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240B1 -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240B1
KR102586240B1 KR1020210073405A KR20210073405A KR102586240B1 KR 102586240 B1 KR102586240 B1 KR 102586240B1 KR 1020210073405 A KR1020210073405 A KR 1020210073405A KR 20210073405 A KR20210073405 A KR 20210073405A KR 102586240 B1 KR102586240 B1 KR 10258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metal detector
standard
signal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4999A (ko
Inventor
김기영
박종률
서영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7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2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3/00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covered by groups G01V1/00 – G01V1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1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using induction co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내부에 적재된 표준 시편을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배출하는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을 인가받아 이동시키는 제품 이송부; 상기 제품 이송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표준 시편을 감지하여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금속 검출 센서부; 및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를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자동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품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편 배출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금속 검출기의 검출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식품 품질 관리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식품제조 과정에서 부적합한 식품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A metal detector monitoring automa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검출기의 성능 확인을 위해 수동으로 하던 모니터링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마다 표준 시편을 배출하도록 하여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을 자동화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썹(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은 식품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 관리체계 중 하나이다.
즉, 식품의 원료 및 제조공정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는 상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사전에 위해요소의 잔존, 오염될 수 있는 원인들을 사전에 미리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해썹 관리체계의 주요 내용 중 하나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파악된 잠재적 위해요소의 발생 원인과 각 위해요소를 안전한 수준으로 예방하거나, 완전 제거 또는 허용 가능한 수준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예방조치 방법을 갖추는 것이다.
식품제조 과정에서 혼입되는 물리적 위해요소인 이물질은 식품을 섭취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줄 수 있고, 식품 제조업체의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해썹 관리체계에서는 원료의 입고에서부터 제조, 가공, 보관, 운송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혼입될 수 있는 이물질에 대한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준수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설 및 장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식품에 있어서 대표적인 물리적 위해요소는 금속 이물질로서, 이를 관리하는 장비는 금속 검출기이다.
해썹 관리체계에 사용하는 금속 검출기는 감도 이상 및 오작동과 같은 이상 유무를 점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한다.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주기는 작업시작 시, 작업 2 시간마다, 제품 변경시 등이다.
또한, 모니터링 방법은 정해진 크기의 금속 조각이 들어있는 표준 시편 (test piece)을 금속 검출기의 좌, 우, 중간으로 각기 통과시켜 검출 여부를 점검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종래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방법은 제품검사 공정 중에 매 2 시간마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표준 시편을 통과시키고, 그 결과를 기록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시점을 놓치기도 하고, 단순 반복되는 모니터링 작업으로 인해 소요 시간과 업무부담이 불필요하게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금속 검출기의 성능 보장을 위해 일정 시간마다 수행하는 모니터링을 위해 표준 시편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요구되는 목표 지점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KR 10-2170546 B1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마다 표준 시편을 배출하도록 하여, 금속 검출기의 성능 확인을 위해 수동으로 하던 모니터링 작업을 자동화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는 내부에 적재된 표준 시편을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배출하는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을 인가받아 이동시키는 제품 이송부; 상기 제품 이송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표준 시편을 감지하여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금속 검출 센서부; 및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를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자동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품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편 배출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각각은, 상기 표준 시편을 내부에 복수개로 적재하는 시편 적재함; 및 상기 시편 적재함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재된 복수개의 표준 시편을 한 개씩 슬라이딩시켜 배출하는 시편 미끄럼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상기 제품 이송부는,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의 제어에 응답하여 작동되어,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을 제품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상기 금속 검출 센서부는 상기 시편 적재함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금속 검출 센서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상기 금속 검출 센서부는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카운터; 및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시간동안 푸시되면 상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작동을 시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푸시되면 상기 작동을 정지시키는 시험정지 버튼; 및 상기 작동의 동작 주기가 표시되는 동작시간 표시부; 및 상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고장 또는 데이터 상 오류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수동작에 의해 푸시되어 동작 시간을 초기화시키는 리셋 버튼; 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 각각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카운팅 