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644B1 -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644B1
KR102584644B1 KR1020230000160A KR20230000160A KR102584644B1 KR 102584644 B1 KR102584644 B1 KR 102584644B1 KR 1020230000160 A KR1020230000160 A KR 1020230000160A KR 20230000160 A KR20230000160 A KR 20230000160A KR 102584644 B1 KR102584644 B1 KR 10258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olution
spray device
overflow prevention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테라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테라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테라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6Peroxide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소독 또는 멸균장치 내부에 액상 형태의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 공급부 내부에 원통 기둥을 기준으로 나선 형태의 회오리 구조와 역나선 형태의 역회오리 구조를 적용하여 소독 또는 멸균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장치를 옆으로 눕혀지거나 넘어지더라도 용액 저장 공급부에 저장된 용액이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Spraying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F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넘침 방지 구조를 이용하여 소독 또는 멸균을 수행하는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소독 또는 멸균장치는 고온 스팀, Ethylene Oxide(ETO) 가스, 오존과 물, 과산화수소 증기,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소독 또는 멸균을 수행한다. 최근 들어, 오존,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자외선(UV) 및 광촉매(TiO2) 등을 조합하여 멸균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소독 또는 멸균장치는 증기, 기체 버블러(bubbler), 액상(액체) 미립자(mist)의 형태로 약품을 공급한다.
고농도 과산화수소수는 취급상 유독 물질이고, 멸균 대상물과 플라즈마의 직접 접촉은 전기장에 의한 정전 손상과 플라즈마에 의한 표면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오존은 한정된 유기결합의 분해과정에만 관여하거나, 금속의 산화 반응에 소비되어 멸균 처리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 방법으로는 멸균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기압 이상의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오존은 불소(F, 2.87eV), 수산화기(OH, 2.85eV) 다음으로 높은 산화 환원 준위(2.07eV)를 가지며, 과산화수소(H2O2, 1.77eV) 보다 더 강력한 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오존의 강력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멸균을 하고자 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하지만, 종래의 오존을 이용하는 멸균 기술은 멸균 반응시간이 느리고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분해과정에서의 속도 편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소독 또는 멸균장치는 액상의 형태로 약품(과산화수소)을 용액 저장 공급부에 저장하다가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약품을 건무, 물방울 형태로 분무시킨다.
하지만, 소독 또는 멸균장치를 이용하여 소독 또는 멸균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장치를 옆으로 눕히거나 넘어뜨리는 경우, 용액 저장 공급부에 저장된 용액이 흘러 넘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넘침 방지 구조는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441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소독 또는 멸균장치 내부에 액상 형태의 과산화수소를 저장하는 저장 공급부 내부에 원통 기둥을 기준으로 나선 형태의 회오리 구조와 역나선 형태의 역회오리 구조를 적용하여 소독 또는 멸균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장치를 옆으로 눕혀지거나 넘어지더라도 용액 저장 공급부에 저장된 용액이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액상 형태의 용액을 저장하는 용액 보관부; 상기 용액 보관부의 상측으로 제1 통로를 형성하는 내측 원통; 상기 제1 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1 나선 구조; 상기 내측 원통의 일부를 둘러 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 통로를 형성하는 외측 원통; 상기 제2 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2 나선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용액 주입부로부터 입력된 액상 형태의 용액을 물방울 형태로 변환하여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물방울 형태의 용액을 액상 형태로 환원하여 저장하는 용액 보관부; 상기 분사부 주변의 제1 통로 상에 배치된 제1 나선 구조; 상기 용액 보관부 내부에 배치된 제2 나선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선 구조와 상기 제2 나선 구조는 상이한 축(axis)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독 또는 멸균장치 내부에 액상 형태의 과산화수소를 저장하는 저장 공급부 내부에 원통 기둥을 기준으로 나선 형태의 회오리 구조와 역나선 형태의 역회오리 구조를 적용하여 소독 또는 멸균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장치를 옆으로 눕혀지거나 넘어지더라도 용액 저장 공급부에 저장된 용액이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상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5,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나선 구조와 역나선 구조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공기 배출을 나타낸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공기 배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상측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나선 구조를 나타낸다.
