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337B1 -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337B1
KR102585337B1 KR1020220131720A KR20220131720A KR102585337B1 KR 102585337 B1 KR102585337 B1 KR 102585337B1 KR 1020220131720 A KR1020220131720 A KR 1020220131720A KR 20220131720 A KR20220131720 A KR 20220131720A KR 102585337 B1 KR102585337 B1 KR 10258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biotics
lactobacillus rhamnosus
ginseng
present
iso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민
권민수
이기만
박진홍
이다희
조성민
Original Assignee
록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록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5Rhamnos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새싹인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은 높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가지고 있어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세포독성이 없어 안전하면서도 항노화 활성을 우수하게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postbiotics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isolated from ginseng sprout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함량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포함하는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 (KCTC14622BP)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건강에 유익한 살아있는 균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주로 유산균, 젖산균이 해당하게 된다.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죽은 미생물 및 죽은 미생물의 구성요소라고 정의되며, 이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영양분을 대사하거나 발효하여 생산하는 물질, 그리고 유산균이 죽은 다음에 남는 균의 사체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아니라 포스트바이오틱스가 장의 건강을 돕는 역할에 기여한다는 것에 주목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즉, 살아 있는 미생물인 프로바이오틱스가 아닌, 프로바이오틱스가 프리바이오틱스를 먹고 만들어낸 부산물과 죽은 프로바이오틱스가 장 건강을 돕는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이에 기능성이 뛰어난 새로운 포스트바이오틱스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건강한 노년 생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노화를 방지 및 억제하기 위한 항노화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항노화는 노화와 관련된 질병이나 기능 저하를 조기에 탐지하고 치료, 처치하는 모든 것을 일컫는 것으로, 이를 위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산업 등 전반적인 영역에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새로운 항노화를 위한 기능성 물질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34461호(공개일자: 2022.03.18)는,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늘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시키고 이를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마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52580호(공개일자: 2022.04.28)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차전자피 포스트 바이오틱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식재료를 유산균과 함께 발효시키고 이를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포스트 바이오틱스 제조 방법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항노화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높은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새싹인삼을 재배하고, 이로부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를 분리해내고, 이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의 배양물 또는 이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새싹인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은 높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가지고 있어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세포독성이 없어 안전하면서도 항노화 활성을 우수하게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스마트팜에서 재배 후 수확한 새싹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대한 HLP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세포독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포스트바이오틱스의 MMP-1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산화질소(NO)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포스트바이오틱스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포스트바이오틱스의 SOD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죽은 미생물 및 죽은 미생물의 구성요소라고 정의되며, 이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영양분을 대사하거나 발효하여 생산하는 물질, 그리고 유산균이 죽은 다음에 남는 균의 사체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아니라 포스트바이오틱스가 장의 건강을 돕는 역할에 기여한다는 것에 주목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기능성이 뛰어난 새로운 포스트바이오틱스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의 배양물 또는 이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포스트바이오틱스는 바람직하게 건조된 상태로 사용하며, 당 업계에 공지된 건조방법이라면 어느 것에든 제한되지는 않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새싹인삼은 분무식 스마트팜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배하였으며, 재배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어느 것에든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냉동 보관 중이던 묘삼을 냉장보관 1일, 실온보관 2일로 전처리하여 정식하되, 불량 묘삼을 선별하여 세척 및 소독한 후, 수행하며 정식 3주 후 수확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인삼 내 진세노사이드 함량(Rg1+Rb1)이 0.8 mg/g 이상 함유되어야 하는데, 상기 방법으로 수확된 새싹인삼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16~19 mg/g으로 매우 높은 함량을 포함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우수한 활성이 있는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새싹인삼으로부터 균주를 선별하였고 이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으로 16s rRNA를 암호화하는 DNA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초 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색조화장료 제형;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0 중량% 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라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일례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리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부능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비누일 경우에는,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젤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기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팜으로부터 새싹인삼을 재배하고, 이로부터 높은 진세노사이드 함량(16~19 mg/g)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새싹인삼으로부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을 분리, 동정하였다. 상기 균주를 포스트바이오틱스화하였고, 이는 세포독성이 없어 안전하면서도 MMP-1 감소, 산화질소(NO) 감소, 총 페놀 함량 증가, 항산화 활성 증가 등을 통해 항노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새싹인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우수한 항노화 활성을 가짐에 따라 다양한 조성물의 소재로써 적용가능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새싹인삼 재배, 분석 및 이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 Lactobacillus rhamnosus ) B3421 (KCTC14622BP) 동정]
본 실시예에서는 새싹인삼을 재배하고 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새싹인삼으로부터 얻은 5가지 후보 균주의 단백질 추출물로부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1) 새싹인삼 재배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분무식 스마트팜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새싹인삼을 재배하였다. 냉동 보관 중이던 묘삼을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처리(냉장보관 1일, 실온보관 2일)하여 정식하였다. 정식은 불량 묘삼 선별(무름, 곰팡이, 파열, 뇌두손상)과 동시에 세척 및 차아염소산수로 소독을 2회 진행한 후 정식판에서 수행하였으며 재배 기간 중에도 발생하는 불량 인삼을 수시로 제거하였다. 수확은 정식 3주 후 진행하였으며 수확 시 삼줄기와 뿌리를 분리하여 세척 5회, 소독 2회를 진행하여 물기 제거하였다. 이렇게 스마트팜에서 재배 후 수확한 새싹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새싹인삼을 70% 에탄올을 이용해 추출 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분석조건은 아래 표 1과 같았다.
