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02B1 - 주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002B1
KR102585002B1 KR1020160104697A KR20160104697A KR102585002B1 KR 102585002 B1 KR102585002 B1 KR 102585002B1 KR 1020160104697 A KR1020160104697 A KR 1020160104697A KR 20160104697 A KR20160104697 A KR 20160104697A KR 102585002 B1 KR102585002 B1 KR 10258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drum
hinge
lever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426A (ko
Inventor
조준근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0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제동을 위해 상기 드럼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슈, 두 브레이크슈를 지지하며 회동레버가 당겨질 때 두 브레이크슈를 드럼의 내면으로 밀어주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를 당겨주기 위해 상기 회동레버의 끝단부에 마련된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주차 케이블의 끝단부에 마련된 결합부를 갖추고, 상기 체결부 및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마련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 장치{Apparatus for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레버에 주차 케이블의 연결 및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을 주차시키는 경우 차량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로, 드럼 브레이크와 디스크 브레이크가 한 조를 이루어 구성되는 D.I.H(Drum In Hat)타입의 브레이크에 마련되어 차량의 휠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1)과, 드럼(1)의 내부에 설치되며 드럼(1) 내면과의 마찰을 통해 드럼(1)을 제동하는 제1브레이크슈(2)와 제2브레이크슈(3)를 구비한다. 또한, 드럼(1)의 내부에는 주차 케이블(4)이 당겨질 때 양측의 두 브레이크슈(2,3)를 드럼(1)의 내면 쪽으로 밀어주는 작동레버(5)가 마련된다.
작동레버(5)는 일단이 제1브레이크슈(2)의 웨브(2a)를 지지하고 타단이 제2브레이크슈(3) 쪽으로 연장된 지지레버(6)와, 지지레버(6)의 길이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제2브레이크슈(3)의 웨브(3a)에 지지된 가압부재(7)와, 주차 케이블(4)의 당김 동작에 의해 회동하면서 가압부재(7)를 밀어주도록 지지레버(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8)를 포함한다.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주차 케이블(4)이 당겨질 때 회동레버(8)가 회동축(8a)을 중심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회동레버(8)의 곡면부가 가압부재(7)의 곡면부를 가압하여 가압부재(7)가 제2브레이크슈(3)의 웨브(3a)를 드럼(1)의 내면 쪽으로 밀어준다. 동시에 지지레버(6)에 작용되는 반력에 의해 지지레버(6)가 제1브레이크슈(2) 쪽으로 전진하면서 제1브레이크슈(2)의 웨브(2a)를 밀어준다. 따라서 양측의 두 브레이크슈(2,3)는 드럼(1)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드럼(1)의 제동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너클(9)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한편, 회동레버(8)를 당겨주기 위하여 주차 케이블(4)을 회동레버(8)에 연결 시, 회동레버(8)의 끝단부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체결부에 주차 케이블 단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결합부를 걸어서 연결하고 있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케이블(4)을 회동레버(8)에 조립하기 위하여 주차 케이블(4)의 끝단부가 회동레버(8)의 체결부를 일정 구간(G) 지나친 후 연결하여야 함에 따라 주차 케이블(4)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주차 케이블(4)은 D.I.H 타입의 브레이크가 차량의 너클(9)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립됨에 따라, 주차 케이블(4)의 조립 시 너클(9)과 회동레버(8)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간섭이 발생함에 따라 조립이 어려우며, 특히 주차 케이블(4)에 설치되는 케이블 브라켓이나 부트 등의 주변 부품으로 인하여 부피가 커짐에 따라 너클과 부딪쳐 조립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회동레버에 주차 케이블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제동을 위해 상기 드럼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슈, 두 브레이크슈를 지지하며 회동레버가 당겨질 때 두 브레이크슈를 드럼의 내면으로 밀어주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를 당겨주기 위해 상기 회동레버의 끝단부에 마련된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주차 케이블의 끝단부에 마련된 결합부를 갖추고, 상기 체결부 및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마련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고리 형상의 몸체부;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힌지축에 의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동되도록 형성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의 회동 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결합부가 결합 시 상기 몸체부의 안쪽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체결수단은,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측에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몸체부 내에 상기 힌지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의 타단을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주차 케이블의 결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몸체부의 두께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관통공을 관통 시 상기 힌지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와 결합부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힌지부가 회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주차 케이블과 회동레버가 조립되는 주차 케이블의 끝단부 또는 회동레버의 끝단부 측에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되는 체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주차 케이블과 회동레버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케이블을 회동레버에 조립 시 주차 케이블을 회동레버 측으로 단순히 밀어주는 동작으로 조립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주차 케이블이 회동레버를 지나치지 않아 주차 케이블의 무효 스트로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주차 케이블과 회동레버가 직선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주변 부품과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주차 케이블을 연결 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마련되는 체결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수단을 통해 주차 케이블과 회동레버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마련되는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결수단을 통해 주차 케이블과 회동레버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마련되는 체결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수단을 통해 주차 케이블과 회동레버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된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1)과, 드럼(1)의 내부에 설치되며 드럼(1) 내면과의 마찰을 통해 드럼(1)을 제동하는 제1브레이크슈(2) 및 제2브레이크슈(3)와, 회동레버(8)가 당겨질 때 양측의 두 브레이크슈(2,3)를 드럼(1)의 내면 쪽으로 밀어주는 작동레버(5)와, 회동레버(8)와 조립되는 주차 케이블(4) 및 상기 회동레버(8)와 주차 케이블(4)이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회동레버(8) 또는 주차 케이블(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체결수단은 회동레버(8)의 끝단부측에 형성된 체결부(80)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차 케이블(4)의 끝단부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40)에 마련되거나 주차 케이블(4)과 회동레버(8) 각각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수단은 회동레버(8)의 끝단부에 형성된 체결부(80)에 마련되는 몸체부(181)와, 몸체부(181)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부(183) 및 상기 힌지부(183)의 회동 시 힌지부(183)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5)를 구비한다.
