 준비단계(S10), 가수분해단계(S20), 1차 중화단계(S30), 2차 중화단계(S40), 반응 챔버 세척단계(S50), 고형물 회수단계(S60)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준비단계(S10)에서는 피처리 동물사체를 바스켓에 담아 반응 챔버에 투입하고, 반응 챔버에 0.5 ~ 1.2 mol 농도의 수산화 칼륨(KOH)의 알카리 용액과 물을 첨가하여 반응수를 만들고, 반응수에 바스켓이 잠기도록 한다. 바스켓 하부에서 교반수단으로 반응수를 강제 교반한다. 교반수단은 교반효과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반응수 반응 챔버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에서 공기를 분출시키면서, 임펠러를 강제 회전시킨다. 가수분해 알카리용액은 수산화 칼륨 용액대신에 수산화 나토륨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수분해단계(S20)에서는 반응 챔버를 밀폐하고 반응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다. 반응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반응 챔버 내부가 가압되고, 승온 가압된 상태에서 소정시간 동안 반응 챔버를 교반시키면서 동물사체와 반응수가 원할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가수분해를 진행시킨다.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반응수 온도는 80 ~ 180℃, 반응 챔버 내부압력은 2 ~ 10 기압이 적당하며, 최고 20기압까지 올려 가수분해 완료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동물사체는 대부분 단백질과 지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해 단백질은 아미노산염으로 분해되고, 지질은 검화 분해되어 비누화된다. 가수분해는 반응수의 알카리 농도, 온도 조건에 의해 바이러스의 단백질층과 펩타이드 결합을 파괴시키게 되어 바이러스나 병원균의 감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가수분해(S20)가 완료되면 피처리 동물사체는 대부분 액상화된다. 액상화된 사체처리액은 2차에 걸쳐 중화처리를 한다. 1차 중화단계(S30)에서는 반응 챔버 내부에서 실시하는데, 반응 챔버를 냉각하여 내부압력을 1 ~2 기압으로 낮추고, 탄산가스를 폭기하여 알카리도를 pH 9.5 ~ 10.5의 범위로 낮춘다.
2차 중화단계(S40)에서는 1차 중화처리한 사체처리액을 외부 저장조로 배수시켜 옮기고, 외부 저장조에 옮겨진 사체처리액에 중화제인 구연산을 가하여 pH 7.5 ~ 7.0 정도가 되도록 중화시킨다. 2차 중화된 사체 처리액은 용기에 포장하여 액상비료 등으로 바로 활용된다.
반응 챔버 세척단계(S50)에서는 사체처리액이 배수된 반응 챔버의 내부를 냉각수 저장조의 냉각수와 직수를 이용하여 린스 및 세척한다.
세척단계(S50)가 끝난 다음, 바스켓에는 약 2% 정도의 동물뼈와 광물질 등이 남게 되므로 고형물 회수단계(S60)에서는 반응 챔버의 바스켓에 잔존하는 동물뼈 등 고형물을 회수한다. 고형물은 쉽게 부서지므로 분말로 제조하거나 고온 용융하여 반려동물을 기념하는 물품제보나 인, 칼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알카리 가수분해 처리장치)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전체 조립 사시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반응 챔버와 주변장치에 연결된 유로의 연결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카리 가수분해 장치(100)는, 가로로 배치된 원통형의 반응 챔버(110)와, 반응 챔버(110)의 일단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기 위한 힌지 도어(130)와, 반응 챔버(110)의 타단부를 폐쇄시키는 고정 측판(140)과. 반응 챔버(110)를 감싸고 있는 냉각 재킷(120)과, 반응 챔버(110)와 접속 연결된 배관재들과 이들과 연결된 열교환장치(170), 급수펌프(166)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 챔버(110)는 동물 사체가 수용되고, 강 알카리 반응수에 열을 가하여 고압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밀폐구조가 되어야 하며, 동물사체가 수용된 바스켓(116)을 용이하게 반출입시켜야 한다. 따라서, 반응 챔버(110)는 가로로 배치된 원통형으로 하고, 한쪽 단부에는 용접고정된 고정 측판((140)을 설치하며, 다른 한쪽 단부에는 반응 챔버(110)의 몸체 지름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를 설치한다.
그리고, 플랜지부가 마련된 단부에는 힌지부(132)를 부착하고, 힌지부(132)에 개폐가 가능한 힌지 도어(130)를 장착시키며, 고압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힌지 도어(130)와 플랜지부의 어느 한쪽 접촉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형성시키고, 요홈에는 O-링을 파묻는다.