표시부; 및 사용자의 수동작에 의해 푸시되어 상기 복수개의 카운팅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를 모두 초기화시키는 카운터 리셋 버튼; 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은 (a)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 적재된 표준 시편을 시편 배출 제어기의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배출하는 단계; (b)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이 제품 이송부 상에 요구되는 위치로 낙하되는 단계; (c) 상기 낙하된 표준 시편이 상기 제품 이송부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품 이송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금속 검출 센서부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단계; (d) 상기 금속 검출 센서부가 상기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표준 시편을 감지하여,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속 검출 센서부 내 복수개의 카운터가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가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내 시편 적재함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표준 시편을 한 개씩 시편 미끄럼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딩시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배출 주기는 1 분 내지 24 시간 중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낙하된 표준 시편은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제품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제품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는 상기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를 출력하여, 제품 이송은 정지시키고 상기 낙하된 표준 시편만 이동되도록 이송 컨베이어의 작동을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상기 (e)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카운터가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각각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복수개의 카운팅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은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가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였으나, 일정 시간이 초과해도 해당 표준 시편이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가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금속 검출기의 검출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식품 품질 관리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식품제조 과정에서 부적합한 식품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식품 원료의 입고 과정에서부터 식품의 제조, 가공, 보관, 운송 과정에서 혼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안전한 수준으로 예방하거나, 완전 제거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식품 위생관리의 자동화를 통해 소규모 농산 가공업체의 생산 비용 및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하게 절감함으로써, 식품 가공생산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정면도 및 제1 시편 미끄럼 가이드(115)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내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는 제1 화면(410-1)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내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는 제2 화면(410-2)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 ~ 부", " ~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사시도로서,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 시편 배출 제어기(200), 제품 이송부(300) 및 금속 검출 센서부(400)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정면도 및 시편 미끄럼 가이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는 복수개의 시편 적재함(110, 120, 130) 및 복수개의 시편 미끄럼 가이드(115, 125, 135)를 포함하고, 시편 적재함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시편 배출 모터, 시편 배출 종료 센서 및 적재 시편 소진 센서를 내장한다.
제품 이송부(300)는 제품 이송 테이블(310) 및 이송 컨베이어(320)를 포함한다.
금속 검출 센서부(400)는 시편 적재함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금속 검출 센서를 내장하고, 디스플레이부(4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금속 검출 센서부(400) 내 금속 검출 센서가 3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시편 적재함 및 시편 미끄럼 가이드의 개수를 3개(좌측, 우측, 중간측)로 예시하였지만, 금속 검출 센서의 개수에 따라 4 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에 적재된 표준 시편을 시편 배출 제어기(200)의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배출한다(S100).
즉,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가 시편 배출 제어기(200)로부터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 내 시편 적재함(110, 120, 130)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표준 시편을 한 개씩 시편 미끄럼 가이드(115, 125, 135)를 통해 슬라이딩시켜 배출한다.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은 제품 이송부(300) 상에 요구되는 위치로 낙하된다.
제품 이송부(300) 상에 낙하된 표준 시편은 시편 배출 제어기(200)의 제어에 응답하여 제품 이송부(300) 상에서 이동하여(S200), 제품 이송부(30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S300).
금속 검출 센서부(400)가 제품 이송부(300) 상에서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표준 시편을 감지하여,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S400).
금속 검출 센서부(400) 내 복수개의 카운터(미도시)가 금속 검출 센서부(400)에서 출력된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한다.
즉, 복수개의 카운터가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 각각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면(S500), 디스플레이부(410)가 복수개의 카운터에서 출력된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인가받아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복수개의 카운팅 표시부에 표시한다(S600).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내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는 제1 화면(410-1)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내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는 제2 화면(410-2)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의 유기적인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 및 시편 배출 제어기(200)는 제품 이송부(300) 상 제품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 각각은 최소 하루 동안 점검에 사용할 수 있는 양 만큼의 카드 모양의 표준 시편을 담을 수 있는 시편 적재함(110, 120, 130)을 포함한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 각각은 시편 적재함(110, 120, 130)을 구비하여, 내부에 카드 모양의 표준 시편을 적재하고 있다가, 시편 배출 제어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시편 배출 신호, 즉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신호에 응답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표준 시편을 배출한다.