도 16 및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의 나선층을 나타낸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분무장치(100)는 소독 또는 멸균을 위한 대상 공간에 배치된다. 분무장치(100)는 과산화수소(H2O2), 소독 용액, 물 등을 에어로졸(Aerosol) 형태로 분무하여 대상 공간을 소독 또는 멸균한다. 다시 말해, 분무장치(100)는 용액을 기화시키거나 물방울로 변환하여 대상 공간으로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는 기체의 출입 자유로우나 액체의 출입이 통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는 공급장치본체(110), 분사 헤드(120)를 포함한다. 분무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사 헤드(120)가 공급장치본체(110)에 별도의 공급 케이블로 연결되어 거치형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급장치본체(110), 분사 헤드(12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이동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급장치본체(110)는 용액을 기화시키거나 물방울 형태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공급장치본체(110)는 용액을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보관중인 용액을 기화시키거나 물방울 형태로 변환한다.
공급장치본체(110)가 넘어질 경우, 보관중인 용액이 외부로 넘치게 된다. 공급장치본체(110)는 나선 형태의 회오리 구조와 역나선 형태의 역회오리 구조의 넘침방지구조(300)를 적용하여, 공급장치본체(110)가 넘어지더라도 용액의 외부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분사 헤드(120)는 기화 또는 물방울 형태로 변환된 용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장치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공급장치본체(110)는 공기 공급부(210), 용액 보관부(220), 초음파 진동자(230)를 포함한다. 공기 공급부(210)는 공기 펌프로서 공기를 넘침방지구조(300) 상의 제2 통로(510)로 주입한다. 용액 보관부(220)는 용액을 보관하는 영역으로서 넘침방지구조(300)의 하단에 결합된다. 초음파 진동자(230)는 용액 보관부(220)의 하단에 설치되며, 초음파 진동으로 용액을 연무로 변화시킨다.
분사 헤드(120)는 분사노즐(240)을 포함한다. 분사노즐(240)는 용액 보관부(220)의 표면에 발생한 연무를 넘침방지구조(300)의 제1 통로(540)를 경유하여 외부로 분사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는 초음파 진동자(230)를 이용하여 용액을 기화시키거나 물방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분무장치(100)는 초음파 진동자(230)를 이용하여 용액을 기화시키거나 물방울로 변환시킬 때, 팬을 이용하여 장치의 외부 공기가 장치 내부로 인입해서 용액 보관부(220)에 있는 용액 표면에서 발생되는 연무(Mist)를 장치 외부로 내보내는 구조를 갖는다.
분무장치(100)는 장비가 넘어질 경우, 용액 보관부(220)의 용액이 외부로 넘치게 된다. 분무장치(100)는 나선 형태의 회오리 구조와 역나선 형태의 역회오리 구조를 적용하여 장치가 넘어지더라도 용액의 외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방지구조(300)를 갖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는 외측에 내측 원통(310), 외측 원통(320)을 형성한다. 외측 원통(320)의 하단에 용액 보관부(220)가 결합되며, 용액 보관부(220)의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230)가 구비된다.
용액 보관부(220)의 내부의 초음파 진동자(230)는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구현 형태에 따라 플라즈마 발생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상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 상면도 방향으로 바라볼 때, 내측 원통(310)의 내부 중앙에 중앙 기둥(410)이 형성되고, 중앙 기둥(410)의 외측으로 제2 나선 구조(520)가 형성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 배면도 방향으로 바라볼 때, 외측 원통(320)의 내부 중앙에 내측 원통(310)이 형성되고, 내측 원통(310)의 외측으로 제1 나선 구조(530)가 형성된다.
도 5,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단면도를 나타낸다.
분무장치(100)는 용액 보관부(220)에 담긴 액상 형태의 용액을 초음파의 진동을 이용하여 연무 형태로 변환하여 제1 통로(540)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분무장치(100)는 공기 공급부(210)를 이용하여 연무가 제1 통로(540)로 빠져나가도록 제2 통로(510)로 공기를 주입한다.
분무장치(100)가 기울어지는 경우, 용액 보관부(220)에 담긴 액상 형태의 용액이 외부로 쏟아지게 되므로, 용액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해 연무가 빠져나가는 제1 통로(540) 상에 제1 나선 구조(530)를 형성하고, 외부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는 제2 통로(510) 상에 제2 나선 구조(520)를 형성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는 흔들림으로 인해 90˚를 초과하기 전까지 용액 보관부(220)에 담긴 액상 형태의 용액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나선 구조(520)는 제2 통로(510)에 형성될 때, z축 상에 배치되며 순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한다. 제1 나선 구조(530)는 제1 통로(540)에 형성될 대, z축 상에 배치되며 역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한다.