또한, 힌지 도어(130)는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외연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잠금 나사부(134)를 형성시켜, 잠금 나사부(134)의 잠금으로 반응 챔버(110) 내부를 밀폐시키고, 잠금 나사(134)를 잠금해지하여 개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50)는 반응 챔버(110) 내의 반응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152)와, 전원 단자부(152)에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 측판(140)에 장착 고정되는 플랜지부(154)와, 플랜지부(154)로부터 반응 챔버(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반응수에 침적하는 발열부(156)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열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수 온도와 반응 챔버(110)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반응 챔버(110) 내의 상부 공간의 스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열전대(TC1)와, 반응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열전대(TC2)와, 열전대(TC1, TC2)와 전원공급선(미도시)에 연결되어 설정된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된다.
알카리 가수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반응수의 교반수단의 하나로, 고정 측판(140)에 고정되어 반응 챔버(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반응수에 초음파 진동에너지를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장치(114)가 장착된다.
알카리 가수분해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교반수단으로 동물사체 수용 바스켓(116) 하부에 설치되며, 압축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임펠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반응 챔버(110) 내부의 반응수에 침적 설치된 초음판 진동장치(114)와 공기로 구동되는 회전 임폘러(115)의 교반작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초음파 진동과 충격 에너지에 의한 교반작용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
그리고 도 6에는 급기관(118)의 공기로 구동되는 회전 임펠러(115)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임펠러(115)는 반응수 내에 첨적되어 있으며,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회전 임펠러(115)의 측면 법선방향을 향하여 급기관(118) 단부로부터 압축가스를 분사하여 회전 임펠러(115)를 회전시켜 반응수를 교반시킨다.
급기관(118)은 반응수에 탄산가스나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반응 챔버(110)의 내부 바닥으로 연장시켜 설치하며, 급기관(118)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관(118)에 마련된 분사 노즐을 통하여 분사된 압축가스는 반응수를 교반하는데 기여하며, 압축가스가 탄산가스이고, 탄산가스로 중화반응을 하는 경우 중화효율을 상승시키게 된다.
급수관(160)은 외부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반응수 등을 반응 챔버(110)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사 공급하기 위하여, 반응 챔버(110) 내부로 연장되어 상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분사노즐(164)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준비단계에서 적정한 반응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알카리 용액과 물이 급수관(160)을 통하여 동시에 또는 각각 공급되며, 가수분해가 완료되어 반응 챔버(110)를 세척 린스하는 경우에는 하향 분사노즐(164)이 반응 챔버(110) 측벽에 골고루 세척수를 분사시킨다.
그리고, 동물사체가 수용된 바스켓(116)을 용이하게 반응 챔버(110)에 반출입시키기 위하여 반응 챔버(110)의 내벽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바스켓 설치대(11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스켓 설치대(113)는 분사되는 세척수 등이 벽체를 균일하게 흐르도록 반응 챔버(110)와 접촉되는 쪽에 소정 간격으로 요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반응 챔버 내부에 장착되는 바스켓 설치대(113)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설치대(113)는 반응 챔버(110)의 내벽 양측에 대략 같은 높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바스켓 설치대(113)는 반응 챔버(110)의 측벽에 용접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측벽에 용접고정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요철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가수분해가 끝난 후, 반응 챔버(110)를 세정하는 경우, 바스켓 설치대(113)에 형성시켜 둔 요철에 의하여 급수관(160)의 분사노즐(164)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응 챔버(110)의 측벽을 균일하게 흘러내리게 하여 세정효율을 높인다.
바스켓 설치대(113)는 바스켓(116) 양단 상단부에 마련된 돌출부(미도시)의 하부를 지지하여 바스켓(116)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용이하게 반응 챔버(110)에 반출입시킨다. 바스켓 설치대(113)에 지지되어 반응 챔버(110)에 반입된 바스켓(116)은 반응수에 침적되어 일정한 위치에 머물게 된다.