이때, 복수개의 시편 적재함(110, 120, 130) 각각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편 미끄럼 가이드(115, 125, 135)가 설치되어 표준 시편이 제품 이송부(300) 내 이송 컨베이어(320) 상에 요구되는 정확한 위치로 낙하되도록 한다.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는 전화카드, 신용카드, RFID 주차카드, 입장권 등의 발부에 사용되는 카드 배출 모듈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카드 배출 모듈처럼 클러치 장치가 있어, 하나의 시편 배출기에서 복수개의 표준 시편이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준 시편의 두께 등 크기에 맞도록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편 배출 제어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시편 배출 신호에 따라 시편 배출 모터(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고, 시편 배출 종료 센서(미도시)와 적재 시편 소진 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표준 시편 배출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 검출기는 동작 시간이 누적됨에 따라 시편 검출 센서의 위치에 따른 검출 감도가 달라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문에, 금속 검출기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본 발명의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100)는 제품 이송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금속 검출 센서부(400) 내 제1 내지 제3 금속 검출 센서(미도시) 각각의 하부를 표준 시편이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표준 시편을 배출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편 배출 제어기(200)가 제1 시편 배출 신호를 출력하면, 제1 시편 배출기가 이를 인가받아 제1 시편 적재함(110) 내부에 적재하고 있던 복수개의 제1 표준 시편을 한 개씩 제1 시편 미끄럼 가이드(115)를 통해 슬라이딩시켜 배출한다.
제1 시편 배출기가 배출한 제1 표준 시편은 이송 컨베이어(320)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제1 위치에 낙하되고, 이송 컨베이어(320)의 작동으로 도 2에 도시된 ‘제품 진행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시편 배출 제어기(200)가 제2 시편 배출 신호를 출력하면, 제2 시편 배출기가 이를 인가받아 제2 시편 적재함(120) 내부에 적재하고 있던 복수개의 제2 표준 시편을 한 개씩 제2 시편 미끄럼 가이드(125)를 통과시켜 배출한다.
제2 시편 배출기가 배출한 제2 표준 시편은 이송 컨베이어(320)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제2 위치에 낙하되고, 이송 컨베이어(320)의 작동으로 도 2에 도시된 ‘제품 진행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시편 배출 제어기(200)가 제3 시편 배출 신호를 출력하면, 제3 시편 배출기가 이를 인가받아 제3 시편 적재함(130) 내부에 적재하고 있던 복수개의 제3 표준 시편을 한 개씩 제3 시편 미끄럼 가이드(135)를 통과시켜 배출한다.
제3 시편 배출기가 배출한 제3 표준 시편은 이송 컨베이어(320)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제3 위치에 낙하되고, 이송 컨베이어(320)의 작동으로 도 2에 도시된 ‘제품 진행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내지 제3 표준 시편이 이송 컨베이어(320) 상에서 ‘제품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금속 검출 센서부(400)에 내장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금속 검출 센서 각각의 하부 위치를 통과하게 되면, 제1 내지 제3 금속 검출 센서 각각은 제1 내지 제3 표준 시편 각각을 감지하여, 제1 내지 제3 금속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시편 배출 제어기(200)가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시편 배출 신호의 배출 주기는 1 분 내지 24 시간 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금속 검출기의 성능 보장을 위해 2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시에는 시편 배출 제어기(200)가 상기 기 설정된 배출 주기 간격으로 시편 배출 신호를 출력하면, 제품 이송은 정지시키고 제1 내지 제3 표준 시편만 금속 검출 센서부(400) 측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컨베이어(320)의 작동을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는 제1 화면(410-1)은 시험정지 버튼(411) 및 동작시간 설정부(412)를 포함하고, 동작시간 설정부(412)는 동작시간 표시부 및 리셋(RESET) 버튼을 포함한다.