몸체부(181)는 힌지부(183)와 결합된 상태로 폐루프 형상의 고리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 몸체부(181)에는 힌지부(18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차 케이블(4)과 결합 시 주차 케이블(4)이 힌지부(183)를 통해 몸체부(181)의 내측에 배치되게 된다. 즉, 힌지부(183)는 일단이 몸체부(18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힌지축(184)에 의해 몸체부(181)에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부(183)는 힌지축(184)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폐루프 형태의 몸체부(181) 일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힌지부(183)는 체결의 용이성 및 주차 케이블(4)과 조립 후 주차 케이블(4)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몸체부(181)의 안쪽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힌지부(183)의 일단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와 접하는 몸체부(181) 일부분도 힌지부(183)의 일단과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힌지부(183)가 몸체부(181)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탄성부재(185)는 힌지부(183)가 원위치로 복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탄성부재(185)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은 코일 형태의 몸체를 갖추고, 몸체부의 일단이 연장형성되어 몸체부(181)에 고정되고 타단이 연장형성되어 힌지부(183)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힌지부(183)의 회동 시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을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측 탄성 복원력을 통해 힌지부(183)가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와 같은 비틀림 스프링을 통한 복귀 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회동레버(8)의 체결부(80)와 결합되는 주차 케이블(4)의 끝단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고리 형상의 결합부(40)로 이루어져 힌지부(183)를 통해 몸체부(18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고리 걸림 구조로 회동레버(8)와 주차 케이블(4)을 연결하게 된다. 즉, 주차 케이블(4)을 회동레버(8)에 장착 시 주차 케이블(4)의 결합부(40)가 회동레버(8)의 힌지부(183) 측으로 직선이동하며 힌지부(183)를 가압함으로써 힌지부(183)가 회동되고, 결합부(40)가 힌지부(183)를 가압하며 몸체부(181) 내측에 위치되면, 가압된 힌지부(183)가 탄성부재(185)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주차 케이블(4)과 회동레버(8)의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즉, 원터치 방식으로 회동레버(8)와 주차 케이블(4)을 연결하게 된다. 이에, 기존 주차 케이블(4)을 회동레버(8)의 앞쪽으로 불필요하게 이동시키는 작업을 제거함으로써 주차 케이블(4)의 무효 스트로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직선 방향으로 주차 케이블(4)과 회동레버(8)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너클(9) 등과 같은 주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이 회동레버(8)에 마련되어 주차 케이블(4)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이 주차 케이블(4)의 결합부(40)에 마련되어 회동레버(8)와 연결되거나, 주차 케이블(4) 및 회동레버(8)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체결수단이 힌지부(183)가 마련된 고리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주차 케이블(4)과 회동레버(8)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주차 케이블(4)과 회동레버(8)를 연결시킬 수 있다면, 주차 케이블(4)의 결합부(40)와 회동레버(8)의 체결부(80)의 형상변경 및 구조변경을 통해 주차 케이블(4)과 회동레버(8)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은 주차 케이블(4)의 결합부(40)에 마련되어 회동레버(8)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은 몸체부(241)와, 몸체부(241)의 단부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243)와, 몸체부(241)에 힌지부(243)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홈(242) 및 상기 수용홈(242)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243)를 몸체부(241)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5)를 구비한다.