열교환장치(170)는 소형화 및 열교환효율이 우수한 판형 열교환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수시에 별도의 가압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에 의해 배수되도록 판형 열교환기의 상단부는 냉각 재킷의 반응수 최저 수위보다 3 ~ 5cm 낮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100 : 알카리 가수분해 장치
110 : 반응 챔버 112 : 자동 압력조절 밸브
113 : 바스켓 설치대 114 : 초음파 진동자
115 : 회전 임펠러
116 : 바스켓 117 : 스팀 밸브
118 : 급기관 119 : 반응수 드레인 밸브
120 : 냉각 재킷 122 : 제1 직수공급 밸브
124 : 배기 밸브 126 : 제2 직수공급 밸브
128 : 냉각수 드레인 밸브
130 : 힌지 도어 132 : 힌지부
134 : 잠금 나사부
140 : 고정 측판 142 : 잠금 나사부
150 : 가열부 152 : 전원 단자부
154 : 플랜지부 156 : 발열부
160 : 급수관 162 : 급수관
164 : 분사노즐 166 : 급수펌프
170 : 열교환 장치 180 : 냉각수 저장조
TC1, TC2 : 열전대

Claims (19)

  1. 동물사체의 알카리 가수분해 방법에 있어서,
    피처리 동물사체를 반응 챔버에 투입하고, 상기 반응 챔버에 소정농도의 가수분해 알카리 용액과 물을 첨가하여 반응수를 만드는 가수분해 준비단계와,
    상기 반응 챔버를 밀폐하여 상기 반응수 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반응 챔버 내부를 가압 교반하면서 상기 동물사체를 가수분해하여 액상화하는 가수분해 단계와,
    상기 반응 챔버를 냉각하여 내부압력과 사체처리액 온도를 낮추어 탄산가스를 폭기하여 알카리도를 낮추는 1차 중화단계와,
    상기 1차 중화처리한 사체처리액을 저장조로 배수하여 중화제를 가하여 중화시키는 2차 중화단계가 포함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준비단계는 상기 반응 챔버의 반응수를 강제로 교반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체처리액이 배수된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를 린스 및 세척하는 반응 챔버 세척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알카리 용액은 0.5 ~ 1.2 mol 농도의 수산화 칼륨(KOH)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계는 상기 반응수 온도를 80 ~ 200℃로 가열 승온하여 상기 반응 챔버 내부압력을 최고 20기압까지 상승시켜 소정시간 동안 동물사체를 알카리 가수분해하여 액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반응 챔버의 반응수를 강제로 교반하는 교반수단은 상기 반응 챔버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에서 공기를 분출시키고, 임펠러를 강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중화단계에서 상기 반응 챔버를 냉각시켜 내부압력을 1 ~ 2 기압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사체처리액에 탄산가스를 폭기하여 알카리도를 pH 9.5 ~ 10.5까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중화단계에서 중화제는 구연산이며, 상기 구연산으로 상기 반응수의 산도를 pH 7.0 ~ 7.5 까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9. 피처리 동물사체를 수용하여 반응시키는 반응 챔버와,
    상기 피처리 동물사체를 수용하여 상기 반응 챔버 내부로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한 동물사체 수용 바스켓과,
    상기 반응 챔버의 측벽에 장착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발열부를 가지는 가열부와.
    상기 반응 챔버 내의 반응수에 침적되도록 설치되는 교반수단과,
    상기 반응 챔버의 주변에 배치되는 열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는 상기 반응 챔버의 외부를 둘러싼 냉각 재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는 원통형으로 한쪽 단부에는 용접고정된 고정 측판과, 다른쪽 단부에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의 플랜지부에는 힌지가 부착되어 개폐가 가능한 힌지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 도어와 상기 플랜지부의 어느 한쪽 접촉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O-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와, 상기 전원 단자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측판에 장착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로 연장된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고정 측판에 고정되어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로 연장되어 반응수에 초음파 진동에너지를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동물사체 수용 바스켓 하부에 설치되며, 압축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임펠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 바닥으로 연장된 급기관을 가지며, 상기 급기관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이 마련되어, 상기 급기관을 통하여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는 양측벽 길이방향으로 상기 동물사체 수용 바스켓을 상기 반응 챔버 내부로 반입 또는 반출시키기는 바스켓 설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설치대는 상기 반응 챔버와 접촉되는 쪽에 소정 간격으로 요홈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장치.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는 판형 열교환기이며,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상단부는 상기 냉각 재킷의 액상 수위보다 3~5cm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0130034828A 2013-03-29 2013-03-29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340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28A KR101340071B1 (ko) 2013-03-29 2013-03-29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28A KR101340071B1 (ko) 2013-03-29 2013-03-29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071B1 true KR101340071B1 (ko) 2013-12-11

Family

ID=4998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828A KR101340071B1 (ko) 2013-03-29 2013-03-29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07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957A (ko) 2015-08-31 2017-03-08 오영한 가수분해 챔버
KR101741005B1 (ko) * 2015-06-10 2017-05-29 대한민국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101761845B1 (ko) * 2016-03-07 2017-08-04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101765698B1 (ko) * 2016-03-07 2017-08-2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20190068122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이동식 동물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90124858A (ko)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애완동물용 친환경 사체처리 장치