Instrument HPLC condition
System Agilent 1260
Column Luca C18 (250 x 4.6 mm, 5 ㎛)
Flow rate 1.0 ㎖/min
Column temperature 30℃
Detector DAD (wavelength 203 nm)
Injection volume 5 ㎕
Mobile phase Time (min) Water Acetonitrile
0 80 20
5 80 20
20 77 23
25 70 30
45 60 40
55 50 50
65 50 50
70 80 20
75 80 20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인삼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Rg1과 Rb1의 합으로 나타내며, 0.8 mg/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한다. 스마트팜에서 생산한 새싹인삼은 Rg1: 9±1.5 mg/g, Rb1: 8 ± 0.9 mg/g을 함유하여 Rg1과 Rb1의 합으로 16~19 mg/g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당히 높은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도 1). 따라서 높은 량의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인삼에서 유래한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우수한 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상기 새싹인삼으로부터 얻은 단백질 추출물로부터 균주 동정
상기 새싹인삼으로부터 얻은 5가지 후보 균주의 단백질 추출물 (PE; Protein extracts) 중에서 B3421 균주 (#3)을 분리해냈다. 이의 동정(identification)을 위해 DNA sequencing을 진행하였다. 동정 결과, 서열번호 1의 16S rRNA 서열을 얻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본 발명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본 발명 균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을 한국생물자원센터(KCTC)에 2021년 6월 22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14622B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 Lactobacillus rhamnosus ) B3421 포스트바이오틱스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를 포스트바이오틱스화(사균화)하였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을 살균된 종균 배양용 배지에 접종하여 2일간 배양한 후 본 배양용 배지에 투입하여 다시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균체를 회수 및 세척하고 살균 탱크로 이송 후 포스트바이오틱스화하여 건조기로 분말화하였다(RG-BIOME-03). 제조된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초음파추출기에서 1시간 추출하고 4℃, 8,000 rpm 조건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액은 동결건조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세포독성 및 항노화 관련 활성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세포독성 및 항노화 관련 활성을 분석하였다.
1) 피부각질형성세포 배양
실험에 사용될 피부각질형성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액체 질소에 동결되어 있는 사람 피부 각질형성세포(HaCaT)를 꺼내어 37℃ 수조에서 3분간 담가 녹였다. 클린 벤치에서 세포 배양접시에 배지 10 mL에 해동한 세포를 풀어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은 10% 불활성화된 FBS와 100 U/mL-100 μg/mL of penicillin-streptomycin가 들어있는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4일 간격으로 계대하였다.