용액 보관부(220)에 담긴 용액이 흔들림으로 인해 역류할 때, 순방향의 제2 나선 구조(520)로 흘러 넘치면 회오리를 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역방향의 제1 나선 구조(530)로 흘러 넘치면 역회오리를 치는 형태의 구조를 가져서 역류가 방지되도록 한다.
분무장치(100)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90˚ 이내의 각도로 넘어지더라도 용액 보관부(220)에 담겨 있는 용액이 제2 나선 구조(520)와 제1 나선 구조(530)로 인해 밖으로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는 내측 원통(310), 외측 원통(320), 제2 통로(510), 제2 나선 구조(520), 제1 통로(540), 제1 나선 구조(530)를 포함한다.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공기 유입 경로인 제2 통로(510)는 회오리 구조(나선 구조)를 갖는다. 연무가 배출되는 연무 배출 경로인 제1 통로(540)는 역회오리 구조(역나선 구조)를 갖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는 공급장치본체(110)가 90˚ 이상으로 기울어 지지 않는 한 용액 보관부(220)에 담긴 용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는 공기 유입 경로인 제2 통로(510)와 연무 배출 경로인 제1 통로(540)를 동일한 축에서 역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와류와 같은 저항없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공기의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다.
용액 보관부(220)는 액상 형태의 용액을 저장한다.
내측 원통(310)은 용액 보관부(220)로부터 용액을 기화시킨 연무가 분출되도록 하는 제1 통로(540)를 형성한다. 제1 통로(540) 상에 제1 나선 구조(역회오리 구조)(530)를 배치한다. 제1 통로(540)는 중앙 기둥의 외측과 내측 원통의 내측 사이에 형성된다.
외측 원통(320)은 내측 원통(310)의 일부를 둘러 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외측 원통(320)은 외부 공기를 용액 보관부(220) 내부로 인입하도록 하는 제2 통로(510)를 형성한다.
제2 통로(510) 상에 제2 나선 구조(회오리 구조)(520)를 배치한다. 제2 통로(510)는 내측 원통(310)의 외측과 외측 원통(320)의 내측 사이에 형성된다.
제2 나선 구조(520)와 제1 나선 구조(530)는 동일한 축(axis)(z축)상에 배치되나 나선을 형성한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정방향과 역방향)을 형성한다.
제2 나선 구조(520)는 제1 통로(540)의 z축 상에 하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나선 구조(회오리 구조)는 제1 통로(540)의 z축 상에 하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복수의 나선층(522)을 형성한다.
제1 나선 구조(530)는 제1 통로(540)의 z축 상에 상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나선 구조(역회오리 구조)(530)는 제2 통로(510) z축 상에 상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복수의 역나선층(532)을 형성한다.
중앙 기둥(410)은 내측 원통(310)의 내부 중앙부에 형성된다.
용액 보관부(220)가 옆으로(90˚ 이내 각도) 기울어지는 경우, 제2 통로(510) 상에 형성된 제2 나선 구조(520)와 제1 통로(540) 상에 형성된 제1 나선 구조(530)로 인한 길이에 만큼 용액 보관부(220)에서 흘러넘친 용액이 머무르도록 하여 용액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는 흔들림으로 인해 180˚로 뒤집히는 경우 넘침 방지 봉합면(810)를 추가로 구현하여 용액 보관부(220)에 담긴 액상 형태의 용액이 밖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는 넘침 방지 봉합면(810), 넘침 방지 통로(820), 외측 추가 원통(83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 추가 원통(830)은 외측 원통(320)의 전체를 둘러 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외측 추가 원통(830)은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외측 추가 원통(830)은 넘침 방지를 위해 외측 원통(320)과 연결되는 부분을 봉쇄(봉합)한 넘침 방지 봉합면(810)을 형성한다.
넘침 방지 통로(820)는 외측 원통(320)의 외벽과 외측 추가 원통(830)의 내측 사이에 형성된다.
용액 보관부(220)가 거꾸로 뒤집혀(180˚) 지는 경우, 제2 통로(510) 상에 형성된 제2 나선 구조(520)와 제1 통로(540) 상에 형성된 제1 나선 구조(530), 넘침 방지 통로(820)로 인한 길이에 만큼 용액 보관부(220)에서 흘러넘친 액상 형태의 용액이 머무르도록 하여 용액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는 플라즈마 방전부(940)를 이용하여 용액을 기화시키거나 물방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분무장치(100)는 플라즈마 방전부(940)를 이용하여 용액을 기화시키거나 물방울로 변환시킨 후 다시 용액으로 환원시킨 후 다시 용액을 기화시키거나 물방울로 변환시킨다.