KR20210091872A (ko)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가수분해처리수단 및 유골의 사리화처리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동물장묘차량 및 이를 이용한 동물장묘방법
KR102355030B1 (ko) 2021-01-11 2022-01-24 김용태 믹싱유닛이 구비된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20220102182A (ko) 2021-01-11 2022-07-20 최성희 동물 사체 처리장치
WO2022251919A1 (en) * 2021-06-02 2022-12-08 SEDWYN Pty Ltd An alkaline hydrolysis apparatus and process
KR102553286B1 (ko) * 2022-09-23 2023-07-07 (주)아크론에코 초음파열분해장치
WO2024055068A1 (en) * 2022-09-12 2024-03-21 Eagle Innovations Pty Ltd Anim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43A (ko) * 2002-05-18 2003-11-28 김동진 동물성 잔재물로부터 가축용 및 양어용 고단백질 사료제조방법
KR20080053838A (ko) * 2006-12-11 2008-06-16 구동환 가축 사체 처리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사료첨가제 및상기 가축 사체 처리를 위한 시스템
KR100865632B1 (ko) 2007-05-18 2008-10-27 구동환 가축 사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화비료 조성물 및 가축 사체 액화처리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43A (ko) * 2002-05-18 2003-11-28 김동진 동물성 잔재물로부터 가축용 및 양어용 고단백질 사료제조방법
KR20080053838A (ko) * 2006-12-11 2008-06-16 구동환 가축 사체 처리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사료첨가제 및상기 가축 사체 처리를 위한 시스템
KR100865632B1 (ko) 2007-05-18 2008-10-27 구동환 가축 사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화비료 조성물 및 가축 사체 액화처리용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05B1 (ko) * 2015-06-10 2017-05-29 대한민국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20170025957A (ko) 2015-08-31 2017-03-08 오영한 가수분해 챔버
KR101761845B1 (ko) * 2016-03-07 2017-08-04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101765698B1 (ko) * 2016-03-07 2017-08-2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동물 사체 및 동물성 잔재물 처리 장치
KR20190068122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이동식 동물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05725B1 (ko) * 2017-12-08 2019-10-01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이동식 동물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90124858A (ko)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애완동물용 친환경 사체처리 장치
KR20210091872A (ko)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가수분해처리수단 및 유골의 사리화처리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동물장묘차량 및 이를 이용한 동물장묘방법
KR102355030B1 (ko) 2021-01-11 2022-01-24 김용태 믹싱유닛이 구비된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20220102182A (ko) 2021-01-11 2022-07-20 최성희 동물 사체 처리장치
WO2022251919A1 (en) * 2021-06-02 2022-12-08 SEDWYN Pty Ltd An alkaline hydrolysis apparatus and process
WO2024055068A1 (en) * 2022-09-12 2024-03-21 Eagle Innovations Pty Ltd Anim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102553286B1 (ko) * 2022-09-23 2023-07-07 (주)아크론에코 초음파열분해장치
WO2024063209A1 (ko) * 2022-09-23 2024-03-28 (주)아크론에코 초음파열분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071B1 (ko)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한 동물사체 처리 방법 및 장치
US7762713B2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KR101350613B1 (ko) 초음파 세척장치
KR100996238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1112079B1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2305111B1 (ko) 고효율 복합 탈취장치
KR100927315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KR1012761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7881217U (zh) 一种超声波除垢防垢的热水器
KR20150050084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4198054A (ja) 真空乾燥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100051524A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KR102462104B1 (ko) 폐열회수형 탈취기가 부착된 폐사축처리장치
JP2002320932A (ja) リサイクルpetフレークの洗浄方法、およびリサイクルpetフレーク洗浄装置
CN107185894A (zh) 一种应用氧化电位水对乳制品生产设备进行原位清洗的系统装置和方法
CN206350834U (zh) 一种移动式二氧化氯合成制取喷洒设备
US10436440B2 (en) Hydrolysis apparatus for organic waste using hydraulic crushing effect
KR102302186B1 (ko) 의료폐기물을 수열탄화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021220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공정
JP4204672B2 (ja) 調理殺菌装置の洗浄および洗浄水中和装置
KR101087035B1 (ko) 고온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
CN110074430B (zh) 一种多功能智能果蔬清洗机及使用方法
RU2291164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отходов, содержащих животные бел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2669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эндоскопов
CN216155727U (zh) 一种危固废低温裂解用密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