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869B1 -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869B1
KR100954869B1 KR1020090114507A KR20090114507A KR100954869B1 KR 100954869 B1 KR100954869 B1 KR 100954869B1 KR 1020090114507 A KR1020090114507 A KR 1020090114507A KR 20090114507 A KR20090114507 A KR 20090114507A KR 100954869 B1 KR100954869 B1 KR 100954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housing
particle generation
tank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원석
Original Assignee
(주)크린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린파워 filed Critical (주)크린파워
Priority to KR102009011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분무되는 약재의 수용액을 저장하는 약재탱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로부터 이송된 약재를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에 수용된 약재의 수용액을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부터 생성된 기화된 약재가 이송되는 달팽이관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기화된 약재가 상기 달팽이관을 통해서 이송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기와, 상기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달팽이관과 연통되어 기화된 약재를 토출시키는 토출파이프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되며, 온(ON) 오프(OFF)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이송펌프와 송풍기와 조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조작부의 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켜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며, 송풍기를 가동시켜 기화된 약재를 이송 및 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스팀을 이용한 살균 분무기에 비해서 스팀 등의 수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약효의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되며,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그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이동식으로 살균을 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더라도 약재 수용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Portable sterilizer using for ultra-sonic generator }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스팀을 이용한 살균 분무기에 비해서 스팀 등의 수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약효의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되며,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이동식으로 살균을 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더라도 약재 수용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균기는 그 약품의 도포를 위해서 스팀을 사용하고 있다. 즉, 스팀이 토출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약품을 도포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살균기는 스팀 즉 수분이 약품을 희석하면서 도포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살균기는 스팀을 이용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에너지의 소비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살균기는 스팀 즉 수분에 의해서 약품을 희석해야 하므로 분무되는 스팀의 양과 약품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기가 힘들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스팀을 이용한 살균 분무기에 비해서 스팀 등의 수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약효의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되며,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그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이동식으로 살균을 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더라도 약재 수용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분무되는 약재의 수용액을 저장하는 약재탱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로부터 이송된 약재를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에 수용된 약재의 수용액을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부터 생성된 기화된 약재가 이송되는 달팽이관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기화된 약재가 상기 달팽이관을 통해서 이송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기와, 상기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달팽이관과 연통되어 기화된 약재를 토출시키는 토출파이프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되며, 온(ON) 오프(OFF)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초밀입자생성 탱크와 이송펌프와 송풍기와 조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조작부의 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켜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며, 송풍기를 가동시켜 기화된 약재를 이송 및 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상기 달팽이관은, 상방을 향해서 굴곡된 굴곡부를 가져서,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에 저장된 약재의 수용액이 상기 토출파이프로 곧바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에는,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의 하부의 사방 벽면에 설치되되 수직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초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이송된 약재의 수용액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를 넘어서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레벨센서와,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의 상부의 사방 벽면에 설치되되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약재의 수용액의 넘침을 방지하는 수용액 넘침방지판넬과,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의 상면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그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되는 힘으로 상기 기화된 약재를 상기 달팽이관으로 이송시키는 에어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에 이송되는 약재 수용액의 양을 조절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상기 토출파이프는, 내벽부와 외벽부를 가지되,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에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외측면은 막혀있으며, 상기 내벽부에는 나사산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에 수용되는 수용액이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다시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 이송되도록 상기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공간이 상호 연통되는 드레인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에 의하면, 기존의 스팀을 이용한 살균 분무기에 비해서 스팀 등의 수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약효의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되며,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이동식으로 살균을 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더라도 약재 수용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초밀입자생성탱크과 달팽이관 부위를 나타낸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토출파이프 부위를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100)는 하우징(10)과, 약재탱크(20)와, 초밀입자생성탱크(30)와, 이송펌프(40)와, 달팽이관(45)과, 송풍기(50)와, 토출파이프(60)와, 조작부(70)와, 전원부(80)와, 제어부(9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약재탱크(2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분무되는 약재의 수용액을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20)로부터 이송된 약재를 초음파 진동자(32)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이송펌프(4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20)에 수용된 약재의 수용액을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달팽이관(45)은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로부터 생성된 기화된 약재가 이송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달팽이관(45)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해서 굴곡된 굴곡부(47)를 가져서, 상기 하우징(10)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에 저장된 약재의 수용액이 상기 토출파이프(60)로 곧바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송풍기(5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와 연결되며, 상기 기화된 약재가 상기 달팽이관(45)을 통해서 이송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것이다.