시험정지 버튼(411)은 제1 시간, 즉 약 1초 내지 2초간 길게 푸시되면 본 발명의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작동이 시작되고, 다시 한 번 제1 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푸시되면 작동이 정지된다.
동작시간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동작 주기는 분 단위 숫자로 설정 가능하고,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작동이 시작되면 각각 기 설정된 배출 주기마다 제1 내지 제3 시편 배출 신호가 시편 배출 제어기(200)로부터 제1 내지 제3 시편 배출기(100)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작동 후에 장치의 고장 또는 데이터 상 오류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수동작에 의해 리셋(RESET) 버튼이 푸시되어 동작 시간이 초기화된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는 제2 화면(410-2)은 제1 내지 제3 카운팅 표시부(421, 422, 423) 및 카운터 리셋(RESET) 버튼(424)을 포함한다.
금속 검출 센서부(400) 내 제1 내지 제3 카운터(미도시)가 제1 내지 제3 금속 검출 센서 각각에서 출력된 제1 내지 제3 금속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내지 제3 시편 배출기(100)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제1 내지 제3 카운트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10)는 제1 내지 제3 카운터 각각으로부터 제1 내지 제3 카운트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내지 제3 시편 배출기(100)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제1 내지 제3 카운팅 표시부(421, 422, 423) 각각에 표시한다.
카운터 리셋(RESET) 버튼(424)이 푸시되면 제1 내지 제3 카운팅 표시부(421, 422, 423)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숫자가 '0'으로 초기화된다.
그 밖에도, 시편 배출 제어기(200)는 추가적으로 알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시편 배출 제어기(200)에서 제1 내지 제3 시편 배출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가 출력되어 제1 내지 제3 시편 배출기(100) 중 하나 이상에 전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 즉, 1분 내지 2분이 초과되더라도 해당 표준 시편이 배출되지 않게 되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알람 신호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에 내장 가능한 스피커로 전송되어 소리의 형태로 변환되거나, 금속 검출 센서부(40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는 에러 메시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준 시편 배출 동작의 비정상 사실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마다 표준 시편을 배출하도록 하여, 금속 검출기의 성능 확인을 위해 수동으로 하던 모니터링 작업을 자동화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금속 검출기의 검출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식품 품질 관리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식품제조 과정에서 부적합한 식품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식품 원료의 입고 과정에서부터 식품의 제조, 가공, 보관, 운송 과정에서 혼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안전한 수준으로 예방하거나, 완전 제거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식품 위생관리의 자동화를 통해 소규모 농산 가공업체의 생산 비용 및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하게 절감함으로써, 식품 가공생산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200: 시편 배출 제어기
300: 제품 이송부
310: 제품 이송 테이블
320: 이송 컨베이어
400: 금속 검출 센서부

Claims (14)

  1. 내부에 적재된 표준 시편을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배출하는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을 인가받아 이동시키는 제품 이송부;
    상기 제품 이송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표준 시편을 감지하여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금속 검출 센서부; 및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를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자동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품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편 배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검출 센서부는,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카운터; 및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각각은,
    상기 표준 시편을 내부에 복수개로 적재하는 시편 적재함; 및
    상기 시편 적재함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재된 복수개의 표준 시편을 한 개씩 슬라이딩시켜 배출하는 시편 미끄럼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이송부는,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의 제어에 응답하여 작동되어,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을 제품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검출 센서부는
    상기 시편 적재함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금속 검출 센서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시간동안 푸시되면 상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작동을 시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푸시되면 상기 작동을 정지시키는 시험정지 버튼; 및
    상기 작동의 동작 주기가 표시되는 동작시간 표시부; 및
    상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의 고장 또는 데이터 상 오류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수동작에 의해 푸시되어 동작 시간을 초기화시키는 리셋 버튼;
    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 각각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카운팅 표시부; 및
    사용자의 수동작에 의해 푸시되어 상기 복수개의 카운팅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를 모두 초기화시키는 카운터 리셋 버튼;
    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8. (a)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 적재된 표준 시편을 시편 배출 제어기의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배출하는 단계;