분무장치(100)는 플라즈마 방전부(940)를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분무장치(100)는 플라즈마 방전으로 용액을 연무로 변환한 후 다시 액화시킨다. 분무장치(100)는 액화된 용액을 분사 헤드(120)를 이용하여 다시 연무로 변환하여 분무한다.
공급장치본체(110)는 매립 플라즈마 방전장치(902), 제2 공기 펌프(972), 제2 용액 펌프(974)를 포함한다. 매립 플라즈마 방전장치(902)는 플라즈마 방전모듈(906), 용액 환원부(908)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방전모듈(906)은 제1 공기 펌프(910), 제1 용액 펌프(920), 분사부(930), 플라즈마 방전부(940)를 포함한다. 용액 환원부(908)는 제2 나선 구조(950), 용액 보관부(960)를 포함한다.
제1 공기 펌프(910)는 외부 공기를 분사부(930)로 주입한다. 제1 공기 펌프(910)는 제1 용액 펌프(920)에 의해 물방울에 플라즈마 액티베이션될 때 공기를 주입하여 플라즈마 면적이 넓어지도록 한다. 제1 공기 펌프(910)는 공기를 주입하여 플라즈마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플라즈마하고 물방울이 닿는 면적이 넓어져서 액티베이션이 많이 발생하도록 한다.
제1 용액 펌프(920)는 용액을 분사부(930)로 주입한다.
분사부(930)는 액상 형태의 용액을 인위적으로 물방울로 변환시킨다.
분사부(930)는 액상 형태의 용액을 물방울로 변환하여 플라즈마를 방전할 때, 물줄기에 플라즈마 액티베이션할 때보다 공간 상에서 높은 효율로 물방울이 플라즈마 액티베이션되도록 한다.
분사부(930)는 제1 공기 펌프(910)에서 주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제1 용액 펌프(920)로부터 주입된 용액을 물방울로 변환하여 플라즈마 방전부(940) 내부 공간으로 분사한다.
플라즈마 방전부(940)는 플라즈마 전원 공급부(94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물방울로 변환된 용액에 플라즈마를 방전하여 플라즈마 처리된 액상 미립자가 제2 나선 구조(950)로 분사되도록 한다. 플라즈마 방전부(9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공급장치본체(110) 내부에 구현한다. 플라즈마 방전 모듈(906)에 의해 플라즈마가 방전된 연무를 다시 액화시킨 다음 액화된 용액을 분사 헤드(120)를 이용하여 분무한다.
플라즈마 방전부(940)는 플라즈마 제트 방식으로 플라즈마를 방전하면, 제1 용액 펌프(920)로 인한 물방울과 제1 공기 펌프(910)로 인한 공기로 인해, 플라즈마와 물방울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서 액티베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플라즈마 처리된 액상 미립자가 분사도록 한다.
제2 나선 구조(950)는 분사된 플라즈마 처리된 액상 미립자가 나선을 형성한 방향에 따라 흘러가다가 다시 액상으로 변환되어 용액 보관부(960)에 담기도록 한다.
제2 나선 구조(950)는 플라즈마 방전부(940)에서 분사된 플라즈마 처리된 액상 미립자가 나선을 형성한 방향에 따라 흘러가다가 다시 액상으로 변환되어 용액 보관부(960)에 담기도록 한다.
제2 나선 구조(950)는 플라즈마 방전부(940)에서 분사된 플라즈마 처리된 액상 미립자 나선의 벽면에 붙어서 흘러가다가 용액 보관부(960)에 고여서 다시 액상으로 형태의 용액이 되도록 한다.
제2 나선 구조(950)는 케이스 본체가 뒤집히더라도 용액 보관부(960)에 담겨 있는 용액이 제2 나선 구조(950)로 인해 밖으로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한다. 제2 나선 구조(950)는 플라즈마 방전부(940)과 용액 보관부(960) 사이에 형성된다.
플라즈마 방전부(940)에서 분사된 물방울이 제2 나선 구조(950)를 통과하여 용액 보관부(960)에 용액으로 환원된다.
용액 보관부(960)는 액상으로 플라즈마 처리된 용액을 액상 형태로 보관한다.
플라즈마 방전부(940)로 공기와 용액이 함께 공급되면, 연무를 생성할 때,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게 되므로 공급장치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공급장치본체(110) 외부로 나가는 경로가 존재해야 한다.