2) 세포독성 확인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세포독성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96 well plate에 4 x 103 cells/well로 접종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포스트바이오틱스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3일 후 모든 well에 MTT 시약을 10 μL씩 첨가하여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모든 상층액을 제거하고 모든 well에 DMSO 100 μL를 넣어 15분간 잘 혼합한 뒤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실험을 수행한 모든 농도내에서 세포 독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3) MMP-1 측정
피부 조직을 자외선에 만성적으로 노출시키면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신호 전달 경로가 활성화되어 매트릭스 metalloproteinases (MMPs) 생성이 증가한다. 이에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MMP-1의 양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HaCaT 세포를 24 well에 3 x 105 cells/well로 접종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포스트바이오틱스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110 mJ/cm2의 UVB lamp에 노출하여 2일간 다시 배양하고 상층액만 수거하였다. 수거된 상층액은 ELISA kit를 이용하여 MMP-1을 분석하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MMP-1은 UVB에 의해 정상군 대비 HaCaT 세포에서 17% 증가하였으나 샘플 처리시 UVB 처리군 대비 19%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 포스트바이오틱스가 MMP-1 생산을 억제하는 피부 노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측정
산화질소는 Griess reagent를 이용하여 아질산염(nitrite)의 농도로 환산하여 측정하였다. MMP-1 측정에 사용한 세포 상등액 100 μL와 Griess reagent를 100 μL를 혼합한 뒤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산화질소는 UVB에 의해 정상군 대비 HaCaT 세포에서 68% 증가하였으나 샘플 처리시 UVB 처리군 대비 최대 40% 감소하였다.
5) 총 페놀 함량(TPC) 분석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assay를 이용하여 표준품인 타닌산(tannic acid)의 값에 대입해 측정하였다. 샘플 160 μL을 정제수로 희석한 Folin-Ciocalteu 10 μL와 혼합한 후 30 μL의 1.8 M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과 암실에서 반응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포스트바이오틱스의 TPC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Concentration of RG-BIOME-03 (㎍/mL) TPC (㎍/mL)
31.25 1.017±0.19
62.5 1.85±0.03
125 3.18±0.26
250 4.89±0.51
500 8.34±0.42
1000 12.29±0.42
5000 22.29±3.31
10000 27.45±1.18
6) 항산화활성
항산화활성 측정을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위해 샘플을 에탄올에 농도별로 희석하고 150 nM의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과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하였다. 이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대입 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SOD 활성은 assay kit (EZ-SOD assay kit, DoGenBio)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22107969516-pat00001
그 결과, 도 5 및 도 6과 같이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활성은 샘플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4622BP 20210622

Claims (3)

  1. Rg1과 Rb1을 합으로 16~19 mg/g 함유하는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B3421 (KCTC14622BP)의 사균화된 배양물 또는 이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20131720A 2022-10-13 2022-10-13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8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720A KR102585337B1 (ko) 2022-10-13 2022-10-13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720A KR102585337B1 (ko) 2022-10-13 2022-10-13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337B1 true KR102585337B1 (ko) 2023-10-10

Family

ID=8829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720A KR102585337B1 (ko) 2022-10-13 2022-10-13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33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521A (ko) * 2013-07-23 2015-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4116A (ko) *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어람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3710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94315B1 (ko) * 2020-06-24 2020-12-2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7153A (ko) * 2019-09-27 2021-04-06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새싹삼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6423B1 (ko) * 2021-07-02 2022-02-09 (주)에스디생명공학 항균, 피부 보습, 항아토피,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034461A (ko) 2020-09-11 2022-03-18 (주)정가진면역연구소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방법
KR20220052580A (ko) 2020-10-21 2022-04-28 (주)정가진면역연구소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차전자피 포스트 바이오틱스 제조 방법
KR20220082393A (ko) * 2020-12-10 2022-06-17 노재국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521A (ko) * 2013-07-23 2015-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4116A (ko) *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어람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3710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37153A (ko) * 2019-09-27 2021-04-06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새싹삼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4315B1 (ko) * 2020-06-24 2020-12-2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4461A (ko) 2020-09-11 2022-03-18 (주)정가진면역연구소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방법
KR20220052580A (ko) 2020-10-21 2022-04-28 (주)정가진면역연구소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차전자피 포스트 바이오틱스 제조 방법
KR20220082393A (ko) * 2020-12-10 2022-06-17 노재국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356423B1 (ko) * 2021-07-02 2022-02-09 (주)에스디생명공학 항균, 피부 보습, 항아토피,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6126A (ko) 한국산 산삼 캘러스 세포배양에 의하여 얻어진 고수율 진세노사이드 생합성유도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74116A (ko)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3710A (ko) 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796955B1 (ko) 유산균을 이용한 지유 및 필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5337B1 (ko) 새싹인삼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3421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50382B1 (ko) 결명자, 갈대, 제주조릿대, 지모 및 치자의 혼합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3406B1 (ko) 망고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662805B1 (ko)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76655B1 (ko) 미세침 분말 및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102352453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29921B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28740B1 (ko)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발아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978335B1 (ko) 꽃에서 분리한 효모균으로부터 수득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7563B1 (ko) 북극이끼장구채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