상기 토출파이프(60)는 상기 하우징(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달팽이관(45)과 연통되어 기화된 약재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파이프(60)는 내벽부(62)와 외벽부(64)를 가지되, 상기 내벽부(62)와 외벽부(64) 사이에는 공간(66)을 가지며, 상기 내벽부(62)와 외벽부(64) 사이의 공간(66)에 수용되는 유체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벽부(62)와 외벽부(64) 사이의 외측면(67)은 막혀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파이프(60)의 상기 내벽부(62)에는 나사산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에 수용되는 수용액이 상기 내벽부(62)와 외벽부(64)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다시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로 이송되도록 상기 내벽부(62)와 상기 내벽부(62)와 외벽부(64) 사이의 공간이 상호 연통되는 드레인입구(6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70)는 상기 하우징(10)의 표면에 부착되며, 온(ON) 오프(OFF)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80)는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와 이송펌프(40)와 송풍기(50)와 조작부(7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조작부(70)의 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상기 초음파 진동자(32)를 구동시켜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며, 송풍기(50)를 가동시켜 기화된 약재를 이송 및 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에는,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의 하부의 사방 벽면에 설치되되 수직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초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32)와, 상기 이송된 약재의 수용액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를 넘어서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레벨센서(33)와,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의 상부의 사방 벽면에 설치되되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약재의 수용액의 넘침을 방지하는 수용액 넘침방지판넬(34)과,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의 상면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송풍기(5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그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되는 힘으로 상기 기화된 약재를 상기 달팽이관(45)으로 이송시키는 에어투입구(35)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32)가 본 실시예와 같은 배치를 가지므로 상기 약재의 수용액과의 거리가 가까워서 더욱 용이하게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레벨센서(3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에 이송되는 약재 수용액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70)의 온(ON)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약재탱크(20)에 수용된 약재의 수용액이 상기 이송펌프(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로 이송된다.
이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3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약재 수용액이 기화된다.
이어서, 상기 송풍기(5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투입구(35)를 통해서 불어지면, 그 힘으로 상기 기화된 약재는 상기 달팽이관(45)을 통해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달팽이관(45)을 통과한 기화된 약재는 상기 토출파이프(60)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를 따라서 유동되면서 토출파이프(60)의 외부로 분무된다.
그리고, 만약 상기 기화된 약재가 상기 토출파이프(60)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를 따라서 유동되면서 다시 액화가 되면, 그 액화된 약재는 상기 드레인입구(68)를 통해서 유입되어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30)로 다시 유입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초밀입자생성탱크과 달팽이관 부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의 토출파이프 부위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약재탱크
30. 초밀입자생성탱크 40. 이송펌프
45. 달팽이관 50. 송풍기
60. 토출파이프 70. 조작부
80. 전원부 90. 제어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분무되는 약재의 수용액을 저장하는 약재탱크;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로부터 이송된 약재를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초밀입자생성탱크;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에 수용된 약재의 수용액을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부터 생성된 기화된 약재가 이송되는 달팽이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기화된 약재가 상기 달팽이관을 통해서 이송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기;
    상기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달팽이관과 연통되어 기화된 약재를 토출시키는 토출파이프;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되며, 온(ON) 오프(OFF)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이송펌프와 송풍기와 조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조작부의 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켜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며, 송풍기를 가동시켜 기화된 약재를 이송 및 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달팽이관은, 상방을 향해서 굴곡된 굴곡부를 가져서,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에 저장된 약재의 수용액이 상기 토출파이프로 곧바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에는,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의 하부의 사방 벽면에 설치되되 수직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초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이송된 약재의 수용액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를 넘어서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레벨센서와,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의 상부의 사방 벽면에 설치되되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약재의 수용액의 넘침을 방지하는 수용액 넘침방지판넬과,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의 상면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그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되는 힘으로 상기 기화된 약재를 상기 달팽이관으로 이송시키는 에어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에 이송되는 약재 수용액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4.