공급장치본체(110) 외부로 나가는 경로를 이용하여 액화된 용액이 분사 헤드(120)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공기 펌프(972)는 외부 공기를 분사 노즐(990)로 주입한다. 제2 용액 펌프(974)는 플라즈마 처리된 용액을 분사 노즐(990)로 주입한다.
분사 헤드(120)는 분사 노즐(990), 전하 발생기(980)를 포함한다.
분사 노즐(990)은 제2 공기 펌프(972)에서 주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제2 용액 펌프(974)로부터 주입된 플라즈마 처리된 용액을 물방울로 변환하여 외부로 분사한다.
전하 발생기(980)는 플라즈마 처리된 용액을 물방울로 변환한 후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하(Electric Charge)를 입힌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본체(110)에 기울기가 발생하여 90˚ 이내의 각도로 넘어지더라도 용액 보관부(960)에 담겨 있는 용액이 제2 나선 구조(950)로 인해 밖으로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본체(110)에 기울기가 발생하여 180˚ 이상의 각도로 뒤집히더라도 넘침 방지를 위한 제1 나선 구조(1040)를 추가로 구현하여 용액 보관부(960)에 담긴 액상 형태의 용액이 밖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 내지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넘침방지구조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는 용액 주입부(1010), 공기 주입부(1020), 용액 배출부(1210), 제1 나선 구조(1040), 제1 통로(1044), 제2 나선 구조(950), 제2 통로(954), 플라즈마 방전모듈 하우징(1030)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무장치(100)의 넘침방지구조(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플라즈마 방전부(940)의 외부 전체를 둘러 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인입하도록 하는 제1 통로 상에 배치된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제1 통로(1044)의 y축 상에 복수의 나선층(1042)을 형성한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공기는 통과하지만 분무장치(100)가 흔들림으로 인해 180˚로 뒤집히더라도 액상 형태의 용액이 밖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용액 주입부(1010)는 제1 용액 펌프(920)와 플라즈마 방전부(940)를 연결한 관을 의미한다. 공기 주입부(1020)는 제1 공기 펌프(910)와 플라즈마 방전부(940)를 연결한 관을 의미한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플라즈마 방전모듈 하우징(103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를 의미한다.
분사부(930)는 용액 주입부(1010)로부터 입력된 액상 형태의 용액을 물방울 형태로 변환하여 분사한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930)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930)의 외부를 전체를 둘러 싸는 형태로 배치 가능하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제1 통로(1044) 상에 배치된다. 제1 통로(1044)는 분사부(930)의 외측과 플라즈마 방전모듈 하우징(1030)의 내측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나선 구조(1040)는 제1 통로(1044)의 y축 상에 복수의 나선층(1042)을 형성한다.
제2 나선 구조(950)는 물방울 형태의 용액이 용액 보관부(960)로 인입하도록 하는 제2 통로(954) 상에 배치된다. 제2 통로(954)는 분사부(930)의 하단에 형성된다. 제2 나선 구조(950)는 제2 통로(954) z축 상에 복수의 나선층(952)을 형성한다.
제1 나선 구조(1040)와 제2 나선 구조(950)는 상이한 축(axis)으로 배치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무장치
110: 공급장치본체
120: 분사 헤드
210: 공기 공급부
220: 용액 보관부
230: 초음파 진동자
310: 내측 원통
320: 외측 원통
410: 중앙 기둥
520: 제2 나선 구조
530: 제1 나선 구조
810: 넘침 방지 봉합면
820: 넘침 방지 통로
830: 외측 추가 원통
902: 매립 플라즈마 방전장치
906: 플라즈마 방전모듈
908: 용액 환원부
910: 제1 공기 펌프
920: 제1 용액 펌프
930: 분사부
940: 플라즈마 방전부
950: 제2 나선 구조
960: 용액 보관부
972: 제2 공기 펌프
974: 제2 용액 펌프
1010: 용액 주입부
1020: 공기 주입부
1210: 용액 배출부
1030: 플라즈마 방전모듈 하우징
1040: 제1 나선 구조
1044: 제1 통로

Claims (13)

  1. 액상 형태의 용액을 저장하는 용액 보관부;
    상기 용액 보관부의 상측으로 제1 통로를 형성하는 내측 원통;
    상기 제1 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1 나선 구조;
    상기 내측 원통의 일부를 둘러 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 통로를 형성하는 외측 원통;
    상기 제2 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2 나선 구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 구조와 상기 제2 나선 구조는 동일한 축(axis)상에 배치되나 나선을 형성한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의 z축 상에 하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나선 구조를 배치하고, 상기 제2 통로의 z축 상에 상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선 구조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 구조는
    상기 제2 통로의 z축 상에 하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복수의 나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통의 외측과 상기 외측 원통의 내측 사이에 상기 제2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 구조는