    (b)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이 제품 이송부 상에 요구되는 위치로 낙하되는 단계;
    (c) 상기 낙하된 표준 시편이 상기 제품 이송부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품 이송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금속 검출 센서부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단계;
    (d) 상기 금속 검출 센서부가 상기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표준 시편을 감지하여,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속 검출 센서부 내 복수개의 카운터가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금속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가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내 시편 적재함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표준 시편을 한 개씩 시편 미끄럼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딩시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배출 주기는
    1 분 내지 24 시간 중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낙하된 표준 시편은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제품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제품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는
    상기 기 설정된 배출 주기로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를 출력하여, 제품 이송은 정지시키고 상기 낙하된 표준 시편만 이동되도록 이송 컨베이어의 작동을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카운터가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 각각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출력된 복수개의 카운트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기에서 배출되는 표준 시편의 개수를 복수개의 카운팅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가 상기 복수개의 시편 배출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였으나, 일정 시간이 초과해도 해당 표준 시편이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시편 배출 제어기가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KR1020210073405A 2021-06-07 2021-06-07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58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405A KR102586240B1 (ko) 2021-06-07 2021-06-07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405A KR102586240B1 (ko) 2021-06-07 2021-06-07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999A KR20220164999A (ko) 2022-12-14
KR102586240B1 true KR102586240B1 (ko) 2023-10-10

Family

ID=8443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405A KR102586240B1 (ko) 2021-06-07 2021-06-07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2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3818A (ja) 2008-02-04 2009-08-20 Anritsu Sanki System Co Ltd 物品検査装置
KR101442788B1 (ko) * 2013-04-17 2014-09-23 (주)자영테크 카드 디스펜서
KR101622854B1 (ko) * 2014-12-31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병렬형 이송장치를 위한 금속편 검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88B1 (ko) * 2019-07-19 2021-08-20 (주)나우시스템즈 방사능 및 금속이물 검출 장치
KR102170546B1 (ko) 2020-06-08 2020-10-27 주식회사 모든다해 스마트팩토리형 식품안전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3818A (ja) 2008-02-04 2009-08-20 Anritsu Sanki System Co Ltd 物品検査装置
KR101442788B1 (ko) * 2013-04-17 2014-09-23 (주)자영테크 카드 디스펜서
KR101622854B1 (ko) * 2014-12-31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병렬형 이송장치를 위한 금속편 검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999A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331B2 (en) Automated packaging, inspection, verification, and counting apparatus
CN102109530B (zh) 样本处理装置及样架运送方法
CN101256194B (zh) 自动分析装置
US8019040B2 (en) X-ray inspection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US9696326B2 (en) Test apparatus
JP5586889B2 (ja) 粒子画像解析装置
KR101430965B1 (ko) 반도체 테이프릴의 칩 카운팅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시스템
US9073092B2 (en) Sheet reinspection apparatus, sheet inspection system, and sheet inspection method
RU27149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родукции плодоводства, такой как голубика и тому подобное
US10350645B2 (en) Article rejecting system
CN104772285A (zh) 一种物品装量差异自动检测方法及设备
WO2005045397A1 (en) Agricultural product handling system
KR102586240B1 (ko) 금속 검출기 모니터링 자동화 장치 및 방법
JP7219504B2 (ja) 擬似不良品を用いて動作確認される検査装置
CN211264384U (zh) 自动售货机的出货检测装置
CN204953359U (zh) 一种物品质量指标差异自动检测设备
CN209491065U (zh) 产品尺寸光学识别快速检测平台
KR20210003677A (ko) 외관 검사 장치
JP2008158900A (ja) 自動取引装置
JP5082160B2 (ja) 遊技台の検査方法、遊技台検査システム、検査用球、検査用メダル、および遊技台搬送装置
KR101464251B1 (ko) 반도체 테이프릴의 등록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시스템
CN214184131U (zh) 将小盒重量与药品监管码自动关联的检重系统
EP41058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counting and dispensing items
CN110239797B (zh) 一种离散物品的计数方法
JP2004094624A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