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분무되는 약재의 수용액을 저장하는 약재탱크;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로부터 이송된 약재를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초밀입자생성탱크;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약재탱크에 수용된 약재의 수용액을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부터 생성된 기화된 약재가 이송되는 달팽이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기화된 약재가 상기 달팽이관을 통해서 이송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기;
    상기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달팽이관과 연통되어 기화된 약재를 토출시키는 토출파이프;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되며, 온(ON) 오프(OFF)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와 이송펌프와 송풍기와 조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조작부의 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켜 상기 약재의 수용액을 기화시키며, 송풍기를 가동시켜 기화된 약재를 이송 및 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파이프는,
    내벽부와 외벽부를 가지되,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에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외측면은 막혀있으며,
    상기 내벽부에는 나사산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에 수용되는 수용액이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다시 상기 초밀입자생성탱크로 이송되도록 상기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공간이 상호 연통되는 드레인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KR1020090114507A 2009-11-25 2009-11-25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KR100954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07A KR100954869B1 (ko) 2009-11-25 2009-11-25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07A KR100954869B1 (ko) 2009-11-25 2009-11-25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869B1 true KR100954869B1 (ko) 2010-04-28

Family

ID=4222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507A KR100954869B1 (ko) 2009-11-25 2009-11-25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8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641B1 (ko) * 2011-10-12 2012-06-18 주식회사 지웰 고주파를 이용한 연무 소독 장치
KR102318886B1 (ko) * 2020-12-18 2021-10-27 박유나 약액분무장치
KR20220020555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시너윈스 분무형 미용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10Y1 (ko) * 1999-09-27 2000-03-15 최욱 휴대용 살충약액 분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10Y1 (ko) * 1999-09-27 2000-03-15 최욱 휴대용 살충약액 분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641B1 (ko) * 2011-10-12 2012-06-18 주식회사 지웰 고주파를 이용한 연무 소독 장치
KR20220020555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시너윈스 분무형 미용기기
KR102407774B1 (ko) 2020-08-12 2022-06-10 주식회사 시너윈스 분무형 미용기기
KR102318886B1 (ko) * 2020-12-18 2021-10-27 박유나 약액분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1151B (zh) 滅菌物質供給裝置及隔離器
KR100954869B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JP2013533051A (ja) 携帯用液状化粧品電動ミスト供給器
HK1052144A1 (en) Powdered medicine multi-dose administering device
KR101465118B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약제의 살포장치
US20210178108A1 (en) Humidification apparatus and humidification and blowing apparatus for respiratory organs including the same
JP2001276189A (ja) 殺菌液ガス化装置
CN201658722U (zh) 手持式雾化器
KR20190091760A (ko) 휴대용 천식 의료기기
CN107249676A (zh) 超声波式雾化器
US20080011873A1 (en) Optimized method of atomizing liquid and a liquid atomizer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02671275B (zh) 加湿设备和具有该加湿设备的通气治疗设备
CN103933645B (zh) 有效控制超微细雾化颗粒输出的医疗微网片雾化器
JP5856568B2 (ja) 殺菌液ガス化装置
JP5560835B2 (ja) ミスト生成器
JP2012198753A (ja) 加煙試験器
JP2011136636A (ja) ミスト生成器
KR101266318B1 (ko) 멀티 가습기
JP2012093033A (ja) ミスト生成器
KR200286647Y1 (ko) 오존수와 오존수증기의 생성장치를 이용한 세정장치
CN219071616U (zh) 一种雾化装置
KR101134912B1 (ko) 피에조 방식 및 공압 방식을 혼용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화식 분사 장치
CN218056874U (zh) 一种医用垃圾桶
JP2001132995A (ja) 高低恒温スプレー式加湿器
KR102395262B1 (ko) 약액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