    상기 제1 통로 z축 상에 상단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복수의 나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통의 전체를 둘러 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외측 추가 원통;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추가 원통은
    넘침 방지를 위해 상기 외측 원통과 연결되는 부분을 봉쇄한 넘침 방지 봉합면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 원통의 외벽과 상기 외측 추가 원통의 내측 사이에 넘침 방지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9. 용액 주입부로부터 입력된 액상 형태의 용액을 물방울 형태로 변환하여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물방울 형태의 용액을 액상 형태로 환원하여 저장하는 용액 환원부;
    상기 분사부 주변의 제1 통로 상에 배치된 제1 나선 구조;
    상기 용액 환원부 내부에 배치된 제2 나선 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선 구조와 상기 제2 나선 구조는 상이한 축(axis)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 상기 제1 나선 구조를 보호하는 틀 형태의 플라즈마 방전모듈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의 외측과 상기 플라즈마 방전모듈 하우징의 내측 사이에 상기 제1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 구조는
    상기 제1 통로의 y축 상에 복수의 나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하단에 제2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 구조는
    상기 제2 통로의 z축 상에 복수의 나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KR1020230000160A 2022-11-28 2023-01-02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KR102584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61794 2022-11-28
KR1020220161794 2022-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644B1 true KR102584644B1 (ko) 2023-10-05

Family

ID=8829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160A KR102584644B1 (ko) 2022-11-28 2023-01-02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6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875B2 (ko) * 1978-04-07 1982-10-13
JP2009279514A (ja) * 2008-05-22 2009-12-03 Corona Corp マイナスイオン及びナノミスト発生装置
JP5747875B2 (ja) 2011-10-06 2015-07-15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19056514A (ja) * 2017-09-21 2019-04-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または空気調和機
JP2022117667A (ja) * 2021-02-01 2022-08-12 国分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875B2 (ko) * 1978-04-07 1982-10-13
JP2009279514A (ja) * 2008-05-22 2009-12-03 Corona Corp マイナスイオン及びナノミスト発生装置
JP5747875B2 (ja) 2011-10-06 2015-07-15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19056514A (ja) * 2017-09-21 2019-04-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または空気調和機
JP2022117667A (ja) * 2021-02-01 2022-08-12 国分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7729B2 (en) In-liquid plasma generation device and liquid treatment apparatus
KR102073815B1 (ko) 플라즈마 제트 분사 구조를 가지는 소독장치
KR101564458B1 (ko) 훈증 기화기
TW201509445A (zh) 微霧化裝置及其給藥室模組
KR102584644B1 (ko)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WO2015005066A1 (ja)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
CN112839730B (zh) 废气的等离子体除害方法及废气的等离子体除害装置
KR100824162B1 (ko) 유해 가스 제거 장치
JP2003320278A (ja) オゾン水噴霧ノズル装置
JP2018206763A (ja) 液中プラズマ発生装置および液体処理装置
KR102305970B1 (ko) 스마트 식품 저장 시스템
WO2024117376A1 (ko)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분무장치
CN101137583A (zh) 液体处理方法
KR100954869B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JP5190465B2 (ja) 霧化装置、霧化方法、配線形成装置及び配線形成方法
KR200286647Y1 (ko) 오존수와 오존수증기의 생성장치를 이용한 세정장치
KR102129967B1 (ko) 플라즈마 발생기의 오존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1191911B1 (ko) 공압용 진동자와 싸이크론을 이용한 기화장치
KR100442314B1 (ko) 오존수와 오존 수증기 생성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이용한 세정장치
JP2011161412A (ja) 水処理装置
KR102505634B1 (ko) 유해가스 처리용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
JP2006334552A (ja) オゾン水製造装置、オゾン水製造装置を用いた洗浄装置及びオゾン水製造装置を用いた水質改善装置
KR102479272B1 (ko) 플라즈마 방전수를 이용한 방역 시스템 및 플라즈마 방전수를 액적으로 분무하는 분무노즐
CN217732759U (zh) 投送式消毒装置
KR19990016294U (ko) 초음파 수증기 분무장치가 부착된 스크러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