몸체부(241)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바(bar)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 몸체부(241)에는 후술할 힌지부(243)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242)이 형성된다. 수용홈(242)은 몸체부(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힌지부(243)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힌지부(243)는 일단이 몸체부(241)의 단부측에 힌지축(244)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힌지부(243)는 수용홈(242)이 형성된 부분에 마련되어 수용홈(242)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245)는 수용홈(242)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수용부(246)에 마련되어 힌지부(243)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245)는 힌지부(243)의 타단이 몸체부(24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탄성부재(245)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41), 힌지부(243), 수용홈(242)을 포함하는 체결수단이 주차 케이블(4)의 결합부(40)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탄성부재(245)가 각 몸체부(241)의 타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몸체부(241)의 타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탄성부재(245)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체결수단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증감되어 주차 케이블(4)에 마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이 마련된 주차 케이블(4)과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회동레버(8)의 끝단부에 형성된 체결부(80)는 상기 몸체부(241)가 관통하도록 관통공(281)이 형성된 바(bar)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281)의 직경은 몸체부(241)의 두께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몸체부(241)가 관통공(281)을 통해 결합 시, 힌지부(243)는 관통공(281)에 삽입되는 시점에서부터 관통공(281)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며 수용홈(242)으로 삽입된다. 또한, 몸체부(241)가 관통공(281)을 통과하여 힌지부(243)의 타단이 관통공(281)으로부터 벗어나는 시점으로부터 힌지부(243)가 탄성부재(245)에 의해 몸체부(24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몸체부(241)는 힌지부(243)에 의하여 회동레버(8)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게 된다. 이때, 주차 케이블(4)과 회동레버(8)를 결합 시 주차 케이블(4)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회동레버(8)와 결합됨에 따라 주변 부품과의 간섭 없이 편리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한편, 힌지부(243)가 힌지축(244)을 기준으로 타측이 탄성부재(245)에 의해 회동 시 회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몸체부(241)에는 스토퍼(241a)가 더 마련된다. 스토퍼(241a)는 힌지축(244)이 설치된 부분에서 힌지부(243)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힌지부(243)가 회동 시 힌지부(243)와 접촉하여 힌지부(243)의 회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체결수단을 통하여 회동레버(8)와 주차 케이블(4)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주변 부품과의 간섭 없이 회동레버(8)에 주차 케이블(4)을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4 : 주차 케이블 8 : 회동레버
181 : 몸체부 183 : 힌지부
184 : 힌지축 185 : 탄성부재
241 : 몸체부 241a : 스토퍼
242 : 수용홈 243 : 힌지부
244 : 힌지축 245 : 탄성부재

Claims (7)

  1.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제동을 위해 상기 드럼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슈, 두 브레이크슈를 지지하며 회동레버가 당겨질 때 두 브레이크슈를 드럼의 내면으로 밀어주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를 당겨주기 위해 상기 회동레버의 끝단부에 마련된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주차 케이블의 끝단부에 마련된 결합부를 갖추고,
    상기 체결부 및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측에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몸체부 내에 상기 힌지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의 타단을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주차 케이블의 결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몸체부의 두께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관통공을 관통 시 상기 힌지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와 결합부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힌지부가 회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마련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0160104697A 2016-08-18 2016-08-18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58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97A KR102585002B1 (ko) 2016-08-18 2016-08-18 주차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97A KR102585002B1 (ko) 2016-08-18 2016-08-18 주차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26A KR20180020426A (ko) 2018-02-28
KR102585002B1 true KR102585002B1 (ko) 2023-10-06

Family

ID=6140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697A KR102585002B1 (ko) 2016-08-18 2016-08-18 주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0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52B1 (ko) * 2004-06-01 2007-09-21 주식회사 만도 주차 브레이크
KR20130112367A (ko) * 2012-04-04 2013-10-14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26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929322Y (zh) 刹车机构
EP1174627B1 (en) Brake cable connecting apparatus for drum brake
KR102585002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2002364688A (ja) ブレーキケーブル接続装置
KR102176060B1 (ko)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장치
US10577217B1 (en) Yarn feeder
EP1643153A2 (en) Brake cable connecting apparatus for a drum brake device
KR101063148B1 (ko)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장치
EP3015944B1 (en) Pedal for motor vehicles
KR101427078B1 (ko) 자동차용 기계식 드럼브레이크
KR100682526B1 (ko)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1920675B1 (ko)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케이블 연결장치
CN110073124B (zh) 驻车制动器致动组件
KR20080049949A (ko)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장치
US20080087504A1 (en) Roller housing having retaining arms
US20180216683A1 (en) Disc brake
KR101534773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KR102526382B1 (ko)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
KR101964596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장치
KR200496729Y1 (ko) 브레이크슈 복원력이 향상된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
KR101283443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KR101029849B1 (ko) 중립핀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 장치
KR100808481B1 (ko) 차량용 주차브레이크
EP3770032A1 (en) Dolly
JP5331079B2 (ja) 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及び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のストラット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